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259B1 -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259B1
KR102069259B1 KR1020170140495A KR20170140495A KR102069259B1 KR 102069259 B1 KR102069259 B1 KR 102069259B1 KR 1020170140495 A KR1020170140495 A KR 1020170140495A KR 20170140495 A KR20170140495 A KR 20170140495A KR 102069259 B1 KR102069259 B1 KR 10206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soil
planting
planting ground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562A (ko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2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은, a) 식물(60)이 생장 가능한 식재지반(10)을 조성하는 단계, b) 상기 식재지반(10)에 다수의 식물(60)을 식재하는 단계, c) 상기 식물(60)이 식재된 상기 식재지반(10)에 빗물저장구덩이(20)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빗물저장구덩이(20) 내에 공극(40)이 형성되도록 충전물(30)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저장구덩이를 통해 빗물이 배수되어 물이 표면으로 흘러 낭비되지 않고, 소실되는 빗물을 유용자원화할 수 있으며, 토양 깊숙이 토양함수량을 증진시켜 뿌리가 수직적으로 깊이 뻗을 수 있게 하고, 토양공기 및 호기성 미생물이 증식되고, 뿌리가 수평적으로 멀리 뻗고, 지중의 토양개량 효과가 있고, 가뭄 발생시 별도의 물집이나 물구덩이를 파지 않고도 관수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CONSTRUCTING METHOD OF PLANTING ENVIRONMENT FOR ECO-FRIENDLY RAINWATER STORAGE}
본 발명은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식물이 식재된 식재지반 상에 우천시 빗물이 표토로 유실되지 않고 배수됨과 동시에 빗물이 식재지반 지하부 근권(뿌리발달부분의 토양)에 저장될 수 있는 물집을 형성하는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적인 토양수분을 공급하거나 유지하기 어려운 바다매립지, 간척지, 건조지, 척박지, 고염분토양, 건물이나 지하주차장과 같은 인공지반 등에서는 많은 조경식물, 원예식물, 과수, 조림식물 등이 가뭄에 의하여 토양수분이 부족하여 생장이 불량해지거나 고사하는 사례가 많이 있다.
식물이 생장 불량하거나 고사하게 되면 식생경관이 황량해지고, 소득이 줄어 많은 경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할 수 있다.
한편, 매립지, 간척지, 건조지, 척박지, 염분지 등과 같이 급수가 용이하지 못한 토양에는 식재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수로, 저수조, 스프링쿨러와 같은 관수시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관수시설의 경우 추가적 설치에 따른 초기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지속적으로 이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비용이 소요되고, 공급되는 물이 식물 뿌리가 흡수할 수 있도록 지하부 깊게 스며들지 못하여 식물 뿌리가 표토층에 밀집하여 천근화(앝은뿌리)되어 바람에 도복되기 쉽거나 강한 햇빛에 증발량이 많아 경제적 및 물질 자원의 손실이 크고, 가뭄이 심할 때에는 정작 물 공급을 받을 수 있는 수원지의 물이 없어 무용지물이 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관행적인 관수방법은 나무 주변에 물고랑이나 물둑을 설치하여 관수를 하는데 이것을 설치하는 과정에 인건비가 많이 발생되고, 물둑이나 물고랑을 설치하는 과정에 새롭게 발생하는 잔뿌리들이 잘리게 되어 오히려 토양수분을 흡수하는 나무의 잔뿌리가 손실됨으로써 되려 가뭄을 촉발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물둑과 물고랑은 식재지반의 경관을 불량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식물 하부의 관목, 잔디나 초화류 등을 훼손시키는 등의 자원손실이 많이 있다.
또한, 종래의 관수의 경우 인근에 식재된 식물이 자연적으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닌바 그 유지 및 관리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식물이 토양수분의 부족으로 생장 불량 또는 고사 폐사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으며, 특히 저수조의 경우 식재된 식물로 인해 조성된 녹지의 외관을 저해하거나 사람 및 동물 등에 위험할 수 있고, 녹조 발생으로 혐오스러울 수 있다.
