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170B1 -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170B1
KR101336170B1 KR1020120013907A KR20120013907A KR101336170B1 KR 101336170 B1 KR101336170 B1 KR 101336170B1 KR 1020120013907 A KR1020120013907 A KR 1020120013907A KR 20120013907 A KR20120013907 A KR 20120013907A KR 101336170 B1 KR101336170 B1 KR 10133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desertification
soil
excav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270A (ko
Inventor
최준석
이장호
윤호중
최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1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1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무지 등의 척박한 토양에 수목을 식재하기 위하여 조성되는 식재구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양질의 토양을 반입하지 않고 자체 토양을 이용하여 황무지의 조림에 적합한 구조의 식재구를 조성함으로써, 여기에 식재되는 수목이 잘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식재구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구 조성방법은 빗물을 최대한 모아서 수목에 공급하고 바람과 햇볕에 의해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토양의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에서도 식재된 수목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유기물이 함유된 표토층 토양에 수목이 식재되므로 자체 토양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수목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식재구를 마련할 수 있고, 간단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조성할 수 있어서 대규모의 조림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preperation method of tree planting hole for preventing desertification}
본 발명은 황무지 등의 척박한 토양에 수목을 식재하기 위하여 조성되는 식재구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양질의 토양을 반입하지 않고 자체 토양을 이용하여 황무지의 조림에 적합한 구조의 식재구를 조성함으로써, 여기에 식재되는 수목이 잘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식재구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상당 부분에 해당하는 면적이 가뭄이나 지형적 특징과 같은 자연적 요인뿐만 아니라 산림벌채,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과 같은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점점 황폐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황폐화된 지역은 산림이 부족하여 홍수 및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하고 점차 사막화되고 있다.
특히, 강수량에 비하여 증발량이 많아 초목이 거의 자랄 수 없는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 등의 황무지는 현재 지구상에서 전 육지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에 따르면 지난 50년 동안 세계적으로 65만㎢가 사막으로 변하였고, 최근에는 사막화 속도가 매년 6만~10만㎢에 이를 정도로 빨라지고 있으며, 또한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지구 전체 육지에서 사막을 뺀 건조지역의 20%에서 토양의 황폐화가 일어나고 나머지 지역도 황폐화의 영향에 간접적으로 노출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의 강수량 특징은 절대량이 적을 뿐 아니라 변동이 크다는 점이며, 우기에 전혀 강우가 없는가 하면 때로는 집중적인 호우가 내리는 경우도 있으며, 사막화는 바람이나 물에 의한 토양 침식과 퇴적, 토양의 산성화 또는 알칼리화를 불러 토양의 생태환경을 황폐화시키고, 토양이 척박해지면 식물이나 농작물이 자라기 어려우며, 이러한 식물자원을 이용한 가축의 생육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사막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구는 점차 산소가 부족해져 야생동물은 멸종위기에 이르고 물부족현상으로 작물재배가 곤란하여 극심한 식량난에 빠지게 되며, 홍수, 가뭄 등의 기상이변과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가 심해진다.
상기와 같이 사막화는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피해를 초래하고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행해져 왔으나, 토양이 척박하고 강수량이 적은 건조지의 특성으로 인하여 식목을 하여도 뿌리의 활착률이 낮고 활착이 되어도 가뭄 및 척박한 토양의 영양분 부족으로 인하여 생존율이 낮아서 녹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사막화 방지를 위하여 황무지에 인공적으로 조림하는 종래의 방안으로서, 관개시설을 개선하여 수목에 물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수목이 장기간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거나, 수목이 식재되는 구덩이의 구조와 식재방법을 개선하여 구덩이를 파고 현지토와 비료를 섞은 흙을 넣은 후 식목하여 척박한 환경에서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공급된 물이 사막화 지역의 특성상 곧바로 지하로 스며들거나 증발하여 수분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물주기 및 비료주기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식목 초기 뿌리가 활착되었던 대부분의 나무들도 1년 이내에 고사하게 되어 결국은 녹화사업이 실패하면서 또다시 식목하는 형태가 반복되고 있다.
