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487B1 -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487B1
KR101419487B1 KR1020130001128A KR20130001128A KR101419487B1 KR 101419487 B1 KR101419487 B1 KR 101419487B1 KR 1020130001128 A KR1020130001128 A KR 1020130001128A KR 20130001128 A KR20130001128 A KR 20130001128A KR 101419487 B1 KR101419487 B1 KR 10141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lock
hollow
block
artific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효
이규원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앤이
Priority to KR102013000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2Apparatus for washing concrete for decorative purposes or similar surface treatments for exposing the te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입식 중공블록체의 외면을 인조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근입식 중공블록체로 축조된 옹벽이 자연석으로 축조된 것과 같은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으로서, 상기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의 하단에는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中空部)(2)가 형성된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이 하나 이상 축조되어 있고, 상기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의 최상단에는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2)가 형성된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이 축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폭포수 형성용 통공(4d-1)이 더 형성되어 있는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BLOCK WITH ARTIFICIAL ROCK FORM}
본 발명은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과 그 제조 방법 및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연석으로 이루어진 것과 같은 분위기를 낼 수 있는 중공블록과 수직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擁壁: Retaining Wall)이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흙을 쌓거나 또는 산을 깎을 때에 발생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 종류로는 블록쌓기 옹벽과, 중력(重力)식 콘크리트 옹벽 및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쌓기 옹벽은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을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서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주로 채택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특수 철근 콘크리트 옹벽은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옹벽들은 모두 콘크리트 외관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자연 친화적이지 못하며, 주변 보행자 또는 거주자들에게도 친숙하지 못하다.
따라서, 시공 편의성뿐만 아니라 자연 친화성을 함께 갖춘 옹벽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석, 예컨대 천연 바위로 축조된 것과 같은 천연적인 미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포와 같은 부수적 자연 경관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ED 조명 기능 등과 같은 사용자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인조암 형태의 외면을 갖는 근입식 중공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인조암 형상의 오목홈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몰드를 마련하는 단계; (b)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외면에 일정량의 인조암 재료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몰드가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외면에 압착되어 상기 인조암 재료가 상기 오목홈에 충진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몰드를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외면쪽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외면에 상기 몰드를 압착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오목홈에 충진된 인조암 재료를 양생하는 단계; 및 (e) 상기 몰드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외면에 형성된 인조암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암 형태의 외면을 갖는 근입식 중공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근입식 중공블록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으로서, 상기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의 하단에는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된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이 하나 이상 축조되어 있고, 상기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의 최상단에는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이 축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폭포수 형성용 통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형태는,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으로서, 상기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의 하단에는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이 하나 이상 축조되어 있고, 상기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의 최상단에는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이 축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LED 조명용 통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에는 스톤코트(stone coat) 가공 또는 스플릿(split) 가공 또는 몰드(mold) 가공에 의해 상기 인조암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인조암은 콘크리트, 자연석, 인조석,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금속재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의 전면부 또는 상기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의 전면부는, 상기 중공부를 차폐하는 전면벽과 상기 전면벽의 전방에 형성된 전면보강벽으로 이루어지는 2 중의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면벽과 상기 전면보강벽의 사이에는, 상기 전면벽과 상기 전면보강벽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의 제 2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면보강벽은 절각면(折角面)의 형상, 만곡면(彎曲面)의 형상, 또는 판상면(板狀面)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형태는,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으로서, 상기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은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된 복수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들이 하나 이상 조립되는 방식으로 축조되어 있고, 상기 복수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들의 각각은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들은 몸체의 전면부에 폭포수 형성용 통공이 형성된 근입식 중공블록, 몸체의 전면부에 LED 조명용 통공이 형성된 근입식 중공블록, 몸체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지지로드(D)를 삽통(揷通)할 수 있는 U자형의 요홈이 형성된 근입식 중공블록, 몸체의 후면부에 식생용 개방부분이 형성된 근입식 중공블록, 몸체의 전면부에 식생용 개방부분이 형성된 근입식 중공블록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적인 암석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근입식 중공블록체를 통해서 환경 친화적인 수직 옹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중공 인조암 옹벽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옹벽 상단부에서의 식재 및 식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폭포 등과 같은 부수적 자연 경관 기능 및 LED 조명 등과 같은 부수적 편의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을 나타내는 각각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제 1 변형예(1-1a)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제 2 변형예(1-1b)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도면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제 3 변형예(1-1c)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제 4 변형예(1-1d)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제 5 변형예(1-1e)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도면들.
