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190B1 -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 Google Patents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190B1
KR101227190B1 KR1020110108294A KR20110108294A KR101227190B1 KR 101227190 B1 KR101227190 B1 KR 101227190B1 KR 1020110108294 A KR1020110108294 A KR 1020110108294A KR 20110108294 A KR20110108294 A KR 20110108294A KR 101227190 B1 KR101227190 B1 KR 10122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unnel
variable
lining
lining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균
박영일
노영선
김용섭
Original Assignee
선산철강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산철강공업(주) filed Critical 선산철강공업(주)
Priority to KR102011010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62Forms for curved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34Horizontally-travelling moulds for making walls blockwise or section-wis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가변 터널 시공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되어 여러 조 또는 별도 패널 등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은, 신축 가능한 라이닝폼 다리(Lf) 및 양단이 개방 형성되는 관통로(Ls)를 구비하는 라이닝폼(L); 신축 가능한 니들 다리(Nf)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로(Ls)에 관통 삽입되며 축 방향 이동수단(20)에 의하여 상기 라이닝폼(L)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니들(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재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폼(L)은 상기 관통로(Ls)를 형성하고 상기 라이닝폼 다리(Lf)가 구비되는 지지부(L0)와, 상기 지지부(L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라이닝폼(L1)(L2)들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가변수단(10)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 간의 이격 시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어 이격 공간을 채우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P1)(P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Steel Form for Variable Tunnel}
본 발명은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면서도 가변 터널 구조에 맞추어 형상 변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터널은 도로나 수로 등을 형성하기 위하여 널리 건설되는 구조물로서, 굴착을 통해 통로를 형성하고, 강재 거푸집을 설치한 후 굴착된 통로와 강재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건설된다. 이러한 터널은 대개 단면 폭이 수~수십 m 정도에 콘크리트 두께 역시 수십~수백 cm 정도 되는 정도의 규모인 바, 터널 공사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도 이러한 규모의 공사에 사용되기 적당하도록 강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형상으로 설계 제작되며 또한 매우 큰 부피를 가지게 된다.
도로를 형성하기 위한 터널 공사의 경우에는 터널의 전반적인 단면 형상의 변화가 없으므로 문제될 것이 없겠으나, 수로 등을 형성하기 위한 터널 공사의 경우 터널의 단면 형상에 변화가 있어 이에 맞춘 강재 거푸집의 제작 및 이를 이용한 시공에 있어 여러 문제가 있다. 도 1은 수로 터널 설계의 한 예시로서, 도 1(A)는 측면 단면도를, 도 1(B)는 유입부 측 축 방향 단면도를, 도 1(C)는 유출부 축 방향 단면도를, 도 1(D)는 천이부 구간의 단면 변화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수로 터널의 경우 전반적으로는 물의 유동성 및 내부 압력을 견디기 위해 도 1(C) 유출부 측 축 방향 단면도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댐, 저수지 등 다른 구조물과의 연결성 등을 고려할 때 물이 유입되는 쪽은 도 1(B)와 같은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하게 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 터널은 도 1(B)와 같은 형태의 단면으로부터 도 1(C)와 같은 형태의 단면으로 변화해 가는 천이부와, 도 1(C)의 단면 형태가 계속 동일하게 유지되는 일반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일반부 구간을 시공할 때에는 동일 형태의 단면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당연히 하나의 거푸집만을 이용해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지만, 천이부 구간은 그렇지 않은 문제가 있다. 도 1(D)는 천이부 구간의 3차원 개략도와 여러 위치에서의 단면도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이부 구간의 시공 시에는 단면 형태가 서로 전혀 다른 형태로 변화해 가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거푸집을 설계하거나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천이부 구간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수십 m 수준이 되는데, 이에 반해 강재 거푸집은 시공 편의성, 제작 비용 등을 고려하여 십 m 내외 수준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강재 거푸집을 천이부 구간 전체의 길이로 제작하여 설치 시공하는 것은 가능하기는 하겠으나 비용이 너무나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경제성이 절대적으로 떨어지고, 현장 시공성 또한 복잡하여 시공 작업이 매우 난해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천이부 구간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구간을 나누어 시공하여야 하는데, 나누어진 구간별로 각 구간의 형상에 맞추어 거푸집을 제작하여야만 하는 과정에서, 시공 기간 및 비용이 지나치게 상승하게 된다.
