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017B1 -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017B1
KR100642017B1 KR1020050018234A KR20050018234A KR100642017B1 KR 100642017 B1 KR100642017 B1 KR 100642017B1 KR 1020050018234 A KR1020050018234 A KR 1020050018234A KR 20050018234 A KR20050018234 A KR 20050018234A KR 100642017 B1 KR100642017 B1 KR 100642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pipe
mold
side wall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567A (ko
Inventor
윤수열
Original Assignee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01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1Supporting means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63Additional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들이 자생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함과 아울러 파충류들의 서식처 및 도피로를 제공하기 위한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로관의 측벽판들을 파충류들이 도피하거나 서식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하고, 또한 경사진 측벽판들의 내측벽면에는 식생부를 설치하여 미생물과 식물이 자랄수 있는 환경 친화형 제품을 이루게 한 것이다.
수로관, 소켓부, 삽입단부, 식생부, 경사벽면

Description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a water conduit for environment and it's manufacture device and it's manufactur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에 대한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식생용 수로관들을 연결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을 연결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식생용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표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식생용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표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식생용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의 측벽을 상부로 연장 설치하기 위한 측별판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에 대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수로관에 대한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표시의 수로관에 대한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 내지 도 9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17a ~ 도 17e는 도 15표시의 금형을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로관 100 - 수로관 몸체
102 - 바닥판 104 - 양측벽판
110 - 연결용 소켓부 112 - 소켓단부
114 - 삽입단부 122 - 끼움홈
124 - 끼움돌기 130 - 충진홈
140 - 식생부 144 - 요입홈
146 - 돌기 148 - 구멍
200 - 형(型)본체 210 - 외형
220 - 내형 230 - 이동체
본 발명은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로 내에 미생물이나 식물이 자생할수 있는 식생부를 제공함과 아울러 파충류 및 양서류의 서식처와 도피로를 제공하며, 또한 견실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혹은 농로에는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수로를 설치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수로는 수로관들의 상호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데, 수로관은 통상 콘크리트 설비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어지는 PC(Precast Concrete)물품인데, 수로관은 철조 콘크리트로서 통상 U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게 형성되어 도로변 및 농로에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삭제
삭제
최근에는 자연생태의 보호를 위해 그 수로의 내부에서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하며 미생물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친 환경용 수로관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수로관은 수로의 내부에서 미생물이나 수초 또는 나무, 풀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고, 개구리, 뱀 등 파충류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수로관의 내측벽 혹은 바닥면에 돌덩이 혹은 자갈 등을 불규칙하게 배열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친 환경 수로관은 수로관과는 별개로하여 돌덩이 혹은 자갈 등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로관의 시공시 별개로 설치되는 돌덩이 혹은 자갈 등은 작업 공수를 증가되게 하여 작업성을 떨어지게 하는 폐단이 있고, 그결과 수로관의 시공비가 높아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생물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여서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파충류들이 도피하거나 서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견실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한 환경 친화형의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흐를 수 있는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폭이 넓어지는 경사벽면을 이루는 양측벽판들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어느 일측단부에는 끼움홈을 바닥면에 형성하며 내측벽면으로 몰타르를 충진할 수 있는 반원형상의 충진홈을 형성한 소켓단부를 구비하고 그 소켓단부 측으로 삽입할 수 있게 몸체의 반대측 단부에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삽입단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함에 