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269B1 -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 Google Patents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269B1
KR100804269B1 KR1020070048347A KR20070048347A KR100804269B1 KR 100804269 B1 KR100804269 B1 KR 100804269B1 KR 1020070048347 A KR1020070048347 A KR 1020070048347A KR 20070048347 A KR20070048347 A KR 20070048347A KR 100804269 B1 KR100804269 B1 KR 10080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ottom body
molds
vegeta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쾌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산산업
윤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산산업, 윤쾌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산산업
Priority to KR102007004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35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 B28B7/0044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the sidewalls of the mould being only tilted away from the sidewalls of the moulded article, e.g. moulds with hingedly mounted side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체(110); 상기 바닥체(110) 상에 입설되어 뼈대를 이루는 입설체(120); 상기 바닥체(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2회동식 연결체(112)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외면형틀(130, 130'); 상기 바닥체(110)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입설체(120)에 고정되는 바닥면형틀(160); 상기 외면형틀(130, 130') 사이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1회동식 연결체(111)를 매개로 하단은 상기 바닥체(11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단은 상기 바닥면형틀(160)의 측면부에 접하면서 바닥체(110) 중심으로 기울어지도록 되며,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내면형틀(140, 140'); 및 상기 외면형틀(130, 130'), 내면형틀(140, 140'), 바닥면형틀(160) 및 상기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 사이의 바닥체(110)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개구된 전면 및 후면을 폐구하는 전면형틀(151) 및 후면형틀(152)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Mold structure for making a water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다른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제3실시예를 통해 제작된 식생수로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종래 형틀구조물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100", 101 ; 형틀구조물 110 ; 바닥체
111, 112 ; 제1,2회동식 연결체 113 ; 고정부
114 ; 지지돌부
120 ; 입설체 121 ; 체결돌기
122 ; 안착대 130, 130' ; 외면형틀
131 ; 통로성형대 132 ; 구멍형성돌기
140, 140' ; 내면형틀 141 ; 문양홈
142 ; 고정돌기 143 ; 밀림턱
144 ; 성형홈 151 ; 전면형틀
152 ; 후면형틀 160 ; 바닥면형틀
161 ; 성형돌기 171, 172 ; 지지링커
200 ; 식생수로관 210 ; 바닥
211 ; 퇴적홈 220 ; 측벽
221 ; 내면 222 ; 외면
223 ; 탈출로 224 ; 관삽입홈
225 ; 구멍 M ; 콘크리트 몰탈
P ; 푸쉬어 S ; 입체무늬
본 발명은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수로관은 저수지에 저수된 용수 또는 하천수 등을 농수 또는 생활수로 활용 하기 위해, 상기 저수지와 하천으로부터 용수를 끌어올려 사용지까지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흔히 흄관 또는 배수관 등으로 널리 명명된다.
이러한 수로관은 지상에 상면이 드러나도록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지상에 흐르는 우수를 배수처리하고, 사용자가 상기 수로관으로부터 직접 용수를 퍼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자연친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 영향이 각종 토목구조물에도 미치고 있고, 토목구조물의 일종인 수로관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수로관은 자연생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단순히 인공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자연에 동화될 수 있는 수로관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춰, 자연과 쉽게 동화하고 자연생태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식생수로관이 제작되고 있다.
근래 제작되는 식생수로관은 유수와 접촉하는 측벽 내면에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식생수로관으로 빠진 각종 생물들이 내면을 타고 쉽게 오를 수 있도록 양각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입체무늬를 형성시킨다. 또한, 측벽을 경사지게 하여 식생수로관에서 각종 생물이 수훨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형상을 갖는 식생수로관은 거푸집인 형틀구조물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된다.
