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445B1 - 인공 조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 조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445B1
KR101034445B1 KR1020090123274A KR20090123274A KR101034445B1 KR 101034445 B1 KR101034445 B1 KR 101034445B1 KR 1020090123274 A KR1020090123274 A KR 1020090123274A KR 20090123274 A KR20090123274 A KR 20090123274A KR 101034445 B1 KR101034445 B1 KR 10103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ssembly
tree
fixing
block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혁
Original Assignee
박정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혁 filed Critical 박정혁
Priority to KR102009012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공사 기간 및 공사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시스템 전체에 변형 또는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 조경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인공 조경 시스템은, 다수의 블록 유닛들이 적층되어 산 형상의 윤곽을 이루는 블록 어셈블리와, 적어도 일부가 블록 어셈블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구조물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 유닛들의 일단에 배치된 고정판과 고정판과 내부 구조물을 연결하여 블록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와, 블록 어셈블리의 상부에 형성된 바위용 홈에 설치된 바위와, 블록 어셈블리의 상부에 형성된 나무용 홈에 설치된 나무와, 블록 어셈블리의 표면에 설치되어 습도를 공급하거나 이끼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하는 식생 매트와, 식생 매트 상에 고정되는 토양층과, 블록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나무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123274
인공, 조경, EPS, 하중, 분산

Description

인공 조경 시스템{Artificial landscaping system}
본 발명은 인공 조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 예를 들어 아파트 단지 등에서 바위나 나무를 이용하여 인공 조경을 형성하는 경우 바위나 나무 등으로 인한 무거운 하중에 의하여 시스템 전체에 변형 또는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 조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의 발달과 도시화로 인하여 인구가 급속히 도시로 집중하는 현상이 벌어지게 있다. 이와 같은 도시로의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한정된 공간에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거주할 수 있는 거주공간이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주상복합 빌딩, 오피스텔, 아파트, 빌라 및 다세대 주택 등의 공동주택이 도심에 들어서기 시작하였고, 또한 도심의 중심부는 고층 빌딩에 의해 뒤덮이게 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공동주택 및 고층 빌딩은 단지 한정된 공간에 수많은 인구를 집중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것들로서, 주거환경과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공동 주택이나 고층 빌딩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도시 생활의 편리함을 만족하기는 하나 항상 주변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요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최근 공동 주택이나 고층 빌딩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건물과 건물 사이나 여분의 지면에 인조 조경이나 분수대 등을 설치함으로써 주거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일어나고 있다. 나아가 인조 조경이나 분수대 등과 같은 인조 조경 시스템이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공 조경 시스템이 대형화됨에 따라 그 면적이 넓어지고 또한 그 높이도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에 이르게 되었다. 대형화된 인공 조경 시스템을 건설하기 위하여 내부를 흙이나 콘크리트로 채우는 경우 공사 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공사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인조 조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위나 나무 등의 하중이 증가함으로써 인공 조경 시스템 전체에 변형이 일어나거나 일부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사 기간 및 공사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시스템 전체에 변형 또는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 조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은, 다수의 블록 유닛들이 적층되어 산 형상의 윤곽을 이루는 블록 어셈블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록 어셈블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구조물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블록 유닛들의 일단에 배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내부 구조물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 리와,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상부에 형성된 바위용 홈에 설치된 바위와,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상부에 형성된 나무용 홈에 설치된 나무와,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표면에 설치되어 습도를 공급하거나 이끼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하는 식생 매트와, 상기 식생 매트 상에 고정되는 