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973Y1 - 인공바위 - Google Patents

인공바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973Y1
KR200368973Y1 KR20-2004-0024578U KR20040024578U KR200368973Y1 KR 200368973 Y1 KR200368973 Y1 KR 200368973Y1 KR 20040024578 U KR20040024578 U KR 20040024578U KR 200368973 Y1 KR200368973 Y1 KR 200368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rock
rock
artificial
presen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일
Original Assignee
김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득일 filed Critical 김득일
Priority to KR20-2004-0024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바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나무 등의 식재를 용이하게 심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적합한 식재 이외의 다른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인공바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인공바위(10)는 일면에 수용부(11)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수용부(11)의 상부와 일치되며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절개부(12)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의 수용부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절개부와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에 의하면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을 연출할 수 있고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매우 감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바위{IMITATION ROCK}
본 고안은 인공바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나무 등의 식재를 용이하게 심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적합한 식재 이외의 다른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인공바위에 관한 것이다.
인공바위는 분위기 또는 환경을 보다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인위적으로 제작된 바위를 의미한다. 인공바위는 천연바위와 동일할 정도의 질감이 표현되고 색상, 체적, 강도 면에서도 일반인이 구별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천연바위와 유사하다. 인공바위는 최근 취미생활로 각광을 받고 있는 인공암벽등반 또는 도로의 환경 개선을 위한 인공폭포 등의 암벽에 흔히 사용되고 최근에 들어와서는 건축의 외장재로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바위는 콘크리트 문명의 도시화된 사회에서 자연을 접하기 어려운 도시인의 휴식공간을 연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고 자연을 연출하고자 하는 동물원, 분수, 수영장, 연못 등에 빠르게 보급되어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인공바위는 바위만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보다는 자연스럽지만 자칫 무미건조한 느낌을 가져올 수 있다. 예컨대 휴식공간의 분수대가 바위로만 이루어진다면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목적으로 설치된 인공바위가 휴식공간을 찾은 사람들 한테 무거운 느낌 또는 딱딱한 느낌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폭포의 암벽에서 물만 낙하하다거나 연못 주변이 바위로만 이루어진다면 자연스러운 느낌 보다는 인위적인 분위기 연출이라는 느낌만을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분위기를 연출이라 하더라도 인공바위 주변에 나무와 같은 식재가 심어져 있거나 이끼 등과 같은 자연스러움을 배가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요소가 필요하다.
종래의 인공바위는 첨부된 도1a 도시된 바와 같이 바위(100)의 질감, 색상만을 표현하도록 바위의 외피 조각(100a)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인공바위(100)는 나무를 심는등의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으로 연출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인공바위(100)는 보다 자연스러움을 연출하기 위해 나무를 심을 경우 또한 이끼, 풀 등과 같은 자연친화적인 요소를 부가하는 경우 인공바위 조각(100a)을 깨거나 조각(100a,100b)들을 벌려서 인공바위(100)를 통해 인공바위의 하부(110)에 흙, 모래, 경량토, 생명토 및 부엽토 등의 토양을 채워넣은 후 나무, 이끼 및 풀 등과 같은 식재를 심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인공바위(100)에 식재를 심어야 할 경우는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바위(100)의 하부(110)에 대량의 흙, 모래, 경량토, 생명토 및 부엽토 등의 토양을 채워넣어야 함으로 토양의 낭비를 초래하고 과도한 시공비를 지출할 수 있다. 또한 대량의 토양을 채워넣어야 함으로 인공바위(100) 하부(110)의 환경은 매우 습하여 철재류 지지부재(310a,310b)의 부식을 초래하고 인공바위(100)의 붕괴, 지반침하 등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종종 인공바위(100)를 보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러움을 배가하기 위해 인공바위(100) 시공전에 콘크리트 또는 다른 콘크리트 이외의 재질로 형성된 화분(111)을 구비하고 화분주변에 인공바위(100)를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분(111)과 인공바위(100)가 이격되어 틈이 발생할 수 있고 보다 심각하게는 화분(111)이 내려 앉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인공바위(100) 시공전에 식재를 해야할 장소에 콘크리트 또는 그외의 재질로 화분(111)을 미리 시공하는 번거로움이 필요하고 화분의 재질이 콘크리트인 경우 화분(111)의 건조시간 동안 오래 기다려야 하며 화분(111)을 제작함에 시공비용이 더 