도 5a는 보강벨트(V)와 지지로드(D)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고정하는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지지로드(D)만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고정하는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제 1 변형예(1-2a)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제 2 변형예(1-2b)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각 단계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의 제조 과정에 적용되는 인조암 성형용 몰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의 제조 과정에 적용되는 몰드 가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그 작용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 블록]
(제 1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은 기본적으로 블록몸체의 외면에 스톤코트 가공 또는 스플릿 가공 또는 몰드 가공에 의해 천연 암석의 질감을 표현함으로써 외려한 미관을 나타내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에 적용되는 스톤코트 가공은 스톤건(stone gun) 등의 스프레이(spray) 기구를 사용하여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에 순수 석재 뿜칠재 조성물을 1차로 뿜칠하는 제 1 단계 과정 => 1차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과정 => 스톤건 등의 스프레이 기구를 사용하여 폴리머 젤을 포함하는 합성 석재 뿜칠재 조성물을 2차로 뿜칠하는 제 3 단계 과정 => 2차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과정 => 연마 공정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과정 => 코팅 공정을 수행하는 제 6 단계 과정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에 순수 석재 뿜칠재 조성물을 1차로 뿜칠하는 상기 제 1 단계 과정은 일반 석재 뿜칠재 조성물(또는, 선택에 따라 합성 폴리머 젤을 10 내지 20 중량%을 첨가하여 교반한 조성물)을, 스톤건 등의 스프레이 기구에 주입한 다음, 이를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에 뿜칠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머 젤을 포함하는 합성 석재 뿜칠재 조성물을 2차로 뿜칠하는 상기 제 3 단계 과정은, 앞서 1차로 뿜칠된 면적이 듬성듬성 일부 드러나도록 폴리머 젤을 포함하는 합성 석재 뿜칠재 조성물을 부분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폴리머 젤이 도포된 면적은 외부에서 볼 때 입체적 효과(즉, 울퉁불퉁한 천연 암석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예를 들어, 연마 공정을 수행하는 상기 제 5 단계 과정은, 원형 연마기(회전 연마기) 등과 같은 연마 기구를 사용하여 60번 사포로 1차 뿜칠 부분의 일부가 드러나고 2차 뿜칠한 부분이 부드러운 면으로 마감되도록 연마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코팅 공정을 수행하는 상기 제 6 단계 과정은 상기 제 5 단계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건조된 상태의 석재 뿜칠재 표면을 표면 코팅제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팅 부분이 석재 뿜칠재 형성층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천연석과 같은 미감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에 적용되는 스톤코트 가공은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에 물리적 충격을 가함으로써 근입식 중공블록의 외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자연적으로 파단되어 자연석 무늬를 갖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에 적용되는 몰드 가공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인조암 성형용 몰드(1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에 적용되는 몰드 가공은 인조암 형상의 오목홈(110)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몰드(10)를 마련하는 제 1 단계의 과정(도 8 참조) =>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근입식 중공블록의 전면벽(4d)의 전방면에 일정량의 인조암 재료(120)를 도포하는 제 2 단계의 과정(도 9의 (a) 참조) => 몰드(10)가 전면벽(4d)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몰드(10) 위치를 조정하는 제 3 단계의 과정(도 9의 (b) 참조) => 몰드(10)가 전면벽(4d)에 압착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몰드(10)를 전면벽(4d)쪽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제 4 단계의 과정(도 9의 (b) 참조), (e) 전면벽(4d)에 몰드(10)를 압착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오목홈(110)에 충진된 인조암 재료(120a)를 양생하는 제 5 단계의 과정(도 9의 (c) 참조), 및 (f) 몰드(10)를 