식물 생장에 빗물은 매우 유용한 자원인데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과 토양 특성상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강우는 일시적으로 집중 강우하여 빗물이 토양 속으로 침투되기 이전에 중력에 의하여 지표로 배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귀중한 수자원이 손실된다. 특히, 가뭄 때에는 5㎜ 정도의 비는 엄청난 관수 효과가 있지만 집중강우 형태로 토양 중에 침투되지 못하고, 지표면으로 흘러가 버려 귀중한 수자원이 손실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토양은 점질과 미사가 많아 여름철 토양이 경화되어 토양공극이 작으므로 빗물을 초기에 토양 중에 흡수시키지 못하고 표면배수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현재의 관수시설들은 주로 갈수기에 지상부에 관수를 하여 주로 지표면에 토양수분이 몰려 있어 뿌리가 깊게 뻗지 못하고 상향하여 기형의 뿌리구조를 발달시켜 장기 가뭄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게 하며, 여름철 작열하는 태양에 의하여 토양수분이 많이 증발되어 버려 토양수분 손실이 크다.
그러므로 갈수기에 적은 빗물도 식물 생장에 유리한 지중 토양함수량 증진공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급수시설과 차별화되는 초기비용과 유지 및 관리비용이 저렴하고 조성된 녹지의 환경과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인 빗물저장 관수공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빗물을 저장하여 재사용하는 구조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616398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기존 투수블록이나 투수콘과 달리 강우 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빗물을 집수하고, 일시적으로 저류시켜 집중호우 시 도심 침수를 예방하고, 일정량 이상 차오른 빗물은 땅속으로 침투시켜 물순환체계를 개선하며, 저류된 빗물을 복사열 흡수를 통한 증발작용과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의 자급이 가능하도록 함을 요지로 하고 있는데, 빗물저류조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자연친화적이지 못하며, 이로 인해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0193호 (공개일: 2015.10.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유실되는 빗물을 토양 속에 저장하거나 갈수기에 관수를 쉽게 하여 토양 속의 빗물이 지중으로 퍼져 토양 함수량을 높게 하며, 식물의 뿌리가 지하 깊게 뻗게 하여 토양수분 부족 현상을 최소화하고, 뿌리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생리학적으로 안정된 생장을 할 수 있게 하는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다매립지, 간척지, 건조지, 척박지, 염분지, 건물이나 지하주차장과 같은 인공토양 등과 같이 급수가 용이하지 못한 토양에 식재된 식물에 친환경적이고 토양 중에 빗물저장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의 일측 기준점에 빗물저장구덩이를 형성하고 이 빗물저장구덩이 내에 공극 형성이 가능하도록 잡석, 쇄석, 자갈 및 인공재료 등으로 구성되는 충전물을 충전한 후 충전물 또는 토양입자 공극 내에 녹지 내의 빗물이 토양 깊숙이 흡착 유입되어 토양함수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빗물이 저장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 식재된 다수의 식물 뿌리가 토양 중의 물을 흡수하고 식물의 뿌리가 깊게 뻗게 하여 장차적으로 직근과 심장근이 발달하게 하므로 장기적으로 가뭄에도 적응가능 하도록 하고, 지지기능이 튼튼하여 바람에도 넘어지지 않게 하며, 급수에 필요한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안정적인 급수원의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은, a) 식물(60)이 생장 가능한 식재지반(10)을 조성하는 단계; b) 상기 식재지반(10)에 다수의 식물(60)을 식재하는 단계; c) 상기 식물(60)이 식재된 상기 식재지반(10)에 빗물저장구덩이(20)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빗물저장구덩이(20) 내에 공극(40)이 형성되도록 충전물(30)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수행 후에 상기 빗물저장구덩이(20) 내에 토사유입 방지를 위해 한냉사 또는 부직포로 구비된 토사유입 방지부재(22)를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의 빗물저장구덩이(20)는 상기 식재지반(10) 