발생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바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을 연출할 수 있고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감축할 수 있는 인공바위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나무 등의 식재를 용이하게 심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적합한 식재 이외의 다른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인공바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바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바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c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바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바위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4a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b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c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0, 100 ... 인공바위 10a, 100a ... 인공바위조각
11, 110, 111 ... 수용부, 하부, 화분 12 ... 절개부
30, 300 ... 옹벽 31a, 31b, 310a, 310b .. 지지부재
40, 400 ... 식재 50 ... 토양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공바위는, 바위표면의 형상을 갖는 고무,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또는 그 이외의 재질로 형성된 몰드에 GFRC(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등의 재료를 도포하는 제1 도포단계와; 상기 몰드의 소정 절개부에 흙, 모래, 경량토 및 생명토 등으로 채워진 공간형성물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공간형성물이 충분히 덮어지고 상기 공간형성물과 상기몰드의 맞닿는 부분이 굳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공간형성물에 의해 소정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GFRC(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등의 재료를 도포하는 제2 도포단계와; 상기 2차 도포된 GFRC를 충분히 양생한 후 상기 몰드를 분리하는 몰드분리단계와; 상기 몰드분리후 상기 공간형성물의 이면을 필요에 따라 절개하는 수용부 절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공바위제조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바위제조공정 중 공간형성물은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는 당연히 상기 공간형상물의 갯수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작동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 10은 인공바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부호 10a, 10b의 인공바위 조각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10)는 유리섬유보강 시멘트 GFRC(GRC, Glass Fiber Reinforced Cement)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가적으로 기포제거제, 감수제, 안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인공바위의 재질은 상술한 GFRC 뿐만 아니라 FRP, FR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인공바위의 재질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보편적으로 알려진 것으로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10)의 단면를 도시한 것으로서 두개의 인공바위(10) 조각(10a,10b)을 결합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10)는 일면에 수용부(11)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수용부(11)의 상부와 일치되며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절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는 상술한 제1차 도포단계 후 제2차 도포단계를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차 도포단계 후 제1차 도포된 GFRC(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등의 재료가 양생되기 전, 즉 인조바위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제1차 도포된 GFRC(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등의 재료가 양생되기 전 제2차 도포를 행하여 인조바위 표면과 일체형이 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의 수용부(11)는 인조바위(10)와 일체형으로서 GFRC(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등의 재료가 매우 굳게 양생되어 지지효과가 뛰어날 것이다.
상기 수용부(11)의 모양 및 크기는 상술한 인공바위제조공정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모양과 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식재가 오래된 고목인 경우 뿌리가 크고 줄기가 클 것을 고려하여 인조바위제조공정 중에 이용되는 공간형성물을 크고 넓은 형상으로 구비하여 제2차 도포단계를 수행하면 매우 큰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고 조그마한 꽃 또는 난을 심을 경우 상술한 공간형성물 보다는 작은 것을 구비하여 제2차 도포단계를 수행하면 조그마한 식재를 심을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절개부(12)는 상기 수용부(11)의 외부방향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는 상술한 수용부(11)와 한쌍을 이루며 GFRC(Glass Fiber ReinforcedCement) 등의 재료를 도포하는 제1 도포단계만으로 형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는 상술한 인조바위제조공정 중 락커 또는 페인트 등으로 표시해 놓으면 쉽게 인식될 수 있으며 시공 이후에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다.