상향 이동시켜 전면벽(4d) 상에 형성된 인조암(120a)을 노출시키는 제 6 단계의 과정(미도시), 및 (g) 상기 전면벽(4d) 상에 형성된 인조암(120a)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물을 제거하는 제 7 단계의 과정(미도시)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단계의 과정(도 9의 (a) 참조)을 통해 전면벽(4d)의 전방면에 도포되는 인조암 재료(120)는 모래와 자갈과 시멘트가 일정 조성비로 혼합된 콘크리트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콘크리트 혼합물은 모래와 자갈과 시멘트의 혼합비율이 2 : 2 : 1 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콘크리트 혼합물에는 소정 중량%의 비율의 혼화제가 더 투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 가공법에 의할 경우에는 몰드(10)의 내부에 형성된 오목홈(110)의 모양대로 전면벽(4d)의 전방면에 인조암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패턴(모양)의 인조암을 반복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스톤코트 가공 또는 스플릿 가공 또는 몰드 가공에 의해 블록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된 상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은 기본적으로 블록몸체의 중앙부에 지주(예컨대, 철강빔 또는 철근빔)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중공부(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은 블록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2)와 좌측벽(4a) 사이에 제 1 통공(3a)을 구비하고, 또한 중공부(2)와 우측벽(4b) 사이에 제 2 통공(3b)을 구비하며, 이를 위해 블록몸체의 중공부(2)와 제 1 통공(3a) 사이에는 제 1 보강격벽(6a)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2)와 제 2 통공(3b) 사이에는 제 2 보강격벽(6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보강격벽(6a, 6b)은 토압에 대한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의 측면 강도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좌측벽(4a)은 요입 형상의 우측벽(4b)과 서로 대응하는 구조의 돌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즉,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좌측벽(4a)의 돌출 형상은 조립 시공시에 측면 인접하는 다른 근입식 중공블록의 우측벽(4b)의 요입 형상과 끼움 결합된다(도 2b 참조).
또한,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 중의 후측벽(4c)과 제 1 및 제 2 보강격벽(6a, 6b)이 교차되는 부분의 상단부에는 직사각형의 홈부(5a-1, 5a-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홈부(5a-1, 5a-2) 내에는 보강지지벨트(V)를 연결시키는 수단인 각각의 고리부(5b-1, 5b-2)가 설치되어 있다. 즉, 후측벽(4c)에 형성된 홈부(5a-1, 5a-2) 및 고리부(5b-1, 5b-2)는 근입식 중공블록(1)의 보강지지수단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을 이용하여 조립 축조되는 옹벽은 홈부(5a-1, 5a-2) 및 고리부(5b-1, 5b-2)로 구성되는 보강지지수단에 의해 옹벽의 후부측에서 블록(1-1)을 인장(引張)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리부(5b-1, 5b-2)는 각각의 보강격벽(6a, 6b)에 의해 후측벽(4c)과 전면벽(4d)의 연결된 부위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블록(1-1) 전체에 대한 보강지지벨트(V)의 지지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근입식 중공블록(1-1)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보강격벽(6a, 6b)의 상부와 하부에는 조립 시공시에 상면 또는 하면에 인접하는 별도의 블록과 핀(P)을 통하여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핀공(6a-1, 6b-1)이 형성되어 있다(도 1c 참조). 구체적으로,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은, 조립 시공시에 서로 인접하는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이 핀(P)과 핀공(6a, 6b)을 통하여 서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은, 옹벽을 수직으로 축조할 경우 콘크리트 베이스(cb)에 일정간격으로 입설된 철강빔 또는 철근빔 등의 지주에 블록(1-1) 중의 중공부(2)가 삽입되게 축조하여 지주에 의해 옹벽의 기본적인 지지력이 유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옹벽 축조의 과정에서,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 중의 중공부(2)에는, 흙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충진물(m)이 충진되며, 그 옹벽의 최상단부에는 중공부(2)에 나무 등이 식재된다.
또한, 옹벽 축조의 과정에서, 서로 측면으로 인접하는 블록들 간에는 한쪽 블록의 좌측벽(4a)의 돌출 형상이 다른쪽 블록의 우측벽(4b)의 요입 형상과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조립된다.
