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742B1 -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742B1
KR100747742B1 KR1020060039342A KR20060039342A KR100747742B1 KR 100747742 B1 KR100747742 B1 KR 100747742B1 KR 1020060039342 A KR1020060039342 A KR 1020060039342A KR 20060039342 A KR20060039342 A KR 20060039342A KR 100747742 B1 KR100747742 B1 KR 10074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rtificial
artificial wall
water tan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석
Original Assignee
김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석 filed Critical 김경석
Priority to KR1020060039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을 간편히 함은 물론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벽의 전방이나 벽에 기 시공된 트러스의 전방에 고정수단를 통해 구획지게 사이 공간부를 두고 고정되고 굴곡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조벽판과, 인조벽판들의 사이 공간부를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막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인조벽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굴곡부가 포함되는 인조벽판들을 여러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각 인조벽판을 시공하고자 하는 벽의 전방이나 시공하고자 하는 벽에 기 시공된 트러스의 전방에 고정수단를 통해 사이 공간부를 두고 구획지게 고정 시공하는 단계와, 각 공간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조벽판에 부착되는 재질로 구성된 점성을 가진 액상의 마감부재로 충진 마감한 후 상온에서 고형화 시켜 마감부재가 각 인조벽판에 일체로 부착되게 하여 공간부를 마감하는 공간부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인조벽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인조벽, 시공, 화분, 수조

Description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An artificial we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벽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C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벽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의 각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6a는 인조벽판 성형단계를,
도 6b는 인조벽판 시공단계를,
도 6c는 공간부 마감단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조벽판
11 : 굴곡부
2 : 고정수단
21 : 골조
22 : 연결수단
221 : 연결클립
3 : 공간부
4 : 마감부재
5 : 화분
6 : 수조
61 : 물 순환 분출관
611 : 펌프,
62 : 넘침수조
10 : 벽
20 : 트러스
본 발명은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시공을 간편히 함은 물론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벽이라 함은, 옹벽이나 비탈면 또는 실내의 벽체(이하, 총칭하여 "벽"이라 칭함)의 전방에 시공되는 인조벽체를 총칭하는 것으로, 여러 굴곡부를 형성하여 암벽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인조벽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종래의 인조벽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35966호의 "인공 암반구조"(이하, 편의상 "종래 인조벽"이라 칭함)가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 인조벽은, 인공 암반 구조에 있어서, 외관을 이루는 전면부로서 암반의 입체적인 질감을 구비하도록 표면 처리되어 외측면 상에 페인트층이 도포되어 있는 외부 몰탈부와, 암반의 전체적인 형태를 이루며 상기 외부 몰탈부의 내측면에 접합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패널과, 상기 와이어 패널의 내측면에 접합 위치한 내부 몰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일 실시예의 인조벽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지면에 와이어 패널을 고정한 다음 이 와이어 패널의 외측에 외부 몰탈부를 충진을 통해 시공하여 고착시키고, 와이어 패널의 내측에 내부 몰탈부를 충진을 통해 시공하여 고착 시공하는 과정을 통해 인조벽을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인조벽은, 와이어 패널을 지면에 세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패널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몰탈부를 충진하는 과정을 통해 인조벽을 완성함으로서, 시공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시공 비용이 많이 들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인조벽은 자체 중량이 무거운 인조벽을 하부에서만 지지하고 있음에 따라서, 시공후에 바람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인조벽이 쉽게 무너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벽을 트러스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골조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연결클립으로 구성함으로서 시공 및 