또한, 물 공급량의 상당량이 급수과정에서 증발되거나 수목의 뿌리가 닿지 않는 곳으로 유실되어 그로 인한 막대한 물 낭비가 뒤따르고, 또한 가뭄에 잘 견딜 수 있는 나무를 심어야 하는 제약과 높은 고사율이 사막화 지역의 녹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수목이 장기간 동안 수분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땅 속에 물탱크를 매설하고 매설된 물탱크에서 간헐적으로 토양과 수목에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물탱크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시설비뿐만 아니라 이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운전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식재구의 바닥과 상부면에 방수설비를 구비하여 관수한 물이 지하로 유실되거나 증발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방안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방수설비의 밀폐구조에 의해 뿌리가 썩는 문제와 함께 시설설치비와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황무지 등의 척박한 토양에 조림하기 위해서는 통상 비료나 거름 등으로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또한 강우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관수시설을 구비하는 과정이 필요하나, 이러한 과정에는 막대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어 소규모의 산림녹화에는 적용가능하나 사막화가 진행되는 대규모의 황무지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0864400호에는 토질을 개선하여 식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토지에 식재구멍을 굴착하고 상기 식재구멍의 하층에 규산염백토를 충전하고 상층에 부식토를 충전한 다음 수목을 식재하여 일정기간 동안 생육하며, 상기 식재구멍의 주변 토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보조구멍들을 굴착하고 상기 보조구멍들 각각의 일측면을 뚫어 상기 식재구멍과 연통되는 연통구를 형성한 다음 상기 보조구멍들 각각의 하층에 규산염백토를 충전하고 상층에 부식토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명은 미생물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부식토와 규산염백토를 충전하여 토질을 개선함으로써 척박한 토양에서도 수목을 잘 성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나, 자재와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소규모의 조림사업에는 적합하나 대규모로 진행되는 사막화를 방지하기에는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46584호에는 광대한 사막지대를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녹화하기 위한 적층체 유니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수목이 식재되는 구덩이를 유니트화 하고 상기 유니트를 구조적, 면적적으로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사막의 특수한 환경에서도 식물이 생육하기 쉬운 안정된 토양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발명은 직방체 프레임 내부에 극세눈철망과 극세눈철망 산소공급벽을 마련하고 프레임 본체 하부에서부터 작은 돌층, 스펀지층, 보수 섬유층, 콩 형상의 스펀지를 포함하는 토사층을 마련하여 적층체 유니트를 준비하며, 설치하고자 하는 사막화 지역을 굴착하고 쇄석을 설치한 후 상기 적층체 유니트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명은 직방체 프레임 내부에 스펀지층을 마련하여 강수나 관수 후 보수성이 좋고 수분증발이 억제되며, 또한 토사층의 상하에 보수 섬유층을 마련하여 낮의 고온에서도 토사층의 표면과 아래쪽 면이 쉽게 건조되지 않는 효과와, 극세눈철망 산소공급벽이 식물근부에의 환기성을 향상시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뿌리가 썩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직방체 프레임은 기초말뚝과 본체 연결 쇠장식으로 구조적, 면적적으로 용이하게 연장설치될 수 있으며 모래땅 안에 고정하기 쉬운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발명을 적층체 유니트 제작에 따른 자재, 장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제작한 적층체 유니트를 설치하고자 하는 사막화 지역으로 이송해야 하며, 설치 구덩이를 적층체 유니트의 크기에 맞게 조성해야 하는 등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광대한 사막지대를 녹화하는 방안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6-113673호에는 토양의 수분량을 제어하는 토지의 사막화 방지방법 및 사막화한 토지의 녹화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지표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소수층을 마련하고 소수층 상부에 보수제를 포함하는 보수층을 마련하며, 소수층은 발수모래를 들 수 있고 발수모래의 입경은 2000㎛ 이하이며, 보수제는 보수성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발명은 종래와 같이 단지 관수하거나 토양의 표면을 개량하는 것이 아니라 토양 중의 수분 증발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토지의 사막화를 방지하거나 이미 사막화한 토지를 녹화하는 일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발명은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여 