또한, 옹벽 축조의 과정에서, 서로 상하로 인접하는 블록몸체들 간에는 상하의 각 블록들의 보강격벽(6a, 6b)에 구비된 핀공(6a, 6b)에 핀(P)을 삽입하는 방법을 통해 상하 각 블록들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축조된다. 특히, 도 1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 블록들의 좌측벽(4a) 및 우측벽(4b)은 전면벽(4d) 이나 후측벽(4c)에 비해 아래쪽으로 밀린 형태를 가지므로(즉, 좌측벽(4a) 및 우측벽(4b)의 상부면은 전면벽(4d) 이나 후측벽(4c)의 상부면보다 소정 깊이 내려가서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또한 좌측벽(4a) 및 우측벽(4b)의 하부면은 전면벽(4d) 이나 후측벽(4c)의 하부면보다 소정 깊이 내려가서 돌출된 형상을 이룸), 상부 블록(1-1) 중의 좌측벽(4a) 및 우측벽(4b)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된 형상이 하부 블록(1-1) 중의 좌측벽(4a) 및 우측벽(4b)의 상단부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에 끼움 결합되는 방법으로 수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옹벽을 구성하는 각 블록(1-1)의 중공부(2)가 수직의 상하로 연통되므로, 최상단부 블록의 중공부(2)에 식재한 식물이 지하 수분의 이동공급에 따라 양호하게 생육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적인 옹벽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
도 1d는 앞서 도 1a 내지 도 1c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a)은 블록몸체의 전면벽(4d)에 폭포수 형성용 통공(4d-1)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1a에 나타낸 근입식 중공블록(1-1)과 동일하다.
도 1d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a)은 도 1a에 나타낸 중공블록들(1-1)을 이용하여 옹벽을 조립 축조한 이후에, 그 옹벽 구조물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
도 1e는 앞서 도 1a 내지 도 1c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e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b)은 블록몸체의 전면벽(4d)에 LED 조명용 통공(4d-2)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1a에 나타낸 근입식 중공블록(1-1)과 동일하다.
도 1e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b)은 도 1a에 나타낸 중공블록들(1-1)을 이용하여 옹벽을 조립 축조한 이후에, 그 옹벽 구조물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LED 조명용 통공(4d-2)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LED 조명 램프(4d-2a)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복수개의 LED 조명 램프(4d-2a)는 별도의 LED 구동장치(예를 들어, LED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LED 구동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 및 다양한 패턴의 LED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도 1e에서는 LED 조명용 통공(4d-2)이 전면벽()의 전(前)면에 설치되는 예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LED 조명용 통공(4d-2)이 전면벽()의 상(上)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전면벽()의 전면과 상면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근입식 중공블록들(1-1, 1-1a, 1-1b)을 이용한 수직 옹벽]
이하, 도 2a 내지 도 2e에 나타낸 예시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들(1-1, 1-1a, 1-1b)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도 1a에 나타낸 블록들(1-1)을 이용하여 옹벽을 조립 축조한 이후에, 그 옹벽 축조물의 최상단에 도 1d에 나타낸 블록(1-1a)을 설치할 경우에는, 블록(1-1a)의 중앙부(2)를 통해 나무 등을 식재할 수 있고, 블록(1-1a)의 폭포수 형성용 통공(4d-1)을 통해 폭포수가 옹벽의 하부로 떨어지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도 1a에 나타낸 블록들(1-1)을 2개 이상 측면 인접시키는 형태로 조립하고(예를 들면, 한쪽 블록(1-1)의 좌측벽(4a)의 돌출 형상이 다른쪽 블록(1-1)의 우측벽(4b)의 요입 형상과 끼움 결합됨), 다음으로, 그 측면 인접된 2개 이상의 블록들(1-1)(도 2b에서는 측면 인접된 2개의 블록들(1-1))의 상부 방향으로 복수의 블록들(1-1)을 조립 축조하여, 그 축조물의 최상단에 도 1d에 나타낸 블록들(1-1a)을 설치할 경우에는, 최상단의 블록들(1-1a)의 중앙부들(2)을 통해 더 넓은 폭으로 나무 등을 식재할 수 있고, 2 개 이상의 폭포수가 옹벽의 하부로 떨어지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 및 도 2d를 참조하면, 도 1a에 나타낸 블록들(1-1)을 2개 이상 측면 인접시키는 형태로 조립하고(예를 들면, 한쪽 블록(1-1)의 좌측벽(4a)의 돌출 형상이 다른쪽 블록(1-1)의 우측벽(4b)의 요입 형상과 끼움 결합됨), 다음으로, 그 측면 인접된 2개 이상의 블록들(1-1)(도 2b에서는 측면 인접된 2개의 블록들(1-1))의 상부 방향으로 복수의 블록들(1-1)을 조립 축조하여, 그 축조물의 최상단에 도 1d에 나타낸 블록(1-1a)과 도 1e에 나타낸 블록(1-1b)을 조합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최상단의 