분해를 간편히 할 수 있으며 각 인조벽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견고하게 막아 인조벽의 강도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식생도 가능한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되,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식물의 식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상부에는 넘침수조를 설치하고 하부에는 수조를 설치하며 수조와 넘침수조 사이에 물 순환수단을 구비하여 수조의 물을 넘침수조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인공적인 폭포를 구비함으로서 별도의 물을 공급하지 않고도 폭포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의 전방이나 벽에 기 시공된 트러스의 전방에 고정수단을 통해 서로 다른 것과 공간부를 두고 고정되고 굴곡부를 포함하며, 강화 합성수지나 강화 콘크리트로 구성된 다수의 인조벽판과 ; 상기 인조벽판들의 둘레에 설치되어 액상에서 고형화를 통해 인조벽판과 일체로 부착 고정되데, 인조벽판들 사이의 공간부를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막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인조벽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각 인조벽판에 연결되거나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조와 ; 상기 골조를 상기 벽이나 트러스에 연결 고정하며,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연결클립으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조벽판들 사이의 공간부 중 마감부재로 마감이 되지 않은 공간부의 후방인 인조벽판의 후방에는 상기 벽, 트러스, 고정수단, 인조벽판 중 하나에 공간부를 통과하게 화분이 착탈 가능하게 더 고정 구비되며,
인조벽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인조벽의 상부에 위치된 넘침수조 사이의 벽 후방 공간에는 수조의 채워진 물을 상기 넘침수조로 강제 순환시켜 넘침수조의 물 넘침을 통해 물이 인조벽을 따라 수조로 낙하되게 하는 펌프가 구비된 물 순환 분출관을 더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부가 포함되는 인조벽판들를 여러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 각 인조벽판을 시공하고자 하는 벽의 전방이나 시공하고자 하는 벽에 기 시공된 트러스의 전방에 고정수단를 통해 사이 공간부를 두고 구획지게 고정 시공하는 단계와 ; 각 공간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조벽판에 부착되는 재질로 구성된 점성을 가진 액상의 마감부재로 충진 마감한 후 상온에서 고형화 시켜 마감부재가 각 인조벽판에 일체로 부착되게 하여 공간부를 마감하는 공간부 마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조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인조벽의 표면을 깍아내거나 도료를 더 칠하는 후처리 공정을 더 진행하고,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에서는 공간부들 중 일부만을 마감하고, 마감이 되지 않은 공간부의 후방인 인조벽판의 후방에는, 상기 벽, 트러스, 고정수단, 인조벽판 중 하나에 공간부에 통과되게 화분을 더 고정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인조벽의 전방 하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인조벽의 상부에 넘침수조를 더 설치하고, 상기 인조벽의 후방에는 수조에 채워진 물을 상기 넘침수조로 강제 순환시켜 넘침수조의 물 넘침을 통해 물이 인조벽을 따라 수조로 낙하되게 하는 펌프가 구비된 물 순환 분출관을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벽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벽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C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인조벽은, 벽(10)의 전방이나 벽(10)에 기 시공된 트러스(20)의 전방에 고정수단(2)를 통해 구획지게 사이 공간부(3)를 두고 고정되고 굴곡부(11)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조벽판(1)과, 인조벽판(1)들의 사이 공간부을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막는 마감부재(4)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벽(10)에 기 시공된 트러스(20)에 다수의 인조벽판(1)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기 인조벽판(1)은 강화 합성수지나 강화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즉 인조벽판(1)은 FRP 등의 강화 합성수지나 GFRC나 GRC 등의 강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조벽판(1)은 다수의 굴곡부(11)가 돌출 또는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암벽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4)는 각 인조벽판(1)의 둘레에 액상에서 고형화를 통해 일체로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인조벽판(1)과 동일 재질인 강화 합성수지 또는 강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트러스(20)는 다수의 수직골조와 수평골조들이 상호 연결되어 벽(10)의 전방에 고정 구비되는 구조물이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인조벽판(1)의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돌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조(21)를 포함하거나,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별도의 볼트와 너트등의 