의해 상기 몸체를 연속하여 연결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연결용 소켓부; 및 상기 양측벽판들의 내벽면에 요입되게 형성한 요입홈과 그 요입홈의 바닥으로부터 요입홈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한 소정 형상의 돌기들 과 상기 돌기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벽판들을 관통되게 형성한 구멍들로 이루어져 미생물이나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게 한 식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로의 측벽을 상부로 연장할 수 있게 몸체의 양측벽판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단턱을 구비하고 그 단턱에 결합되는 결합턱을 저면에 형성하며 양측 단부에는 서로 끼움되는 요철부를 구비함에 의해 연속하면서 연결되게 한 연장측벽판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측벽판들의 경사각도는 10~85도의 경사각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경사각을 이루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홈과 끼움돌기는 적어도 한개 이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수로관은 물이 흐를 수 있는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양측에 수직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벽판들로 이루어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어느 일측단부에는 끼움홈을 바닥면에 형성하며 내측벽면으로 몰타르를 충진할 수 있는 반원형상의 충진홈을 형성한 소켓단부를 구비하고 그 소켓단부 측으로 삽입할 수 있게 몸체의 반대측 단부에는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삽입단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함에 의해 상기 몸체를 연속하여 연결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연결용 소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는, 양측 단부에 연결용 소켓부를 구비함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면서 물이 흐를 수 있는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의 제조 금형 장치에 있어서, 소정 경사각을 이루게 설치한 좌우측판들 및 전후판들을 해체할 수 있게 조립하여 몰타르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형과 그 외형 보다는 작은 크기로 소정 경사각을 갖는 통체를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외형의 내부에 위치시켜 주위로는 몰타르 타설용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형으로 이루어진 형(型)본체; 및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어느 일면은 내형의 경사각에 밀착되고 다른 일면에는 수로관의 내벽면에 요입홈과 돌기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돌부를 구비하고 그 성형돌부에서 돌출되게 코아축이 설치된 이동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은, 양측 단부에 연결용 소켓부를 구비함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면서 물이 흐를 수 있는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면(全面)이 폐쇄되며 양측에 소정 경사면을 갖는 통체 구조의 내형을 설치하고 그 내형의 경사면에 수로관의 내벽면으로 요입홈과 돌기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돌부를 갖고 그 성형돌부에서 돌출되는 코아축을 구비한 이동체를 밀착되게 설치한 후 소정 경사각을 이루게 설치한 좌우측판들 및 전후판들로서 해체 가능하게 외형을 설치하여 내부에 몰타르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조립하는 단계; 상기 내외형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로관을 제작하기 위해 준비한 몰타르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내외형의 사이 공간에 타설된 몰타르를 양생 후 상기 외형의 각 판들을 해체한 다음 내형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시켜 제품을 탈리하는 단계; 및 상기 탈리된 제품의 외부에서 실린더에 의해 이동체의 코어축을 제품의 내측으로 밀어줌에 의해 상기 제품의 내벽면으로 요입홈과 돌기들 및 구멍들이 형성되게 이동금형을 탈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에 대한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표시의 식색용 수로관을 연결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의 연결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수로관(10)은 콘크리트 설비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어지는 PC(Precast concrete)물품인데, 상기 수로관(10)은 철조 콘크리트로서 통상 U자 형상의 단면을 이루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로관(10)은 바다판(102)과 그 바닥판(102)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폭이 넓어지는 경사벽면을 이루는 양측벽판(104)으로 이루어진 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00)의 양단부에는 연결용 소켓부(110)가 구비되어 인접 배치되는 수로관들을 연결하는데, 상기 연결용 소켓부(110)는 상기 몸체(100)의 어느 일단에 소켓단부(112)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 단부에 상기 소켓단부(112) 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단부(114)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의 소켓단부(112)로 인접 배치되는 수로관들을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로관(10)들을 연결할 때 상기 소켓단부(112)에는 끼움홈(122)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단부(114)에는 끼움돌기(124)를 구비하여 연결하고, 또 상기 소켓단부(112)의 내측벽에는 몰타르를 충진할 수 있는 충진홈(1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끼움홈(122)은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10)의 어느 일측단부에 형성된 소켓단부(112)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124)는 삽입단부(114)의 