블록들(1-1a)의 중앙부들(2)을 통해 더 넓은 폭으로 나무 등을 식재할 수 있고, 최상단의 일부(축조물의 최상단에 블록(1-1a)이 설치된 측)에서는 폭포수가 떨어지고 다른 일부(축조물의 최상단에 블록(1-1b)이 설치된 측)에서는 LED 광(LED 조명)이 조사되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d에서는 옹벽 축조물의 최상단에 도 1d에 나타낸 블록(1-1a)과 도 1e에 나타낸 블록(1-1b)을 조합하여 설치하는 예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다른 작용 형태로서, 옹벽 축조물의 최상단이 도 1e에 나타낸 블록(1-1b)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의 도 1a 내지 도 2d를 통해 설명한 옹벽 축조물들은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옹벽 축조물들을 계단식으로 축조한 옹벽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
도 3a는 앞서 도 1a 내지 도 1c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c)은 블록몸체의 전면벽(4d)과 후측벽(4c)에는 지지로드(D)를 삽통(揷通)할 수 있는 U자형의 요홈(4d-1, 4c-1)이 형성되어 있고, 요홈(4d-1)과 대향되는 전면벽(4d)의 부분(4d-2)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1a에 나타낸 근입식 중공블록(1-1)과 동일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c)에는 지지로드(D)의 머리부(D-1)를 고정하는 받침 패널(4d-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받침 패널(4d-3)에 대응하는 부피의 공간 또는 이보다 약간 더 큰 부피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면벽(4d)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c)은 옹벽 구조물을 앵커볼트 또는 네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c)은 옹벽의 축조시에 지지로드(D)의 머리부(D-1)를 전면벽(4d)에 구비된 요홈(4d-1)에 걸고(또는 지지로드(D)를 받침 패널(4d-3)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지지로드(D)의 머리부(D-1)를 전면벽(4d)에 구비된 요홈(4d-1)에 걸고), 지지로드(D)는 중공부(2)를 관통한 이후에 후측벽(4c)에 구비된 요홈(4c-1)을 통하여 옹벽의 후방으로 인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도시되지 않은 앵커볼트 또는 네일에 연결된다. 특히,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c)은 지지로드(D)를 체결하는 작업중에는 전면벽(4d)의 부분(4d-2)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블록체의 전방에서 원활하게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지로드(D)의 체결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전면벽(4d)의 부분(4d-2)을 접합제로 접합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밀폐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제 4 변형예)
도 3b는 앞서 도 1a 내지 도 1c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d)은 블록몸체의 후측벽(4c)에 식생용 개방부분(4c-2)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1a에 나타낸 근입식 중공블록(1-1)과 동일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d)은 옹벽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그 옹벽 구조물이 최적의 상태에서 식재 및 식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조물이다. 구체적으로, 블록몸체의 후측벽(4c)에 형성된 식생용 개방부분(4c-2)은 옹벽 구조물의 배면에 위치되는 토사 지반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공부(2)에 식재된 화초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중공부(2)에 식재된 화초 등의 뿌리가 식생용 개방부분(4c-2)을 통하여 토사 지반으로 뻗어나갈 수 있으므로, 가뭄 등의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화초 등이 고사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
(제 1 실시예의 제 5 변형예)
도 3c는 앞서 도 1a 내지 도 1c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e)은 블록몸체의 전면벽(4d)에 식생용 개방부분(4d-4)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1a에 나타낸 근입식 중공블록(1-1)과 동일하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e)은 옹벽 구조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 4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d)의 상부에 조립되어 근입식 중공블록(1-1d)의 중공부(2)에 식재된 화초 등이 옹벽 외부로 뻗어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또 다른 구조물이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e)의 전면벽(4d)에 형성된 식생용 개방부분(4d-4)은, 근입식 중공블록(1-1d)의 중공부(2)에 식재된 화초 등에 대한 생장 통로, 공기 통로 및 햇볕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화초 등은 식생용 개방부분(4d-4)을 통하여 옹벽 구조물의 외부로 더 생장할 수 있게 된다.