한편, 터널의 시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었으며, 도 2는 종래의 터널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에 관한 여러 기술들을 도시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876546호("아치형 강재거푸집", 2008.12.22, 이하 선행기술 1)에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푸집과 터널 굴착면 간의 간격(즉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 개의 잭볼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치형 강재 거푸집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거푸집과 터널 굴착면 간의 간격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라이닝 콘크리트라고 한다.) 선행기술 1에 의하면 터널 형성 시 약간의 단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는 하겠으나, 이는 동일한 기본 형상에서 약간의 수치 변화가 일어나는 정도에만 적용 가능한 한계가 명확히 있다. 즉, 선행기술 1로는 도 1(B)에서 도 1(C)와 같이 전혀 상이한 형상으로의 변화를 구현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하며, 따라서 선행기술 1을 적용하여 도 1(A)에 나타난 천이부를 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등록특허 제0770014호("아치형 터널의 강재거푸집", 2007.10.18, 이하 선행기술 2)에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단위 패널이 조립되어 하나의 강재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됨으로써 각 단위 패널 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의 탈형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이후에 진행되는 다른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717390호("굴착 터널용 조립식 프리케스트 패널", 2007.05.04, 이하 선행기술 3)에서는,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터널 시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 구조를 배제하고,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하여 터널을 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2나 3은 모두, 콘크리트 타설 시공에 있어서의 거푸집 탈형, 이동, 재사용 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 역할을 하는 부분을 다수 개의 단위 부품으로 형성, 이들의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선행기술 2, 3은 단면 형태가 변화하지 않는 터널의 시공에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즉 단면 형태가 변화하는 가변 터널에는 본질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음은 자명하다. 굳이 가변 터널의 시공에 이와 같은 선행기술 2, 3 등을 채용한다고 할 때, 거푸집을 형성하는 부분이 다수 개의 단위 부품으로 이루어져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조립 시 이 단위 부품들 간의 이격 정도를 약간 조절함으로써 약간의 단면 크기 변화 등에 대처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역시 선행기술 1과 마찬가지로 아주 약간의 수치 변화에만 대처가 가능한 정도로밖에 가변 정도에 제약이 매우 크다는 한계가 있어, 유입부와 유출부의 단면 형상이 전혀 상이하며 한 형상에서 다른 형상으로 단면 형상이 점진적으로 변화해 가는, 즉 도 1의 천이부 구간과 같은 가변 터널의 시공에는 이를 적용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하다.
도 3은 종래의 가변 터널 시공 개념을 도시한 것으로, 즉 도 3에서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천이부 구간을 시공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시공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D)를 다시 참조할 때, 천이부 구간에서 상부 부분 중 일부 형태의 유사성이 유지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도 1(D)의 각 위치별 단면도에서, a로 표시된 사분원들과 b로 표시된 사분원들은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가변 터널 천이부의 상부 시공을 위해 종래에 도 3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3(A)는 사분원 a 및 사분원 b의 형상에 따라 만들어진 2개의 라이닝폼 A, B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이 라이닝폼 A, B를 이용한 시공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라이닝폼은,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도 1(D)를 참조할 때 가변 터널의 상부 중 사분원 a, b 형상 부분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도 3(B)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는 사분원 a 형상이 유지되는 부분에는 라이닝폼 A를, 사분원 b 형상이 유지되는 부분에는 라이닝폼 B를 대고, 그 사이의 빈 영역에는 C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별도의 패널을 대어 거푸집 형상을 형성한 후, 굴착된 통로와 (A, B, C로 이루어진)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다음에는, 패널 C를 제거한 후 라이닝폼 A 및 라이닝폼 B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이 형상에 맞도록 별도의 패널 C'를 대어 거푸집 형상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천이부 구간의 상부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이 안쪽, 즉 일반부가 시작되는 부분에서부터 반대 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터널 시공 기술들로는 이와 같이 단면 형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천이부 구간의 시공을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전혀 없었으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매우 어렵게 시공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로, 이러한 시공을 위해서는 거푸집이 반드시 라이닝폼 A / 라이닝폼 B로서 2조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인 터널 시공 시에는 1조의 거푸집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이와 같이 2조의 거푸집을 제작하게 됨으로써 제작 비용이 크게 상승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거푸집의 이동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터널 바닥에 레일을 깔고 이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의 경우에는 2조의 거푸집을 각각 이동시키기 위해서 2개의 레일을 깔아야 하는 등 여러 복잡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둘째로,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닝폼 A / 라이닝폼 B만으로 거푸집이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패널 C, C', …의 설치가 더 필요한데, 이 작업에 상당한 시간, 비용, 인력 등의 자원이 소비되어야 하여, 이러한 별도 패널 설치 작업이 불편함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시공 기간 지연 및 비용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공에 드는 시간은 수십 일 이상에 달한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다.) 