도 10은 종래 형틀구조물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형틀구조물(10)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체(11)와, 이 바닥체(11) 상 에 돌출형성되는 입설체(12)와, 입설체(12)의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되어 식생수로관의 바닥면을 형성시키는 바닥면형틀(17)과, 식생수로관의 외면을 이루는 외면형틀(13, 13')과, 식생수로관의 내면을 이루는 내면형틀(14, 14')로 된다. 결국, 종래 형틀구조물(10)은 상기 바닥체(11), 바닥면형틀(17), 외면형틀(13, 13') 및 내면형틀(14, 14')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콘크리트 몰탈(M)을 주입한 후 양생시킴으로서 식생수로관을 제작한다. 이때, 상기 내면형틀(14, 14')은 식생수로관의 내면에 입체무늬(S)를 형성시키기 위한 문양홈(141; 도 1 참조)이 형성된다.
한편, 종래 형틀구조물(10)은 내면형틀(14, 14')의 상단이 바닥면형틀(17)의 양단에 제1회동식 연결체(15)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M)을 형틀구조물(10) 내에 주입한 후 양생시키면서, 양생이 완료되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형틀(14, 14')을 제1회동식 연결체(15)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콘크리트 몰탈(M)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더불어 외면형틀(13, 13') 또한 바닥체(11)와 제2회동식 연결체(16)를 매개로 고정되므로, 상기 제2회동식 연결체(16)를 중심으로 외면형틀(13, 13')을 회동시켜 콘크리트 몰탈(M)로부터 분리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몰탈(M)의 양생으로 제작된 식생수로관의 내면에는 내면형틀(14)의 문양홈(141)으로 인해 돌출된 입체무늬(S)가 형성된다. 결국, 도 10(b) 및 도 10(c)의 주요부(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무늬(S)가 돌출되면서 제1회동식 연결체(15)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내면형틀(14, 14')의 상단부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입체무늬(S)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지 못하 고, 내면형틀(14, 14')과 식생수로관인 콘크리트 몰탈(M)의 입체무늬(S)가 서로 간섭된다. 물론, 이러한 간섭을 무시하고 무리해서 그 분리를 시도하면 입체무늬(S)는 내면형틀(14, 14')과의 마찰 및 충돌로 훼손된다.
계속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내면형틀(14, 14')과 입체무늬(S) 간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입체무늬(S)가 형성되는 범위를 줄일 수 있다. 즉, 입체무늬(S)가 형성되는 범위를 도 10(b)에 도시한 모습보다 줄이면 내면형틀(14)과 입체무늬(S)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럴 경우 입체무늬(S)의 형성 범위가 좁아지면서 입체무늬(S)가 갖는 기능과 자연친화를 목적으로 하는 시각적 효과도 현저히 줄어들면서, 입체무늬(S)가 무의미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식생수로관 내면에 형성되는 각종 입체무늬를 측벽에 충분히 넓은 범위로 형성시키고, 이러한 형상을 갖는 식생수로관을 제작할 시에 입체무늬의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탈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체;
상기 바닥체 상에 입설되어 뼈대를 이루는 입설체;
상기 바닥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2회동식 연결체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외면형틀;
상기 바닥체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입설체에 고정되는 바닥면형틀;
상기 외면형틀 사이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1회동식 연결체를 매개로 하단은 상기 바닥체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단은 상기 바닥면형틀의 측면부에 접하면서 바닥체 중심으로 기울어지도록 되며,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내면형틀; 및
상기 외면형틀, 내면형틀, 바닥면형틀 및 상기 외면형틀과 내면형틀 사이의 바닥체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개구된 전면 및 후면을 폐구하는 전면형틀 및 후면형틀;
을 포함하는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형틀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외면형틀과 내면형틀 사이의 바닥체 상에 돌출형성되어서 그 상면이 상기 제1회동식 연결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는 지지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100)은, 형틀구조물(100) 전체를 지지하는 바닥체(110)와, 이 바닥체(110) 상에 입설되어 지지하는 입설체(120)와, 바닥체(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회동식 연결체(122)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외면형틀(130, 130')과, 바닥체(110)의 안쪽에서 제1회동식 연결체(111)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외면형틀(13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내면형틀(140, 140')과, 상기 입설체(120) 및 내면형틀(140, 140') 상에 배치되는 바닥면형틀(160)과, 상기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과 바닥체(110)로 둘러싸여 이루어진 공간의 전후 개구부를 덮어 폐구하는 전면형틀(151) 및 후면형틀(152)을 포함한다. 또한,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 사이의 바닥체(110) 상에는 각각 지지돌부(114)가 형성된다.