저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들의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가 결합되었을 때 이들이 끼움 결합되게 연결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들의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가 결합되었을 때 그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가 만나는 측벽에는 반원형상의 충진홈(130)을 구비하여, 이 충진홈(130)에 몰타르를 충진하는 것에 의해 연결된 몸체(100)들을 일체화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몸체(100)들을 연결할 때 소켓단부(112)에 형성한 끼움홈(122)과 삽입단부(114)에 형성한 끼움돌기(124)가 끼움 결합되게 하고, 또 충진홈(130)을 이용하여 몰타르를 충진함에 의해 인접 배치되게 연결 설치되는 수로관(10)들을 일체화되게 연결할 수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는 상기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1개씩을 형성함이 좋은데, 뒤에서 설명하는 첨부도면 도 13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에 서로 대응되게 2개씩을 형성하여도 된다. 즉, 상기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는 적어도 한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에 의해 인접한 수로관(10)들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로관(10)들을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를 결합시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를 끼움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 이러한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에 의해 인접되게 배치 설치되어 연결되는 몸체(100)들을 견고한 상태로 일체화 할 수 있다. 또한, 충진홈(18)은 소켓단부(12)의 양측 내벽에 반원형상으로 형성하여, 몸체(100)들을 연결시 상기 반원형상의 충진홈(18)에 몰타르를 충진하여 인접 배치되게 연결되는 몸체(100)들의 연결부위를 일체화 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0)의 양측벽판(104)에는 식생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식생부(140)는 미생물이나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양측벽판(104)을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벽면으로 형성하고, 그 경사벽면의 내벽면에 요입되는 요입홈(144)을 형성하며 상기 요입홈(144)의 바닥으로부터 그 요입홈(144)의 높이만큼 돌출되게 소정 형상의 돌기(146)들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146)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양측벽판(104)을 관통되게 형성한 구멍(148)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측벽판(104)의 경사각은 10~85도의 경사각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경사각을 이루게 형성함이 좋다. 그리고 상기 돌기(146)들은 돌덩이 형상으로 형성됨이 좋다.
삭제
이와 같은 식생부(140)의 요입홈(144)과 돌기(146)들에 의해 수로내의 생물들은 물론 식물들이 자생되게 할 수 있다. 즉, 요입홈(144)은 돌기(146)의 주위로 풀이나 수초 등의 식물이 자랄수 있는 흙을 머루르게 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항상 식물들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자양분을 제공하는 환경을 조성하게 해준다. 그 결과 수로 내에 생존하고 있는 많은 생물들의 에너지원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식생부(140)에 의해 수로 내에서 미생물이 자생하면서 유기물 분해과정을 일으켜서 자연에서의 영양분을 재순환시키고 상기 수로 내에 유입되는 생물들 즉,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에너지원이 됨으로써 이들의 생존율을 높여줄 수 있다.
삭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10)은 양측벽판(104)을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벽면으로 형성하고 그 내측벽면에 요입홈(144)과 돌기(146)들을 형성함에 의해 수로의 내부로 갑작스럽게 유입되는 물로 인하여 급류발생 시, 그 수로의 내에 있던 개구리, 뱀 등의 양서류가 급류에 휘말려 떠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걸림 턱과 같은 피신처로서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들 들어, 개울가에서 갑작스런 빠른 물살이 발생시 개구리 등과 같은 양서류가 경사벽면에 형성한 요입홈(144)과 돌기(146)들에 달라붙어 임시 그 물살을 피하는 것과 같은 조건을 제공하여 생태계를 균형 있게 보호 유지하여 실제적인 환경보호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벽면에 의해 개구리 등의 생물들이 이동을 쉽게 하여 수로 내부로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사벽면에 의해 수로 내에 있는 개구리 등과 같은 양서류 즉, 생물들이 조기에 용이하게 도피할 수 있도록 하여서 자연환경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어 생태계 보존에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생태의 보호를 위해 양측벽판(104)을 소정 경사각을 갖는 경사벽면으로 형성하고 그 경사벽면의 내면에 요입홈(144)과 돌기(146)들을 형성하여 수로관의 벽면에 미생물이나 수초 또는 나무, 풀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경사벽면을 따라서 개구리, 뱀 등 파충류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도면 부호(12)는 수로관(100)의 양측벽판(104)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한 홈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식생용 수로관(10)은, 지반 공사가 완료되면 몸체(100)들이 놓여지면서 연결 조립되는데, 상기 몸체(100)의 삽입단부(114)를 인접되는 몸체(100)의 소켓단부(112)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몸체(100)는 연속하여 조립되면서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켓단부(112)의 바닥면에 형성한 끼움홈(122)과 상기 삽입단부(114)의 저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끼움돌기(124)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는 몸체(100)들의 유동이 없도록 하면서 연결 설치된다.
