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012U -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 Google Patents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012U
KR20140001012U KR2020130001438U KR20130001438U KR20140001012U KR 20140001012 U KR20140001012 U KR 20140001012U KR 2020130001438 U KR2020130001438 U KR 2020130001438U KR 20130001438 U KR20130001438 U KR 20130001438U KR 20140001012 U KR20140001012 U KR 201400010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arrel
present
soil
flow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식
Original Assignee
황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식 filed Critical 황의식
Publication of KR20140001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 A47B2220/0088Furniture made of bamboo or ratta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은 대나무통을 이용한 화분에 있어서, 내부의 마디간 대통 칸막이는 최하단 칸막이를 제외하고 모두 제거되고, 용토로 채워지는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 저장수단이 상기 용토사이에 구비되고, 외벽에는 식재를 투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HORIZONTAL LAYERED BAMBOO POT}
본 고안은 대나무 화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은 하나의 화분에 한 종류의 화초를 재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다양한 화초를 재배하려는 경우 화초의 종류별로 각각 별개의 화분을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의 발코니나 실내공간 또는 사무실의 실내공간에서 화초를 재배하는 경우 화분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다양한 여러 가지 화초를 구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고분자수지나 인조고무 등과 같은 인공재질로 제조되므로, 유해물질이 배출되어 각종 환경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 다양한 화초를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며 환경친화적인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나무통을 이용한 화분에 있어서 내부의 마디간 대통 칸막이는 최하단 칸막이를 제외하고 모두 제거되고, 용토로 채워지는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 저장수단이 상기 용토사이에 구비되고, 외벽에는 식재를 투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을 이용할 경우에는 대나무통을 이용하여 외주면에는 식재를 위한 복수의 천공을 구비하고, 내부에는 용토사이에 오아시스와 같은 물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식물을 하나의 화분에 다층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적 공간활용으로 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화초를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가 화분의 주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실내공기 정화 및 및 습도조절 등 실내 환경 개선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을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은 대나무통(100)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대나무통(100) 내부의 마디(110)간 대통 칸막이를 제거함으로써, 대나무통(100) 내부에 하나의 일체된 공간이 형성된다. 즉, 화초를 식재할 수 있도록 대나무 마디(110)간의 대통 칸막이가 제거되는데, 이때, 대나무통(100)을 수직으로 세웠을 때 제일 하단부를 구성하는 마디(111)의 칸막이를 제외하고 모든 칸막이가 제거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의 주재료는 대나무 종류 중 가장 대형종인 맹종죽을 사용하되, 원구와 말구 중 원구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원구의 밑둥부리 아래쪽이 굵어서 관상적 가치가 높고 건조시에는 목피 균열이 적어서 재배용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대나무통(100) 외벽에는 식재를 투입할 수 있는 복수의 천공(120)이 형성된다. 즉, 대나무통(100) 내부에 화초를 식재할 수 있도록 외부 표면에 식재대상 식물을 고려하여 지름 약 2cm, 수직 간격 약 30cm 정도의 구멍(120)이 형성되는 것이 좋고, 구멍(120)의 수평간격은 설치하고자 하는 방향이나 위치에 따라 화초간 생육에 간섭이 없도록 3 내지 4곳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의 특징은 수직적인 조경 공간을 확보하여 화초가 다층 구조로 식재되도록 하는 것인데, 각 층에 생육하는 화초에 충분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대나무통(100) 내부를 용토로 채우면서 용토 사이에 간격을 두고(예를 들면 약 20 내지 30 cm간격) 물 저장수단(130)을 넣어주는 것이 좋다.
즉, 상층의 물이 아래층으로 빠지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 머금을 수 있게 하는 물 저장수단(130)을 설치한다.
예를 들면, 다층구조의 화초를 식재하려는 경우, 화초가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높이의 모세관수의 기능이 제공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통상 모세관수는 토양의 재질과 입자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상층에는 수분 흡수율이 좋고 가벼운 흙(예를 들면, 야자열매 분쇄토)으로 채우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물 빠짐이 좋도록 입자가 큰 토양을 채워 식재하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처럼, 화초의 수분공급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화분의 높이에 따라 화분 속에 일정간격(예를 들면, 20∼30cm 간격)으로 물 저장수단인 오아시스(130)를 설치함으로써, 물이 하부로 빨리 빠져나가지 않게 하여 화초가 모세관수에 의해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물 저장수단(130)의 간격은 토양별 공극에 따른 모세관수 높이를 감안하여 정하는 것이 좋다. 물 저장수단(130)으로는 풀로럴폼(floral form), 즉 오아시스가 사용될 수 있다. 오아시스는 무독성 PP 재질로서 위쪽은 개방되고 아랫부분이 막혀있는 물통 모양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오아시스(130)의 높이는 8∼10cm 정도가 되도록 하고, 크기는 대나무통(100)의 내주면과 0.5cm 내외의 간격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화분에 물을 주게 되면 물은 오아시스 아래로 내려가면서 채워지게 된다.
화초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층부에 링거형 물조절 접점 물주머니나 핸드펌프 또는 소형 양수기 등을 설치할 수 있고, 하단부는 화분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용기에 침지하여 역 관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대나무통(100)의 하단에는 물이빠질 수 있도록 배수구(14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대나무통(1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균열방지를 위해서 대나무통(100)의 외주면을 둘러 감도록 구성되는 띠 형태의 균열방지수단(20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균열방지수단(200)의 소재로는 마닐라사 또는 종려피사가 이용될 수 있다.
대나무 화분은 대부분의 목재 화분처럼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목질부에 함유된 유수분이 빠져나가 대나무의 표면이 갈라지거나 흑갈색 등으로 변색되어 심미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전에 대나무 표면을 고온의 버너로 태우거나 그을려서 대나무의 유분과 수분을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대나무통(100) 표면의 유수분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대나무 균열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그을린 표면은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표면에 사포 작업을 하여 정리하고, 천연기름(동백기름이나 올리브유 등)으로 표면을 2 내지 3회 발라주어서 방수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공정을 거치면 대나무는 고유의 수려한 미관을 오랫동안 변함없이 보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 화분을 사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분의 재료로 수직적인 기둥모양의 대나무 맹종죽이 이용되었으며, 대나무 마디마다 일정 간격으로 식물식재를 위한 천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물의 다 층간 생육에 필요한 수분공급을 위해 모세관수 원리를 적용하여 화분 내부 중간 중간에 물 저장수단인 오아시스가 설치되어 화초의 생육을 돕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은 실내 공간을 수직적으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실내공기 상하 대류 원리를 응용하여 공기정화 개선 및 습도조절 등과 같은 실내 환경 개선에 기여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대나무통
110 마디
111 최하단 마디
120 식재투입구
130 물 저장수단
140 배수구
200 균열방지수단