즉, 도 10을 참조해 설명한 종래 형틀구조물(10)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100)은 내면형틀(140, 140')이 제1회동식 연결체(111)를 매개로 바닥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 사이의 바닥체(110) 상에는 지지돌부(11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회동식 연결체(111, 1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축이 바닥체(110)와 외면형틀(130, 130') 및 내면형틀(140, 140')이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외면형틀(130, 130') 및 내면형틀(140, 140')이 회동하도록 될 수도 있고, 일반적 인 힌지와 같은 경첩구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전면형틀(151) 및 후면형틀(152)은 바닥체(110)의 고정부(113)에 그 양단이 각각 조립되어 별도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전면형틀(151) 및 후면형틀(152)이 힌지와 같은 경첩구조를 매개로 고정부(113)에 고정되어서 바닥체(1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2회동식 연결체(111, 112)는 물론, 전면형틀(151) 및 후면형틀(152)과 바닥체(110) 간의 결합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므로,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실시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내면형틀(140)은 식생수로관에서 내면을 성형하는 것으로, 내면형틀(140, 140')의 일면에는 음각된 문양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양홈(141)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문양홈(141)을 대각선으로 배치하여 식생수로관의 내면에 문양홈(141)에 의한 입체무늬(S)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입설체(120)는 형틀구조물(100)의 입체적 형상을 유지하는 뼈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체(110) 상에 기둥형태로 입설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닥체(110) 상에서 다면체 형상으로 모서리를 이루는 뼈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100)의 특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조립되어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몰탈(M)을 수용하는 형틀구조물(100)은 콘크리트 몰탈(M)의 양생을 기다린다.
콘크리트 몰탈(M)의 양생이 완료되면, 내면형틀(140, 140')을 콘크리트 몰탈(M)로부터 탈형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100)은 내면형틀(140, 140')을 바닥체(110)와 연결하는 제1회동식 연결체(111)를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콘크리트 몰탈(M)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상기 문양홈(141)에 의한 콘크리트 몰탈(M) 내 입체무늬(S)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형틀(140, 140')과 간섭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 2(c)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M)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므로, 형틀구조물(100) 과의 접촉없이 콘크리트 몰탈(M)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로 둘러싸인 바닥체(110)의 상면에 지지돌부(114)가 형성되어서, 콘크리트 몰탈(M)의 하단 위치를 제1회동식 연결체(111)로부터 이격시키므로, 콘크리트 몰탈(M)의 탈형 시 문양홈(141)에 의해 돌출형성된 입체무늬(S)가 내면형틀(140, 140')과 접촉할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결국, 상기 콘크리트 몰탈(M)에 의해 완성된 식생수로관 내면의 가장자리까지 입체무늬(S)를 넓게 분포시킬 수 있고, 입체무늬(S)의 돌출정도를 크게 하여도 제작시 콘크리트 몰탈(M)과 형틀구조물(100) 간의 간섭에 의한 불량발생 및 생산 후 별도로 수공을 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외면형틀(130, 130')은 식생수로관(200; 도 9 참조)의 외면(222)에 형성되는 관삽입홈(226)과 구멍(225)을 형성시키는 통로성형대(131)와 구멍형성돌기(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삽입홈(226)은 식생수로 관(200)에 인접한 지중생물들이 지상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인 관(미도시함)이 끼워지고, 상기 구멍(225)은 지중생물들이 식생수로관(200)으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이다.