토양층과,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나무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공 조경 시스템은 다수의 상기 블록 유닛들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경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 조경 시스템은 상기 나무용 홈의 바닥면에 배치된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부에 충전되는 배양토와, 상기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나무용 홈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토의 유실을 막는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어셈블리는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배관과, 상기 배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와, 상기 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 내에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와, 상기 배관과 상기 급수 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 시에는 상기 밸브를 클로즈하고 상기 급수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배관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 시에는 상기 밸브를 오픈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배관 내에 흡입시키면서 상기 배수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배관 내에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구조물은 상기 블록 어셈블리로 둘러싸인 터널이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수평 고정 어셈블리와 수직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 기 수평 고정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블록 유닛들의 일단에 배치된 제1 고정판과,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터널의 측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고정 어셈블리는,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블록 유닛들의 일단에 배치된 제2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과 상기 터널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부 구조물은 하단이 상기 블록 어셈블리를 항해 돌출된 옹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수평 고정 어셈블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내부 구조물은 상기 블록 어셈블리 내부에 상기 블록 유닛들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치된 콘크리트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수직 고정 어셈블리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에 의하면, 도심 외곽의 자연 환경을 도심 속에 그대로 또는 축소하여 재현함으로써 도시인들의 정서 함양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인공 조경 시스템 내부를 흙이나 콘크리트 대신 블록 어셈블리로 채움으로써 공사 기간 및 공사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블록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블록 유닛들을 고정판 및 연결 부재로 이루어진 고정 어셈블리와 내부 구조물로 고정함으로써, 상부에 배치된 바위나 나무 등의 하중이 일부에 편중되더라도 그 하중을 시스템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서 시스템이 변형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 조경 시스템의 높이가 수십 미터 이상으로 대형화되더라도 붕괴될 우려가 전혀 없으며, 사람들이 안심하고 그 위를 산책할 수 있다.
또한 나무를 심기 위한 나무용 홈의 바닥면에 배수판을 설치하고 일측면에 배수로와 함께 거름망을 설치함으로써 나무가 자라는 배양토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함과 동시에 나무 뿌리가 썩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 조경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1)은 지반 상에 형성되는 베이스 층(5)과, 베이스 층(5) 상에 형성된 터널(100)과, 베이스 층(5) 및 터널(100) 상에 적층되는 블록 어셈블리(10)와, 블록 어셈블리(10) 상부를 커버하는 식생 매트(20)와, 식생 매트(20) 상부에 배치되는 토양층(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층(5)은 인공 조경 시스템(1)의 하부에 설치되어 기초 역할을 한다. 베이스 층(5)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6)은 인공 조경 시스템(1)과 주변을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층(5)은 건물의 슬라브 등의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측벽(6)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 층(5)은 합성수지 판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베이스 층(5)은 측벽(6)과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측벽(6) 또는 베이스 층(5)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터널(100)은 블록 어셈블리(10)와 중첩되게, 구체적으로 베이스 층(5)과 블록 어셈블리(10) 사이에 개재되며,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널(100) 내에는 공간부(101)가 형성될 수 있고, 터널(100)과 동일 또는 다른 물질로 공간부(101)가 충전(充塡)될 수도 있다. 터널(100)은 후술하는 고정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블록 유닛(12)을 고정시키는 내부 구조물의 역할을 한다.
