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069B1 -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 Google Patents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069B1
KR102273069B1 KR1020190070705A KR20190070705A KR102273069B1 KR 102273069 B1 KR102273069 B1 KR 102273069B1 KR 1020190070705 A KR1020190070705 A KR 1020190070705A KR 20190070705 A KR20190070705 A KR 20190070705A KR 102273069 B1 KR102273069 B1 KR 102273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arrel
perforated
nodes
perforat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999A (ko
Inventor
한연덕
Original Assignee
한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연덕 filed Critical 한연덕
Priority to KR102019007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06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식재시 뿌리 주위에 설치되는 플라스틱 유공관을 천연 소재인 대나무로 대체함으로써 환경보호와 함께 통기성 및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은 마디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후 상기 마디들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한 대통과, 대통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타공홀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perforated bamboo pipe for trees planting and planting method of tre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식재시 뿌리 주위에 설치되는 플라스틱 유공관을 천연 소재인 대나무로 대체함으로써 환경보호와 함께 통기성 및 관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대부분이 콘크리트, 아스팔트, 보도블록, 아스콘 등으로 포장되어 있고, 포장도로 및 보도의 주변에는 미관 및 대기 환경을 좋게 하기 위해 가로수 또는 조경수 등을 식재하고 있으며, 아파트 단지, 공원 등에도 조경수 등을 식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아스팔트, 보도블록이 포장된 도로 및 보도, 아파트 단지, 공원 등에 옮겨 심은 수목들은 뿌리 활착이 되지 않아 많은 수분과 공기를 필요로 하며, 뿌리에 수분과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들판이나 산에 식재된 수목에 비해 상당히 적은 관계로 뿌리에 공급되는 수분 및 공기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러한 수목들의 뿌리 생장과 발근에 좋은 영향을 주어 수목이 건강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수분과 공기를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콘크리트, 아스팔트, 보도블록으로 포장된 도로 및 보도에 식재된 수목들은 주변환경의 여건에 의하여 수분과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토양을 확보할 수 없어, 뿌리의 활착율이 낮고 수목의 생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식재된지 오래된 나무의 경우에도 폭우에 의하여 표면이 견밀해지거나, 보행자의 답압에 의하여 표면이 단단하게 굳어질 경우 토양의 뿌리에 수분 및 공기를 원활히 공급받지 못해 수목의 생장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기 및 관수를 위해 배수공 또는 유공관이 설치된다. 답압 등으로 인하여 물이 땅속 깊이 침투하지 못하거나 통기성이 불량할 때 주로 설치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6373호, 등록특허 제10-0469079호와 같이 수목의 뿌리 주위에 다수의 유공관을 설치하여 뿌리 주위로 수분과 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유공관은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서 토양의 오염우려가 있고 땅속에서 썩지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식재된지 오래된 수목의 경우 뿌리 주변을 굴착하여야 하는 시공상 과정에서 뿌리를 손상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6373호: 식물의 수분 공급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9079호: 배수 및 관수기둥을 설치하는 수목 식재공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천연소재인 대나무를 이용한 유공관을 수목의 뿌리 주위에 설치함으로써 시간이 지나면서 땅속에서 썩어 자연적으로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이며, 대나무 소재 자체가 미세한 기공들을 가지고 있어서 통기성 및 관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을 제공하고, 식재된지 오래된 수목의 경우 뿌리 주변을 굴착하지 않고 대나무 유공관을 설치하여 뿌리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은 마디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후 상기 마디들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한 대통과; 상기 대통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타공홀들;을 구비한다.
상기 타공홀들은 수목의 뿌리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상기 마디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디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마디들 사이에 양분이 저장된 양분실이 형성된다.