상기 바닥면형틀(160)은 식생수로관(200)의 바닥(210; 도 9 참조)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바닥면형틀(160) 상면에 다수의 성형돌기(16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성형돌기(161)는 식생수로관(200)의 바닥(210)에 다수의 퇴적홈(211)을 형성시켜서, 유수와 함께 이동중인 토사가 굴곡진 퇴적홈(211)에 걸려 퇴적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식생수로관(200)을 통과하는 각종 토사는 퇴적홈(211)에 집중적으로 퇴적되어 토사의 분산 퇴적을 최소화하고 퇴적물의 제거를 수월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에서 전면형틀(151)과 후면형틀(152)은 생략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100')의 제1실시예는 입설체(120)와 내면형틀(140, 140')을 단단히 고정하는 지지링커(171, 172)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보인 바와 같이, 내면형틀(140, 140')은 바닥체(110)와 제1회동식 연결체(111)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내면형틀(140, 140')의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그 상단이 입설체(120)와 부딪칠 수 있다.
물론, 내면형틀(140, 140')의 상단을 바닥면형틀(160)과 볼트, 핀, 쐐기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링커(171, 172)를 적용한다.
한 쌍의 상기 지지링커(171, 172)는 양단이 각각 입설체(120)와 내면형틀(140, 14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입설체(120)와 고정돌기(142)에는 체결돌기(121)와 고정돌기(142)가 구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링커(171, 172)의 일단은 내면형틀(140, 140')과 고정돌기(142)를 매개로 고정된다. 이후, 콘크리트 몰탈(M)을 주입하기 위해 도 4(b) 및 도 4(c)와 같이 형틀구조물(100')을 조립하는데, 상기 내면형틀(140, 140')의 위치가 잡히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링커(171, 172)의 타단을 입설체(120)의 체결돌기(121)에 끼워서 내면형틀(140, 140')이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링커(171, 172)의 길이와 체결돌기(121) 및 고정돌기(142)의 위치는 결정되어 있으므로, 내면형틀(140)은 매번 동일한 각도와 위치를 유지하고, 콘크리트 몰탈(M)이 주입되더라도 그 하중을 이겨내어 동일한 규격의 식생수로관(200)을 반복해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링커(171, 172)가 형틀구조물(100')의 전면은 물론 후면에도 각각 외부에 배치되므로, 작업자는 내면형틀(140, 140')의 고정작업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다른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100")의 제2실시예는 내면형틀(140, 140')의 타면에 밀림턱(143)을 돌출형성될 수 있고, 입설체(120)의 측면에 안착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림턱(14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어(P)가 놓인다.
상기 푸쉬어(P)는 대상물을 양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해 쓰이는 기구로, 스프링과 같은 탄발체일 수도 있고, 실린더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푸쉬어(P)로 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외부에서 공기를 강제로 주입함으로서 공압으로 동작하는 주지 관용의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푸쉬어(P)를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을 밀림턱(143)에 안착하고 타단은 바닥면형틀(160) 저면에 밀착한다. 이후, 작업자는 푸쉬어(P)에 공압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펌프 또는 압축공기탱크를 연결시켜서 푸쉬어(P)가 공압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푸쉬어(P)는 바닥면형틀(160)을 기준으로 밀림턱(143)을 하방으로 밀어낸다.
결국, 상기 밀림턱(143)이 고정된 내면형틀(140, 140')은 제1회동식 연결체(11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콘크리트 몰탈(M)로부터 탈형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몰탈(M)이 양생하면 내면형틀(140, 140')의 일면과 접착력이 커져 쉽게 탈형되지 않을 수 있는바, 강제 탈형을 위해 상기 푸쉬어(P)가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100")의 제2실시예는 밀림턱(143)을 더 구비한다.
이외에도, 상기 내면형틀(140, 140')의 탈형을 위해 내면형틀(140, 140')을 입설체(120) 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설체(120)와 내면형틀(140, 140') 사이에 각각 레일을 두고, 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일단이 내면형틀(140, 140')의 타면에 연결되는 이동체를 두어 별도의 동력으로 이동체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내면형틀(140, 140')를 탈형한다.
계속해서, 상기 형틀구조물(100")의 입설체(120) 측면에는 안착대(1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122)는 상기 푸쉬어(P)가 안착된다.
