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719B1 -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719B1
KR100937719B1 KR1020080123816A KR20080123816A KR100937719B1 KR 100937719 B1 KR100937719 B1 KR 100937719B1 KR 1020080123816 A KR1020080123816 A KR 1020080123816A KR 20080123816 A KR20080123816 A KR 20080123816A KR 100937719 B1 KR100937719 B1 KR 10093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main body
manufactur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애
Original Assignee
서원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애 filed Critical 서원애
Priority to KR102008012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B28B7/30Cores; Mandrels adjustable, collapsible, or expan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형틀로 부터 분리할 때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다짐 및 양생시 콘크리트 강도가 높게 나오고 양생시간이 적게 소요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는, 하부베이스(1100)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측면판(1210)이 세워져 상부에 개구부(1211)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구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212)을 형성하는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용공간(1212)을 해체할 수 있도록 된 본체성형틀(1200)과, 상기 하부베이스(1100)의 상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공간(1212)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을 포함하되,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의 측면에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분리부재(1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분리부재(1400)는 판형상이거나 또는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을 감싸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이거나 단면이 삼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 형틀, 분리부재

Description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BODY FOR A CONCRETE SEWAGE DISPOSAL TANK}
본 발명은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형틀로 부터 분리할 때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다짐 및 양생시 콘크리트 강도가 높게 나오고 양생시간이 적게 소요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은 콘크리트 정화조와 콘크리트 오수정화시설, 콘크리트 지하맨홀, 콘크리트 중수도시설, 콘크리트 물탱크 및 콘크리트 지하저장탱크등에 사용된다.
종래 지하구조물의 하나인 정화조(淨化槽:sewage disposal tank)는 수세식 화장실에서 제1부패조로 흘러들어 온 오수가 괴어 있는 동안에 침전분리하여, 분리된 오물은 혐기성세균에 의해 부패 ·분해되어 일부는 액화 ·가스화되어 그 용적이 줄어든다. 이러한 부패 ·분해에 의해 유기물은 무기물화되어 안정된다. 정화조는 가능한 화장실에 접근하여 설치하여야 하나 넓은 부지에 몇 개의 건물이 있을 때는 부지와 변소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제1부패조를 2개소 이상으로 분할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화조는 그 용도에 따라 소규모나 대규모의 용량을 처리하는 것에 따라 그 형태가 달리하였다. 주로 가정이나 조그만 공동주택에서는 에프알피로 제조된 정화통을 묻고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정화조를 설치하였다. 또 대규모의 용량을 처리하는 곳에서는 땅을 파고 곧 바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방식으로 정화조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소규모로 설치되는 기존의 에프알피 정화조는 임시사용 또는 용도변경에 따른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수거된 정화조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되며, 운반과 시공이 불편하여 공기가 길어지게 되어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에 발명의 명칭이 "콘크리트 일체형 정화조탱크 구조물 및 상기 정화조탱크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조립세트와 그 시공방법"인 정화조가 공개특허번호 제2003-28503호로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003-28503호의 정화조탱크 구조물은 정화통을 콘크리트와 함 께 묻을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화통에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이동한 다음 터파기를 하고 안착한다. 이후 흙으로 묻는 것으로, 운반과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가 단축되는 점에서 시공비용이 종래와 비교해서 저렴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 특허 제2003-28503호의 정화조 탱크의 제조장치는 첫째 정화통을 꼭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고, 둘째 수직보강재와 수평보강재를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셋째 상기 정화통에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다수의 블럭체가 콘크리트와 함께 매설되어 제조비용이 비싸게 되며, 넷째 다수의 블럭체와 수직보강재에 구비된 나사결합부와 철근에 거푸집의 세그먼트를 끼워서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하며, 다섯째 세그먼트와 세그먼트의 고정도 수많은 체결에 의해 작업이 곤란하므로, 상기 공개 특허 제2003-28503호는 대량 생산과 시공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정화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구조물은 사용후 땅속에서 인양하기가 곤란하고, 내부에 에프알피와 같은 재질의 정화통이 수용되어 있어서 콘크리트 정화조를 직접 옮겨서 재활용하기가 곤란하고, 에프알피는 소각처리한다.