블록 어셈블리(10)는 베이스 층(5) 및 터널(100) 상부에 설치되며, 인공 조경 시스템(1)의 전체적인 윤곽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블록 어셈블리(10)는 터널(100)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인공 조경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부를 흙이나 콘크리트로 채웠는데 이 경우 내부 충전재의 재료 비용이나 운반비용 등으로 인해 공사 비용이 증가하고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1)의 경우 가볍고 취급이 간편한 재질로 이루어진 블록 어셈블리(10)를 이용하여 인공 조경 시스템(1)의 윤곽을 형성함으로써 공사 비용이나 공사 기간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블록 어셈블리(10)는 다수의 블록 유닛(12)을 적층하여 구성되며, 각 블록 유닛(12)으로는 EPS(Expandable PolyStyrene, 발포폴리스티렌), 합성수지, 또는 발포폼 등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의 블록 또는 특정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블록 어셈블리(10)는 산 형상의 윤곽을 가지도록 하나 이상의 블록 유닛(12)을 적층한 것으로서, 블록 유닛(12)의 운반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블록 어셈블리(10)는 다수의 블록 유닛(1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블록 유닛(12)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블록 유닛(12)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블록 어셈블리(10)의 외곽에 배치된 블록 유닛(12)은 전기 열선이나 커팅 히터 등과 같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경사 등을 따라 조각하여 전체적으로 산모양의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블록 어셈블리(10)가 다수의 블록 유닛(12)으로 구성될 경우 상부에 설치되는 바위(40) 또는 나무(50) 등의 하중에 의해 블록 어셈블리(10)가 부분적으로 파괴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 어셈블리(10) 상부에 바위(40) 또는 나무(50)가 전체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설치되므로 하중이 일부에 편중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블록 유닛(12)에 하중이 집중될 경우 해당 블록 유닛(12)과 이웃하는 블록 유닛(12)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사이 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수의 블록 유닛(12)을 고정 어셈블리 및 터널(100)을 이용하여 서로 밀접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일부에 편중될 수 있는 하중을 다수의 블록 유닛(12)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하였다.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일렬도 배열된 다수의 블록 유닛(12)은 고정판(110)과 연결부재(112)를 포함하는 수평 고정 어셈블리(113)에 의해 터널(100)의 측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일렬도 배열된 다수의 블록 유닛(12)은 고정판(110)과 연결부재(112)를 포함하는 수직 고정 어셈블리(115)에 의해 터널(100)의 상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고정 어셈블리(113, 115)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고정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정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수평 고정 어셈블리(113)는 수직 고정 어셈블리(1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평 고정 어셈블리(113)를 주로 설명하여 이는 수직 고정 어셈블리(115)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렬도 배열된 다수의 블록 유닛(12)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관통홀(14)이 형성된다. 다수의 블록 유닛(12)의 일단에는 터널(100)이 배치되고, 터널(100)의 외측면에는 관통홀(14)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부(102)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결속부(102)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블록 유닛(12)의 타단에는 고정판(110)이 배치된다. 고정판(110)은 평판 형상의 고강도 재질, 예를 들어 철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12)의 일단은 터 널(100)에 형성된 결속부(102)에 묶이고 연결부재(112)의 타단은 관통홀(14)을 경유하여 고정판(110)에 결합함으로써, 터널(100)과 고정판(110)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블록 유닛(12)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12)는 금속 와이어 또는 양단에 전산볼트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12)를 고정판(110)에 형성된 연결홀(114)을 통과시키고 고정판(110)의 외측에서 절곡시킨 후 고정부재(116)를 이용하여 절곡된 부위를 묶으면 연결부재(112)에 매듭이 형성되어, 연결부재(112)와 고정판(110)이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다만 연결부재(112)를 고정판(1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방법들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평 고정 어셈블리(113)는 블록 유닛(12)의 층마다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여기서, n은 정수)의 블록 유닛(12)이 일렬로 배열된 경우, 수평 고정 어셈블리(113)를 이용하여 (n-1)개 이하의 연속된 블록 유닛(12)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 유닛(12) 중 외곽에 위치하는 것은 산모양의 윤곽을 조각하기 위해 남겨 두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12)가 블록 유닛(12)을 관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블록 유닛(12)에 별도의 관통홀(14)을 형성하지 않고도 수평 고정 어셈블리(113)를 이용하여 다수의 블록 유닛(12)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열로 배열된 블록 유닛(12)의 경우 각 열의 경계부에 연결부재(112)를 배치하고 고정판(110) 및 결속부(102)를 상기 경계부의 양단에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어셈블리(10)의 상부에는 바위용 홈(42) 및 나무용 홈(52)이 형성된다. 바위용 홈(42)에는 각종 형상의 바위(40)가 설치된다. 