콘크리트 몰탈(M)의 주입 시 비교적 큰 하중을 받게 되는 내면형틀(140, 140')은 휘거나 하중에 의해 다소 회전하여 내면형틀(140, 140')의 가장자리에 틈새를 형성시킬 수 있고, 내면형틀(140, 140')이 휘면서 약속된 형상의 식생구조물(200) 형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내면형틀(140, 140')을 단단히 지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푸쉬어(P)를 안착대(122)에 배치하고 그 일단은 입설체(120)에, 타단은 내면형틀(140, 140')의 타면에 각각 밀착하도록 하여 상술한 푸쉬어(P)의 사용법에 따라 내면형틀(140, 140')을 지지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제3실시예를 통해 제작된 식생수로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틀구조물(101)의 제3실시예는 내면형틀(140)의 일면에 성형홈(144)을 둠으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수로관(200)의 측벽(220) 내면(221)에 돌출된 탈출로(223)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성형홈(144)은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웃하는 탈출로(223) 사이에 형성된 홈(224)의 수를 최소화하면서 생물이 이동하는데 불편이 없는 간격이 되도록 배치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성형홈(144)을 3개로 구획하여, 탈출로(223) 3개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로써 제작된 식생수로관(200)의 홈(224)은 2개이도록 한다.
이렇게 제작된 식생수로관(200)은 유향을 따라 탈출로(223)가 상승하도록 배치되어서, 식생수로관(200)에 흐르는 물이 유력으로 인해 탈출로(223)를 타고 오르고, 홈(224)에 도착하면 이 홈(224)으로 물이 수면으로 낙하하여 그 낙차로 인한 충격으로 물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결국, 인공적인 식생수로관(200)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생물이 살아가기에 다소 부족할 수 있는 공기함유량을 갖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식생수로관(200)이 보다 자연친화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생태계와 시각적으로 어울리는 느낌을 주는 식생수로관의 입체무늬가, 식생수로관의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협소하게 배치되어서 기대한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탈형시 형틀구조물과 식생수로관 간의 간섭 및 마찰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 가 있다.
또한, 상기 입체무늬를 내면 전체에 형성시키거나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시키더라도, 형틀구조물을 이용해 불량은 최소화하고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형틀구조물로 제작된 식생수로관은 경사지게 형성된 내면의 탈출로를 따라 물이 오르면서 홈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면에 기포를 발생시키므로, 식생수로관을 통과하는 물로 공기를 자연스럽게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체(110);
    상기 바닥체(110)의 중심에 입설되어 뼈대를 이루는 입설체(120);
    상기 바닥체(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2회동식 연결체(112)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외면형틀(130, 130');
    상기 바닥체(110)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입설체(120)에 고정되는 바닥면형틀(160);
    상기 외면형틀(130, 130') 사이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1회동식 연결체(111)를 매개로 하단은 상기 바닥체(11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단은 상기 바닥면형틀(160)의 측면부에 접하면서 바닥체(110) 중심으로 기울어지도록 되며,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내면형틀(140, 140');
    일단은 상기 내면형틀(140, 1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입설체(120)에 고정되어서, 내면형틀(140, 140')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 지지하는 지지링커(171, 172);
    상기 외면형틀(130, 130'), 내면형틀(140, 140'), 바닥면형틀(160) 및 상기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 사이의 바닥체(110)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개구된 전면 및 후면을 폐구하는 전면형틀(151) 및 후면형틀(152); 및
    상기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 사이의 바닥체(110) 상에 돌출형성되어서 그 상면이 상기 제1회동식 연결체(111)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는 지지돌부(1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형틀(130, 130')과 마주하는 상기 내면형틀(140, 140')의 일면에는 식생수로관(200)의 내면(221)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탈출로(223)를 형성시키기 위한 성형홈(144)이 구비되되, 상기 성형홈(144)은 이웃하는 탈출로(223)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구획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설체(120)는 바닥체(110)의 중심을 따라 돌출형성되고;
    상기 입설체(120)와 마주하는 상기 내면형틀(140, 140')의 타면에는 입설체(120)를 향해 돌출된 밀림턱(14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형틀(160)의 상면에는 식생수로관(200)의 바닥(210)에 퇴적홈(211)을 형성시키기 위한 성형돌기(1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7.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닥체(110);