셋째로, 이와 같이 2조의 거푸집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라이닝폼 A / 라이닝폼 B의 위치를 동일선상에 정확히 정렬하기가 어려워 공사 정확도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넷째로, 시공 구간의 콘크리트 이음부가 축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한 부분이 포함된 형태로 구분될 수밖에 없게 되어,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변 터널 시공 방법에는 수없이 많은 문제들이 산적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초 설계 시에는 천이부 구간을 40m 정도로 설계하고 (약 10m 정도 길이의 일반적인 강재 거푸집 규격을 고려하여) 시공 구간을 4부분 정도로 구획하여 나누도록 설계하더라도, 실제 시공 기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천이부 구간의 길이 및 시공 구간의 구획 개수를 줄이는 등 설계를 변경하게 되는 일이 많다. 그런데, 이와 같이 천이부 구간의 길이나 구획 개수를 줄이게 되면 시공이 보다 간편해지고 비용이 줄어들어 시공 편의성이 일부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이와 같이 시공된 터널이 수로로서 실제 운용되는 시점에서는 (천이부 구간이 충분히 길지 못하고 단면 형상 변화가 급격해지므로) 수압 등의 변화가 급격해짐으로써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이로 인하여 터널에 충격이나 지속적인 무리가 가해져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큰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1. 한국등록특허 제0876546호("아치형 강재거푸집", 2008.12.22) 2. 한국등록특허 제0770014호("아치형 터널의 강재거푸집", 2007.10.18) 3. 한국등록특허 제0717390호("굴착 터널용 조립식 프리케스트 패널", 2007.05.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가변 터널 시공에 사용되는 강재 거푸집에 있어서, 일체형으로 되어 여러 조 또는 별도 패널 등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은, 신축 가능한 라이닝폼 다리(Lf) 및 양단이 개방 형성되는 관통로(Ls)를 구비하는 라이닝폼(L); 신축 가능한 니들 다리(Nf)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로(Ls)에 관통 삽입되며 축 방향 이동수단(20)에 의하여 상기 라이닝폼(L)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니들(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재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폼(L)은 상기 관통로(Ls)를 형성하고 상기 라이닝폼 다리(Lf)가 구비되는 지지부(L0)와, 상기 지지부(L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라이닝폼(L1)(L2)들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가변수단(10)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 간의 이격 시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어 이격 공간을 채우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P1)(P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은 상기 관통로(Ls)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이라 할 때,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은 상기 라이닝폼 다리(Lf)의 연장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 하고, 축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횡 방향이라 할 때,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수단(10)은 상기 지지부(L0)에 고정 지지되는 가변수단 고정부(15)와,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과 연결되며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변수단 이동부(1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가변수단(10)은 상기 관통로(Ls)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이라 하고, 상기 라이닝폼 다리(Lf)의 연장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 하고, 축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횡 방향이라 할 때,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는 상기 지지부(L0) 상에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변수단 이동부(11)(12)는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P1)(P2)은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수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패널(P1)(P2)은 상기 가변수단(10)에 의하여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이격 시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패널(P1)(P2)은 상기 가변수단(10)에 의하여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이격 시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L0) 상에 수직 또는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P1)(P2)은 상기 관통로(Ls)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이라 할 때,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패널들로 이루어져,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축 또는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가변 터널 시공 시 2조 이상의 라이닝폼과 별도 패널을 