또 이러한 종래의 정화조 제조장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시기적으로 나누어서 타설하게 되므로 경계지점에서 양생기간이나 사용재료의 균질성과 연결성의 차이로 인한 균열들에 의해 누수의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10-0582931호로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정화조의 제조 방치 및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는바, 성형된 정화조 본체의 측면이 정화조 본체의 바닥면과 이루는 각도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또 오수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콘크리트로 성형되어, 콘크리트 정화조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체가 콘크리트를 성형틀에서 한번에 타설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양생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운반과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어서 시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본체의 제1부패조에 침전경사판이 설치되어 침전능력을 개선하는 한편, 침전조에 설치된 방류구의 하부에 산업부산물과 재활용품등의 여과층이 설치되어 방류구에서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제10-0582931호는 콘크리트 정화조용 본체를 정화조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정화조용 본체를 인출하기 곤란하고, 콘크리트 정화조용 본체를 정화조내측형틀로 부터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분리하기가 어려우며, 콘크리트 정화조용 본체의 다짐 및 양생시 장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콘크리트 정화조용 본체의 강도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한편, 대량생산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콘크리트 정화조는 챔버에 공급된 오수가 콘크리트로 흡수되어 지반으로 누수되는 염려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 구조물용 본체가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형틀로 부터 분리할 때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다짐 및 양생시 콘크리트 강도가 높게 나오고 양생시간이 적게 소요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제 3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가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방수성능이 우수하도록 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제 4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는, 사각형상의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측면판이 세워져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구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용공간을 해체할 수 있도록 된 본체성형틀과,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지하구조물내측형틀을 포함하되,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의 측면에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이 지하구조물분리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분리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분리부재는 판형상이거나 또는 지하구조물내측형틀을 감싸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이거나 단면이 삼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은, 상기 본체성형틀의 각각의 측면판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베이스에는 소정형상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지하구조물분리부와, 상기 지하구조물분리부를 막도록 설치된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과, 상기 지하구조물분리부가 위치한 하부베이스의 하부에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을 밀어 올릴수 있도록 설치하여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뽑아 올리도록 한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는,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슬리브판과, 상기 슬리브판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설치하여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상기 슬리브판의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뽑아 올리도록 한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는, 상기 본체성형틀 또는 하부베이스에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진동하도록 된 진동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에 설치하는 철근골조를 철근골조형틀에서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에 철근골조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성형틀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 이루어진 수용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후 일정시간 양생하는 1차 양생 단계와, 상기 1차 양생이 이루어진 후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에서 본체성형틀을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밀착 설치하여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분리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과 함께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분리된 분리부재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내측 챔버에서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2차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콘크리트타설시 또는 타설후에 상기 본체성형틀또는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진동수단을 작동시켜 콘크리트에 진동을 전달하여 콘크리트를 다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1차 양생단계에서 상기 본체성형틀을 커버로 씌우고 커버에 증기를 불어 넣도록 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맨홀이 형성되는 본체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수용부인 챔버의 내부가 일정한 두께의 방수 또는 방식부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은, 상기 본체덮개의 하부 또는 상부에 방수 또는 방식부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는, 지반위에 블록을 이용하여 설치된 사각형상의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측면판이 세워져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구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용공간을 해체할 수 있도록 된 본체성형틀과,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지하구조물내측형틀과,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을 감싸도록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가 용이하게 인출됨과 더불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수용부가 방수되도록 하는 방수 또는 방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콘크리트 지하 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에 설치하는 철근골조를 철근골조형틀에서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에 철근골조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성형틀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 이루어진 수용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후 일정시간 양생하는 1차 양생 단계와, 상기 1차 양생이 이루어진 