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454B1 -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 Google Patents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454B1
KR101295454B1 KR1020130051125A KR20130051125A KR101295454B1 KR 101295454 B1 KR101295454 B1 KR 101295454B1 KR 1020130051125 A KR1020130051125 A KR 1020130051125A KR 20130051125 A KR20130051125 A KR 20130051125A KR 101295454 B1 KR101295454 B1 KR 10129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groove
latch
water pipe
wir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중
Original Assignee
김광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중 filed Critical 김광중
Priority to KR102013005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Abstract

본 발명은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과 측판이 일체로 형성된 'U' 형상의 수로관 본체;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면; 상기 경사면에서 바닥판의 길이방향으로 노출된 바닥철망; 상기 경사면과 바닥판의 경계선상에서 바닥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닥걸쇠홈; 상기 바닥걸쇠홈에 끼워져 두 개의 바닥판을 맞댄 상태로 상호 고정하는 바닥걸쇠; 상기 측판의 양단에 형성된 몰탈주입홈; 상기 몰탈주입홈 내부에서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노출된 측판철망; 상기 몰탈주입홈에서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판걸쇠홈; 상기 측판걸쇠홈에 끼워져 두 개의 측판을 맞댄 상태로 상호 고정하는 측판걸쇠; 상기 경사면의 상부와 상기 몰탈주입홈에 채워지는 콘크리트몰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성이 향상되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시공 후 부동침하가 생기 않아 고품질의 수로관 설치 공사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시공 설치가 쉽고 빠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RAISED SPOT WITHOUT ECO FRIENDLY CONCRETE WATERWAY}
본 발명은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하고자 하는 밑부분인 터파기(기초) 공사에서 바로 지면 평탄작업 후 시공할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킨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로의 측부나 농로의 측부에는 빗물이 배수 또는 농수 공급을 목적으로 수로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로관은 통상 도 1의 예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 안착턱(1)을 구비한 확관부(2)를 가지며, 'U'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다수의 수로관(3)을 서로 조립하여 연결하되, 후단부를 선단부의 안착턱(1)에 안착시키는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로관(3)은 안착턱(1)을 기준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취약하여 누수의 우려가 높고, 누수시 농수 부족현상이 발생되며, 누수 부위의 지반이 침하되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부득이하게 수로관(3)이 설치될 지반을 터파기한 다음 평활화한 상태로 유지하고, 그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로 지반 기초 공사를 한 후 수로관(3)을 설치하는 형태로 변형되고 있어 비용이 이중으로 지출되고 공사기간이 그만큼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즉, 도시와 같은 벤치플룸관은 터파기 후 몰탈 작업하고 그 이후에 시공하는 형태이며, 또한 연결 부분에 턱이 있기 때문에 연결 후 턱에 의한 단차만큼 수로관의 일부가 떠 있는 상태이므로 그로 인해 부동침하가 발생되고, 그에 따른 누수 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0642017호, 등록실용 제0400425호를 비롯한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었지만 실효성이 떨어져, 현재는 대부분 현장에서 수로 거푸집을 짜고 콘크리트 몰탈을 직접 타설하여 시공하는 원시적인 형태로 되돌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평탄작업 후 곧바로 수로관을 시공하더라도 부동침하가 발생되지 않고 누수가 생기지 않아 시공 설치작업이 쉽고 빠르며,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수로관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닥판과 측판이 일체로 형성된 'U' 형상의 수로관 본체;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면; 상기 경사면에서 바닥판의 길이방향으로 노출된 바닥철망; 상기 경사면과 바닥판의 경계선상에서 바닥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닥걸쇠홈; 상기 바닥걸쇠홈에 끼워져 두 개의 바닥판을 맞댄 상태로 상호 고정하는 바닥걸쇠; 상기 측판의 양단에 형성된 몰탈주입홈; 상기 몰탈주입홈 내부에서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노출된 측판철망; 상기 몰탈주입홈에서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판걸쇠홈; 상기 측판걸쇠홈에 끼워져 두 개의 측판을 맞댄 상태로 상호 고정하는 측판걸쇠; 상기 경사면의 상부와 상기 몰탈주입홈에 채워지는 콘크리트몰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측판의 일측 내벽면에는 물결모양으로 요입된 수생동물 탈출로가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측판의 일측면에는 원형상의 수로연결 예정부를 더 형성하되, 수로 연결지점에서 떼어내기 쉽도록 두께의 일부까지만 