사용하였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으로 되어 여러 조나 별도 부품 등이 전혀 필요하지 않은 강재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어, 거푸집 제작 비용, 거푸집 이동을 위한 레일 등 하부 철골 구조의 설치 비용, 별도 패널의 제작 및 설치 비용 등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큰 경제적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시공 방법이 매우 많은 작업 단계를 거쳐야 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일체형으로 된 강재 거푸집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시간, 비용, 인력 등의 자원을 크게 절약할 수 있어, 시공 기간 및 비용을 비약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여러 조의 라이닝폼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동일선상의 정렬 등이 어려워 공사 정확도를 확보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정렬 작업이 원천적으로 배제되기 때문에, 시공 편의성을 크게 높여줄 뿐만 아니라 공사 정확도 역시 훨씬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천이부 구간에서 콘크리트 시공 이음이 일반부와 동일하게 터널 축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이 더욱 극대화되는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일체형의 강재 거푸집을 사용함으로 인해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모두 해소함으로써, 시공 편의 및 경제성 문제를 위하여 최적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큰 장점이 있다. 즉, 최적 설계에서 변경된 설계로 터널을 시공한 후 운용할 경우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문제들(수압 등으로 인한 유동성 저하 문제, 충격 등으로 인한 터널 내구성 저하 문제 등)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수로 터널 설계의 한 예시.
도 2는 종래의 터널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기술들.
도 3은 종래의 가변 터널 시공 개념.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도 5는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의 이동 동작.
도 6 ~ 도 9는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의 가변 동작.
도 10a, b는 패널 구조의 다른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은, 기본적으로 신축 가능한 라이닝폼 다리(Lf) 및 양단이 개방 형성되는 관통로(Ls)를 구비하는 라이닝폼(L); 신축 가능한 니들 다리(Nf)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로(Ls)에 관통 삽입되며 축 방향 이동수단(20)에 의하여 상기 라이닝폼(L)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니들(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라이닝폼(L)과 상기 니들(N) 사이의 상대적 이동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상기 축 방향 이동수단(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라이닝폼(L)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니들(N)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동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니들(N) 및 상기 라이닝폼(L)은 터널 시공 구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즉 한 구간의 시공이 끝나면 다음 구간으로 이동하여 다시 시공이 이루어지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 이동 동작을 도 5를 통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구간의 시공이 완료된 후, 상기 관통로(Ls) 및 상기 니들(N)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이라 할 때, 먼저 상기 니들(N)이 도 5(A)에서 도 5(B)와 같이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바는 신장된다. 상기 니들(N)은 상기 니들 다리(Nf)에 별도의 바퀴 등과 같은 수단이 구비되고 터널 바닥에 가이드레일이 깔려 있는 등과 같은 구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바가 수축하면서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라이닝폼(L)이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B)에서 도 5(C)와 같이 상기 라이닝폼(L)이 상기 니들(N)의 연장 방향(즉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동작은 일반적인 강재 거푸집에서의 이동 동작과 동일하다. 앞서의 설명에서는 일반적인 강재 거푸집의 이동 구조를 참조하여 상기 축 방향 이동수단(20)이 연결바, 이동롤러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니들(N)이 바퀴, 가이드레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인 경우로서 간략히 설명하였으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라이닝폼(L) 및 상기 니들(N)이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만 된다면 상기 축 방향 이동수단(20)은 물론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 때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은, 도 1의 천이부 구간과 같이 단면 형상이 가변되는 터널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라이닝폼(L)이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라이닝폼(L1)(L2)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가장 주요한 특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강재 거푸집에서 상기 라이닝폼(L)은 하나의 고정된 틀체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이닝폼(L)은, 지지부(L0),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라이닝폼(L1)(L2)들, 가변수단(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P1)(P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 니들(N) 및 상기 관통로(Ls)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이라 하고, 상기 라이닝폼 다리(Lf) 및 상기 니들 다리(Nf)의 연장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 하고, 축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횡 방향이라 한다.