바위용 홈(42) 상에 접착 부재(44)를 바르고 접착 부재(44) 위에 바위(40)를 배치함으로써 바위(40)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44)는 우레탄폼을 경화시켜 만들 수도 있다. 나무용 홈(52)에는 나무(50)의 뿌리 부분이 위치한다. 블록 유닛(12)이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나무용 홈(52)에 물이 고이게 되면, 나무(50)의 뿌리가 썩게 되므로 나무용 홈(52)의 배수 처리가 중요하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나무용 홈(52)의 배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나무용 홈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나무용 홈(52)의 바닥면에는 배수판(55)이 배치된다. 배수판(55)에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흙은 통과하지 못하지만 물(57)은 통과하는 구조를 가진다. 나무용 홈(52)에 투입되는 물(57)을 원활하게 배수하도록 배수판(55)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물질이 배수판(55)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판(55) 상부에 부직포(56)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부직포(56) 상부에 나무(50)의 뿌리를 배치한 후 배양토(54)를 충전한다. 나무용 홈(52)의 일측면에는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수로(58)가 형성된다. 배수로(58)를 통하여 배양토(54)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로(58) 앞부분에는 거름망(53)이 배치된다. 거름망(53)은 나무용 홈(52)의 바닥면으로부터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나무용 홈(52)의 배수 구조에 따르면 나무용 홈(52)에 유입되는 물(57)은 배수판(55) 하부에 일정 부분 저장되고 저장된 물(57)의 수위가 배수판(55)보다 높아지면 과잉 공급된 물(57)은 배수로(58)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배수판(55) 하부에 일부 저장된 물(57)은 배양토(54) 내에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나무(50)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무(50)를 직접 나무용 홈(52)에 심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무(50)가 심겨져 있는 수목분을 나무용 홈(52)에 삽입 배치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어셈블리(10) 표면에는 식생 매트(20)가 설치되고 식생 매트(20) 상부에는 토양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식생 매트(20)는 스폰지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습도 공급 및 이끼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하는 저장소 역할을 한다. 토양층(30)은 황토, 부엽토 및 이들을 식생 매트(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겔 조성물을 포함한다. 토양층(30)의 표면에는 표층식물(32)이 식재된다. 표층식물(32)로는 이끼나 잔디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나무(50) 및 표층식물(3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도 1의 인공 조경 시스템의 배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배관 어셈블리(66)는 블록 어셈블리(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배관(60)과, 배관(60)의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62)와, 배관(6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배관(60) 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64)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관(60)으로부터 분지되어 블록 어셈블리(10)의 상단으로 연장된 다수의 서브 배관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배관의 단부에는 중공 원 형 분사 방식의 1구 또는 6구 노즐이 설치되어 있어서 안개 형태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배관(60)과 급수 펌프(62) 사이에는 제1 밸브(63)가 설치되어 있고, 배관(60)과 배수 펌프(64) 사이에는 제2 밸브(65)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시에는 제1 밸브(63)가 오프되고 제2 밸브(65)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급수 펌프(62)를 이용하여 배관(60)에 물을 공급하여 서브 배관을 통하여 물을 분사한다. 하지만, 동절기와 같이 배관(60) 내의 결빙이 우려되는 경우 급수를 중지하고 제1 밸브(63)를 클로즈하고 제2 밸브(65)를 오픈한 상태에서 배수 펌프(64)를 이용하여 배관(60) 내에 있는 물을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층(5)의 일부 영역에는 측벽(6)을 이용하여 호수(70) 또는 폭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터널(100)이 블록 어셈블리(10)를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사람들이 이 터널(100)을 왕래하면서 본 발명의 인공 조경 시스템(1)을 직접 체험하며 즐길 수도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전 실시예(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 그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조경 시스템(2)을 옹벽(103)의 측부에 형성할 수 있다. 옹벽(103)의 하부는 블록 어셈블리(10)를 향해 돌출되어 블록 어셈블 리(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옹벽(103)의 하부는 수평 고정 어셈블리(113)를 이용하여 블록 유닛(12)을 고정시키는 내부 구조물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블록 유닛(12)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관통홀(14)이 형성된다. 다수의 블록 유닛(12)의 일단에는 옹벽(103)이 배치되고, 옹벽(103)의 외측면에는 관통홀(14)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부(102)가 설치된다. 다수의 블록 유닛(12)의 타단에는 고정판(110)이 배치된다. 