중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웅덩이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에서의 빗물저장구덩이(20)는 깊이(D1)가 300㎜ 내지 2000㎜로 형성되고, 너비(D2)가 20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d) 단계에서의 충전물(30)은 자갈, 쇄석, 잡석, 모래, 파쇄칩, 부식질, 피트모스 및 펄라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복합적으로 구비되되, 그 직경은 2㎜ 이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노출되는 최상층은 평탄화 처리 또는 이물질 방지부재로 마감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빗물저장구덩이(20)의 하단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망(60)을 설치하여 상기 연결망(60)을 통해 빗물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저장구덩이를 통해 빗물이 배수되어 물이 표면으로 흘러 낭비되지 않고, 소실되는 빗물을 유용자원화할 수 있으며, 토양 깊숙이 토양함수량을 증진시켜 뿌리가 수직적으로 깊이 뻗을 수 있게 하고, 토양공기 및 호기성 미생물이 증식되고, 뿌리가 수평적으로 멀리 뻗고, 지중의 토양개량 효과가 있고, 가뭄 발생시 별도의 물집이나 물구덩이를 파지 않고도 관수를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질소가 빗물을 따라 자연적으로 지하부로 저장되어 토양미생물에 의해 식물 뿌리가 흡수하기 좋은 상태로 전환되고, 표토부의 유기물 및 부식질이 빗물을 따라 지하부 깊게 유입되어 자연적으로 지하부의 토양이 비옥해지며, 빗물이 지하부에 저장되므로 여름철 고온에 의해 물이 부영양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이 일시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막아 홍수량을 줄일 수 있고, 토양공기의 유통이 원활하게 하여 뿌리가 흡수할 수 있는 산소량이 증가되고, 뿌리가 호흡하는 과정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쉽게 배출하는 경로를 제공하며, 시공이 쉽고 현장의 잡석 등의 재료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저장구덩이의 하단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망을 통해 수평적으로 배수가 곤란한 지역에 배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에 따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에 따라 식재지반 상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을 수행하기 위해 식재지반 상에 형성된 빗물저장구덩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에 따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수행시 precast 개념으로 제품화한 충전물을 빗물저장구덩이에 매설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은 식재지반 조성 단계(S100), 식물 식재 단계(S200), 빗물저장구덩이 형성 단계(S300), 토사유입 방지부재 설치 단계(S400) 및 충전물 충전 단계(S500)를 포함한다.
식재지반 조성 단계(S100)는 식물(60)이 생장 가능한 매립지, 간척지, 건조지, 척박지, 염분지 등과 같은 식재지반(10)을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매립지, 간척지, 건조지, 척박지, 염분지와 같은 식재지반(10)은 각각의 토양을 조성하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조성되는 것으로 하되, 이 중에서 염분토양의 경우 식물(60)이 생장 가능하도록 염분은 반드시 제거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은 식재지반(10)이 조성되는 시점에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지만 이미 식재지반(10)의 조성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 된 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식물 식재 단계(S200)는 식재지반 조성 단계(S100) 수행 후에 식재지반(10) 조성이 마무리되면 이 식재지반(10)에 다수의 식물(60)을 식재하는 단계이다.
이때, 식재지반(10)에 식재되는 식물(60)은 땅위줄기가 있는 목본(木本) 식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흔히 나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목질이 발달하고 줄기에 있는 형성층의 분열에 의해 물관부가 비대하게 생장하는 것으로 매립지, 간척지, 건조지, 척박지, 염분지 등 그 식재지반(10)의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상록수, 침엽수, 활엽수 등에서 선택하여 식재한다.