[ 근입식 중공블록들(1-1, 1-1c, 1-1d, 1-1e)을 이용한 수직 옹벽]
이하, 도 4a 내지 도 4e에 나타낸 예시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들(1-1, 1-1c, 1-1d, 1-1e)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1a에 나타낸 블록(1-1)을 콘크리트 베이스(CB)에 설치한 이후에 제 3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c), 제 4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d), 및 제 5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e)을 순차적으로 축조한 경우에는, 제 3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c)에 고정되는 지지로드(D)를 통하여 옹벽 구조물을 옹벽 후면의 앵커볼트 또는 네일에 고정할 수 있고, 제 4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d)에 형성된 식생용 개방부분(4c-2)을 통하여 근입식 중공블록(1-1d)의 중공부(2)에 식재된 화초 등의 뿌리에 지속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제 5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e)에 형성된 식생용 개방부분(4d-4)을 통하여 근입식 중공블록(1-1d)의 중공부(2)에 식재된 화초 등이 옹벽 외부로 생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도 1a에 나타낸 블록(1-1)을 콘크리트 베이스(CB)에 설치한 이후에 제 3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c), 제 4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d), 및 제 2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b)을 순차적으로 축조한 후에, 다시 그것의 상부에 제 3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c), 제 4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d), 및 제 5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e)을 순차적으로 축조함으로써, 제 2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b)에 형성된 LED 조명 램프(4d-2a)를 통하여 조명용 또는 장식용 LED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제 4 변형예 및 제 5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d, 1-1e)의 식생용 개방부분(4c-2, 4d-4)을 통하여 화초 등을 최적의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식생할 수 있다.
또한, 옹벽의 최상단부에는 제 1 변형예의 근입식 중공블록(1-1a)을 배치하여 폭포 효과를 연출할 수도 있고, 옹벽 구조물의 측면에 또 다른 옹벽 구조물을 더 조립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옹벽 구조물들은 계단식으로 축조한 옹벽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5a는 보강벨트(V)와 지지로드(D)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고정하는 실시예(예를 들어, 성토지에 적용)를 보여주고 있고, 도 5b는 지지로드(D)만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고정하는 실시예(예를 들어, 절개지에 적용)를 보여주고 있다.
(제 2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a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구성요소가 모호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은 기본적으로 블록의 외면에 스톤코트 가공 또는 스플릿 가공 또는 몰드 가공에 의해 천연 암석의 질감을 표현함으로써 외려한 미관을 나타내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에 적용되는 스톤코트 가공 방법 또는 스플릿 가공 또는 몰드 가공 방법은, 앞서 도 1a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에 적용되는 기술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은, 도 1a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의 전면벽(4d)의 전방쪽에 전면보강벽(4d-1)이 더 구비되어 있고 전면벽(4d)과 전면보강벽(4d-1)의 사이에 제 2 중공부(2a)가 더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1a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1)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전면보강벽(4d-1)은 절각면(折角面)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전면보강벽(4d-1)의 중앙전면은 전면벽(4d)과 평행하게 제 2 중공부(2a)의 전후 폭만큼 전방으로 돌출한 평면 형상이고, 전면보강벽(4d-1)의 중앙전면을 사이에 둔 각각의 좌우 전면들은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좌측벽(4a) 및 우측벽(4b)에 연접되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에는, 수직 옹벽의 축조시에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정열 축조, 사열 축조 엇쌓기에 따라 옹벽의 전면(前面)이 돌출면과 요입면으로 교호로 연결되도록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은 전면보강벽(4d-1)의 존재로 인해 외부충격에 대해 보다 견고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충격을 받은 부분이 파손되어도 그 후방의 전면벽(4d)이 중공부(2)를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중공부(2)에 충진된 충진물(m)이 외부로 쏟아지는 일이 없고 옹벽이 약화될 우려도 없으며 옹벽의 최상단부에 심은 나무 등의 식재가 고사할 우려도 없다.
또한, 중공블록의 특징인 중공부(2)가 수직의 상하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중공부(2)에 식재한 식물이 지하 수분의 이동공급에 따라 양호하게 생육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적인 옹벽을 구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a)은 도 6a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전면보강벽(4d-1)이 만곡면의 벽(4d-2)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3a에 나타낸 근입식 중공블록(1-2)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근입식 중공블록(1-2a)의 전면보강벽(4d-2)은 그것의 중앙 전면이 전면벽(4d)으로부터 제 2 중공부(2a)의 전후 폭만큼 앞쪽으로 융출되어 있고 중앙 융출부분에서 좌우 대칭으로 좌측벽(4a)과 우측벽(4b)에 연접되는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할 경우에는, 수직 옹벽의 축조시에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정열 축조, 사열 축조 엇쌓기에 따라 옹벽의 전면(前面)이 만곡된 돌출면과 요입면으로 교호로 연결되어 파형으로 축조할 수 있고 또한 원형 기둥이 연결된 형태로 축조가 가능하다.