연결부재(112)의 일단은 옹벽(103)에 형성된 결속부(102)에 묶이고 연결부재(112)의 타단은 관통홀(14)을 경유하여 고정판(110)에 결합함으로써, 옹벽(103)과 고정판(110)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블록 유닛(12)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어셈블리(10)의 일부에 편중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블록 유닛(12)에 별도의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수평 고정 어셈블리(113)를 이용하여 다수의 블록 유닛(12)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열로 배열된 블록 유닛(12)의 경우 각 열의 경계부에 연결부재(112)를 배치하고 고정판(110) 및 결속부(102)를 상기 경계부의 양단에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전 실시예(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 그 차이점 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어셈블리(10)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패드(105)는 수직 고정 어셈블리(115)를 이용하여 블록 유닛(12)을 고정시키는 내부 구조물의 역할을 한다. 콘크리트 패드(105)는 베이스 층(5)과 이격되고 블록 유닛(12)들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블록 유닛(12)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관통홀(14)이 형성된다. 다수의 블록 유닛(12)의 일단에는 콘크리트 패드(105)가 배치되고, 콘크리트 패드(105)의 외측면에는 관통홀(14)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속부(102)가 설치된다. 다수의 블록 유닛(12)의 타단에는 고정판(110)이 배치된다. 연결부재(112)의 일단은 콘크리트 패드(105)에 형성된 결속부(102)에 묶이고 연결부재(112)의 타단은 관통홀(14)을 경유하여 고정판(110)에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패드(105)와 고정판(110)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블록 유닛(12)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패드(105)가 수평 방향으로 넓게 배치되어 있고 수직 고정 어셈블리(115)에 의해 다수의 블록 유닛(12)이 콘크리트 패드(105)에 고정됨으로써 블록 어셈블리(10)의 일부에 편중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블록 유닛(12)에 별도의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수직 고정 어셈블리(115)를 이용하여 다수의 블록 유닛(12)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열로 배열된 블록 유닛(12)의 경우 각 열의 경계부에 연결부재(112)를 배치하고 고정판(110) 및 결속부(102)를 상기 경계부의 양단에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나무용 홈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인공 조경 시스템의 배관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 조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인공 조경 시스템 5: 베이스 층
6: 측벽 10: 블록 어셈블리
12: 블록 유닛 14: 관통홀
20: 식생 매트 30: 토양층
32: 표층식물 40: 바위
42: 바위용 홈 44: 접착 부재
50: 나무 52: 나무용 홈
53: 거름망 54: 배양토
55: 배수판 56: 부직포
57: 물 58: 배수로
60: 배관 62: 급수 펌프
63: 제1 밸브 64: 배수 펌프
65: 제2 밸브 66: 배관 어셈블리
70: 호수 100: 터널
101: 공간부 102: 결속부
103: 옹벽 105: 콘크리트 패드
110: 고정판 112: 연결부재
113: 수평 고정 어셈블리 114: 연결홀
115: 수직 고정 어셈블리 116: 고정부재

Claims (7)

  1. 다수의 블록 유닛들이 적층되어 산 형상의 윤곽을 이루는 블록 어셈블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블록 어셈블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구조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블록 유닛들의 일단에 배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내부 구조물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 유닛들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고정 어셈블리;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상부에 형성된 바위용 홈에 설치된 바위;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상부에 형성된 나무용 홈에 설치된 나무;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표면에 설치되어 습도를 공급하거나 이끼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하는 식생 매트;
    상기 식생 매트 상에 고정되는 토양층; 및
    상기 블록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나무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공 조경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블록 유닛들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경유하는 인공 조경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용 홈의 바닥면에 배치된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 상부에 충전되는 배양토와,
    상기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나무용 홈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토의 유실을 막는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인공 조경 시스템.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구조물은 상기 블록 어셈블리로 둘러싸인 터널이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수평 고정 어셈블리와 수직 고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고정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블록 유닛들의 일단에 배치된 제1 고정판과,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터널의 측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고정 어셈블리는,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블록 유닛들의 일단에 배치된 제2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과 상기 터널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공 조경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090123274A 2009-12-11 2009-12-11 인공 조경 시스템 KR10103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74A KR101034445B1 (ko) 2009-12-11 2009-12-11 인공 조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74A KR101034445B1 (ko) 2009-12-11 2009-12-11 인공 조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445B1 true KR101034445B1 (ko) 2011-05-12