특히, 상기 몸체(100)들의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가 만나는 양측 벽부에 형성한 충진홈(130)을 통해 몰타르를 충진하게 되면, 그 충진되는 몰타르에 의해 인접된 몸체(100)들을 일체화되게 결합함에 의해 더욱 견실한 상태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되는 몸체(100)들은 서로 이격되는 일이 없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에 의해 몸체(100)들의 조립 설치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충진홈(130)에 의해 몸체(100)들을 조립 설치시 인접한 몸체(100)들을 견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이 조립된 수로의 양측벽판(104)은 소정 경 사각을 이루는 경사벽면으로 구비되고 그 경사벽면의 내벽면에 요입홈(144)과 돌기(146)들이 형성됨에 의해 미생물이나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도 1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식생용 수로관의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는 위 실시예의 양측벽판(104)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12)의 개수만이 차이가 있을 뿐 그 외는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6은 도 1표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식생용 수로관의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위 실시예의 양측벽판(104)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12)의 갯수 및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의 형상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외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여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즉, 상기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의 상단부가 몸체(100)와 동일 높이로 형성된 것이다.
도 7은 도 1표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식생용 수로관의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도 양측벽판(104)의 외면에 형성되는 홈(12) 및 소켓단부(112)와 삽입단부(114)의 형상에만 차이점이 있을 뿐 그 외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의 측벽을 상부로 연장 설치하기 위한 측별판넬의 분 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에 대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몸체(100)의 양측벽판(104)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단턱(116)을 구비하고, 그 단턱(116)에 결합되어 수로의 측벽을 상부로 연장 설치할 수 있게 한 연장측벽판넬(150)을 더 구비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상기 연장측벽판넬(150)은 몸체(100)의 양측 상단에 구비한 단턱(116)에 결합되는 결합턱(152)을 저면에 형성하고 양측 단부에는 서로 인접한 연장측벽판넬(150)들을 결합할 수 있게 한 서로 대응하는 요철부(15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연장측벽판넬(150)의 설치로 인해 몸체(100)가 설치되는 어느 일측이 높을 경우, 예를 들어 수로의 일측은 산으로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논으로 형성될 경우 수로의 양측 높이가 서로 다르게 되므로 이런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측벽판넬(150)의 내측벽면에도 위에서 설명한 식생부(140)가 더 형성됨이 좋다. 즉, 연장측벽판넬(150)의 내측벽면에 요입홈(144) 및 돌기(146)들이 형성됨이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수로관에 대한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몸체(100)의 양측벽판(104)을 경사각을 갖지 않는 수직한 벽면을 구비하지 않고 또 식생부를 구 비하지 않은 통상의 개거(開渠) 수로관(10)에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 및 충진홈(130)을 구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수로관들을 연결 설치시 상기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 및 충진홈(130)에 의해 견실한 연결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13은 도 11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표시의 수로관에 대한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삭제
도면에 나타낸 변형예는 위 제3실시예에서 상기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를 각각 2개씩을 형성한 것에 차이점이 있을 뿐, 그 외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홈(122)과 끼움돌기(124)를 각각 2개씩 형성하는 것을 한정하지 않고 이미 앞에서 설명한 모든 수로관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5는 도 1 내지 도 9표시의 식생용 수로관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제조 금형장치(200)는, 형(型)본체(200)와 이동금형(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형본체(200)는 소정 경사각을 이루게 설치한 좌우측판들(212,214) 및 전후판들(216,218)을 해체할 수 있게 조립하여 몰타르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형(210)과, 그 외형(210) 보다는 작은 크기로 소정 경사각을 갖는 통체를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외형(210)의 내부에 위치시켜 주위로는 몰타르 타설용 공간부(202)를 형성하는 내형(2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체(230)는 상기 공간부(2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어느 일면은 내형(220)의 경사각에 밀착되고 다른 일면에는 수로관의 내벽면에 요입홈과 돌기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돌부(232)를 구비하고 그 성형돌부(232)에서 돌출되게 형성한 코아축(23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금형장치(2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a ~도 17e는 도 15표시의 금형을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베이스판(240)의 상면에 전면(全面)이 폐쇄되며 양측에 소정 경사면을 갖는 통체 구조의 내형(220)을 설치하고 그 내형(220)의 경사면에 수로관의 내벽면으로 요입홈과 돌기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돌부(232)를 갖고 그 성형돌부(232)에서 돌출되는 코아축(234)을 구비한 이동금형(230)을 밀착되게 설치한 후 소정 경사각을 이루게 설치한 좌우측판들(212,214) 및 전후판들(216,218)로서 해체 가능하게 외형(210)을 설치하여 내부에 몰타르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형(型)본체(200)를 조립한다.