한편, 식물 식재 단계(S200)에서 식재되는 식물(60)의 그루는 후술할 빗물저장구덩이 형성 단계(S300)에서의 빗물저장구덩이(20)와 빗물저장구덩이(20)의 사이인 0.5mm 내지 2000㎜ 반경에 2 내지 8 그루의 식물(60)이 식재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식재되는 식물(60)의 종류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빗물저장구덩이 형성 단계(S300)는 식물(60)의 식재가 완료되면 식재된 식물(60)의 중심부 식재지반(10)에 물집인 빗물저장구덩이(20)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한편, 빗물저장구덩이 형성 단계(S300) 수행시 빗물저장구덩이(20)는 식재지반(10) 중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웅덩이의 하단에 깊이(D1)가 300㎜ 내지 2000㎜로 형성되고, 너비(D2)가 20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빗물저장구덩이(20)는 그 깊이가 300㎜ 미만이고, 너비가 200㎜ 미만이면, 충전물(30)의 충전량이 적어 토양공극면적이 작아지고, 깊이가 2000㎜를 초과하면 토양공극면적이 너무 커져 녹지 내의 빗물이 토양으로 흡착 유입되는 시간이 증가하므로 깊이와 너비를 적정하게 설정한다.
이때, 빗물저장구덩이(20)의 바닥 및 측벽에서 토사가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부분을 추가적으로 침하되지 않도록 물다짐 또는 식물 뿌리 생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토양경도 20㎜ 이하로 단단하게 다져주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안쪽에 방수천 또는 그물망과 같이 물(50)이나 충전물(30)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방어막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구비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빗물저장구덩이(20) 측에 공급되는 물(50)은 지하수 또는 우수와 같은 자연발생적으로 공급되는 물(50)이기 때문에 별도의 급수관 시설이 설치되지 않지만, 사막 등과 같이 지하수가 한정되어 있고 우기가 짧은 지역에서는 구덩이(20) 측으로 별도의 급수관이 매설 시공되거나 별도의 관수호스를 통해 물(50)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저장구덩이 형성 단계(S300) 수행 후에 연결망 형성 단계가 후행될 수 있다.
즉, 연결망 형성 단계는 빗물저장구덩이(20) 각각의 하단이 연통되도록 수평 방향의 연결망(70)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연결망(70)은 빗물저장구덩이(20)의 하단들이 위치된 식재지반(10) 지하에 설되어 빗물 등이 이동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토사유입 방지부재 설치 단계(S400)는 빗물저장구덩이(20)의 내벽에 토사가 빗물저장구덩이(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토사유입 방지부재(22)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토사유입 방지부재(22)는 한냉사 또는 부직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토사유입 방지부재 설치 단계(S400)는 빗물저장구덩이(20)가 큰 경우 생략할 수 있다.
충전물 충전 단계(S500)는 빗물저장구덩이(20)의 내부에 충전물(30)을 충전하는 단계이다. 즉, 충전물 충전 단계(S500)는 빗물저장구덩이(20) 내에 충전된 충전물(30)에 의해 물(50)이 흡착될 공극(40)이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충전물(30)은 자갈, 쇄석, 잡석, 모래, 파쇄칩, 부식질, 피트모스 및 펄라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복합적으로 구비되되, 그 직경은 2㎜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물(30)의 직경이 2mm 미만이 되면 토양공극이 좁아 빗물의 이동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충전물의 재료 직경은 최소 2㎜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충전물은 토양 중에 물을 흡착하여 팽창시켰다가 토양수분이 적어질 때 서서히 식물 뿌리에 수분을 공급하는 토양보습제(일예로 테라코템) 등의 혼합 역시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충전물(30)은 식재지반에 빗물저장구덩이(20)를 파고 바로 매설할 수도 있지만 precast 개념으로 제품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빗물저장구덩이(20)의 형태는 사각, 원형, 무정형 등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빗물저장구덩이(20)의 크기는 지름 5㎝~ 몇 백(예 3,00㎠) 입방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충전물(30)은 지면에 노출되는 최상층은 평탄화 처리되거나, 흙, 낙엽 및 쓰레기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냉사 또는 부직포 등으로 구비된 이물질 방지부재로 마감하거나, 앞선 작업 없이 주변 잔디나 잡초 및 낙엽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덮이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충전물(30)은 식물(60)이 식재되는 식재지반(10)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데, 이는 지하수 및 우기를 고려한다. 즉, 지하수가 비교적 풍부하고 우기가 일정한 식재지반(10)에서는 그렇지 않은 식재지반(10)에 비해 공극(40)이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흡착되는 물(50)의 양이 그만큼 감소 되도록 한다. 반대로 지하수가 부족하고 우기가 일정하지 않은 식재지반(10)에서는 그렇지 않은 식재지반(10)에 비해 공극(40)이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흡착되는 물(50)의 양이 그만큼 증가 되도록 한다. 그러나 지하수가 부족하고 우기가 일정하지 못한 식재지반(10)이라 하더라도 공극(40)을 지나치게 크게 형성함으로써 물(50)이 흡착되지 못하고 그대로 지하로 누수 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에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의 구현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물(60)이 식재 가능한 매립지인 식재지반(10)을 조성한다.