절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성이 향상되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시공 후 부동침하가 생기 않아 고품질의 수로관 설치 공사를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시공 설치가 쉽고 빠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로관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조립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을 구성하는 도 3에서 각각 X-X선 및 Y-Y선 단면으로 추가된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수로관들끼리의 연결부에 턱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조립 시공 후 부동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때문에, 기존처럼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한 기초 공사가 필요없고, 평탄화된 상태에서 곧바로 수로관을 조립 시공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이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과 측판(200)이 일체로 형성된 수로관 본체(BT)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로관 본체(BT)는 대략 'U' 형상을 갖는 하나의 단위체가 되며, 이들이 서로 연결 조립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 수로관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 본체(BT)는 수로관들끼리의 연결부에 턱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수로관들을 연결하기 위해 포개는 방식이 아니라, 지금까지 적용되지 않는 새로운 개념으로서 맞대기 방식의 조립구조를 갖는다.
맞대기 방식의 조립을 위해, 상기 바닥판(100)의 양측면에는 경사면(110)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10)은 도 6의 (a)와 같이, 두 개의 바닥판(100)을 맞대었을 때 대략 'V'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맞대기 되었을 때 상부에 공간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에는 콘크리트몰탈(C)이 채워진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110)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바닥철망(M1)이 돌출되는데, 상기 바닥철망(M1)은 두 개의 바닥판(100)이 맞대어졌을 때 서로 겹치게 되어 포개지도록 구성되며, 콘크리트몰탈(C) 충전시 이들이 일종의 철근 역할을 하게 되면서 양자를 상호 견고히 결속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면(110)의 시작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닥걸쇠홈(120)이 요입 형성되는데, 상기 바닥걸쇠홈(120)은 상기 바닥판(100)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걸쇠홈(120)에는 대략 '∩' 형상의 바닥걸쇠(130)가 끼워져 양쪽 바닥판을 상호 결속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콘크리트몰탈(C)이 채워짐으로써 견고한 고정관계를 유지하게 되며, 콘크리트몰탈(C)의 표면은 상기 바닥판(100)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한편, 상기 측판(200)의 양단면에도 몰탈주입홈(210)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몰탈주입홈(210) 내부에도 측판철망(M2)이 돌출되는데, 이것은 상술한 바닥철망(M1)과 유사한 개념이며 일종의 심지, 즉 철근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몰탈주입홈(210)의 양측면에는 측판걸쇠홈(220)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측판걸쇠홈(220)에는 측판걸쇠(230)가 끼워지는데, 이는 도 6의 (b)와 같다.
따라서, 상기 측판(200)도 상기 바닥판(100)과 마찬가지로 측판철망(M2)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C)이 주입되며, 두 개의 측판은 측판걸쇠홈(220)에 끼워진 측판걸쇠(23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므로 상호간 벌어짐은 물론 부동침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걸쇠를 이용하여 바닥판(100)과 측판(200)이 이웃하는 바닥판과 측판들을 견고히 결속하고, 그들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몰탈(C)이 채워짐으로써 누수방지는 물론 결속력 강화에 따른 벌어짐 방지, 연결부 턱 제거와 결속력 강화로 인한 부동침하 방지 등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공의 편의성, 신속성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200)의 일측 내벽면에는 물결모양의 수생동물 탈출로(24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생돌물 탈출로(240)는 뱀과 같은 생물이 수로에 빠지게 되면 측판(200)이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수생돌물 탈출로(240)를 홈 형태로 구현해 줌으로써 수생동물이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성은 물론 자연친화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상의 수로연결 예정부(250)를 만들되, 필요시 따내기 쉽도록 두께의 일부까지만 절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수로 연결시 해당 부위를 햄머 등으로 타격하여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로 연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은 기존과 다른 개념으로 맞대기 접속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100 : 바닥판 110 : 경사면
120 : 바닥걸쇠홈 130 : 바닥걸쇠
200 : 측판 210 : 몰탈주입홈
220 : 측판걸쇠홈 230 : 측판걸쇠
240 : 수생동물 탈출로 250 : 수로연결 예정부

