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077A -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 Google Patents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077A
KR20090096077A KR1020080021432A KR20080021432A KR20090096077A KR 20090096077 A KR20090096077 A KR 20090096077A KR 1020080021432 A KR1020080021432 A KR 1020080021432A KR 20080021432 A KR20080021432 A KR 20080021432A KR 20090096077 A KR20090096077 A KR 20090096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lope
cut
anchor bolt
frame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형
Original Assignee
(주)성광종합기술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광종합기술개발 filed Critical (주)성광종합기술개발
Priority to KR102008002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6077A/ko
Publication of KR2009009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7PV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사면의 안정화와 절토사면 표면의 녹화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물씨앗과 배양토를 담을 수 있는 식생틀을 절토사면에 고착시킨 후 콘크리트로 절토사면을 안정화 시키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토사면(1) 위에 다수개 배치되고, 내부에는 식물씨앗과 배양토가 채워지며,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에는 통공(110)이 형성된 식생틀(100); 몸체부(210)와 주두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210)의 선단부(211) 및 중단부(212)는 상기 통공(110)을 관통하며 상기 절토사면(1)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주두부(220)는 상기 식생틀(100) 내에서 정착되어 상기 식생틀(100)를 상기 절토사면(1)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200); 상기 절토사면(1) 표면의 식생틀(100) 사이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층(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를 제공한다.
절토지반, 식생, 안정화, 소일네일링, 앵커볼트, 식생틀, 거푸집

Description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Cut-Slope Vegetation-Stabilization Structure and Cut-Slope Vegetation-Stabilization Method}
토지조성, 도로, 철도공사 등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절토사면은 그 연장 면적이 크기 때문에 자연재해를 받기 쉽고, 귀중한 인명의 손실 및 가옥의 손실 등을 초래하여 산업, 국민생활에 불안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경사지의 붕괴에 대한 재해방지대책으로 사면안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절토사면의 녹화(綠化)를 통해 식물 뿌리에 의해 절토사면 표면을 안정화시킴과 아울러 경관향상 및 생태계 보호를 꾀하는 환경친화적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본 발명은 절토사면의 안정화와 절토사면 표면의 녹화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물씨앗과 배양토를 담을 수 있는 식생틀을 절토사면에 고착시킨 후 콘크리트로 절토사면을 안정화시키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절토사면을 보강하는 방법으로는 락앵커(Rock-Anchor), 어스앵커(Earth- Anchor), 락볼트(Rock-bolt), 소일네일링(Soil-Nailing) 등의 활동억제공법이 주로 활용된다.
소일네일링을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일네일링 공법은 원지반을 드릴 등으로 굴착한 후, 네일 보강체(주로 철근과 시멘트보강)를 삽입하여 원지반 자체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킴으로서 지반의 안전율을 증가시키는 사면 안정공법이다. 이와 같은 소일네일링 공법은 사면경사를 급경사로 할 수 있어 토지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원지반 자체를 벽체로 이용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은 옹벽을 구축할 수 있고, 신속성, 단순성, 경제성, 경장비 사용 등의 장점 때문에 사면보강과 굴착면에 대한 유연한 지반보강 공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소일네일링과 같은 활동억제공법들만으로는 절취사면 표면에서의 낙석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없으므로 사면 숏크리트 타설, 격자 식생블럭, 낙석 방지망, 식생공법 등을 활용한 표면보호공법과 연계시공하여 낙석, 사면붕괴 등의 얕은 파괴 발생빈도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사면에 숏크리트 타설이나 식생블럭을 설치하면 표층보강효과는 우수하나 시공이 어렵고, 외관이 좋지 않으며 통행자에게 위압감을 준다. 낙석 방지망을 설치하면 시공성이 좋고, 외관상 위압감은 줄어들 수 있으나 낙석 방지망 사이로 토사가 유실될 수 있다. 식생공법은 친환경적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폭우시 유실이나 사면붕괴 우려를 완전 차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적 공법이면서도, 종래 식생공법만으로는 보장될 수 없는 토사안정을 보충하고, 작업효율성과 소요경비를 절감시키며, 녹화(綠化) 효과를 신속히 발생시키고, 녹화(綠化)로 인해 절토사면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사면의 보강 보호 구조 및 이를 실현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제시한다.