또한, 전면보강벽(4d-2)의 존재로 인해 옹벽 전면부의 물리적인 견고성과 안정성이 개선된다는 점은 도 6a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제 2 실시예의 제 2 변형예)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b)은 도 6a에 나타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의 전면보강벽(4d-1)이 평면 형상의 벽(4d-3)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6a에 나타낸 근입식 중공블록(1-2)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근입식 중공블록(1-2b)의 전면보강벽(4d-3)은 전면벽(4d)과 평행한 일자 평면으로 좌측벽(4a)과 우측벽(4b)에 이르는 전후 폭이 일정한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할 경우에는, 수직 옹벽의 축조시에 옹벽의 전면이 평면 형태의 인조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전면보강벽(4d-3)의 존재로 인해 옹벽 전면부의 물리적인 견고성과 안정성이 개선된다는 점은 도 6a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각각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암 형태의 수직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은, (a)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b)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된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하나 이상 축조하는 단계와; 및 (c)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폭포수 형성용 통공(4d-1)이 더 형성되어 있는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을, 상기 (b) 단계의 과정이 완료된 축조물의 최상단부에 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기초 콘크리트(CB)를 타설하는 상기 (a) 단계의 과정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제조된 된 반죽의 콘크리트에 분산성이 우수한 고성능 감수제 또는 유동화제를 나중에 첨가하는 방법 등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기초 콘크리트(CB)부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성능 감수제 또는 유동화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콘크리트 시공의 용이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된 제 1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하나 이상 축조하는 상기 (b) 단계의 과정은 예를 들어, 기초 콘크리트(CB)의 소정 부위에 철강빔 지주 또는 철근빔 지주(도 7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철근빔 지주로 나타냄)를 수직 방향으로 매설하고, 그 매설된 철강빔 지주 또는 철근빔 지주에, 앞서 설명한 도 1a의 중공블록(1-1) 또는 도 1d의 중공블록(1-1a) 또는 도 1e의 중공블록(1-1b) 또는 도 3a의 중공블록(1-1c) 또는 도 3b의 중공블록(1-1d) 또는 도 3c의 중공블록(1-1e) 또는 도 6a의 중공블록(1-2) 또는 도 6b의 중공블록(1-2a) 또는 도 6c의 중공블록(1-2b) 중의 어느 하나의 블록(도 7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a의 중공블록(1-1)으로 나타냄)의 중공부(2)를 관통하는 방법으로 그 관통된 블록의 몸체가 지지되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하나 이상의 횟수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철강빔 지주 또는 철근빔 지주에, 소정의 중공블록(도 7b에서는, 중공블록(1-1))의 중공부(2)를 관통시킨 이후에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강빔 지주 또는 철근빔 지주와 중공부(2) 사이의 공간에 예를 들어, 흙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충전물(m)을 채우고 소정 시간 동안 다지는(또는 양생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b) 단계를 통하여 기초 콘크리트(CB) 상에 하나 이상의 제 1 유형의 중공블록(예컨대, 중공블록(1-1))이 축조된 이후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유형의 중공블록 중의 어느 중공블록에 보강지지벨트(V) 또는 지지로드(D)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후방의 지지부(예를 들면, 지지석 또는 네일)에 상기 보강지지벨트(V) 또는 지지로드(D)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e를 참조하면, 몸체의 내부에 중공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폭포수 형성용 통공(4d-1)이 더 형성되어 있는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을, 상기 (b) 단계의 과정이 완료된 축조물의 최상단부에 축조하는 상기 (c) 단계의 과정은 예를 들어, 상기 (b) 단계의 과정이 완료된 축조물(도 7e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a의 중공블록(1-1)이 5 개 축조된 것으로 나타냄)의 최상단에, 앞서 설명한 도 1d의 중공블록(1-1a)을 더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c) 단계의 과정에 있어서, 몸체의 전면부에 폭포수 형성용 통공(4d-1)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예를 들면, 도 1d의 중공블록(1-1a)) 대신에, 몸체의 전면부에 LED 조명용 통공(4d-2)이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제 2 유형의 근입식 중공블록(예를 들면, 도 1e의 중공블록(1-1b))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1-1a, 1-1b, 1-1c, 1-1d, 1-1e, 1-2, 1-2a, 1-2b: 인조암 중공블록
2: 중공부 2a: 제 2 중공부
3a, 3b: 통공 4a: 좌측벽
4b: 우측벽 4c: 후측벽
4d: 전면벽 4d-1: 폭포수 형성용 통공
4d-2: LED 조명용 통공 4d-3: 받침 패널
4d-4: 식생용 개방부분 5b-1, 5b-2: 고리
6a, 6b: 보강격벽 6a-1, 6b-1: 핀공

Claims (10)