Claims (3)

  1. 바닥판과 측판이 일체로 형성된 'U' 형상의 수로관 본체;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경사면;
    상기 경사면에서 바닥판의 길이방향으로 노출된 바닥철망;
    상기 경사면과 바닥판의 경계선상에서 바닥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닥걸쇠홈;
    상기 바닥걸쇠홈에 끼워져 두 개의 바닥판을 맞댄 상태로 상호 고정하는 바닥걸쇠;
    상기 측판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몰탈주입홈;
    상기 몰탈주입홈 내부에서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노출된 측판철망;
    상기 몰탈주입홈에서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측판걸쇠홈;
    상기 측판걸쇠홈에 끼워져 두 개의 측판을 맞댄 상태로 상호 고정하는 측판걸쇠;
    상기 경사면의 상부와 상기 몰탈주입홈에 채워지는 콘크리트몰탈;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의 일측면에는 원형상의 수로연결 예정부를 더 형성하되, 수로 연결지점에서 떼어내기 쉽도록 두께의 일부까지만 절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2. 삭제
  3. 삭제
KR1020130051125A 2013-05-07 2013-05-07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KR10129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25A KR101295454B1 (ko) 2013-05-07 2013-05-07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25A KR101295454B1 (ko) 2013-05-07 2013-05-07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454B1 true KR101295454B1 (ko) 2013-08-09

Family

ID=4922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125A KR101295454B1 (ko) 2013-05-07 2013-05-07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260A (zh) * 2019-09-12 2019-11-22 蓝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渡槽的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567A (ko) * 2005-03-04 2006-09-28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20110132809A (ko) * 2010-06-03 2011-12-09 장동석 생태통로형 지면밀착 조립식 개거 수로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567A (ko) * 2005-03-04 2006-09-28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20110132809A (ko) * 2010-06-03 2011-12-09 장동석 생태통로형 지면밀착 조립식 개거 수로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260A (zh) * 2019-09-12 2019-11-22 蓝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渡槽的施工方法
CN110485260B (zh) * 2019-09-12 2020-11-24 蓝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渡槽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290B1 (ko) 강합성 psc 파형강판 u거더
KR101278687B1 (ko) 박스형 추진 강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599811B1 (ko)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24303B1 (ko)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KR101392008B1 (ko) 시공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 수로관
KR101295454B1 (ko) 턱 없는 친환경 수로관
KR101604726B1 (ko)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KR101521556B1 (ko)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의 시공방법
KR101469603B1 (ko) 다목적 결속관을 구비한 루프용 강관의 구조 및 이를 적용하여 지하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JP6861472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
KR101208419B1 (ko) 박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압입공법
KR101697938B1 (ko) 배수로 조립체
KR101034853B1 (ko)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요철표면 대응형 거푸집
KR101556674B1 (ko) 강관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강관구조체 시공방법
JP6703816B2 (ja) フーチング基礎構造
CN109779090A (zh) 装配式预制剪力墙、建筑结构及该建筑结构的施工方法
KR20140110526A (ko) 지하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에 사용되는 고정커플러와 이를 이용한 매입슬래브 시공방법
KR101165347B1 (ko) 연결부위에 턱이 없는 개거수로관과 개거수로관 시공방법
JP2013142275A (ja) 鋼矢板地下壁構造
KR102153783B1 (ko) 자립식 말뚝 벽체를 이용한 합벽식 지하도로
JP2018009388A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JP4916485B2 (ja) 鋼管矢板の継手構造、鋼管矢板基礎及び鋼管矢板の連結方法
KR101804342B1 (ko) Pc파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pc파일 구조물
KR20150139350A (ko) 절곡앵글형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한 pc 박스 및 그 시공방법
JP6811057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