체결요소나 용접으로 각 인조벽판(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조(21)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수단(2)은 벽(10)을 트러스(20)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골조(21)와, 상기 골조(21)를 상기 벽(10)이나 트러스(20)에 연결 고정하는 연결수단(22)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21)를 트러스(20)에 영구적으로 고정할 있도록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연결클립(221)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골조(21)를 직접적으로 벽에 삽입 고정할 수 있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앵커 볼트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앵커 볼트부는 골조(21)의 고정단부에 형성된 나선부와 벽(10)에 천공되는 홀 및 상기 골조(21)의 나선부를 벽(10)에 형성된 홀에 고정하는 앵커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조벽은, 상기 인조벽판(1)들의 사이 공간부(3) 중 마감부재(4)로 마감이 되지 않은 공간부(3)의 후방인 인조벽판(1)의 후방에 고정되어 식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5)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화분(5)의 상부 둘레는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3)에 통과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화분(5)은, 식물이 상기 공간부(3)를 통과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상기 인조벽판(1)의 후방에 위치된 벽(10), 트러스(20), 고정수단(2), 인조벽판(1) 중 하나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고정수단(2)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다시말해 상기 화분(5)은 지지판이나 지지끈 등의 지지수단을 통해 상기 벽(10), 트러스(20), 고정수단(2), 인조벽판(1) 중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도면에서는 상기 화분(5)를 고정수단(2)을 구성하는 골조(21)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조벽은, 인조벽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물이 채워지는 수조(6)와, 상기 인조벽의 상부에 위치된 넘침수조(62), 및 상기 인조벽의 후방에 구비되어 수조(6)의 채워진 물을 상기 넘침수조(62)로 강제 순환을 통해 공급시켜 넘침수조(62)의 물 넘침을 통해 물이 인조벽의 표면을 따라 수조(6)로 낙하되게 하는 펌프(611)가 구비된 물 순환 분출관(61)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 순환 분출관(61)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는 펌프(611)를 구동시켜 물 순환 분출관(61)를 통해 물이 강제적으로 순환되게 함에 따라서 넘침수조(62)의 물 넘침을 통해 물이 인조벽의 표면에서 연속적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서 인조벽에서 폭포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조벽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벽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의 각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인조벽 시공방법은, 먼저, 표면에 굴곡부(11)가 포함되는 인조벽판(1)들을 여러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100;도6a참조)를 진행한다. 즉 금형을 통해 사출이나 충진 등의 방법을 통해 여러 형상의 인조벽판(1)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인조벽판(1)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FRP 등의 강화 합 성수지나 GFRC나 GRC 등의 강화 콘크리트로 성형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조벽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골조(21)를 인조벽판(1)에 일체로 구비하거나, 또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골조(21)를 인조벽판(1)에 조립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성형된 각 인조벽판(1)을 시공하고자 하는 벽(10)의 전방이나 시공하고자 하는 벽(10)에 기 시공된 트러스(20)의 전방에 고정수단(2)를 통해 사이 공간부(3)를 두고 구획지게 고정 시공하는 단계(200)를 진행하는데, 도면에서는 인조벽판(1)이 트러스(20)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고정수단(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인조벽판(1)의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조립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조(21)와, 상기 골조(21)를 상기 벽(10)이나 트러스(20)에 연결 고정하는 연결수단(2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21)를 트러스(20)에 영구적으로 고정할 있도록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연결클립(221)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골조(21)를 직접적으로 벽에 삽입 고정할 수 있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앵커볼트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 인조벽판(1)에 구비된 골조(21)를 연결클립(221) 또는 앵커볼트부로 