상기 지지부(L0)는, 상기 관통로(Ls)를 형성하고 상기 라이닝폼 다리(Lf)가 구비되는 부품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상기 관통로(Ls)가 형성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바들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바는 철골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L0)는 상기 라이닝폼(L)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은, 상기 지지부(L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이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제2단위라이닝폼(L2)으로서 2개 구비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을 사용하여 시공될 가변 터널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의 형태 및 개수는 적절히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은 단면의 형태가 변화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는 것은 즉, 시공되는 터널의 단면 형태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의 간격이 적절하게 이격되어 변화된 단면 형태에 맞춰질 수 있도록 각각의 위치가 변화 가능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때, 터널의 단면 형상 변화에 따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은 물론 당연히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의 축 방향 이동은 상기 축 방향 이동수단(2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는 상기 라이닝폼(L) 전체적인 이동으로서 한 구간의 시공 완료 - 다음 구간의 시공 시작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이 축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더불어, 터널의 단면 형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따라 물론 달라지겠지만,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은 축 방향에 수직한 모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겠으나, 보다 안정적이고 단순한 구조로 이동 가능하도록,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횡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변수단(10)은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은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가변 터널의 시공에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터널의 단면 형상 변화에 따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의 위치가 그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가변수단(10)은 이를 위하여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의 간격을 적절히 벌리거나 좁히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가변수단(10)은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의 간격을 적절히 벌리거나 좁힐 수 있도록 형성되기만 한다면 어떠한 상세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가장 단순하게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L0)에 고정 지지되는 가변수단 고정부(15)와,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과 연결되며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변수단 이동부(1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L0) 상에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변수단 이동부(11)(12)는 각각이 역시 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패널(P1)(P2)은,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 간의 이격 시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어 이격 공간을 채우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패널(P1)(P2)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수용 배치되도록 한다.
터널의 단면 형상 변화에 따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의 간격이 이격되면, 이격된 부분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다. 종래에는 이 빈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에 별도의 패널을 가져와 대는 작업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상기 패널(P1)(P2)이 상기 라이닝폼(L) 내에 원래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패널을 가져와서 조립한 후 시공하고, 시공 후 다시 떼어내는 등의 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이후 상기 가변수단(10)에 의하여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이격되면, 상기 라이닝폼(L) 내부에 배치되어 있던 상기 패널(P1)(P2)이 그 이격되어 생기는 빈 공간 즉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패널(P1)(P2)의 형상, 최초 배치 위치, 설계 편의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P1)(P2)이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상기 패널(P1)(P2)이 상기 지지부(L0) 상에 수직 또는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등, 상기 가변수단(10)에 의하여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이격 시 상기 패널(P1)(P2)이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될 수만 있다면 그 위치 이동 구조는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4, 도 6 ~ 도 9 및 도 1의 가변 터널 형상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의 가변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도 6 ~ 도 9 및 이하의 