길이가 서로 다른 대롱들을 상기 대통의 내부에 삽입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유로를 상기 대통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하며 상기 대롱들의 하단 위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나무 유공관을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은 수목을 식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일정한 깊이로 구덩이를 파는 굴토단계와; 상기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분을 안착시키는 뿌리안착단계와; 상기 구덩이의 바닥에 대나무 유공관을 박아서 고정시키는 유공관고정단계와; 상기 구덩이에 흙을 채워 상기 뿌리분을 매립하되 상기 대나무 유공관의 상부는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매립하는 매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유공관은 마디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후 상기 마디들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한 대통과, 대통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타공홀들을 구비한다.
상기 유공관고정단계는 상기 대나무 유공관이 상기 뿌리분을 비스듬하게 관통하도록 고정시켜 상기 대나무 유공관에 의해 상기 뿌리분이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플라스틱 유공관을 대체하여 천연소재인 대나무를 이용함으로써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 소재의 유공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땅속에서 썩어 자연적으로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대나무 소재 자체는 미세한 기공들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성 및 관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대나무 유공관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수목의 뿌리와 대나무 유공관을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대나무 유공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대나무 유공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대나무 유공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적용된 대나무 유공관을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그림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대나무 유공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대나무 유공관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대나무 유공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대나무 유공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대나무 유공관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수목의 뿌리와 대나무 유공관을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가로수 생육환경개선의 일환으로 이미 식재되어 있는 수목의 주위에 대나무 유공관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15는 도 14에 적용된 대나무 유공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10)은 수목(1)의 주위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대나무 유공관(10)은 흙속에 매립되어 상부가 지상으로 노출된다. 수목(1)은 지지대(9)로 지지되어 있다.
도시된 본 발명의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10)은 일 예로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후 마디들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한 대통(11)과, 대통(11)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타공홀들(19)을 구비한다.
대통(11)을 만들기 위해서 먼저 긴 대나무 줄기를 준비한다. 대나무 줄기는 다수의 마디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대나무(Bamboo)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상록 교목의 총칭으로서, 온대 및 아열대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화본과 중 가장 키가 큰 식물로 높이 30m, 지름 30cm 내외에 달하며 줄기가 꼿꼿하고 둥글며 속이 비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대나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왕대속(Phyllostachys)을 이용할 수 있다. 왕대속의 대나무로 왕대(P.bambusoides), 오죽(P.nigra), 솜대(P.nigra var.henonis), 반죽(P.nigra for.punctata), 관암죽(P.comprossa) 등을 포함한다.
준비된 대나무 줄기는 일정한 길이로 잘라 대통(11)을 만든다. 대통(11)의 내경은 2 내지 20cm이고, 길이는 30 내지 300cm일 수 있다. 대통(11)에는 다수의 마디가 포함된다. 잘라진 대통(11)의 길이에 따라 대통에 포함된 마디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4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대통(11)을 나타내고 있다. 대통(11)의 마디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제거된 마디의 위치는 대통(11)의 겉에 튀어나온 돌기부위(1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통(11)의 내부를 구획하는 마디들은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한다. 가령, 마디들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제거하거나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대통(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마디를 모두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대통(11)의 내부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결되는 단일의 통로가 형성된다.
대통(11) 내부의 마디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공구를 이용하거나 자동화된 기계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내부의 마디가 제거된 대통(11)이 준비되면, 다음으로 대통(11)의 측면에 다수의 타공홀들(19)을 형성한다. 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대통(11)의 측면을 관통시켜 타공홀(19)을 형성할 수 있다.