다음으로, 조성된 식재지반(10)에 일정 간격마다 식물(60)을 식재한다.
다음으로, 식재지반(10) 상에 빗물저장구덩이(2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빗물저장구덩이(20)의 크기를 고려하여 크기가 작은 경우 빗물저장구덩이(20) 내에 토사유입 방지를 위해 한냉사 또는 부직포로 구비된 토사유입 방지부재(22)를 설치하고, 크기가 큰 경우 토사유입 방지부재(22)의 설치를 생략한다.
다음으로, 빗물저장구덩이(20)의 내부에 자갈, 쇄석, 잡석, 모래, 파쇄칩, 부식질, 피트모스 및 펄라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복합적으로 구비된 충전물(30)을 충전한다.
다음으로, 빗물저장구덩이(20)에 충전된 충전물(30)의 최상층을 평탄화 처리되거나, 흙, 낙엽 및 쓰레기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냉사 또는 부직포 등으로 구비된 이물질 방지부재로 마감하거나, 앞선 작업 없이 주변 잔디나 잡초 및 낙엽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덮이게 한다.
다음으로, 최초 충전물(30)이 충전된 빗물저장구덩이(20) 내에 인위적으로 물(50)을 급수하여 충전물(30) 사이사이의 공극(40) 내에 물(50)이 흡착되도록 한다.
이때, 공극(40) 내에 물(50)의 흡착이 이루어지면 빗물저장구덩이(20)로부터 방사상 식재되어 있는 식물(60)의 뿌리에서 생장에 필요한 만큼씩 공극(40) 내의 물(50)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서서히 끌어당겨 흡수하게 되는데, 건조기에도 공극(40) 내의 응집력에 의해 물(50)이 누수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식물(60)의 뿌리에서 점차적으로 물(50)을 흡수하여 공극(40) 내의 물(50)이 줄어들게 되면 지하수 또는 우수에 의해 모자란 만큼이 보충되며, 지하수가 풍부하지 못하거나 우기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추가적으로 관리자에 의해 물(50)이 인위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식재지반
20 : 빗물저장구덩이
22: 토사유입 방지부재
30 : 충전물
40 : 공극
50 : 물
60 : 식물

Claims (6)

  1. a) 식물(60)이 생장 가능한 식재지반(10)을 조성하는 단계;
    b) 상기 식재지반(10)에 다수의 식물(60)을 식재하는 단계;
    c) 상기 식물(60)이 식재된 상기 식재지반(10)의 상기 식물(60)의 중심부에 300 ~ 2000mm의 깊이와 200 ~ 500mm의 너비를 갖는 복수의 빗물저장구덩이(20)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빗물저장구덩이(20)의 바닥 및 측벽을 일정 토양경도 이하로 물다짐 또는 다져주는 작업을 실시하고, 물다짐 또는 다져진 바닥 및 측벽 안쪽에 물이나 빗물저장구덩이에 충전될 충전물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천 또는 그물망 형태의 방어막 부재를 구비하는 단계;
    e) 상기 복수의 빗물저장구덩이의 하단이 각각 연통되도록 수평 방향의 연결망(70)으로 연결하여 빗물이 연결망을 통해 이동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빗물저장구덩이(20) 내벽에 외부로부터의 토사유입 방지를 위해 한냉사 또는 부직포로 구비된 토사유입 방지부재(22)를 설치하는 단계; 및
    g) 상기 빗물저장구덩이(20) 내에 공극(40)이 형성되도록 충전물(30)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빗물저장구덩이(20)는 상기 식재지반(10) 중 인공 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웅덩이의 하단에 형성되는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빗물저장구덩이(20)는 깊이(D1)가 300㎜ 내지 2000㎜로 형성되고, 너비(D2)가 200㎜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의 충전물(30)은 자갈, 쇄석, 잡석, 모래, 파쇄칩, 부식질, 피트모스 및 펄라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복합적으로 구비되되, 그 직경은 2㎜ 이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노출되는 최상층은 평탄화 처리 또는 이물질 방지부재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6. 삭제