광대한 사막 지대를 녹화하는데 따른 인력의 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고분자 화합물을 설치장소로 운반해야 하는 문제와 함께 설치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학물질인 고분자 화합물이 사막지역의 건조한 환경에서 건조되고 분말화하여 사막의 바람에 의해 멀리 비산됨으로써 주변지역을 오염시키는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막화가 진행되는 황무지를 녹화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인력, 비용 및 효과 면에서 실효성 있는 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막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이의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강수량의 변동이 크고 강수량에 비하여 증발량이 많은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빗물을 최대한 모아서 수목에 공급하고 수목에 공급된 물이 최소한으로 유실되도록 하며, 황무지의 척박한 토양환경에서도 수목이 식재되는 식재구의 토양을 수목생육에 적합하도록 조성하는 식재구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막화가 진행되는 황무지의 지면을 웅덩이 형태로 굴착하되 굴착된 웅덩이의 단면은 윗변이 밑변보다 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도록 비스듬히 굴착하며, 웅덩이의 윗변 길이는 100~300㎝이고 굴착 깊이는 50~150㎝이며 굴착 경사도는 수평기준 40~80°의 경사각(40)을 가지며, 지표면의 표토층(20)의 흙을 굴착하여 일측에 쌓아두고 상기 지표면 아래의 석회질층(30)을 굴착하여 웅덩이의 사다리꼴의 윗변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사방으로 쌓아서 두둑을 형성하며, 상기 표토층(20)의 흙을 웅덩이에 채우고 평평하게 고른 다음 웅덩이에 채운 표토층(20) 흙 중심에 수목을 식재할 구덩이(10)를 만드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막화가 진행되는 황무지의 지면을 고랑 형태로 굴착하되 굴착된 고랑의 단면은 윗변이 밑변보다 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도록 비스듬히 굴착하며, 고랑의 윗변 길이는 100~300㎝이고 굴착 깊이는 50~150㎝이며 굴착 경사도는 수평기준 40~80°의 경사각(40)을 가지며, 지표면의 표토층(20)의 흙을 굴착하여 일측에 쌓아두고 상기 지표면 아래의 석회질층(30)을 굴착하여 고랑의 사다리꼴 윗변 한쪽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쌓아서 두둑을 형성하며, 상기 표토층(20)의 흙을 고랑에 채우고 평평하게 고른 다음 고랑에 채운 표토층(20) 흙 중심에 수목을 식재할 구덩이(10)를 만드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랑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 개 설치하고, 상기 식재구가 조성되는 조림지에는 구덩이(10)에 식재되는 수목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시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덩이(10)에 식재되는 수목은 느릅나무과, 소나무과, 참나무과, 버드나무과, 콩과, 인동과, 녹나무과, 측백나무과, 자작나무과 및 범의귀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구 조성방법은 빗물을 최대한 모아서 수목에 공급하고 바람과 햇볕에 의해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토양의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에서도 식재된 수목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기물이 함유된 표토층 토양에 수목이 식재되므로 자체 토양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수목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식재구를 마련할 수 있으며, 간단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조성할 수 있어서 대규모의 조림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재구 조성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구 조성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식재구는 사막지역, 건조지역 등 사막화하는 황무지에 설치되는데, 황무지의 토양구조는 일반적으로 유기물과 양분을 함유하는 표토층이 지표면 아래 1m 이상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강한 알칼리성을 띠거나 석회질을 함유하여 수목, 특히 어린 묘목이 생육하기 어려운 척박한 토양층의 상부에 표토층이 얇게 덮여있는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림예정지의 굴착방법은 지면을 웅덩이 형태로 복수 개 굴착하고 웅덩이마다 수목이 식재되는 구덩이를 1개씩 마련하여 하나의 웅덩이에 수목 1그루씩 식재하거나, 또는 지면을 고랑 형태로 굴착하고 고랑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덩이를 마련하여 하나의 고랑에 수목을 여러 그루 식재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구 조성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경우, 표토층(20)이 지표면 아래 1m 이상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굴착된 웅덩이 또는 고랑의 단면은 윗변이 밑변보다 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도록, 깊어질수록 중심으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굴착한다.
