KR200420394Y1 -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394Y1
KR200420394Y1 KR2020060009432U KR20060009432U KR200420394Y1 KR 200420394 Y1 KR200420394 Y1 KR 200420394Y1 KR 2020060009432 U KR2020060009432 U KR 2020060009432U KR 20060009432 U KR20060009432 U KR 20060009432U KR 200420394 Y1 KR200420394 Y1 KR 200420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taining wall
steel wire
base plate
pre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이진혁
정지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Priority to KR2020060009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3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설계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역T형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벽체부와 기초부의 연결이 고정연결방식으로 일체화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역T형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있어서, 옹벽 벽체의 폭만큼 소정깊이 터파기된 매립홈을 사이에 두고 지반 상부에 양측으로 현장타설되거나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조립시공되는 레벨링 콘크리트와; 양측으로 분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 상부에 벽체폭 만큼 이격 설치되며, 내부에는 폭방향의 기초판 PS강선홀이 소정 간격마다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기초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연직방향으로 상기 매립홈에 하부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초판이 면접되는 연결부에는 상기 기초판 PS강선홀과 연통되는 벽체 PS강선홀이 형성된 벽체부; 및 상기 기초판 PS강선홀과 상기 벽체 PS강선홀에 관통되어 긴장된 후 정착구에 정착되는 PS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벽체부와 기초판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방식으로 조립하여 설치하되, 가장 큰 모멘트가 발생되는 벽체부와 기초판의 연결을 종래 힌지연결방식이 아닌 고정연결방식으로 일체화 시공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 안전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프리캐스트 옹벽에서와는 달리 활동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활동방지벽(Shear Key)의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옹벽, 프리캐스트, PS강선

Description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Precast concrete block for cantilever retaining wall}
도1은 종래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04658호에 개시된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a ~ 도5e는 본 고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시공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파기 지반 2 : 매립홈
100 : 기초판 100a, 100b : 제1 및 제2 기초판
110, 120 : 기초판 PS강선홀 200 : 벽체부
210 : 벽체 PS강선홀 230 : 연결수단
231, 232 : 연결홈 233, 234 : 벽체 연결재
235 : 커플러 236 : 연결홈 채움재
300 : PS강선 310 : 정착구
320 : 충진재 330 : 정착구 채움재
400 : 레벨링 콘크리트
본 고안은 옹벽설계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역T형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으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벽체부와 기초부의 연결이 고정연결방식으로 일체화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역T형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철도의 사면, 공원지역의 비탈면, 하천제방, 해안도로, 주거지역의 사면 등과 같은 옹벽공사는 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이하 'RC옹벽'이라 한다.)로 시공하여 왔다. 즉, 옹벽공사는 철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 습식공사로 시공하여 왔으며, 이에 의해 시공된 옹벽으로는 역T형 옹벽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통상적인 RC옹벽의 시공방법은 지반굴착, 기초콘크리트 타설, 철근조립, 본체 콘크리트 타설, 뒷채움 공사 등의 과정을 거친다. 또한 벽체부의 높이가 높을 경우 본체 콘크리트 타설을 한번에 타설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와 같이 종 래 RC옹벽 시공은 모든 작업을 현장에서 직접 시행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RC옹벽 시공은 현장에서 RC옹벽의 배근도를 참조하여 철근의 배근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가 자립을 위한 강도를 유지하는데 대략 7일 이상의 양생기간이 필요하며, 양생 완료후 거푸집을 해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RC옹벽 시공은 여러 단계의 시공과정 및 긴 공사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성 및 시공성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으로 인해 장기간의 차량통행 차단과 우회도로 확보 등으로 인해 민원발생가능성이 높으며, 장기간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안정성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시공성, 경제성, 민원발생 가능성 측면을 고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이하 'PC옹벽'이라 한다.)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PC옹벽은 옹벽블록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단지 조립만 실시하므로 시공성에서 매우 우수하며, 이에 따른 민원발생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교통량이 적은 복잡한 도심지나 긴급한 공사에 매우 효과적이다.