KR1020170140495A 2017-10-26 2017-10-26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KR10206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95A KR102069259B1 (ko) 2017-10-26 2017-10-26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95A KR102069259B1 (ko) 2017-10-26 2017-10-26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562A KR20190046562A (ko) 2019-05-07
KR102069259B1 true KR102069259B1 (ko) 2020-01-22

Family

ID=6665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495A KR102069259B1 (ko) 2017-10-26 2017-10-26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2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963A (ja) * 1999-05-18 2000-11-28 Toyo Kogyo Kk 土地面に対する給除水用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1174B2 (ja) * 1993-05-18 2000-12-25 株式会社クレアテラ 雨水貯留型植栽地盤
KR200180615Y1 (ko) * 1998-03-11 2000-06-01 김창래 수목시비통(樹木施肥桶)
KR101044356B1 (ko) * 2009-03-19 2011-06-29 오창준 친환경 밭작물용 빗물 자원 저장 및 분배 시스템
KR20150110193A (ko) 2014-03-24 2015-10-02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963A (ja) * 1999-05-18 2000-11-28 Toyo Kogyo Kk 土地面に対する給除水用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562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5068A1 (zh) 一种用于边坡防护的生态土工格栅
CN208266847U (zh) 适用于黄土地区的沟壑区快速修复结构
CN104186233A (zh) 一种框格梁边坡绿化方法及框格梁边坡绿化设施
CN111543233A (zh) 沿海岛屿地区淤泥质盐碱地苗木种植的施工方法
Sunday E et al. Contemporary global issue of rising water scarcity for agriculture: the quest for effective and feasible soil moisture and free-water surface conservation strategies
CN105532369B (zh) 一种提高城市绿地土壤水分入渗效率的方法
CN207553247U (zh) 下凹绿地雨水利用与收集系统
CN113774934A (zh) 一种煤矸石渣坡生态恢复方法
CN212589126U (zh) 一种保水型生态环保树池
CN111887067B (zh) 高陡岩石边坡人工植被生态修复的方法
KR100946760B1 (ko) 간척지 나무 식재방법
CN106613428A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种植系统
KR102069259B1 (ko)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CN211498724U (zh) 一种防积水景观生态护坡
KR100352143B1 (ko) 가로수의 생육여건개선용 식수대(植樹帶) 시공방법
WO2008035964A1 (en) Growing location, method and holder
CN113892411A (zh) 大规格树木移植与养护方法
CN204626510U (zh) 用于保水浸润灌溉的等高线水平蓄水槽
CN208768521U (zh) 沙洲临水坡岸绿化客土栽植系统
JP3191153U (ja) 緑化用植栽基盤
CN113152490A (zh) 一种保排水统一的边坡生态护坡施工方法
KR101336170B1 (ko)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CN105638361A (zh) 一种栽植树木蓄存滞纳利用雨水的方法
RU2253225C1 (ru) Способ мелиорации (варианты)
Kravčík et al. Projects implemented and lessons learnt from the new water paradig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