1. 식생틀 설치
식물씨앗과 배양토를 가둘 수 있는 식생틀을 절토지반에 설치한다. 상기 식생틀에는 미리 계획된 품종의 식물씨앗을 심어 놓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의해 식물씨앗이 유실되지 않도록 배양토를 가둘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식생틀을 다양한 글자모양, 기하학적 문양 등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절토지반에 다양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2. 앵커볼트로 식생틀을 절토지반에 고정
상기 식생틀은 앵커볼트로 절토지반에 고정시킨다. 상기 앵커볼트는 식생틀 안쪽에 설치되어 일부는 절토지반에 매립되고, 일부는 식생틀 내부에 채워지는 식생토에 매립되도록 하여 상기 식생틀을 절토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식생틀을 하단이 막혀있는 화분형으로 구성하면, 상기 앵커볼트와 화분형 식생틀간의 체결에 의해 상기 식생틀은 절토지반에 강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볼트는 그 자체로 지반의 전단력 강화에 활용될 수 있으며, 거푸집 설치를 위한 정착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3. 소일네일링과 연계시공
사면설계에서 제시하는 간격으로 소일네일을 설치하여 절토사면을 더욱 강하게 보강할 수 있다. 소일네일은 상기 식생틀과 간섭되지 않는 한도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
4. 절토지반 표면은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절토지반을 강하게 보강한다. 콘크리트 타설 전에는 보강철근을 설치함으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
5.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
상기 앵커볼트를 거푸집 고정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식생틀은 거푸집 스페이서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식생틀 위에 거푸집을 거치시킨 채로 고정시 킬 수 있으므로 거푸집 설치를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 설치 작업은 불필요하다. 또한, 식생틀의 내부를 상기 앵커볼트의 주두부가 정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앵커볼트의 주두부에 암나사홈을 형성시키고, 결합볼트를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시킴으로서 거푸집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앵커볼트 또는 소일네일에 의해 절토사면을 보강함과 동시에 식생틀을 설치함으로서 녹화(綠化)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둘째, 식생틀은 화분같이 식물씨앗과 배양토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빗물에 의해 식물씨앗이 유실될 염려가 없다.
셋째, 식생틀은 그 형상과 배치상태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절토사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식생틀 내부에 피복케이싱과 정착케이싱을 형성시킴으로서 앵커볼트와 유기적이고 효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다섯째, 콘크리트층 형성에 의해 절토사면 표면이 안정화된다.
여섯째, 앵커볼트의 주두부에 암나사홈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앵커볼트를 거푸집 고정구로 활용할 수 있다.
일곱째, 식생틀은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한 거푸집 설치작업 과정에서 스페이 서 역할과 거푸집 설치를 위한 받침대 역할을 담당하므로 거푸집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아홉째, 식생틀, 앵커볼트, 거푸집, 체결볼트, 지압판 간의 유기적 결합관계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간 결합, 해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Ⅰ. 사면 식생 -안정화 구조
본 발명은 절토사면(1) 위에 다수개 배치되고, 배양토를 가둘 수 있는 식생틀(100); 몸체부(210)와 주두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210)의 선단부(211) 및 중단부(212)는 상기 절토사면(1)에 관입되고, 상기 몸체부(210)의 후단부(213) 및 상기 주두부(220)는 상기 식생틀(100)에 가둬진 배양토에 매립된 채로 정착되는 앵커볼트(200); 상기 절토사면(1) 표면의 식생틀(100) 사이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층(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절토사면(1)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소일네일(400)을 선시공하여 지반 자체의 전단응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층(300)의 형성 전에 보강철근(500)을 미리 배근하여 상기 콘크리트층(300)의 인장응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절토사면(1)에는 소일네일(400)이 시공되고, 콘크리트층(300)에는 보강철근(500)이 배근된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일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각 구성요소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1. 식생틀 및 앵커볼트
상기 식생틀(100)은 배양토를 가둘 수 있는 부재로서, 상하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와 하면은 막혀 있어 화분형으로 구성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식생틀(100)는 내구성 있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으나 PVC소재로 제작하면 내구성이 확보될 뿐 아니라 그 자중이 감소하므로 양중 장비 없이 인력(人力)에 의한 설치도 가능하다. 상기 식생틀(100)는 배양토를 가둬두어 비바람에 의해 배양토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며, 배양토 내에서 식물이 생장하여 절토사면(1)에 까지 뿌리를 내리는 경우 절토사면(1)의 지반강화에도 기여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식생틀(100)에 식물씨앗 및 배양토가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은 물론 직사각통형 등 그 모양에 구애받지 않고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에 노출되는 상면 테두리를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함으로서 다양한 미감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생틀(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와 주두부(220)로 구성된 앵커볼트(200)에 의해 절토사면(1)에 고정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선단부(211) 및 중단부(212)는 상기 절토사면(1)에 삽입되고, 상기 주두부(220)는 상기 식생틀(100) 내에 채워져 다져진 배양토에 매립된 채로 정착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식생틀(100)을 상기 절토사면(1)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식생틀(100)와 앵커볼트(200)의 효과적인 결합을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틀(100) 내부에는, 상기 통공(110)과 연통되며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후단부(213)를 둘러감싸는 피복케이싱(120); 및 상기 피복케이싱(120) 상단에서 이어지며 상기 앵커볼트(200)의 주두부(220)가 안착되는 정착케이싱(130); 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틀(100)은 화분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식생틀(100)의 하면에는 상기 피복케이싱(120)과 연통되는 통공(110)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앵커볼트(200)의 절토지반(1) 내 관입에 의해 상기 식생틀(100)이 절토지반(1)에 밀착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식생틀(100) 안쪽의 배양토에 심어진 식물이 자라나더라도 절토지반(1)에 까지 뿌리 내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식생틀(100)의 하면은 네트형으로 구성하거나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시킴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200)는 절토지반(1)에 소일네일링 등과 같은 활동억제공법 방 식으로 삽입, 고정시켜 지반 자체의 전단응력 보강 부재로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지반 보강 효과는 크게 고려하지 않고 상기 식생틀(100) 설치 목적으로만 활용할 수도 있다.