구성된 연결수단(22)을 통해 트러스(20)나 벽(1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각 공간부(3)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조벽판(1)에 부착되는 재질로 구 성된 점성을 가진 액상의 마감부재(4)로 충진 마감한 후 상온에서 고형화 시켜 마감부재(4)가 각 인조벽판(1)에 일체로 부착되게 하여 공간부(3)를 마감하는 공간부 마감단계(300)를 진행함으로서 인조벽을 완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300)에서 사용되는 마감부재(4)는 각 인조벽판(1)의 둘레에 액상에서 고형화를 통해 일체로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인조벽판(1)과 동일한 재질의 강화 합성수지나 강화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마감부재(4)를 통해 공간부(3)를 마감할 경우에는, 점성을 가지는 마감부재(4)를 공간부(3)를 구성하는 각 인조벽판(1)의 둘레에 충진하면서 공간부의 중앙부까지 마감부재(4)를 충진하는(바르는) 과정을 통해 공간부(3)를 마감한다. 그런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공간부(3)에 충진된 마감부재(4)가 자연 건조됨으로서, 마감부재(4)는 고형화 됨에 따라서 마감부재를 통해 공간부(3)를 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 인조벽판(1)의 사이에 구비된 공간부(3)를, 액상의 마감부재(4)를 충진한 다음 마감부재(4)가 자연건조를 통해 공간부(3)의 둘레에 형성된 각 인조격판(1)에 완전하게 열 융착되게 함으로서, 공간부(3)를 마감하는 마감부재(4)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마감부재(4)로 인하여 인조벽의 전체적인 강도가 향상됨으로서 강도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인조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300)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인조벽의 표면을 깍아내거나 도료를 더 칠하는 후처리 공정을 더 진행함으로서, 인조벽을 좀더 암벽과 가깝게 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에서는 공간부(3)들 중 일부만을 마감하고, 마감이 되지 않은 공간부(3)의 후방인 인조벽판(1)의 후방에는 상기 벽(10), 트러스(20), 고정수단(2), 인조벽판(1) 중 하나에 상기 공간부(3)를 통과하도록 화분(5)을 더 고정 구비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화분(5)이 개방된 공간부(3)에 관통되게 구비됨으로서, 화분(5)에서 성장하는 나무 등의 식물을 통해 공간부(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식생이 가능한 인조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300)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인조벽의 전방 하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인조벽의 상부에 넘침수조(6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조벽의 후방에 수조(6)의 채워진 물을 상기 넘침수조(62)로 강제 순환을 통해 공급시켜 넘침수조(62)의 물 넘침을 통해 물이 인조벽을 따라 수조(6)로 낙하되게 하는 펌프(611)가 구비된 물 순환 분출관(6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하절기에 상기 물 순환 분출관(61)에 구비되어 있는 펌프(611)를 작동시켜 수조(6)에 채워진 물이 인조벽의 표면을 따라 흘러 내리게 함으로서 폭포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을 트러스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골조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연결클립으로 구성함으로서 시공 및 분해를 간편히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인조벽을 제공함은 물론, 강도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인조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인조벽의 개방된 공간부에 착탈 가능하게 화분을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식물이 성장될 수도 있게 하는 식생이 가능하게 하되, 화분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인조벽의 표면에서 폭포의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되, 수조의 물을 물 순환 수단으로 넘침수조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3)

  1. 벽(10)의 전방이나 벽(10)에 기 시공된 트러스(20)의 전방에 고정수단(2)를 통해 서로 다른 것과 공간부(3)를 두고 고정되고 굴곡부(11)를 포함하며, 강화 합성수지나 강화 콘크리트로 구성된 다수의 인조벽판(1)과 ; 상기 인조벽판(1)들의 둘레에 설치되어 액상에서 고형화를 통해 인조벽판(1)과 일체로 부착 고정되데, 인조벽판(1)들 사이의 공간부(3)를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막는 마감부재(4)를 포함하여 구성된 인조벽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은 상기 각 인조벽판(1)에 연결되거나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조(21)와 ; 상기 골조(21)를 상기 벽(10)이나 트러스(20)에 연결 고정하며,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연결클립(221)으로 이루어진 연결수단(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조벽판(1)들 사이의 공간부(3) 중 마감부재(4)로 마감이 되지 않은 공간부(3)의 후방인 인조벽판(1)의 후방에는 상기 벽(10), 트러스(20), 고정수단(2), 인조벽판(1) 중 하나에 공간부(3)를 통과하게 화분(5)이 착탈 가능하게 더 고정 구비되며,