후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에서 본체성형틀을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2차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철근골조를 투입하기 전에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지하구조물내측형틀의 측면에 밀착 설치된 분리부재에 의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가 용이하게 인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을 지하구조물분리부에서 밀어 올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형틀로 부터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슬리브판을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간단히 뽑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본체성형틀 또는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진동수단에 의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다짐 및 양생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1차 양생단계에서 본체성형틀을 커버로 씌우고 커버에 증기를 불어 넣어서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2차 양생단계 중이거나 종료후에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수용부에 방수 또는 방식층을 도포하여 방수성능이 향상되므로 신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가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방수성능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정화조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일예인 콘크리트 정화조는, 본체(110)와, 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맨홀(121,122,123)이 형성되는 본체덮개(120)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술하는 챔버의 바닥면에 맨홀(211a,212b,213c)이 형성되는 본체(210)로 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2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챔버(111,211)와, 제2챔버(112,212), 제3챔버(113,213)가 형성될 수 있고 또 각각의 본체는 하나의 챔버만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술한 챔버에는 도시되지 않은 유입구와, 제1,2연결구, 여과층 및 방류구등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1000)는, 지반위에 블록(A)을 이용하여 설치된 사각형상의 하부베이스(1100)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측면판(1210)이 세워져 상부에 개구부(1211)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구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212)을 형성하는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용공간(1212)을 해체할 수 있도록 된 본체성형틀(1200)과, 상기 하부베이스(1100)의 상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 기 수용공간(1212)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성형틀(1200)의 측면판(1210)은 상기 하부베이스(1100)에 경첩에 의해 힌지 될 수 있고, 또 하부베이스(1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은 도 3과 도 4에서 3개가 구비된 정화조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의 측면에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분리부재(140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의 측면에 밀착 설치된 분리부재(1400)에 의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가 용이하게 인출되게 된다.
상기 분리부재(1400)는 판형상이거나 또는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을 감싸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이거나 단면이 삼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재(1400)가 삼각형상 또는 다각형상 이루어지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가 용이하게 인출되게 됨은 물론, 삼각형 형상의 경사면에 의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 체(110,210)에 경사면을 줄 수도 있고 직선면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1400)는 상기 본체성형틀(1200)의 측면판(1210)쪽 내측면에 설치되어 본체(110,21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성형틀(1200)의 각각의 측면판(1210)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의 사이에 수용공간(1212)을 형성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베이스(1100)에는 소정형상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지하구조물분리부(1110)와, 상기 지하구조물분리부를 막도록 설치된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1500)과, 상기 지하구조물분리부가 위치한 하부베이스의 하부에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을 밀어 올릴수 있도록 설치하여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뽑아 올리도록 한 승강수단(1600)으로 이루어진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베이스(1100)에 설치된 승강수단(1600)을 작동시켜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1500)을 지하구조물분리부(1110)에서 밀어 올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로 부터 파손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1100)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슬리브판(1700)과, 상기 슬리브판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설치하여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상기 슬리브판의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뽑아 올리도록 한 승강수단(1600)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베이스(1100)에 설치된 승강수단(1600)을 작동시켜 슬리브 판(1700)을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간단히 뽑아 올릴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성형틀(1200) 또는 하부베이스(1100)에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진동하도록 된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수단(1800)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성형틀(1200) 또는 하부베이스(1100)에 설치된 진동수단(1800)에 의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의 다짐이 이루어져 강도가 충분하게 높게 나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제조장치는 상술한 구성요소에 상기 분리부재(1400)가 설치되지 않고 지하구조물분리수단만을 설치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의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상부로 밀어올려서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에서 상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1500) 또는 슬리브판(1700)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화조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정화조)용 본체의 제조장치(1000)를 설치하는 단계(S1)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1212)에 설치하는 철근골조를 철근골조형틀에서 준비하는 단계(S2)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 용공간에 철근골조를 투입하는 단계(S3)와, 상기 본체성형틀(1200)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로 이루어진 