2. 콘크리트층
상기 콘크리트층(300)은 상기 절토사면(1) 표면의 식생틀(100) 사이 사이에 충전(充塡), 양생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한 거푸집 설치과정 등에 대한 설명은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콘크리트층(300) 형성에 의해 절토사면(1)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안정화되며, 상기 콘크리트층(300) 자체의 보강을 위해서는 보강철근(500)을 미리 배근하여 콘크리트층(300) 내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서 인장응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층(300)은 상기 식생틀(100) 상면과 함께 외부에 노출되므로 문양거푸집을 이용한 다양한 요철(凹凸)문양 형성, 도색 등으로 사면의 미감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3. 소일네일
상기 식생틀(100)를 설치하기 전에는 다수개의 소일네일(400)을 시공함으로서 절토사면(1)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소일네일(400) 시공부위는 상기 콘크리트 층(300)에 의해 덮히므로 외부시선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며, 구조계산에 의해 설치간격 등을 고려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시공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를 적용하여 절토사면을 디자인한 실시예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를 응용하면 도시된 예 이외에도 상기 식생틀(100)의 배치 및 식생틀(100)에 심어지는 식물의 종류 등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을 도모할 수 있다.
Ⅱ. 사면 식생 -안정화 공법
본 발명은 (a) 지반을 굴착하여 절토사면(1)을 형성시키는 단계; (b) 배양토를 가둘 수 있는 식생틀(100)을 상기 절토사면(1) 위에 다수개 배치하고, 몸체부(210)와 주두부(220)로 구성된 앵커볼트(200)를 상기 식생틀(100) 안쪽의 절토사면(1)에 삽입시킨 후, 배양토를 상기 식생틀(100) 안쪽에 다져 넣어,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선단부(211) 및 중단부(212)는 상기 절토사면(1)에 관입되고,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후단부(213) 및 주두부(220)는 상기 배양토에 매립된 채로 정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식생틀(100) 위에 상기 절토사면(1)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거푸집(600)을 거치,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절토사면(1)과 거푸집(60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식생틀(100) 사이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가 충전(充塡)된 콘크리트층(300)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거푸집(600)을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은 상기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를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이 역시 상기 절토사면(1)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소일네일(400)을 선시공하여 지반 자체의 전단응력을 강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콘크리트층(300)의 형성 전에 보강철근(500)을 미리 배근하여 상기 콘크리트층(300)의 인장응력을 강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1. (a)단계
본 단계는 지반을 굴착하여 절토사면(1)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의 (a)단계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본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절토사면(1) 형성 후 상기 절토면(1)을 다수개의 소일네일(400)로 보강하는 과정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2. (b)단계
본 단계는 배양토를 가둘 수 있는 식생틀(100)을 상기 절토사면(1) 위에 다수개 배치하고, 몸체부(210)와 주두부(220)로 구성된 앵커볼트(200)를 상기 식생틀(100) 안쪽의 절토사면(1)에 삽입시킨 후, 배양토를 상기 식생틀(100) 안쪽에 다져 넣어,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선단부(211) 및 중단부(212)는 상기 절토사면(1)에 관입되고,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후단부(213) 및 주두부(220)는 상기 배양토에 매립된 채로 정착시키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앵커볼트(200)를 상기 절토사면(1)에 삽입시키기 전에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후단부(213)를 둘러감싸는 피복케이싱(120); 과 상기 피복케이싱(120) 상단에서 이어지며 상기 앵커볼트(200)의 주두부(220)가 안착되는 정착케이싱(130); 을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단계를 실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3. (c)단계
본 단계는 상기 식생틀(100) 위에 상기 절토사면(1)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거푸집(600)을 거치,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식생틀(100)는 거푸집(600) 설치를 위한 거치대 및 스페이서 역할을 하므로 거푸집 설치를 위한 별도의 거치대 및 스페이서 설치는 불필요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거푸집(600)을 상기 식생틀(100) 위에 거치, 고정시키기 전에 절토사면(1)과 거푸집(600) 사이에 보강철근(500)을 배근하는 과정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단계의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앵커볼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두부(220) 상단으로부터 암나사홀(230)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거푸집(600)은 상기 암나사홀(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610)이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서 체결볼트(700)가 상기 거푸집(600)의 체결공(610)을 관통하며 상기 암나사홀(230)에 나사결합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거푸집(600)을 상기 식생틀(100) 위에 거치, 고정시키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앵커볼트(200)를 