종래 위와 같은 개념으로 가장 오래된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을 도1에 나타내었다. 종래 프리캐스트 부벽식 옹벽은 공장에서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벽체부(20a, 20b, 20c, 20d, 20e)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조립 설치하고, 일종의 부벽 기능을 가지는 지지체(30)를 벽체부와 기초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1에 나타낸 것처럼 별도로 벽체부 후면 전체에 다수의 지지체(30)를 설치하게 되므로 RC콘크리트에 비해 시공성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04658호에서는 도2와 같은 새로운 방식의 PC옹벽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PC옹벽(10)은 프리캐스트 장방형 기초판(11)의 상부면에 장방형 U형 전단홈(11a)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홈(11a)에 프리캐스트 패널형 벽체부(12)의 하부 전체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기초판(11)의 전단홈(11a) 후방 마구리면에는 벽체부(12)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부벽체부(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부벽식 옹벽이 필요하고 시공 및 현장조건이 일치하는 경우 부벽식 PC옹벽으로는 일부 상용이 가능하나, 다음과 같이 현장 및 시공조건이 달리하는 경우는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즉, 부벽식 옹벽은 설치될 옹벽이 활동에 대해 불안정할 경우 RC옹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활동방지벽을 추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기초단면을 크게 하여 활동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법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부벽식 옹벽은 옹벽높이가 7-8m 이상되는 높은 옹벽에서 사용가능한 옹벽이다. 이는 부벽식 옹벽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역T형 옹벽에서는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높이가 낮은 옹벽에 사용하기에는 경제성 측면에서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 측면을 살펴볼 때, 프리캐스트 패널형 벽체부(12)를 기초판(11)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전단홈(11a)에 단순하게 삽입하여 고정하는 힌지연결방법은 옹벽에서 가장 모멘트가 크게 발생되는 부분이 기초부와 벽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인 점을 고려할 때 구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벽체부와 기초판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방식으로 조립하여 설치하되, 가장 큰 모멘트가 발생되는 벽체부와 기초판의 연결을 종래 힌지연결방식이 아닌 고정연결방식으로 일체화 시공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 안전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역T형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 프리캐스트 옹벽에서와는 달리 활동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활동방지벽(Shear Key)의 설치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있어서, 옹벽 벽체의 폭만큼 소정깊이 터파기된 매립홈을 사이에 두고 지반 상부에 양측으로 현장타설되거나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조립시공되는 레벨링 콘크리트와; 양측으로 분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 상 부에 벽체폭 만큼 이격 설치되며, 내부에는 폭방향의 기초판 PS강선홀이 소정 간격마다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기초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연직방향으로 상기 매립홈에 하부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초판이 면접되는 연결부에는 상기 기초판 PS강선홀과 연통되는 벽체 PS강선홀이 형성된 벽체부; 및 상기 기초판 PS강선홀과 상기 벽체 PS강선홀에 관통되어 긴장된 후 정착구에 정착되는 PS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a ~ 도5e는 본 고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시공사시도이다.
도3에 나타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옹벽블록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200)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판(100)을 관통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지반 내에 삽입된 후 PS강선(300)을 이용하여 기초판과 벽체를 일체화시키는 옹벽블록이다.
상기 기초판(10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200)가 관통되는 지점을 축으로 하여 제1 기초판(100a)과 제2 기초판(100b)으로 분리되어 공장 제작되며, 상기 제1 기초판(100a)과 제2 기초판(100b)의 내부에는 폭방향의 기초판 PS강선홀(110, 120)이 소정 간격마다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기초판(100)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그 상부면이 상기 벽체부(200)를 중심으로 양측 단부로 갈수록 두께를 작게 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는 구조적인 측면과 기초판 상부에서의 배수의 영향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한 것이지만, 그 형상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렇게 공장 제작된 상기 제1 기초판(100a)과 제2 기초판(100b)은 현장으로 이송되어, 레벨링 콘크리트 상부(400)에 설치된다.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400)는 옹벽이 시공될 지반 위에 현장타설되거나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조립시공되는 것으로, 옹벽이 시공될 지반에 터파기(1)를 하고 벽체부가 매립될 위치에 소정 깊이 매립홈(2)을 형성한 후, 상기 매립홈(2)을 사이에 두고 옹벽이 설치될 지반 상부에 양측으로 현장타설되거나 조립시공된다.