수용공간(121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4)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후 일정시간 양생하는 1차 양생 단계(S5)와, 상기 1차 양생이 이루어진 후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110,210)에서 본체성형틀(1200)을 해체하는 단계(S6)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S7)와,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밀착 설치하여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분리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와 함께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분리된 분리부재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에 형성된 내측 챔버에서 제거하는 단계(S8)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2차 양생하는 단계(S9)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1212)에 철근골조형틀에서 준비한 철근골조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성형틀(1200)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로 이루어진 수용공간(121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므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의 강도가 높게 얻어지게 된다. 또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하게 되므로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분리부재가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분리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와 함께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분리되므로 분리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타설시 또는 타설후에 상기 본체성형틀또는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진동수단(1800)을 작동시켜 콘크리트에 진동을 전달하여 콘크리트를 다지도록 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수단(1800)에 의해 다짐 공정을 실시하여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압축 강도를 한층 높게 얻을 수 있어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양생단계에서 상기 본체성형틀을 커버로 씌우고 커버에 증기를 불어 넣도록 된 단계(S11)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철근골조를 투입하기 전에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S12)와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재(1400)를 사용함은 물론 이형재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성형틀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대량생산에 적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리부재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에 형성된 내측 챔버에서 제거하는 단계(S8)가 없이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로부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의 승강수단(1600)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S7)를 거친 다음, 2차 양생하는 단계(S9)로 바 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의 승강수단(1600)에 의해서도 곧 바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2차 양생하는 단계(S9)의 도중이거나 또는 종료 후에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에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 형성된 수용부의 바닥과 측면에 일정한 두께의 방수 또는 방식층을 도포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수 또는 방식층을 도포함에 따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에 형성된 수용부를 방수하는 것이 용이하여 수명이 오래 가게 되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200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본체(2100)와, 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덮개(2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2100)에 형성되는 수용부인 챔버의 내부가 일정한 두께의 방수 또는 방식부(2300)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덮개(2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도 방수 또는 방식부(2400)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덮개에는 맨홀이 형성되나 본체의 상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챔버는 하나를 갖출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챔버(2110,2120,2130)를 3개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챔버에는 정화조로 사용할 경우 도시되지 않은 유입구와, 제1,2연결구 및, 여과층과, 방류구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 또는 방식부(2300)는 에프알피(FRP) 또는 폴리에틸렌(PE)등의 합성수지로 되는 것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보다 무게가 가벼워 바람직하다. 또한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제를 에프알피(FRP) 또는 폴리에틸렌(PE)등의 합성수지에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수 또는 방식부(2300)에 의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구성하는 본체(2100)와 본체덮개(2200)의 방수 또는 방식부(2300)에 의해 방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본체(2100)는 상기 방수 또는 방식부(2300)에 의해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210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300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반위에 블록(A)을 이용하여 설치된 하부베이스(3100)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측면판(3210)이 세워져 상부에 개구부(3211)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구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12)을 형성하는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용공간(3212)을 해체할 수 있도록 된 본체성형틀(3200)과, 상기 하부베이스(3100)의 상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공간(3212)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과,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을 감싸도록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가 용이하게 인출됨과 더불어 콘크리트 지하구조 물용 본체의 수용부가 방수되도록 하는 방수 또는 방식부(230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의 측면에 밀착 설치된 방수 또는 방식부(2300)에 의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2100)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2100)가 용이하게 인출되게 된다.