거푸집(600) 고정구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거푸집(600)과 체결볼트(7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상기 체결볼트(700)의 결합력에 의한 거푸집(600)의 훼손을 방지하게 위해, 지압판(80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단계에서는 판면에 체결공(810)이 형성된 지압판(800)을 상기 거푸집(600) 상면에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체결볼트(700)를 상기 지압판(800) 체결공(810) 및 상기 거푸집(600) 체결공(610)에 관통시키면서 상기 암나사홀(230)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0a는 이러한 식생틀(100), 앵커볼트(200), 거푸집(600), 체결볼트(700) 및 지압판(800)의 결합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b는 화분형 식생틀(100), 앵커볼트(200), 거푸집(600), 체결볼트(700) 및 지압판(800)의 결합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4. (d)단계
본 단계는 상기 절토사면(1)과 거푸집(60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식생틀(100) 사이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가 충전(充塡)된 콘크리트층(30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도 11은 본 단계의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5. (e)단계
본 단계는 상기 거푸집(600)을 탈형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의 실시에 의해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가 완성된다. 도 12는 본 단계의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통(100) 내에서 자라 절토사면(1)에 까지 뻗은 식물의 뿌리는 절토사면(1) 표층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생틀 일 실시예에 식물씨앗 및 배양토가 채워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앵커볼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내부에 피복케이싱 및 정착케이싱이 형성된 식생틀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를 적용하여 절토사면을 디자인한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의 (a)단계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의 (a)단계에서 절토사면을 소일네일로 보강하는 과정을 더 포함시킨 실시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의 (b)단계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의 (c)단계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도 10a는 식생틀, 앵커볼트, 거푸집, 체결볼트 및 지압판 결합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b는 화분형 식생틀, 앵커볼트, 거푸집, 체결볼트 및 지압판 결합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의 (d)단계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의 (d)단계 실시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토사면
100 : 식생틀 110 : 통공(식생틀)
120 : 피복케이싱(식생틀) 130 : 정착케이싱(식생틀)
200 : 앵커볼트 210 : 몸체부(앵커볼트)
220 : 주두부(앵커볼트) 230 : 암나사홈(앵커볼트)
300 : 콘크리트층
400 : 소일네일
500 : 보강철근
600 : 거푸집 610 : 체결공(거푸집)
700 : 결합볼트
800 : 지압판 810 : 체결공(지압판)

Claims (12)

  1. 절토사면(1) 위에 다수개 배치되고, 배양토를 가둘 수 있는 식생틀(100);
    몸체부(210)와 주두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210)의 선단부(211) 및 중단부(212)는 상기 절토사면(1)에 관입되고, 상기 몸체부(210)의 후단부(213) 및 상기 주두부(220)는 상기 식생틀(100)에 가둬진 배양토에 매립된 채로 정착되는 앵커볼트(200);
    상기 절토사면(1) 표면의 식생틀(100) 사이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층(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절토사면(1)은 다수개의 소일네일(400)에 의해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콘크리트층(300)에는 보강철근(500)이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식생틀(100)은 PVC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식생틀(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후단부(213)를 둘러감싸는 피복케이싱(120); 및
    상기 피복케이싱(120) 상단에서 이어지며, 상기 앵커볼트(200)의 주두부(220)가 안착되는 정착케이싱(13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식생틀(100)은 화분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식생틀(100)의 하면에는 상기 피복케이싱(120)과 연통되는 통공(110)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7. (a) 지반을 굴착하여 절토사면(1)을 형성시키는 단계;
    (b) 배양토를 가둘 수 있는 식생틀(100)을 상기 절토사면(1) 위에 다수개 배치하고, 몸체부(210)와 주두부(220)로 구성된 앵커볼트(200)를 상기 식생틀(100) 안쪽의 절토사면(1)에 삽입시킨 후, 배양토를 상기 식생틀(100) 안쪽에 다져 넣어,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선단부(211) 및 중단부(212)는 상기 절토사면(1)에 관입되고,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후단부(213) 및 주두부(220)는 상기 배양토에 매립된 채로 정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식생틀(100) 위에 상기 절토사면(1)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는 거푸집(600)을 거치, 고정시키는 단계;
    (d) 상기 절토사면(1)과 거푸집(60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식생틀(100) 사이 사이에 상기 콘크리트가 충전(充塡)된 콘크리트층(300)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거푸집(600)을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8. 제7항에서,
    상기 (a)단계는 절토사면(1) 형성 후 상기 절토사면(1)을 다수개의 소일네일(400)로 보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공 법.