웅덩이 또는 고랑의 밑변 중심에는 수목을 식재할 구덩이(10)를 굴착하고, 굴착과정에서 발생한 흙은 웅덩이의 사다리꼴 윗변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사방으로 쌓아서 두둑을 형성하거나, 고랑의 사다리꼴 윗변 양쪽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쌓아서 두둑을 형성하며, 상기 두둑은 가능한 한 높이 쌓도록 한다.
구덩이(10)를 굴착하는 과정에서 토양조성이 표토층(20)에서 석회질층과 같은 척박한 토양층으로 바뀔 경우에는 구덩이(10)를 좀더 크게 굴착하고 두둑의 표토층(20) 흙을 구덩이(10)에 채운 다음 수목을 식재하는 것이 수목의 뿌리가 유기물과 양분을 함유하는 표토층(20)에서 생육되므로 뿌리의 활착과 번식에 유리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구 조성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경우, 석회질을 함유하는 석회질층(30) 상부에 표토층(20)이 덮여있으며, 굴착된 웅덩이 또는 고랑의 단면은 상기 도 1에서의 실시예와 같이 윗변이 밑변보다 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먼저, 지표면의 표토층(20)을 굴착하여 일측에 쌓아두고, 석회질층(30)을 굴착하여 웅덩이의 사다리꼴의 윗변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사방으로 쌓아서 두둑을 형성하거나, 고랑의 사다리꼴의 윗변 한쪽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쌓아서 두둑을 형성하며, 상기 두둑은 가능한 한 높이 쌓도록 한다.
도 2에는 상기 두둑이 한쪽 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양쪽 면에 두둑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쌓아둔 표토층(20) 흙을 웅덩이 또는 고랑에 채우고 평평하게 고른 다음 웅덩이 또는 고랑에 채운 표토층(20) 흙 중심에 수목을 식재할 구덩이(10)를 만든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구덩이(10)에 수목을 식재하면 대부분 석회질로 이루어진 토양조건에서도 수목의 뿌리가 유기물과 양분을 함유하는 표토층(20)에서 생육할 수 있으므로, 뿌리의 활착과 번식공간을 양질의 표토층(20)으로 조성할 수 있다.
사막화 지역은 숲이 사라지면서 바람을 막아주지 못하여 바람에 의해 토양수분이 쉽게 증발하여 토양 속의 수분이 사라지게 되는데, 통상 바람은 밤과 낮 또는 계절에 따라 어느 일 방향 또는 이의 반대방향으로 불게 되므로 이러한 일 방향 또는 이의 반대방향을 주풍방향(prevailing wind direction)으로 설정한다.
지면을 고랑 형태로 굴착할 경우, 고랑의 길이방향을 상기 주풍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형성된 두둑이 방풍벽의 역할을 수행하여 식재구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이 바람에 의해 증발하는 것을 억제하며, 또한 겨울의 강한 바람과 추위로부터 식재된 어린 묘목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다.
또한, 수분은 햇빛에 의해서도 증발하므로, 상기 두둑과 고랑이 식재구에 그늘을 만들어 주어 멀칭(mulching) 효과를 제공하므로 식재구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고랑의 길이방향과 하루 중 해의 이동경로가 서로 평행할 경우, 일조시간 동안 태양의 직사광이 식재구 내부에 도달하고, 고랑의 길이방향과 하루 중 해의 이동경로가 서로 직각방향인 경우, 일조시간 중 태양이 중천 부근에 있을 경우에만 태양의 직사광이 식재구 내부에 도달하므로, 두둑의 햇빛차단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는 고랑의 길이방향과 하루 중 해의 이동경로가 서로 직각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랑의 길이방향은 조림지의 바람과 햇빛 등 기후환경을 감안하여 설정하되, 바람이 강하여 햇빛보다 바람에 의한 수분증발이 많을 경우, 고랑의 길이방향을 주풍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고, 햇빛이 강하여 바람보다 햇빛에 의한 수분증발이 많을 경우, 고랑의 길이방향을 해의 이동경로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지역의 해의 이동경로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므로, 상기 해의 이동경로 설정은 조림지에서 1년 중 햇빛이 가장 강한 시기를 기준으로 설정한다.