Family

ID=4436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274A KR101034445B1 (ko) 2009-12-11 2009-12-11 인공 조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4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856A (ko) * 2012-03-12 2013-09-25 박정엽 인공자연 조경물
KR101715514B1 (ko) * 2015-10-08 2017-03-22 임찬영 자연 축경식 명산 구조체
KR102067923B1 (ko) * 2019-01-04 2020-01-17 신동헌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92067A (ko) 2020-01-15 2021-07-23 이재욱 조경용 정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17257B1 (ko) * 2020-05-19 2021-10-25 주식회사 자연들판 동굴이 있는 인공산
WO2022148263A1 (zh) * 2021-01-07 2022-07-14 彭贵阳 一种石斛浇灌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6918A (ja) * 1991-03-14 1994-11-15 Sekisui Plastics Co Ltd 人工地盤および人工地盤の通排水層構成用ブロック部材
KR200262762Y1 (ko) 2001-10-16 2002-03-18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하천제방 도로 호안구조물
KR20020062762A (ko) * 2000-10-18 2002-07-2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루테늄막 및 산화 루테늄막, 및 그 형성 방법
KR20030013394A (ko) * 2001-03-15 2003-02-14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스캔식 레이더의 신호 처리 방법
KR200313394Y1 (ko) 2003-01-24 2003-05-16 김재필 조경용 인공 식생섬
KR20090080846A (ko) * 2008-01-22 2009-07-27 김기확 인공폭포 및 조경시설을 갖춘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6918A (ja) * 1991-03-14 1994-11-15 Sekisui Plastics Co Ltd 人工地盤および人工地盤の通排水層構成用ブロック部材
KR20020062762A (ko) * 2000-10-18 2002-07-2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루테늄막 및 산화 루테늄막, 및 그 형성 방법
KR20030013394A (ko) * 2001-03-15 2003-02-14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스캔식 레이더의 신호 처리 방법
KR200262762Y1 (ko) 2001-10-16 2002-03-18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하천제방 도로 호안구조물
KR200313394Y1 (ko) 2003-01-24 2003-05-16 김재필 조경용 인공 식생섬
KR20090080846A (ko) * 2008-01-22 2009-07-27 김기확 인공폭포 및 조경시설을 갖춘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3856A (ko) * 2012-03-12 2013-09-25 박정엽 인공자연 조경물
KR101715514B1 (ko) * 2015-10-08 2017-03-22 임찬영 자연 축경식 명산 구조체
KR102067923B1 (ko) * 2019-01-04 2020-01-17 신동헌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92067A (ko) 2020-01-15 2021-07-23 이재욱 조경용 정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17257B1 (ko) * 2020-05-19 2021-10-25 주식회사 자연들판 동굴이 있는 인공산
WO2022148263A1 (zh) * 2021-01-07 2022-07-14 彭贵阳 一种石斛浇灌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02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KR101034445B1 (ko) 인공 조경 시스템
WO2019205068A1 (zh) 一种用于边坡防护的生态土工格栅
KR101275615B1 (ko)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JP2009528827A (ja) 縦型植栽システム
KR101179544B1 (ko) 인공 조경 시스템
JPH07274729A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KR100904044B1 (ko)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11580824U (zh) 一种建筑墙面的垂直绿化系统
KR20130103856A (ko) 인공자연 조경물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CN212612526U (zh) 一种用于陡边坡网格梁内植草支护结构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CN205908109U (zh) 一种垂直绿化围墙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JP2003189744A (ja) 屋上緑化の金網ブロックユニット化工法並に金網ブロック
CN103334517B (zh) 一种建筑物顶部承重墙中长根植物栽植结构及施工方法
KR101141197B1 (ko) 기존옹벽에 시공되는 익스펜디드메탈을 이용한 입면녹화 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0442995B1 (ko) 암반 사면 및 건물 옥상의 녹화방법
KR20150019110A (ko) 경사면용 계단식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42573B1 (ko)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JP4543139B2 (ja) 集合住宅等のバルコニーに敷設する立体庭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