  9. 제8항에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거푸집(600)을 상기 식생틀(100) 위에 거치, 고정시키기 전에 상기 콘크리트층(300)의 보강철근(500)을 배근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앵커볼트(200)를 상기 절토사면(1)에 삽입시키기 전에 상기 앵커볼트(200) 몸체부(210)의 후단부(213)를 둘러감싸는 피복케이싱(120); 과 상기 피복케이싱(120) 상단에서 이어지며 상기 앵커볼트(200)의 주두부(220)가 안착되는 정착케이싱(130); 을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앵커볼트(200)의 주두부(220)는 상단으로부터 암나사홀(2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푸집(600)은 상기 암나사홀(230)에 대응하는 체결공(610)이 형성 되어 있어,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거푸집(600)의 체결공(610)을 관통하며 상기 암나사홀(230)에 나사결합하는 체결볼트(700)로 상기 거푸집(600)을 상기 식생틀(100) 위에 거치,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12. 제11항에서,
    상기 (c)단계는, 판면에 체결공(810)이 형성된 지압판(800)을 상기 거푸집(600) 상면에 배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체결볼트(700)를 상기 지압판(800) 체결공(810) 및 상기 거푸집(600) 체결공(610)에 관통시키면서 상기 암나사홀(230)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KR1020080021432A 2008-03-07 2008-03-07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KR20090096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32A KR20090096077A (ko) 2008-03-07 2008-03-07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32A KR20090096077A (ko) 2008-03-07 2008-03-07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077A true KR20090096077A (ko) 2009-09-10

Family

ID=4129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32A KR20090096077A (ko) 2008-03-07 2008-03-07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60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760A1 (ko) * 2013-12-19 2015-06-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성능 숏크리트를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KR101713964B1 (ko) 2015-11-17 2017-03-09 (주)강산이앤씨 사면 녹화용 식생매트 체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760A1 (ko) * 2013-12-19 2015-06-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성능 숏크리트를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KR101713964B1 (ko) 2015-11-17 2017-03-09 (주)강산이앤씨 사면 녹화용 식생매트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21470B (zh) 装配式锚杆拱形骨架复合式生态护坡施工方法
KR100793985B1 (ko) 콘크리트 격자형 사면보강 공법 및 사면 보강 구조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20180103460A (ko) 식생틀이 구비된 기능성 식생 에코 옹벽
KR20090096077A (ko) 사면 식생-안정화 구조 및 사면 식생-안정화 공법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007566B1 (ko) 네일링 및 앵커링 수단이 동시 적용된 절토사면 보강용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943144B1 (ko) 뿜칠용 콘크리트와 인공경량토를 이용한 인조바위의 시공방법
KR100696297B1 (ko) 도로의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CN210341948U (zh) 一种园林生态护坡
KR101489443B1 (ko)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10040017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130027354A (ko)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KR20150099916A (ko) 자연 친화적 옹벽
CN113605412B (zh) 一种用于矿山边坡生态复绿的一体化支撑载体装置
KR20040072586A (ko) 전면과 지중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사면녹화안정용 보강토공법
KR101350108B1 (ko) 조립식 지주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81842A (ko) 격자 식생블럭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20080034426A (ko)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용 조립식 경관목책
KR101107279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및 절토지반에서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공법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CN107964967A (zh) 一种用于边坡生态治理的稳固结构及施工方法
KR101070701B1 (ko) 골격구조를 이용한 식생옹벽
KR20090033581A (ko)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CN109235466A (zh) 一种路基边坡平台植筋式绿化槽构造及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