    인조벽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어 물이 채워지는 수조(6)와 인조벽의 상부에 위치된 넘침수조(62) 사이의 벽 후방 공간에는 수조(6)의 채워진 물을 상기 넘침수조(62)로 강제 순환을 통해 공급시켜 넘침수조(62)의 물 넘침을 통해 물이 인조벽을 따라 수조(6)로 낙하되게 하는 펌프(611)가 구비된 물 순환 분출관(61)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굴곡부가 포함되는 인조벽판들를 여러 형상으로 제조하는 단계(100)와 ; 각 인조벽판을 시공하고자 하는 벽의 전방이나 시공하고자 하는 벽에 기 시공된 트러스의 전방에 고정수단를 통해 사이 공간부를 두고 구획지게 고정 시공하는 단계(200)와 ; 각 공간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조벽판에 부착되는 재질로 구성된 점성을 가진 액상의 마감부재로 충진 마감한 후 상온에서 고형화 시켜 마감부재가 각 인조벽판에 일체로 부착되게 하여 공간부를 마감하는 공간부 마감단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조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300)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인조벽의 표면을 깍아내거나 도료를 더 칠하는 후처리 공정을 더 진행하고,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에서는 공간부들 중 일부만을 마감하고, 마감이 되지 않은 공간부의 후방인 인조벽판의 후방에는, 상기 벽, 트러스, 고정수단, 인조벽판 중 하나에 공간부에 통과되게 화분을 더 고정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 마감단계(300)를 진행한 후에는 상기 인조벽의 전방 하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6)와 인조벽의 상부에 넘침수조(62)를 더 설치하고, 상기 인조벽의 후방에는 수조(6)의 채워진 물을 상기 넘침수조(62)로 강제 순환을 통해 공급시켜 넘침수조(62)의 물 넘침을 통해 물이 인조벽을 따라 수조(6)로 낙하되게 하는 펌프(611)가 구비된 물 순환 분출관(61)을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벽 시공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039342A 2006-05-01 2006-05-01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74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42A KR100747742B1 (ko) 2006-05-01 2006-05-01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42A KR100747742B1 (ko) 2006-05-01 2006-05-01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699U Division KR200425069Y1 (ko) 2006-05-01 2006-05-01 인조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742B1 true KR100747742B1 (ko) 2007-08-10

Family

ID=3860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342A KR100747742B1 (ko) 2006-05-01 2006-05-01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7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973Y1 (ko) 2004-08-27 2004-12-03 김득일 인공바위
KR20050018881A (ko) * 2005-01-25 2005-02-28 윤복모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973Y1 (ko) 2004-08-27 2004-12-03 김득일 인공바위
KR20050018881A (ko) * 2005-01-25 2005-02-28 윤복모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651B1 (ko) 초목용의 식재장치와 식재구조
JP3802445B2 (ja) 植栽ポット
KR20100048683A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WO2010142000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US20110146150A1 (en) Integrated planter box/trellis combination
US8510987B2 (en) Plastic plant pot
KR100906623B1 (ko) 벽면 녹화용 녹화블록을 이용한 벽면 녹화 구조 및 그 벽면녹화 공법
CN104303873A (zh) 立体绿化及种植系统
KR100747742B1 (ko)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CN206909222U (zh) 潮汐灌溉绿墙
KR101907876B1 (ko)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KR200425069Y1 (ko) 인조벽
KR100654629B1 (ko)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KR101141197B1 (ko) 기존옹벽에 시공되는 익스펜디드메탈을 이용한 입면녹화 시설 및 그 시공방법
CN102373665B (zh) 建筑物及立交桥绿化隔离栏
KR20110125509A (ko) 인공 조경물 시공방법
JP4275681B2 (ja) Alc自立塀
KR100999938B1 (ko) 그린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최상층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옥상 정원 구조체
JP2007306845A (ja) 緑化壁面構造
KR100540532B1 (ko) 다단의 급수관을 이용한 자동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장식용 꽃탑
JP3140759U (ja) 外構用基礎構築体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18353462U (zh) 一种垂直式墙体绿化用一体化装置
IT201800011171A1 (it) Modulo prefabbricato per il rivestimento o la realizzazione di pareti con copertura vegetale
CN215421854U (zh) 一种用于高架桥侧壁绿化种植花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