상기 방수 또는 방식부(2300)는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을 감싸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서 단면이 판형상이거나 또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방수 또는 방식부(2300)는 하부베이스(3100)에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고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2100)는 도시되지 않은 아이볼트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술한 승강수단을 구성하는 지하구조물분리수단으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상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구성하는 본체덮개(2200)를 성형하는 장치로서, 지반위에 블록(A)을 이용하여 설치된 하부베이스(4100)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측면판(4210)이 세워져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구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4220)을 형성하는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용공간(4220)을 해체할 수 있도록 된 본체덮개성형틀(42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본체덮개(2200)는 방수 또는 방식부(2400)가 콘크리트의 타설전에 상기 하부베이스(4100)에 구성할 수 있고, 또 콘크리트의 타설후 콘크리트의 상부 면에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덮개(2200)는 방수 또는 방식부(2400)가 구비되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 방수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덮개(2200)의 방수 또는 방식부(2400)가 본체(2100)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챔버내에서 발생하는 가스등에 유리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화조의 제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술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정화조)용 본체의 제조장치(3000)를 설치하는 단계(S21)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2100)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3212)에 설치하는 철근골조를 철근골조형틀에서 준비하는 단계(S22)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2100)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에 철근골조를 투입하는 단계(S23)와, 상기 본체성형틀(3200)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로 이루어진 수용공간(321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24)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후 일정시간 양생하는 1차 양생 단계(S25)와, 상기 1차 양생이 이루어진 후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2100)에서 본체성형틀(3200)을 해체하는 단계(S26)와, 상기 1차 양생됨과 더불어 방수 또는 방식부(2300)가 일체로 구성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되거나 또는 아이볼트를 이용하여 크레인으로 인양하도록 된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상부로 분리하는 단계(S27)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2차 양생하는 단계(S2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2100)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3212)에 철근골조형틀에서 준비한 철근골조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성형틀(3200)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로 이루어진 수용공간(321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므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2100)의 강도가 높게 얻어지게 된다. 또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도 3 및 도 5에 도시되거나 아이볼트를 이용한 크레인으로 된 상술한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하게 되므로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방수 및 방식부(3400)가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2100)를 분리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2100)와 방수 및 방식부(3400)가 지하구조물내측형틀(3300)에서 분리되므로 분리가 더욱 용이함은 물론 방수효과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타설시 또는 타설후에 상기 본체성형틀 또는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진동수단(3500)을 작동시켜 콘크리트에 진동을 전달하여 콘크리트를 다지도록 하는 단계(S29)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수단(3500)에 의해 다짐 공정을 실시하여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압축 강도를 한층 높게 얻을 수 있어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양생단계에서 상기 본체성형틀을 커버로 씌우고 커버에 증기를 불어 넣도록 된 단계(S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철근골조를 투입하기 전에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S31)와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S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수 및 방식부(3400)를 사용함은 물론 이형재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성형틀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대량생산에 적합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이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이 본체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는 다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성형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설명하는 또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덮개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0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1100 하부베이스 1110 지하구조물분리부
1200 본체성형틀 1300 지하구조물내측형틀
1400 분리부재
1500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
1600 승강수단 1700 슬리브판
1800 진동수단 2100 본체
2200 본체덮개 2300,2400 방수 또는 방식부
3100 하부베이스 3200 본체성형틀
3300 지하구조물내측형틀

Claims (20)

  1. 하부베이스(1100)와, 상기 하부베이스의 모서리에서 상부로 측면판(1210)이 세워져 상부에 개구부(1211)가 형성됨과 더불어 개구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212)을 형성하는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용공간(1212)을 해체할 수 있도록 된 본체성형틀(1200)과, 상기 하부베이스(1100)의 상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공간(1212)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과, 상기 본체성형틀 또는 하부베이스에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진동하도록 된 진동수단(1800)이 설치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의 외측면에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에서 뽑아 올릴때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이 지하구조물분리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콘크리트지하구조물과 함께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에서 인출되는 분리부재(14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분리부재(1400)는 판형상이거나 또는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을 감싸도록 하부가 개구된 형태이거나 단면이 삼각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은,
    상기 본체성형틀(1200)의 각각의 측면판(1210)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의 사이에 수용공간(1212)을 형성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베이스(1100)에는 소정형상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지하구조물분리부(1110)와,
    상기 지하구조물분리부를 막도록 설치된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1500)과,