이 상태에서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외형(220,21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로관을 제작하기 위해 준비한 몰타르를 타설하고, 상기 내,외형(220,210)의 사이 공간에 타설된 몰타르를 양생 후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형(210)의 각 판들(212...218)을 해체한 다음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형(220)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시켜 수로관(10) 제품을 탈리한다.
이와 같이 탈리된 제품의 외부에서 도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236)에 의해 이동체(230)의 코어축(234)을 제품의 내측으로 밀어줌에 의해 상기 제품의 내벽면으로 요입홈(144)과 돌기(146)들 및 구멍(148)들이 형성되게 이동금형(130)를 탈리하여 도 17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로관(10)의 양측벽을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경사벽면을 형성하기 위해 내,외형(220,210)에 소정 경사면을 구비하고, 그 경사벽면에 구비되는 식생부(140)는 이동금형(230)의 성형돌부(232)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이동금형(230)을 제품의 내측으로 밀어냄에 의해 제품으로부터 탈리하게 되므로 식생부(140)를 수로관(10)의 내측 벽면에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18)은 상기 금형장치(200)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할 때 그 제품을 들어올리기 위해 설치한 고리이다. 이 고리를 이용하여 완성된 제품의 이동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로관의 경사벽면에 형성한 식생부에 의해서는 미생물 혹은 식물들이 상기 수로 내에서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의 제공과 아울러 수로 내의 생물들에게 에너지원이 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수로관의 경사벽면은 급류(急流)시 혹은 평시에 양서류나 파충류가 서식 혹은 도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친환경 효과가 있다. 또 수로관 연결의 작업성의 향상과 아울러 수로관의 연결을 견실하게 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도 쉽게 변형됨이 없게 한 효과를 갖게 하였다.

Claims (7)

  1. 물이 흐를수 있는 수로를 형성하며, 수로의 양측 내벽면에는 그 내벽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한 돌기들과 상기 돌기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로벽면을 관통되게 형성한 구멍들을 갖는 수로관에 있어서,
    바닥판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폭이 넓어지는 경사벽면을 이루는 양측벽판들로 이루어져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어느 일측단부에 형성되며 내측벽면에는 몰타르를 충진할 수 있는 반원형상의 충진홈이 바닥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된 소켓단부와, 상기 소켓단부와 삽입할 수 있게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며 저면으로는 상기 끼움홈과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삽입단부로 이루어진 연결용 소켓부; 및
    상기 연결용 소켓부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경사진 내벽면에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 및 구멍의 주위로 미생물이나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흙 등이 쌓이게 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요입홈으로 이루어진 식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식생용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양측벽판을 상부로 연장할 수 있게 상기 몸체의 상기 양측벽판 상단부에 연속하면서 연결되게 한 연장측벽 판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측벽판넬과 상기 수로의 양측벽판의 상단부 각각에는 상호 결합하기 위한 단턱과 결합턱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장측벽판넬의 양측 단부 각각에는 인접되는 연장측벽판넬들을 서로 끼움결합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수로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수로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 경사각을 이루게 조립 설치한 좌우측판들과 상기 좌우측판들의 양단을 폐쇄하게 조립 설치되는 전후판들로 이루어진 외형, 상기 외형 내부에 위치시켜 상부 및 전후 주위로만 몰타르 타설용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외형의 상기 좌우측판들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이루며 전면이 폐쇄된 통체를 이루는 내형으로 이루어진 형(型)본체; 및
    상기 내형의 좌우측판의 각각에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게 판형상을 이루어 상기 내형에 이동할수 있게 위치되며, 외면에는 요입홈과 돌기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돌부를 구비하고 그 성형돌부에서 돌출되게 코아축이 설치되어 수로관에 식생부를 형성하는 이동 금형을 포함하는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7. 수로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면(全面)이 폐쇄되며 좌우측으로 소정 경사면을 갖는 통체 구조의 내형을 설치하고 그 내형의 경사면에 수로관의 내벽면으로 요입홈과 돌기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돌부를 갖고 그 성형돌부에서 돌출되는 코아축을 구비한 이동금형을 밀착되게 설치한 후 소정 경사각을 이루게 설치한 좌우측판들 및 전후판들로서 해체 가능하게 외형을 설치하여 내부에 몰타르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조립하기 위한 단계;