설명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태의 가변 터널에 맞추어진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의 한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으로서, 물론 가변 터널의 형태가 달라질 경우 이 구조 및 동작은 일부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즉 도 4, 도 6 ~ 도 9 및 이하의 설명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도 1(D)에 도시된 천이부 구간의 가변 터널의 단면 형상을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이부 구간의 상부는, 일반부 구간이 시작되는 위치에서 사분원 a 및 사분원 b가 만나 반원을 이루는 단면을 가지되, 유입부 위치에서는 사분원 a 및 사분원 b가 서로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는 직선으로 채워지는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또한, 천이부 구간은 4개의 시공 구간으로 나뉜다.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단위라이닝폼(L1)(L2)과 이들이 이격되었을 때 이 사이를 채울 수 있는 패널(P1)(P2)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이 도 1(D)에 도시된 천이부 구간과 같은 형태의 가변 터널용으로 제작될 경우, 도 4, 도 6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분원 a 부분에 맞게 형성되는 제1단위라이닝폼(L1)과, 사분원 b 부분에 맞게 형성되는 제2단위라이닝폼(L2)과, 시공 구간에 따라 달리 형성되는 이격 부분을 채울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되는 제1패널(P1) 및 제2패널(P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은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의 한 실시예에서의 가변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1(D)에 나타난 천이부 구간 중 제1구간을 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의 배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은 서로 밀착 배치된 상태로서, 상기 패널(P1)(P2)들은 상기 라이닝폼(L)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은 사분원 a 부분에 맞게 형성된 것으로, 즉 사분원 a가 터널의 경사지게 연장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즉 원통을 축 방향으로 4등분한 후 지름 방향으로 약간 밀린 것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선 쪽에서는 삼각형 모양의 수평면이 더 연장되어 형성된 형태가 된다.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은 사분원 b 부분에 맞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과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은 중심선 부분에서 서로 밀착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이 밀착된 상태로 된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이 제1구간에 배치된 후,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완료되면, 도 7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도 7은 도 1(D)에 나타난 천이부 구간 중 제2구간을 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의 배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은 터널 형상에 맞추어 소정 간격 이격된다(이하 이 이격 간격을 제1이격간격이라 한다). 이 때,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격간격만큼의 폭을 가지는 제1패널(P1)이 배치된다. 도 7에서는 상기 제1패널(P1)이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에 연결 구비되어, 도 7의 시점(즉 제2구간 시공 시점)에서 회전 이동함으로써 제1이격간격을 채워 타설면을 형성할 수 있게 이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제1패널(P1)이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에 연결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에는 전혀 연결되지 않되 상기 라이닝폼(L)의 지지부(L0)에 연결 구비되어 있다가 수직 상승 이동함으로써 제1이격간격을 채우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배치 형태나 이동 동작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패널(P1)(P2)의 배치 형태나 이동 동작의 변경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이후 도 10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이 제1이격간격만큼 이격되고, 여기에 상기 제1패널(P1)이 채워진 상태로 된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이 제2구간에 배치된 후,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완료되면, 도 8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도 8은 도 1(D)에 나타난 천이부 구간 중 제3구간을 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의 배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은 터널 형상에 맞추어 제1이격간격보다 더 큰 제2이격간격만큼 더 이격된다. 이 때, 상기 제1패널(P1)은 다시 접혀져서 상기 라이닝폼(L)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고,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격간격만큼의 폭을 가지는 제2패널(P2)이 배치된다. 역시 여기에서도, 상기 제2패널(P2)이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에 연결 구비되어 회전 이동에 의해 제2이격간격에 배치되는 것이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패널(P1)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이 제2이격간격만큼 이격되고, 여기에 상기 제2패널(P2)이 채워 타설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된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이 제3구간에 배치된 후, 콘크리트 타설 시공이 완료되면, 도 9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도 9는 도 1(D)에 나타난 천이부 구간 중 제4구간을 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의 배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상기 제1단위라이닝폼(L1) 및 상기 제2단위라이닝폼(L2)은 터널 형상에 맞추어 제2이격간격보다 더 큰 제3이격간격만큼 더 이격된다. 