    상기 지하구조물분리부가 위치한 하부베이스의 하부에 콘크리트누설방지 및 파손방지판을 밀어 올릴수 있도록 설치하여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뽑아 올리도록 한 승강수단(16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슬리브판(1700)과, 상기 슬리브판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설치하여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상기 슬리브판의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지하구조물을 뽑아 올리도록 한 승강수단(1600)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1000)를 설치하는 단계(S1)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1212)에 설치하는 철근골조를 철근골조형틀에서 준비하는 단계(S2)와,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110,210)를 제조하는 장치의 수용공간에 철근골조를 투입하는 단계(S3)와,
    상기 본체성형틀(1200)과 지하구조물내측형틀(1300)로 이루어진 수용공간(1212)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4)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후 일정시간 양생하는 1차 양생 단계(S5)와,
    상기 1차 양생이 이루어진 후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110,210)에서 본체성형틀(1200)을 해체하는 단계(S6)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부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과 분리부재가 지하구조물분리수단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단계(S7)와,
    상기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 밀착 설치하여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를 분리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와 함께 지하구조물내측형틀에서 분리된 분리부재(1400)를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에 형성된 내측 챔버에서 제거하는 단계(S8)와,
    상기 1차 양생된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2차 양생하는 단계(S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타설시 또는 타설후에 상기 본체성형틀(1200)또는 하부베이스(1100)에 설치된 진동수단(1800)을 작동시켜 콘크리트에 진동을 전달하여 콘크리트를 다지도록 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양생단계에서 상기 본체성형틀(1200)을 커버로 씌우고 커버에 증기를 불어 넣도록 된 단계(S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1000)를 설치하는 단계(S1)후에 지하구조물내측형틀과 본체성형틀 및 하부베이스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S1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양생하는 단계(S9)의 도중에 또는 다음에 상기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본체에 지하구조물내측형틀로 형성된 수용부의 바닥과 측면에 일정한 두께의 방수 또는 방식층을 도포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80123816A 2008-12-08 2008-12-08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816A KR100937719B1 (ko) 2008-12-08 2008-12-08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816A KR100937719B1 (ko) 2008-12-08 2008-12-08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719B1 true KR100937719B1 (ko) 2010-01-20

Family

ID=4181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816A KR100937719B1 (ko) 2008-12-08 2008-12-08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7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4591A (zh) * 2018-01-16 2018-07-13 湖南望隆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利用凸轮敲击的环保设备生产模具
CN108453877A (zh) * 2018-04-06 2018-08-28 黄桂芳 一种加工混凝土电线杆的蒸养池
CN110722665A (zh) * 2019-10-23 2020-01-24 吕磊 一种绿色环保的建筑模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47B1 (ko) * 2001-10-24 2004-08-25 휘선건설(주) 일체형 아이엘엠용 세그먼트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이엘엠 교량시공 공법
KR100518281B1 (ko) 2003-07-15 2005-09-2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블록 성형 장치
KR100582931B1 (ko) * 2004-02-10 2006-05-23 서원애 콘크리트 정화조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804269B1 (ko) * 2007-05-17 2008-02-18 주식회사 강산산업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47B1 (ko) * 2001-10-24 2004-08-25 휘선건설(주) 일체형 아이엘엠용 세그먼트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이엘엠 교량시공 공법
KR100518281B1 (ko) 2003-07-15 2005-09-2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블록 성형 장치
KR100582931B1 (ko) * 2004-02-10 2006-05-23 서원애 콘크리트 정화조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804269B1 (ko) * 2007-05-17 2008-02-18 주식회사 강산산업 식생수로관 제작을 위한 형틀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4591A (zh) * 2018-01-16 2018-07-13 湖南望隆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利用凸轮敲击的环保设备生产模具
CN108453877A (zh) * 2018-04-06 2018-08-28 黄桂芳 一种加工混凝土电线杆的蒸养池
CN108453877B (zh) * 2018-04-06 2019-11-22 浙江大学台州研究院 一种加工混凝土电线杆的蒸养池
CN110722665A (zh) * 2019-10-23 2020-01-24 吕磊 一种绿色环保的建筑模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747B1 (en) Stormwater capture module
CN108505805B (zh) 膨胀加强带控裂大型现浇水池及其施工方法
US20190125505A1 (en) Methods for fabricating an underground septic tank
US10954148B2 (en) Underground storage tank
KR100937719B1 (ko)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용 본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3334359A (zh) 装配式预制钢筋混凝土路面板及路面施工方法
KR20110007480A (ko) 가로등 및 휀스용 기초구조물
JP2015518931A (ja) 地盤移動に耐えられるモジュール式基礎
KR100582931B1 (ko) 콘크리트 정화조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0443682Y1 (ko) 맨홀 몰드 성형용 탈형장치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JP7132104B2 (ja) 廃棄物処分場
CN108705652B (zh) 一种水泥砼预制构件的制造装置及其方法
CN114809000B (zh) 一种预制板砖胎模的快速施工方法
CA2742262C (en) Interlocking ballast block
KR200424087Y1 (ko) 콘크리트 정화조
KR100492469B1 (ko) 저장탱크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21671B1 (ko) 개폐형 덮개를 가진 중공pc부재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0346793Y1 (ko) 콘크리트 정화조
KR200233297Y1 (ko) Frp특수틀을 이용한 조립식 오수맨홀
KR102541929B1 (ko) 시공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정화조
KR101510453B1 (ko) 스틸바닥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스틸하우스 교각 푸팅 시공 방법
KR101027801B1 (ko) 관로 성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200387721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프리캐스트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