    상기 바닥체(110)의 중심에 입설되어 뼈대를 이루고, 측면에는 안착대(122)가 돌출형성된 입설체(120);
    상기 바닥체(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2회동식 연결체(112)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외면형틀(130, 130');
    상기 바닥체(110)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상기 입설체(120)에 고정되는 바닥면형틀(160);
    상기 외면형틀(130, 130') 사이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1회동식 연결체(111)를 매개로 하단은 상기 바닥체(110)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단은 상기 바닥면형틀(160)의 측면부에 접하면서 바닥체(110) 중심으로 기울어지도록 되며,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내면형틀(140, 140');
    일단이 상기 내면형틀(140, 140')과 맞닿아 밀어내고, 타단은 상기 안착대(122)에 안착되는 푸쉬어(P);
    상기 외면형틀(130, 130'), 내면형틀(140, 140'), 바닥면형틀(160) 및 상기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 사이의 바닥체(110)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개구된 전면 및 후면을 폐구하는 전면형틀(151) 및 후면형틀(152); 및
    상기 외면형틀(130, 130')과 내면형틀(140, 140') 사이의 바닥체(110) 상에 돌출형성되어서 그 상면이 상기 제1회동식 연결체(111)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는 지지돌부(1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KR1020070048347A 2007-05-17 2007-05-17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KR100804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47A KR100804269B1 (ko) 2007-05-17 2007-05-17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47A KR100804269B1 (ko) 2007-05-17 2007-05-17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269B1 true KR100804269B1 (ko) 2008-02-18

Family

ID=3938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347A KR100804269B1 (ko) 2007-05-17 2007-05-17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19B1 (ko) * 2008-12-08 2010-01-20 서원애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06U (ko) 1985-07-11 1987-01-27
KR200414081Y1 (ko) 2006-01-17 2006-04-14 윤쾌로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제조장치
KR100596023B1 (ko) 2004-05-28 2006-07-03 오후석 회전식 수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06U (ko) 1985-07-11 1987-01-27
KR100596023B1 (ko) 2004-05-28 2006-07-03 오후석 회전식 수문장치
KR200414081Y1 (ko) 2006-01-17 2006-04-14 윤쾌로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19B1 (ko) * 2008-12-08 2010-01-20 서원애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7965B2 (ja) 複数要素から成る擁壁ブロック
CN106827196B (zh) 一种台阶式挡墙砌块模具
KR100804269B1 (ko)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KR20060102567A (ko) 식생용 수로관과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방법
KR101018664B1 (ko) 전면자연석이 부착된 옹벽블록
KR100773764B1 (ko) 인공암 기술을 이용한 어도 블록 제조 공정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KR20050118110A (ko) 절개지 또는 제방의 경사면에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면 통공구가 구성되도록 식생블록을 제작 설치하는 토목공법
KR101227190B1 (ko)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CN105297875B (zh) 一种整体式截水沟的施工方法
KR100763141B1 (ko) 필터 삽입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하는 블록
KR100943672B1 (ko) 크랙이 형성된 인공암석의 제조방법
KR20080113999A (ko) 식생용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90064263A (ko) 자연친화형 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200384423Y1 (ko) 식생용 수로관 및 그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KR100963601B1 (ko) 수로관 형틀장치
KR100576795B1 (ko) 식생용 수로관의 제조장치
KR101665475B1 (ko) 무개형 수로관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무개형 수로관 제조방법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CN211815301U (zh) 可快速拼装的铺装模框结构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100800006B1 (ko) 수로관 제작형틀과 이 제작형틀로 제작된 수로관
KR100769918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720132B1 (ko) 무늬면이 분리된 석재블록과 상기 석재블록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