상기 벽체부(20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상기 제1 기초판(100a)과 제2 기초판(100b)의 사이, 즉 상기 매립홈(20)에 연직방향으로 소정 깊이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기초판(100a, 100b)이 면접되는 위치에는 상기 기초판 PS강선홀(110, 120)과 연통되는 벽체 PS강선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벽체부(200)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상기 기초판(100)에 삽입되는 하단부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조금씩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벽체부(200)는 운송 등을 고려하여 상·하부를 다단으로 분리한 블록단위로 제조하여 현장에서 조립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하단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요(凹)부(221) 및 철(凸)부(222)를 형성하여 상호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벽체부(200)는 벽체간 길이방향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벽체부(200)의 좌·우 마구리면에도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요(凹)부(223) 및 철(凸)부(224)를 형성하여 상호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전단키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벽체 블럭간 상호 연결되는 인접면에는 연결부를 긴결하여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수단(23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230)은 도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블록간 인접면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연결홈(도5d의 231, 232)과, 일단은 벽체에 기 매립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홈(231, 232)으로 일부 돌출되게 형성된 벽체 연결재(233, 234)와, 상기 벽체 연결재(233, 234)를 양측에서 연결하는 커플러(235) 및 상기 커플러(235) 체결후 상기 연결홈(231)에 타설되는 연결홈 채움재(236)로 구성된다.
상기 PS강선(300)은 상기 제1 기초판(100a)과 제2 기초판(100b)에 형성된 상기 기초판 PS강선홀(110, 120)과 상기 벽체부(200)에 형성된 벽체 PS강선홀(210)에 관통되어 긴장된 후, 상기 제1 기초판(100a)과 제2 기초판(100b)의 외측면에 형성된 정착구(310)에 정착된다. 이때 상기 PS강선(300)의 배치는 옹벽의 높이 및 기초판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옹벽의 길이방향에 대한 간격 및 설치 단수(1단 또는 2단) 결정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S강선(300)을 긴장하고 난 후, 상기 기초판 PS강선홀(110, 120)과 상기 벽체 PS강선홀(210)의 내부에는 홀과 강선을 일체화시키기 위해 모르타르 등의 충진재(320)를 충진하여 홀 내부를 채우고, 상기 정착구(310)는 지중에 매설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채움재(330)를 타설하여 마감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구성된 본 고안은 가장 큰 모멘트가 발생되는 기초판(100)과 벽체부(200)의 연결을 종래 힌지연결방식이 아닌 상기 PS강선(300)을 이용한 고정연결방식으로 일체화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관통된 벽체부(200)의 일부는 옹벽의 활동방지벽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옹벽의 활동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시공방법을 도5a ~ 도5e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a는 옹벽이 설치될 지반의 터파기(1) 및 레벨링 콘크리트(400) 타설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우선 옹벽이 설치될 지반을 터파기(1)하고, 옹벽 벽체의 폭만큼 소정깊이 벽체 매립홈(2)을 형성한 후, 상부에 레벨링 콘크리트(400)를 현장타설 또는 조립시공한다.
도5b는 기초판(100) 설치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400) 상부에 제1 기초판(100a) 및 제2 기초판(100b)을 상기 벽체 매립홈(2)을 사이에 두고 벽체 간격만큼 이격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기초판(100a)과 제2 기초판(100b)은 그 내부에 형성된 기초판 PS강선홀(110, 12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상호 연통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도5c는 벽체부(200) 설치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기초판(100a)과 제2 기초판(100b) 사이를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매립홈(2)에 매립되도록 벽체부(2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벽체부(200) 내부에 형성된 벽체 PS강선홀(210)이 상기 기초판 PS강선홀(110, 120)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조절하면서 설치한다.