또한, 고랑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 개 설치하면 고랑과 고랑 사이의 두둑에 양쪽 고랑에서 굴착된 흙이 쌓여 두둑의 높이를 좀더 높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방풍 및 햇빛차단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지면을 웅덩이 형태로 굴착할 경우에는 바람의 방향이나 해의 이동경로와 관계없이 바람과 햇빛의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두둑, 고랑 및 구덩이(10)로 구성되는 식재구는 지표면 상의 입구가 넓고 하향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수렴형상을 하고 있어서, 강우시 빗물이 넓은 입구를 통하여 경사진 두둑과 고랑을 타고 구덩이(10)로 유입되고, 또한 겨울에 내린 눈은 고랑에 모여 있다가 봄에 서서히 녹으면서 구덩이(10)로 모이게 되어, 조림지에 내린 빗물과 눈은 대부분 구덩이(10)에 식재된 수목으로 공급된다.
사막화 지역의 특성상 빗물은 지면에서 곧바로 지하로 스며드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식재구의 구조는 빗물을 구덩이(10)로 수렴하여 수목의 뿌리에 공급하도록 하며, 또한 두둑과 고랑이 바람과 햇빛을 차단하여 식재구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므로 식재구의 토양은 장기간 수분을 유지할 수 있다.
웅덩이와 고랑의 굴착 깊이와 넓이는 바람과 햇빛을 차단효과를 최대화하면서 굴착에 따른 인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결정하는데, 조림지의 기후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굴착 깊이는 수분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바람과 햇빛 차단효과와 어린 묘목의 초기 생장시 바람피해를 예방하고 빗물과 눈 수집에 최적화되도록 50~150㎝ 깊이로 굴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착 넓이는 웅덩이 또는 고랑 내에서의 식재작업 효율성, 초기 생장시 수관(樹冠)의 범위를 고려하여 웅덩이의 지름 또는 고랑의 폭이 100~300㎝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랑의 경사도는 빗물이 고랑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중에 토양에 스며드는 것보다는 구덩이(10)로 모이는 양을 많도록 하면서 바람과 햇빛을 최대한 차단함과 동시에 고랑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토양 안정각을 고려하여 수평기준 경사각(40)을 40~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묘목이 식재될 구덩이(10)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묘목 뿌리의 크기와 토양의 성질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조성하고, 구덩이(10) 사이의 거리, 즉 식재될 수목의 주간(株間) 거리는 수목의 생장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1m 이상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구에 식재되는 수종은 바람과 햇볕에 의해 수분이 증발되어 토양의 수분량이 적은 사막화 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빨리 자라고 수고(樹高)가 높으며 바람에 견디는 힘이 세면서 조림지의 토양성분을 고려하여 생육이 잘 되는 수종(樹種)을 선정하는데, 예를 들어 상록수, 특히 수명이 긴 침엽수가 적당하다.
구체적으로는, 비술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등의 느릅나무과; 해송, 낙엽송, 젓나무 등의 소나무과; 신갈나무, 갈참나무, 가시나무 등의 참나무과; 버드나무, 미루나무 등의 버드나무과; 아까시나무, 골담초 등의 콩과; 아왜나무 등의 인동과; 녹나무 등의 녹나무과; 측백나무, 향나무 등의 측백나무과;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의 자작나무과; 까마귀밥나무 등의 범의귀과;를 예로 들 수 있다.