타공홀들(19)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타공홀들(19)은 대통(11)의 측면 전체에 골고루 형성되거나 대통(11)의 측면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타공홀(19)의 크기와 간격은 수목의 종류 및 크기, 토양의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대통(11)의 강도 저하를 막기 위해 타공홀(19)은 수목(1)의 뿌리(3)를 향하는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도 5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대통(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목의 뿌리를 향하는 대통(11)의 우측면 부위에만 타공홀들(19)이 형성되고, 대통(11)의 좌측면 부위에는 타공홀들(19)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뿌리 방향으로 치우쳐 관통홀들(1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통(11)의 강도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공기와 수분, 양분의 공급을 뿌리로 집중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대통(11)이 흙속으로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대통(11)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대통(11)의 하부를 뾰족하게 형성할 수 있다. 대통(11)의 뾰족한 하부에는 타공홀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4개의 마디 중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마디의 아래로는 타공홀을 형성하지 않아 흙에 박히는 부위가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통(11)의 하부를 뾰족하게 하는 작업은 타공홀(19)을 형성하기 전 또는 타공홀을 형성한 후 수행할 수 있다. 대통(11)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절단할 경우 비스듬하게 절단된 부위(13)는 수목의 뿌리(3)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대나무 유공관을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대나무 유공관(10)을 준비한다. 대나무 유공관(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나무 줄기를 일정길이로 잘라 얻는 대통(11)의 마디를 제거한 다음 대통(110의 측면에 타공홀들(19)을 형성하여 준비한다.
다음으로, 수목(1)을 식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일정한 깊이로 구덩이(7)를 판다. 수목(1)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적절한 깊이와 크기로 구덩이(7)를 판다.
다음으로, 식재하고자 하는 수목(1)의 뿌리분(5)을 구덩이(5)에 넣어 도 6과 같이 구덩이(7) 바닥에 안착시킨다. 통상적으로 가로용 또는 조경용 수목은 뿌리(3)를 움켜쥐고 있는 흙과 함께 이식된다. 뿌리분(5)은 뿌리(3)가 움켜쥐고 있는 흙 덩어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뿌리분(5)은 거적 또는 망으로 감싸거나 로프로 감싸져 식재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반된다.
다음으로, 수목의 뿌리분(5)이 구덩이(7) 내에서 적절한 위치와 자세로 고정되면 구덩이(7)의 바닥에 대나무 유공관(10)을 박아서 뿌리분(5) 주위에 대나무 유공관(10)을 고정시킨다. 이때 타공홀들(19)과 대통의 하부의 비스듬하게 절단된 부위(13)가 뿌리분(5)을 향하도록 대나무 유공관(10)을 고정시킨다.
대나무 유공관(10)은 뿌리분(5) 주위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설치할 수 있다. 가령, 대나무 유공관(10)을 뿌리분(5)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거나 전후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 유공관(10)을 전후 좌우측 모두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대나무 유공관(10)은 뿌리분(5) 중심으로부터 약 50cm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구덩이(7)에 흙을 채워 뿌리분(5)을 매립한다. 이때 대나무 유공관(10)의 상부는 도 2와 같이 지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매립한다.
매립 후 도 3과 같이 대나무 유공관(10)의 비어 있는 내부에 자갈이나 파쇄석을 투입하여 대나무 유공관(10)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또한, 자갈을 채워넣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뚜껑을 준비하여 지상으로 노출된 대나무 유공관의 상부를 덮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상으로 노출된 대나무 유공관(10)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가뿌리 주변으로 바로 공급되므로 통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갈수기에는 대나무 유공관(10)에 물을 주입하여 물을 바로 뿌리로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분을 대나무 유공관(10)에 공급하여 뿌리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재 후 뿌리의 활착율을 높일 수 있고 수목의 양호한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플라스틱 유공관을 대체하여 천연소재인 대나무를 이용함으로써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 소재의 유공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땅속에서 썩어 자연적으로 분해되므로 친환경적이다. 