도5d는 PS강선 긴장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에 의해 기초판(100)과 벽체부(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기초판(100)의 기초판 PS강선홀(110, 120)과 상기 벽체부(200)의 벽체 PS강선홀(210)에 PS강선(300)을 관통시킨다. 이후, 상기 PS강선(300)을 긴장시키고, 벽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정착구(310)에 정착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S강선(300)을 긴장하고 난 후, 상기 기초판 PS강선홀(110, 120)과 상기 벽체 PS강선홀(210)의 내부에는 홀과 강선을 일체화시키기 위해 모르타르 등의 충진재(320)를 충진하여 홀 내부를 채운다. 또한, 상기 정착구(310)는 지중에 매설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르타르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채움재(330)를 타설하여 마감한다. 도5d의 상세A는 상기 정착구(310)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며, 상세B는 벽체부(200)와 기초부(100)를 관통하는 PS강선(300)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도5e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간 접합면 보강을 위한 연결수단 설치단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5e의 상세A는 벽체간 높이방향 연결 상세를 도시한 것이고, 상세B는 벽체간 옹벽 길이방향 연결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5e의 상세C는 상기 벽체부(100)의 길이방향 연결을 위한 전단키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단계에 의해 기초부(100)와 벽체부(200)가 일체화되면 프리캐스트 옹벽 블럭간의 접합면을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한다. 이때, 상기 길이방향 옹벽 접합면에는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방수처리(500)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위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통해 PC옹벽 설치를 마무리하고, 뒷채움 공사와 주변복구 공사를 실시하여 PC옹벽 공사를 완료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벽체부와 기초판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방식으로 조립하여 설치하되, 가장 큰 모멘트가 발생되는 벽체부와 기초판의 연결을 종래 힌지연결방식이 아닌 고정연결방식으로 일체화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전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프리캐스트 옹벽에서와는 달리 활동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활동방지벽(Shear Key)의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에 있어서,
    옹벽 벽체의 폭만큼 소정깊이 터파기된 매립홈을 사이에 두고 지반 상부에 양측으로 현장타설되거나 프리캐스트로 제작되어 조립시공되는 레벨링 콘크리트와;
    양측으로 분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상기 레벨링 콘크리트 상부에 벽체폭 만큼 이격 설치되며, 내부에는 폭방향의 기초판 PS강선홀이 소정 간격마다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기초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연직방향으로 상기 매립홈에 하부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기초판이 면접되는 연결부에는 상기 기초판 PS강선홀과 연통되는 벽체 PS강선홀이 형성된 벽체부; 및
    상기 기초판 PS강선홀과 상기 벽체 PS강선홀에 관통되어 긴장된 후 정착구에 정착되는 PS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상·하단 및/또는 좌·우단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요(凹)부 및 철(凸)부가 형성되어 상호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시공되며, 그 연결부에는 벽체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벽체 블록간 인접면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연결홈과, 일단은 벽체에 기 매립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홈으로 일부 돌출되게 형성된 벽체 연결재와, 상기 벽체 연결재들을 양측에서 연결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의 체결후 상기 연결홈에 타설되는 연결홈 채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T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20060009432U 2006-04-10 2006-04-10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0420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432U KR200420394Y1 (ko) 2006-04-10 2006-04-10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432U KR200420394Y1 (ko) 2006-04-10 2006-04-10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188A Division KR100640716B1 (ko) 2006-04-10 2006-04-10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394Y1 true KR200420394Y1 (ko) 2006-07-04

Family

ID=4176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432U KR200420394Y1 (ko) 2006-04-10 2006-04-10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3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020B1 (ko) * 2006-09-30 2007-11-08 김근수 노출 콘크리트벽
KR100803783B1 (ko) * 2006-08-28 2008-02-15 청호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측벽블록
KR101384673B1 (ko) * 2012-09-19 2014-04-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보강노반 지지용 강성복합벽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3B1 (ko) * 2006-08-28 2008-02-15 청호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측벽블록
KR100774020B1 (ko) * 2006-09-30 2007-11-08 김근수 노출 콘크리트벽
KR101384673B1 (ko) * 2012-09-19 2014-04-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보강노반 지지용 강성복합벽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0799358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23049B1 (ko) 조립식 옹벽구조
KR101105092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KR100693993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라멘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33650A (ko) 슬러리월공법을 이용한 지하차도 시공공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0938395B1 (ko) 강합성 벽체파일을 이용한 지하차도의 시공방법
KR101973566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시트를 볼트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JP7334948B2 (ja) カルバ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16751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119037A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파일 및 그것을 이용한 원심성형방식의 흙막이 벽체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1017127B1 (ko)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와 프리캐스트 교각의 연결구조 및 연결 시공방법
KR101193312B1 (ko) 3분절식 조립 옹벽
KR100562686B1 (ko) 강널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지하 구조체 및그의 시공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0919921B1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499338B1 (ko) Phc 말뚝을 이용한 암거
CN113152512A (zh) 一种重力式挡土墙及施工方法
KR20090042395A (ko) 옹벽과 이의 시공방법
JP2515227B2 (ja) 現場打ちコンクリ―ト布基礎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壁版との取付け方法
KR101322420B1 (ko) 프리캐스트 블록 벽체, 프리캐스트 블록 벽체를 이용한 내민식 슬래브 교량 및 이의 공법
KR200354133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