    상기 내,외형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기 준비된 몰타르를 타설하기 위한 단계;
    상기 내,외형의 사이 공간에 타설된 몰타르를 양생 후 상기 외형의 각 판들을 해체한 다음 내형으로부터 이동금형과 같이 양생된 수로관을 탈리하기 위한 단계; 및
    상기 탈리된 수로관에서 상기 이동금형 측으로만 가해지는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수로관에 식생부를 형성하는 상기 이동금형들을 상기 수로관 제품의 내측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20050018234A 2005-03-04 2005-03-04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0642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34A KR100642017B1 (ko) 2005-03-04 2005-03-04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34A KR100642017B1 (ko) 2005-03-04 2005-03-04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871U Division KR200384423Y1 (ko) 2005-03-04 2005-03-04 식생용 수로관 및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567A KR20060102567A (ko) 2006-09-28
KR100642017B1 true KR100642017B1 (ko) 2006-11-06

Family

ID=3762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234A KR100642017B1 (ko) 2005-03-04 2005-03-04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0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969B1 (ko) 2008-05-02 2008-12-01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비탈면 탈출 용배수로관
KR101107431B1 (ko) 2009-06-02 2012-01-19 한만성 측구 수로관 및 그 제조장치
KR20190031876A (ko) 2017-09-19 2019-03-27 김광중 벽체 수로관
KR20190104838A (ko) 2018-03-02 2019-09-11 김광중 벽체수로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50Y1 (ko) * 2009-06-16 2012-01-12 한동권 수로블록
KR101295454B1 (ko) * 2013-05-07 2013-08-09 김광중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KR101717175B1 (ko) * 2015-09-07 2017-03-16 합자회사 대청인더스트리 친환경 지수 수로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969B1 (ko) 2008-05-02 2008-12-01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비탈면 탈출 용배수로관
KR101107431B1 (ko) 2009-06-02 2012-01-19 한만성 측구 수로관 및 그 제조장치
KR20190031876A (ko) 2017-09-19 2019-03-27 김광중 벽체 수로관
KR20190104838A (ko) 2018-03-02 2019-09-11 김광중 벽체수로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567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017B1 (ko)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1018664B1 (ko)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
KR200384423Y1 (ko) 식생용 수로관 및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KR20180134227A (ko) 파이프 기반 인공 조경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340292B1 (ko) 기능성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576795B1 (ko)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101272898B1 (ko) 보강구조를 갖는 환경수로블럭과 그 제조장치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200273648Y1 (ko) 생태보호 철근콘크리트 조립식 측구
KR20070053922A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68973Y1 (ko) 인공바위
KR101665475B1 (ko) 무개형 수로관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무개형 수로관 제조방법
KR101902688B1 (ko)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KR101354694B1 (ko) 생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JP2019195276A (ja) 人工礁の製造方法
KR101915105B1 (ko) 수직 및 경사 쌓기가 가능한 식생블록 및 그 식생블록 시공방법
KR200371373Y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JP292394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植栽用擁壁ブロックと植栽用ブロック移動体
KR20040077635A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옹벽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KR100804269B1 (ko)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KR200408198Y1 (ko) 호안용 생태블록
KR100859294B1 (ko)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