Claims (5)

  1. 대나무통을 이용한 화분에 있어서,
    내부의 마디간 대통 칸막이는 최하단 칸막이를 제외하고 모두 제거되고,
    용토로 채워지는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물 저장수단이 상기 용토사이에 구비되고,
    외벽에는 식재를 투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수단은 플로럴폼(floral form)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통의 상부와 하부에는 외주면을 둘러 감도록 구성되는 띠 형태의 균열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대나무 화분.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통 표면은 유수분 제거를 위하여 열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대나무 화분.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화분은 맹종죽의 원구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직형 대나무 화분.
KR2020130001438U 2012-08-06 2013-02-22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KR2014000101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6992 2012-08-06
KR2020120006992 2012-08-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12U true KR20140001012U (ko) 2014-02-14

Family

ID=5244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438U KR20140001012U (ko) 2012-08-06 2013-02-22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0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999A (ko) * 2019-06-14 2020-12-23 한연덕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999A (ko) * 2019-06-14 2020-12-23 한연덕 수목 식재용 대나무 유공관과 이를 이용한 수목의 식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8698A1 (ja) ハイドロカルチャー専用鉢
CN106998657B (zh) 多段迭层用的装饰盆单元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200470506Y1 (ko) 구멍 없는 화분
KR101249978B1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20130004600U (ko)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KR101031234B1 (ko) 화분장치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20140001012U (ko) 다층구조의 대나무 화분
CN104956940A (zh) 一种绿化设施及多层建筑
JP2018102171A (ja) 蚊媒介及び緑膿菌感染症の予防対策が出来る底面給水方式の植木鉢エコ自動給水器
KR20080004674U (ko) 난 재배용 화분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CN202043493U (zh) 可分解的给水花盆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CN205681962U (zh) 新型养殖盆
KR20110114765A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JP6333642B2 (ja) 緑化用プラン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緑化壁
CN203563442U (zh) 一种用于盆栽攀援花草的储水立柱
KR200455928Y1 (ko) 화분의 수위 표시 장치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