조림지의 강우량이 매우 적어서 상기의 방법으로도 수목 생육에 필요한 수분공급이 부족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수목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조림지에 관수시설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관수용 물은 조림지 주위에 관정(管井)을 개발하여 물탱크와 펌프시설을 설치하고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며, 관수는 사막화 지역의 특성상 점적관수 방식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의 식재구는 두둑과 웅덩이 또는 고랑에 의해 지표면으로부터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바람과 햇빛에 의한 수분증발이 억제되므로, 식재구 내 수분이 보전되는 효과가 있어서 식재구의 물공급 주기를 길게 하거나 또는 물 공급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식재구에 수목을 식재하여 조성되는 조림지를 2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을 1일씩 순차적으로 관수하여 분할된 구역 수만큼의 주기로 각 구역에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각 구역을 시간대별로 순차적으로 관수하여 분할된 구역 수만큼 물공급시간을 단축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림지를 4개 구역으로 나누고, 1일 1구역씩 순차적으로 관수하여 각 구역에 4일 주기로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각 구역을 6시간씩 순차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1일 24시간 공급하거나 각 구역을 4시간씩 순차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1일 16시간 공급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림지를 2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관수함으로써, 분할한 수만큼 관수시설의 설치규모를 축소할 수 있어서 관수시설의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림지의 규모가 방대하여 물공급 관로가 길어지고 물의 이송에 필요한 수압이 상승할 경우 조림지를 적절하게 분할하고 분할된 수만큼의 관수시설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은 식재구가 두둑과 둘러싸인 웅덩이 또는 고랑 깊숙이 위치하여 외부의 바람으로부터 수목 묘목이 보호되고 바람과 햇빛에 의한 수분 손실이 방지되며, 빗물을 최대한 모아서 웅덩이 또는 고랑의 경사면을 통하여 구덩이(10)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토양의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사막지역 및 건조지역에서도 식재된 수목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강한 알칼리성을 띠거나 석회질을 함유한 척박한 토양조건에서도 수목의 뿌리가 수목생육에 적합한 유기물과 양분을 함유하는 표토층(20) 토양에서 생육할 수 있으며, 조림지역의 강우 절대량이 수목 생육에 부족하여 조림지에 관수시설을 설치할 경우에도, 물의 공급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관수시설의 설치비와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간단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조성할 수 있어서 대규모의 조림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0:구덩이, 20:표토층, 30:석회질층, 40:경사각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막화가 진행되는 황무지의 지면을 웅덩이 형태로 굴착하되 굴착된 웅덩이의 단면은 윗변이 밑변보다 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도록 비스듬히 굴착하며,
    웅덩이의 윗변 길이는 100~300㎝이고 굴착 깊이는 50~150㎝이며 굴착 경사도는 수평기준 40~80°의 경사각(40)을 가지며,
    지표면의 표토층(20)의 흙을 굴착하여 일측에 쌓아두고 상기 지표면 아래의 석회질층(30)을 굴착하여 웅덩이의 사다리꼴의 윗변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사방으로 쌓아서 두둑을 형성하며,
    상기 표토층(20)의 흙을 웅덩이에 채우고 평평하게 고른 다음 웅덩이에 채운 표토층(20) 흙 중심에 수목을 식재할 구덩이(10)를 만드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재구는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8. 사막화가 진행되는 황무지의 지면을 고랑 형태로 굴착하되 굴착된 고랑의 단면은 윗변이 밑변보다 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도록 비스듬히 굴착하며,
    고랑의 윗변 길이는 100~300㎝이고 굴착 깊이는 50~150㎝이며 굴착 경사도는 수평기준 40~80°의 경사각(40)을 가지며,
    지표면의 표토층(20)의 흙을 굴착하여 일측에 쌓아두고 상기 지표면 아래의 석회질층(30)을 굴착하여 고랑의 사다리꼴 윗변 한쪽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쌓아서 두둑을 형성하며,