이 때, 제3이격간격은 제1이격간격 및 제2이격간격을 합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3구간 시공 시 접혀져 있던 상기 제1패널(P1)이 다시 펼쳐지며, 따라서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P1) 및 상기 제2패널(P2)이 모두 펼쳐져 제3이격간격을 완전히 채워 타설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에도 역시 상기 제1패널(P1) 및 상기 제2패널(P2)의 배치 형태나 이동 동작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이러한 패널 구조의 변경 가능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패널(P1)(P2)들은 도 6 ~ 도 9에서와 같이 회전 동작에 의해 이격 공간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겠으나, 도 10a(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L0) 상에 구비되어 수직 이동함으로써 이격 공간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 ~ 도 9에서는 상기 패널(P1)(P2)들은 각각 그 자체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도 10a(B), 10b(C), 10b(D), 10b(E)와 같이 상기 패널(P1)(P2) 자체가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패널들로 이루어져,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축 또는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a(B)는, 상기 패널(P1)(P2)이 서로 피봇 연결된 2개의 단위 패널로 이루어져, 한 이격 간격을 채울 때에는 수직 상승하고, 다음 이격 간격을 채울 때는 피봇 연결된 단위 패널이 회전하여 펼쳐지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C)는, 상기 패널(P1)(P2)이 어느 하나의 단위라이닝폼(L1)에 피봇 연결되고, 또한 그 자신이 서로 피봇 연결된 2개의 단위 패널로 이루어져, 피봇 연결된 부분이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펼쳐짐으로써 2가지의 이격 간격을 채울 수 있도록 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D)는, 상기 패널(P1)(P2)이 두 개의 단위 패널로 이루어져 횡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한 이격 간격을 채울 때에는 수직 상승하고, 다음 이격 간격을 채울 때에는 한 단위 패널에 수용되어 있던 다른 단위 패널이 돌출됨으로써 즉 상기 패널(P1)(P2)이 횡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E)는, 상기 패널(P1)(P2)이 두 개의 단위 패널로 이루어지며, 중심에서 회전하여 양쪽으로 펼쳐짐으로써 이격 간격을 채울 수 있도록 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 b의 각 도면에서, 상기 패널(P1)(P2)의 펼쳐짐 또는 신축 동작을 주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물론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패널(P1)(P2)을 고정하고 있는 부품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든지 하는 등의 부가 구조들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물론 상기 패널(P1)(P2)의 가변 형태는 도 6 ~ 9의 실시예 또는 도 10a, b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며, 가변 터널의 단면 형상 변화의 특성, 설계 또는 실현 편의성 등의 다양한 고려 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N: 니들 Nf: 니들 다리
L: 라이닝폼 Lf: 라이닝폼 다리
Ls: 관통로 L0: 지지부
L1: 제1단위라이닝폼 L2: 제2단위라이닝폼
P1: 제1패널 P2: 제2패널
10: 가변수단 15: 가변수단 고정부
11: 가변수단 제1이동부 12: 가변수단 제2이동부
20: 축 방향 이동수단

Claims (9)

  1. 신축 가능한 라이닝폼 다리(Lf) 및 양단이 개방 형성되는 관통로(Ls)를 구비하는 라이닝폼(L); 신축 가능한 니들 다리(Nf)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로(Ls)에 관통 삽입되며 축 방향 이동수단(20)에 의하여 상기 라이닝폼(L)과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니들(N);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재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폼(L)은 상기 관통로(Ls)를 형성하고 상기 라이닝폼 다리(Lf)가 구비되는 지지부(L0)와, 상기 지지부(L0) 상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라이닝폼(L1)(L2)들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가변수단(10)과,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 간의 이격 시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어 이격 공간을 채우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P1)(P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은
    상기 관통로(Ls)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이라 할 때,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은
    상기 라이닝폼 다리(Lf)의 연장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 하고, 축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횡 방향이라 할 때,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10)은
    상기 지지부(L0)에 고정 지지되는 가변수단 고정부(15)와,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과 연결되며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변수단 이동부(1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10)은