또한, 대나무 소재 자체는 미세한 기공들이 무수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성 및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관고정단계는 대나무 유공관(10)이 뿌리분(5)을 비스듬하게 관통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대나무 유공관(10)을 설치하면 대나무 유공관(10)에 의해 뿌리분(5)이 지지된다. 이 경우 대나무 유공관(10)은 수목(1)의 지지대 역할을 함께 한다. 따라서 수목의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를 지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대나무 유공관의 다른 예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대통의 내부에 형성된 마디들 중 일부만 제거된다. 그리고 남아있는 마디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통홀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4개의 마디들 중 3개의 마디는 전부 제거하고, 나머지 하나인 최상부에 위치한 마디(14)는 제거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거하지 않은 마디(14)에는 연통홀(14a)을 형성하여 대통(11)의 내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연통홀(14a)의 크기에 따라 대통(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공기, 양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하나의 마디는 제거되고, 나머지 3개의 마디(15,16,17)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3개의 마디에 각각 연통홀(15a,16a,17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최상부의 마디는 제거되고, 그 아래의 나머지 마디는 그대로 남아 있다. 남아있는 각 마디마다 하나 이상의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디의 위치마다 연통홀의 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에 위치하는 마디에 형성된 연통홀의 수가 상부에 위치하는 마디에 형성된 연통홀의 수보다 더 적게 형성된다. 가령, 위에서부터 두번째에 위치하는 마디(15)에는 3개의 연통홀(15a)이 형성되고, 세번째 마디(16)에는 2개의 연통홀(16a)이 형성되고, 네번째 마디(17)에는 1개의 연통홀(17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마디마다 연통홀의 수를 변화시켜 2개의 마디들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나 물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하부로 갈수록 물 또는 공기의 흐름이 느려지므로 뿌리로 보내는 수분이나 공기의 양을 더 늘릴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마디에 의해 구획된 어느 하나의 공간에는 양분이 저장된 양분실(2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적어도 2개의 마디(16)(17)는 제거되지 않고 대통(11)에 남아있다. 제거되지 않은 마디들(16)(17) 사이에 양분실(20)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양분실(20)은 대통(11)에 남아있는 세번째 마디(16)와 네번째 마디(17) 사이에 형성된다. 양분실(20)은 양분의 종류와 수목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세번째 마디(16)는 양분실(20)의 상부를 막고, 네번째 마디(17)는 양분실(20)의 하부를 막는다. 그리고 세번째 마디(16)와 네번째 마디(17)에는 각각 연통홀(16a)(17a)이 형성된다. 각 마디에 연통홀이 2개씩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달리 하나 또는 셋 이상이 각 마디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양분으로 고형 비료가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통(11)의 측면에 주입구(25)를 뚫은 다음 주입구(25)를 통해 양분실로 양분(21)을 주입한 후 주입구(25)를 송진, 밀랍과 같은 천연수지(27)로 밀폐시킨다. 또는 황토반죽으로 주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 뿌리 관수를 위해 대통(11)의 상부를 통해 물이 주입되면 일부의 물은 양분실(20)로 유입되어 타공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양분실에 저장된 양분 중 일부는 물에 녹아 서서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대나무 유공관의 모습을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적용된 대통(11)은 도 4에 적용된 대통과 동일하다. 즉, 내부의 마디가 모두 제거된 대통(11)이다.
대통(11)의 내부에 다수의 대롱들(30,31,32)이 설치된다. 대롱들(30,31,32)은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대롱들(30,31,32)은 대통(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각 대롱(30,31,32)은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단일의 유로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대롱이 대통에 삽입될 경우 대통의 내부에 다수의 유로들이 형성된다.
대롱(30,31,32)은 천연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대롱(30,31,32)으로 가는 대나무를 이용할 수 있다. 가는 대나무의 줄기를 자른 후 내부의 마디를 모두 제거하여 대롱(30,31,32)을 만들 수 있다.
각 대롱(30,31,32)의 직경은 대통(11)의 직경보다 작다. 대롱(30,31,32)의 직경에 따라 대롱은 대통(11) 내부에 2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대롱(30,31,32)의 길이는 모두 다르게 형성된다. 대통(11)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대롱(30,31,32)의 상단 위치는 모두 동일하나 대롱(30,31,32)의 하단 위치는 서로 다르다. 즉, 대롱들(30,31,32)의 하단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다.