    상기 표토층(20)의 흙을 고랑에 채우고 평평하게 고른 다음 고랑에 채운 표토층(20) 흙 중심에 수목을 식재할 구덩이(10)를 만드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덩이(10)는 고랑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두둑은 고랑의 사다리꼴 윗변 양쪽 끝에서 바깥방향으로 쌓아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랑의 길이방향을 바람이 주로 불어오는 주풍방향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랑의 길이방향을 하루 중 해의 이동경로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랑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 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4.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덩이(10)에 식재되는 수목은 느릅나무과, 소나무과, 참나무과, 버드나무과, 콩과, 인동과, 녹나무과, 측백나무과, 자작나무과 및 범의귀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5.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재구가 조성되는 조림지에는 구덩이(10)에 식재되는 수목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물의 공급은 점적관수 방식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조림지를 2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을 1일씩 순차적으로 관수하여 분할된 구역 수만큼의 주기로 각 구역에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각 구역을 시간대별로 순차적으로 관수하여 분할된 구역 수만큼 물공급시간을 단축하여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18.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덩이(10) 사이의 거리는 1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KR1020120013907A 2012-02-10 2012-02-10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KR10133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07A KR101336170B1 (ko) 2012-02-10 2012-02-10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07A KR101336170B1 (ko) 2012-02-10 2012-02-10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70A KR20130092270A (ko) 2013-08-20
KR101336170B1 true KR101336170B1 (ko) 2013-12-06

Family

ID=4921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907A KR101336170B1 (ko) 2012-02-10 2012-02-10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5602B (zh) * 2019-10-22 2021-11-09 宁夏养正苗木有限公司 一种可提高存活率的中小树苗移栽机
CN115067015A (zh) * 2022-07-12 2022-09-20 杨宁昌 一种山地石漠化景观生态修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789A (ja) * 1994-10-27 1996-05-14 Taisei Corp 芝草を用いた土壌塩害防止方法
KR20080045830A (ko) * 2006-11-21 2008-05-26 유흥식 사막 및 건조지역의 식목방법
KR100864400B1 (ko) * 2007-07-30 2008-10-21 민현식 토질개선 식목방법
KR100965734B1 (ko) * 2009-03-06 2010-06-24 류영호 사막의 녹지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789A (ja) * 1994-10-27 1996-05-14 Taisei Corp 芝草を用いた土壌塩害防止方法
KR20080045830A (ko) * 2006-11-21 2008-05-26 유흥식 사막 및 건조지역의 식목방법
KR100864400B1 (ko) * 2007-07-30 2008-10-21 민현식 토질개선 식목방법
KR100965734B1 (ko) * 2009-03-06 2010-06-24 류영호 사막의 녹지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70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0342B (zh) 一体化半岩质高边坡植被重建保护方法
CN101849454B (zh) 盐碱滩地的生物综合改良方法
CN103931371B (zh) 一种石质边坡的生物防治方法
CN204238229U (zh) 麻椰植生绿化毯
CN102138491B (zh) 沿海滩涂地土壤与生态治理方法
CN2919846Y (zh) 边坡绿化植被垫
CN110832964A (zh) 一种建筑骨料矿山原位土壤改良及绿化方法
CN105103843A (zh) 防治干热河谷矿山排土场水土流失的植被配置方法
CN102668835A (zh) 用于北方地区冶金尾矿坝的植被恢复方法
CN102561366A (zh) 矿区煤矸石山植被恢复技术
CN102392454A (zh) 一种排土场反坡式平盘整治及生态恢复措施
CN208266847U (zh) 适用于黄土地区的沟壑区快速修复结构
CN110859066B (zh) 一种沙化土地植被恢复方法
CN104314086A (zh) 高陡岩质边坡生态恢复结构及实施方法
KR101241461B1 (ko)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
CN105850261B (zh) 一种坡地型盐碱地集雨洗盐系统
CN111543233A (zh) 沿海岛屿地区淤泥质盐碱地苗木种植的施工方法
CN109328805A (zh) 一种石漠化地区边坡生态治理方法
CN106120647B (zh) 边坡防护装置及防护方法
KR101336170B1 (ko) 사막화 방지 조림용 식재구 조성방법
CN104762946A (zh) 一种破损山体生态修复的填料及方法
CN112012229A (zh) 一种用于石灰岩矿采场高陡坡岩石边坡的生态修复系统
CN112514720B (zh) 一种干旱区盐土大面积梭梭免灌植被造林方法
CN212506332U (zh) 坡面锚钉挂网结构
Singh et al. Ecological engineering measures for ravine slope stabilization and its sustainable productive ut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