    상기 관통로(Ls)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이라 하고, 상기 라이닝폼 다리(Lf)의 연장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 하고, 축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횡 방향이라 할 때,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는 상기 지지부(L0) 상에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변수단 이동부(11)(12)는 상기 가변수단 고정부(15)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P1)(P2)은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밀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공간 내부에 수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P1)(P2)은
    상기 가변수단(10)에 의하여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이격 시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P1)(P2)은
    상기 가변수단(10)에 의하여 상기 단위라이닝폼(L1)(L2)들이 이격 시 이격 공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L0) 상에 수직 또는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P1)(P2)은
    상기 관통로(Ls)의 연장 방향을 축 방향이라 할 때,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패널들로 이루어져,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축 또는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KR1020110108294A 2011-10-21 2011-10-21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KR10122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94A KR101227190B1 (ko) 2011-10-21 2011-10-21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294A KR101227190B1 (ko) 2011-10-21 2011-10-21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190B1 true KR101227190B1 (ko) 2013-01-28

Family

ID=4784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294A KR101227190B1 (ko) 2011-10-21 2011-10-21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1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308B1 (ko) * 2015-10-27 2016-12-26 주식회사 한라 분할식 라이닝폼을 이용한 아치형 터널의 시공방법
KR101906546B1 (ko) 2016-10-27 2018-10-12 주식회사 한라 분할식 라이닝폼을 이용한 아치형 터널의 시공방법
CN112267667A (zh) * 2020-10-26 2021-01-26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后塞片式变截面铝合金模板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883U (ko) * 1993-02-10 1994-09-17 남호정 폭 조절이 가능한 터널공사용 거푸집
KR20100008149U (ko) * 2009-02-06 2010-08-16 선산철강공업(주) 방향전환장치가 구비된 원형강재거푸집
KR101072401B1 (ko) 2011-06-13 2011-10-11 (주)대우건설 터널 굴착 작업의 병행이 가능한 라이닝 축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축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883U (ko) * 1993-02-10 1994-09-17 남호정 폭 조절이 가능한 터널공사용 거푸집
KR20100008149U (ko) * 2009-02-06 2010-08-16 선산철강공업(주) 방향전환장치가 구비된 원형강재거푸집
KR101072401B1 (ko) 2011-06-13 2011-10-11 (주)대우건설 터널 굴착 작업의 병행이 가능한 라이닝 축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축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308B1 (ko) * 2015-10-27 2016-12-26 주식회사 한라 분할식 라이닝폼을 이용한 아치형 터널의 시공방법
KR101906546B1 (ko) 2016-10-27 2018-10-12 주식회사 한라 분할식 라이닝폼을 이용한 아치형 터널의 시공방법
CN112267667A (zh) * 2020-10-26 2021-01-26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后塞片式变截面铝合金模板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782B1 (ko) 부분 프리캐스팅 구조의 현장 타설 암거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현장 조립 성형 장치
KR100668486B1 (ko) 이동식 가시설시스템
KR101130923B1 (ko) 자주식 대차 장치를 가지는 연속 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연속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372261B1 (ko) 암거 시공용 박스 폼 구조
CN205676844U (zh) 一种用于整体浇筑地沟沟壁和底板的成型滑模
CN105256812B (zh) 基坑预制装配式混凝土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2202076A (ja) 直上高架橋の施工装置及び直上高架橋の施工方法
CN109915149B (zh) 一种基于爬坡导洞的变断面隧道开挖施工方法
KR101437842B1 (ko) 가변형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저심도 터널 구조물 시공방법
CN104533460B (zh) 换撑式模板台车和地下通道混凝土浇筑的施工方法
KR101227190B1 (ko) 가변 터널용 강재 거푸집
CN110106892B (zh) 地下连续墙大跨度破除的施工方法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44977B1 (ko)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KR101396517B1 (ko) 지하터널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용 지지구조체
CN112160770B (zh) 一种隧道钢筋混凝土中心水沟施工设备及其施工方法
JP5470220B2 (ja) 移送方向を転換させながら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を移送して敷設する方法
CN105200925A (zh) 高寒区大跨度空腹式拱桥超宽主拱圈施工方法
CN107740423A (zh) 一种预制拼装式城市下穿隧道施工方法
KR200298104Y1 (ko) 토목공사에서 박스형태로 설계되는 콘크리트 구체 성형용이동식 거푸집
KR20020066835A (ko) 터널 구축용 슬라이딩 스틸 폼의 구조
CN205134326U (zh) 基坑预制装配式混凝土支撑结构
CN209413302U (zh) 带有施工平台的可移动式侧墙模板支撑系统
CN204457801U (zh) 换撑式模板台车
JP4915291B2 (ja) コンクリート側壁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