  1. 인조암 형태의 외면을 갖는 근입식 중공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인조암 형상의 오목홈(110)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몰드(10)를 마련하는 단계;
    (b)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진 외면을 가지며 상기 외면에 인조암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진 외면에 일정량의 인조암 재료(1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몰드(10)가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진 외면에 압착되어 상기 인조암 재료(120)가 상기 오목홈(110)에 충진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몰드(10)를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진 외면쪽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진 외면에 상기 몰드(10)를 압착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오목홈(110)에 충진된 인조암 재료(120)를 양생하는 단계; 및
    (e) 상기 몰드(10)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진 외면에 형성된 인조암(120a)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암 형태의 외면을 갖는 근입식 중공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상기 근입식 중공블록의 상기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진 외면에 형성된 인조암(120a)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조암 형태의 외면을 갖는 근입식 중공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01128A 2013-01-04 2013-01-04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 KR10141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128A KR101419487B1 (ko) 2013-01-04 2013-01-04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128A KR101419487B1 (ko) 2013-01-04 2013-01-04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487B1 true KR101419487B1 (ko) 2014-07-14

Family

ID=5174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128A KR101419487B1 (ko) 2013-01-04 2013-01-04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310B1 (ko) * 2021-06-10 2022-02-16 김찬수 인조암 패널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582B1 (en) * 1994-10-28 1995-02-27 Park Chang U Manufacturing method of block for decoration
KR200420332Y1 (ko) * 2006-03-07 2006-06-30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낙석방지망 설치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0769039B1 (ko) * 2006-10-26 2007-10-22 진흥콘크리트(주) 조명기구가 구비된 식생용 옹벽블록
KR101127916B1 (ko) * 2010-06-10 2012-03-26 주식회사 환경그룹 수직 옹벽축조용 중공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582B1 (en) * 1994-10-28 1995-02-27 Park Chang U Manufacturing method of block for decoration
KR200420332Y1 (ko) * 2006-03-07 2006-06-30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낙석방지망 설치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0769039B1 (ko) * 2006-10-26 2007-10-22 진흥콘크리트(주) 조명기구가 구비된 식생용 옹벽블록
KR101127916B1 (ko) * 2010-06-10 2012-03-26 주식회사 환경그룹 수직 옹벽축조용 중공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310B1 (ko) * 2021-06-10 2022-02-16 김찬수 인조암 패널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407B1 (ko)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CN204875847U (zh) 一种预制装配式挡土墙
KR101419487B1 (ko) 인조암 형태의 중공블록 제조 방법
KR100809626B1 (ko) 조경 화단용 울타리
CN215269415U (zh) 一种园林绿化用挖坑装置
KR20120126288A (ko) 자연을 도입한 열주형 조형석산 및 이의 조성방법
KR101078989B1 (ko) 발파 사면의 인공 녹화 암벽 및 그 시공방법
CN103883019B (zh) 一种京砖装饰墙的施工方法
CN201450935U (zh) 抽屉式生态组合砌块及其垒砌的绿化体
KR101363557B1 (ko) 식생 옹벽 축조물
KR200419413Y1 (ko)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20180134227A (ko) 파이프 기반 인공 조경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KR101141197B1 (ko) 기존옹벽에 시공되는 익스펜디드메탈을 이용한 입면녹화 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279945B1 (ko) 옹벽조경물의 시공방법
KR100654629B1 (ko)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CN104871865B (zh) 能够快速拆装的绿化墙系统
KR101172007B1 (ko) 인조석의 제조방법
KR200368973Y1 (ko) 인공바위
KR101044450B1 (ko) 조경 기능이 부가된 조형물
KR101279958B1 (ko)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JP6748585B2 (ja) 自然石風な造形体の製造方法
CN209824568U (zh) 一种景观柱
WO2018135935A1 (es) Sistema y armazón para la construcción de escalón y escale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