각 대롱(30,31,32)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어느 하나의 대롱을 이용하여 물이나 양분의 공급을 경우, 물이나 양분이 배출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가장 짧은 대롱(32)을 통해 물을 공급하면 토양의 상부층부터 물이 스며들고, 가장 긴 대롱(30)을 통해 물을 공급하면 토양의 하부층부터 물이 스며든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기존에 이미 식재되어 있는 수목의 주위에 대나무 유공관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목의 식재시 대나무 유공관을 설치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존에 이미 식재되어 있는 수목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가령, 가로수 생육환경개선사업의 일환으로 공원이나 도로가, 보도, 아파트 단지 등에 식재된 가로수 주위에 유공관을 박아서 설치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인 수목의 생육환경개선방법은 대나무 유공관(10)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대나무 유공관(10)을 수목(1)의 주위에 박아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나무 유공관(10)으로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대나무 유공관(10)을 준비하기 위해, 마디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후 마디들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대통(11)을 만든 다음 대통의 측면에 다수의 타공홀들(19)을 형성한다. 그리고 대통(11)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대통(11)의 하부를 뾰족하게 한다.
대나무 유공관(10)을 땅에 박을때 대나무 유공관(10)의 상부가 쪼개지는 것을 막기 위해 대통(11)의 상부에 가는 로프(100)를 감고 접착제를 발라 대통(11)에 로프(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로프(100)로 천연소재의 로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 외에 실 또는 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대통(11)의 상부 외주면에 미리 접착제를 바른 후 로프나 실, 끈을 감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대통(11)의 상부에 로프나 실, 끈을 감아 대통의 상단부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대통(11)의 상부가 쪼개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대나무 유공관(10)이 준비되면 수목(1)의 뿌리 주위에 하나 이상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땅에 일정한 깊이로 박는다. 햄머(110)와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거나 포크레인과 같은 기계장비를 이용하여 대통(11)의 상부를 타격하여 대나무 유공관(10)을 박을 수 있다. 대나무 유공관(10)의 상부는 지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대나무 유공관(10)을 박는다.
이러한 대나무 유공관(10)에 의해 식재되어 있는 수목(1) 뿌리 주변 토양의 통기성 및 통수성을 향상시켜 수목의 생육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수목 3: 뿌리
5: 뿌리분 11: 대통
19: 타공홀

Claims (7)

  1. 마디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후 상기 마디들 일부를 제거하여 적어도 2개의 마디가 남아있고, 수목의 뿌리방향을 향하도록 하부를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하부가 뾰족한 대통과;
    상기 대통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타공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대통의 뾰족한 하부에는 상기 타공홀이 미형성되며,
    상기 대통에 남아있는 마디들 사이에 양분이 저장된 양분실이 형성되고,
    상기 대통에 남아있는 마디들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양분실로 양분을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대통의 측면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천연수지 또는 황토로 밀폐되고,
    길이가 서로 다른 대롱들을 상기 대통의 내부에 삽입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유로를 상기 대통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하며 상기 대롱들의 하단 위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홀들은 수목의 뿌리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수목을 식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일정한 깊이로 구덩이를 파는 굴토단계와;
    상기 구덩이에 수목의 뿌리분을 안착시키는 뿌리안착단계와;
    상기 구덩이의 바닥에 대나무 유공관을 박아서 고정시키는 유공관고정단계와;
    상기 구덩이에 흙을 채워 상기 뿌리분을 매립하되 상기 대나무 유공관의 상부는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매립하는 매립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나무 유공관은 마디들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대나무를 일정 길이로 자른 후 상기 마디들 일부를 제거하여 적어도 2개의 마디가 남아있고 상기 뿌리분을 향하도록 하부를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하부가 뾰족한 대통과, 상기 대통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시킨 다수의 타공홀들을 구비하고,
    상기 대통의 뾰족한 하부에는 상기 타공홀이 미형성되며,
    상기 대통에 남아있는 마디들 사이에 양분이 저장된 양분실이 형성되고,
    상기 대통에 남아있는 마디들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양분실로 양분을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대통의 측면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천연수지 또는 황토로 밀폐되고,