도시된 도4a 및 4b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로서 제1실시예는 인공바위(10) 하나의 조각(10a)에 두개의 수용부(11)를 형성한 것이고 제2 실시예는 수용부에 식재(40) 등의 나무를 심은 것이다.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조각(10a)에 두개의 수용부(11)를 형성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식재(40)를 심을 수 있어 매우 자연스러운 환경을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하나의 수용부(11)를 더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 및 시공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 내에 식재(40)를 심은 후 수용부(11) 내에만 흙, 모래, 경량토, 생명토 및 부엽토와 같은 토양(50)을 채우면 되므로 토양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4c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바위(10)의 조각(10a)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인공바위를 보다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해 인공바위 중턱에 나무 등의 식재(40)를 심은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실시예 도1c와 대비하면 도4c는 수용부(11) 내에 흙, 모래, 경량토, 생명토 및 부엽토와 같은 토양(50)을 채운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시공시 식재를 심을 부분이 수용부(11)가 형성되지 않은 인공바위(10) 조각이라면 수용부(11)가 있는 인공바위 조각(10a)으로 단순히 교체해서 식재(40)를 용이하게 심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에 의하면 일면에 수용부(11)가 형성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나무 등의 식재를 용이하게 심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적합한 식재 이외의 다른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시공완료 후 필요에 따라 수용부의 절개부를 절개하여 식재 또는 그 이외의 것을 심거나 묻을 수 있고 수용부가 구비되지 않은 인공바위라면 수용부가 구비된 인공바위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식재 또는 그 이외의 것을 심거나 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인공바위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여러 개의 식재를 심을 수 있으므로 보다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자연환경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 및 절개부가 형성된 인공바위로 시공을 행함으로서 식재에 적당한 양의 토양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인위적으로 화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에 토양을 채움으로서 지지부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인공바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3)

  1. 철골구조 또는 소정 프레임으로 지지되는 인공바위(10)에 있어서,
    상기 인공바위(10)는 일면에 수용부(11)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수용부(11)의 상부와 일치되며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는 절개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1)와 절개부(12)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바위(10).
KR20-2004-0024578U 2004-08-27 2004-08-27 인공바위 KR200368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578U KR200368973Y1 (ko) 2004-08-27 2004-08-27 인공바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578U KR200368973Y1 (ko) 2004-08-27 2004-08-27 인공바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973Y1 true KR200368973Y1 (ko) 2004-12-03

Family

ID=4944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578U KR200368973Y1 (ko) 2004-08-27 2004-08-27 인공바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9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16B1 (ko) 2006-04-03 2007-07-30 김득일 인조바위패널간의 결합구조물 및 결합방법
KR100747742B1 (ko) 2006-05-01 2007-08-10 김경석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755407B1 (ko) 2006-05-10 2007-09-0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0877977B1 (ko) * 2007-05-16 2009-01-12 김득일 인조 정원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16B1 (ko) 2006-04-03 2007-07-30 김득일 인조바위패널간의 결합구조물 및 결합방법
KR100747742B1 (ko) 2006-05-01 2007-08-10 김경석 인조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755407B1 (ko) 2006-05-10 2007-09-0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0877977B1 (ko) * 2007-05-16 2009-01-12 김득일 인조 정원석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887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200368973Y1 (ko) 인공바위
KR20060102567A (ko)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0535743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조립식 조경수 버팀대
KR100986930B1 (ko) 조경수 식재가 가능한 경계석
KR102273069B1 (ko)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CN206791121U (zh) 一种屋顶景观绿化模块化装置
KR100796241B1 (ko) 인공암 시공방법
CN2668695Y (zh) 创造环保生态的模板构造
KR100951635B1 (ko)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KR102514107B1 (ko) 수목 성장 보조장치
KR200377755Y1 (ko) 조경용 꽃 설치탑
KR200295975Y1 (ko) 조경용 브라켓을 이용한 옹벽축조구조
JP2005192435A (ja) 異形の植物鉢
KR101419487B1 (ko)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
JP2011043040A (ja) 緑化舗装、緑化パネル並びに緑化パネル用枠体
KR100576795B1 (ko)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CN103590302A (zh) 一种预制无垫层透水生态植草地坪
CN209276924U (zh) 一种道路转角结构
FI89999B (fi) Vaextbassaengsystem och delar daertill
KR100557678B1 (ko) 친환경적인 조경식재용 보행자 도로 화단
KR200304722Y1 (ko) 도로의 친환경 가로수 보호블록
CN107006283A (zh) 一种屋顶景观绿化模块化装置
KR20180002264A (ko) 미니어처 봉분
KR200361092Y1 (ko) 도로 사면 녹화용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