    상기 유공관고정단계는 상기 대나무 유공관이 상기 뿌리분을 비스듬하게 관통하도록 고정시켜 상기 대나무 유공관에 의해 상기 뿌리분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유공관을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KR1020190070705A 2019-06-14 2019-06-14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KR10227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705A KR102273069B1 (ko) 2019-06-14 2019-06-14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705A KR102273069B1 (ko) 2019-06-14 2019-06-14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99A KR20200142999A (ko) 2020-12-23
KR102273069B1 true KR102273069B1 (ko) 2021-07-02

Family

ID=7408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705A KR102273069B1 (ko) 2019-06-14 2019-06-14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854B1 (ko) * 2022-01-06 2023-02-06 주식회사 인피니티오션 갯벌용 친환경 잘피이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잘피이식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6638A1 (en) 2001-08-13 2003-04-10 Yuzhi Qu Devices using a medium having a high heat transfer rate
KR100633418B1 (ko) * 2003-08-14 2006-10-16 장성두 배수용 대나무봉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및수평배수공법
KR200463147Y1 (ko) 2012-06-07 2012-10-18 강태훈 식물 생력 증진관
CN109328899A (zh) 2018-12-13 2019-02-15 福州安地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三叶青的生态栽培方法
CN109566285A (zh) 2018-12-13 2019-04-05 福州安地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石斛的生态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373Y1 (ko) 2000-08-10 2001-09-25 한상관 식물의 수분 공급장치
KR100522841B1 (ko) * 2002-08-23 2005-10-20 고영춘 수목의 물공급기
KR100469079B1 (ko) * 2002-09-07 2005-02-02 청산종합개발 주식회사 배수 및 관수기둥을 설치하는 수목 식재공법
KR20140001012U (ko) * 2012-08-06 2014-02-14 황의식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KR101792324B1 (ko) * 2015-02-23 2017-11-01 박병근 이랑 물 공급기
KR20160003527U (ko) * 2015-04-03 2016-10-12 우봉윤 수목용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6638A1 (en) 2001-08-13 2003-04-10 Yuzhi Qu Devices using a medium having a high heat transfer rate
KR100633418B1 (ko) * 2003-08-14 2006-10-16 장성두 배수용 대나무봉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 및수평배수공법
KR200463147Y1 (ko) 2012-06-07 2012-10-18 강태훈 식물 생력 증진관
CN109328899A (zh) 2018-12-13 2019-02-15 福州安地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三叶青的生态栽培方法
CN109566285A (zh) 2018-12-13 2019-04-05 福州安地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石斛的生态栽培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854B1 (ko) * 2022-01-06 2023-02-06 주식회사 인피니티오션 갯벌용 친환경 잘피이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잘피이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99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8814B (zh) 种植孔和利用种植孔绿化岩石边坡、破损山体的方法
KR100864958B1 (ko) 사막 및 건조지역의 식목방법
US6845587B2 (en) Tree root invigoration process
CN103461068A (zh) 在盐碱地移植大型景观树方法及移植树穴的结构布局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CN104186233A (zh) 一种框格梁边坡绿化方法及框格梁边坡绿化设施
CN107646606A (zh) 盐碱地乔木移栽方法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KR102273069B1 (ko)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CN109837916B (zh) 可拼装式木质框格边坡生态修复方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CN204014608U (zh) 一种框格梁边坡绿化设施
CN106613428A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种植系统
KR100678348B1 (ko) 수목 생장용기 및 수목 식재방법
CN113529753B (zh) 速凝高聚物注浆快速治理崩岗的施工方法
KR100571474B1 (ko) 유공관의 설치방법
JP2007306874A (ja) 植木植栽方法
KR100425923B1 (ko) 척박한 토양의 녹화방법
CN110725362A (zh) 废机井填充沙子回灌雨水和储蓄水的方法
KR102069259B1 (ko)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KR102514107B1 (ko) 수목 성장 보조장치
JP5699291B2 (ja) 植生工法
KR200295975Y1 (ko) 조경용 브라켓을 이용한 옹벽축조구조
CN106857178B (zh) 一种园林绿化树木的移栽方法
KR100736120B1 (ko) 수분 보존형 망형 식생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