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923B1 -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923B1
KR102067923B1 KR1020190001279A KR20190001279A KR102067923B1 KR 102067923 B1 KR102067923 B1 KR 102067923B1 KR 1020190001279 A KR1020190001279 A KR 1020190001279A KR 20190001279 A KR20190001279 A KR 20190001279A KR 102067923 B1 KR102067923 B1 KR 102067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block
base assembly
groove
installa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신동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헌 filed Critical 신동헌
Priority to KR102019000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사간의 시공과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석가산의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바닥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구비된 베이스조립체; 상기 베이스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돌기를 통하여 하단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형성하고자 하는 석가산 형상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되는 설치블록;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설치된 설치블록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식물 및 나무가 심어지게 형성되는 블록 형상의 식재결합구;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설치된 설치블록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석가산의 상부 형태를 형성하는 상부형상틀; 상기 설치블록과 상부형상틀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잔디나 이끼가 식재되는 식생매트; 상기 설치블록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의 상부로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장치; 및 상기 식생매트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토양층;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블록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하단에 복수개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T'자 형상의 결합홈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식재결합구 또는 상부형상틀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복수개의 설치블록 간 연결 시, 상기 결합홈은 'H'형상을 이루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an artificial hill structru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조립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블록과 상기 설치블록의 상부에 설치되는 식재결합구 및 상부형상틀의 구성을 통하여 석가산의 형성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석가산의 상부 형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한, 효율적인 석가산 시공과정을 이를 수 있는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가산이란 감상 가치가 있는 여러 개의 돌을 쌓아 산의 형태로 축소시켜 재현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산의 형태를 이루기 위하여 형성되는 석가산은 산의 형태를 이룰 수 있는 자연석을 석가산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쌓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석가산을 형성하는 과정이 돌의 무게로 인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스치로폼블록 등을 이용하여 석가산의 형태를 형성하고, 형성된 석가산의 상부로 나무, 풀, 잔디, 이끼 등을 심거나 배치시켜 이루어지는 석가산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석가산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스치로폼블럭을 쌓은 후, 스치로폼블럭의 상부로 바위, 식물 등을 구비하여 석가산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석가산 구조 등은 석가산의 기초 골격을 이루기 위한 스치로폼블록이 수직 수평 방향으로 쌓여지는 경우에도 문헌(1)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스치로폼블록을 쌓는 경우에는 결합이 이루어진 스치로폼브록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나, 수직 방향에서 발생 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스치로폼블럭의 연결 부위가 벌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연결이 이루어진 스치로폼블록의 상부 형상을 이루기 위해서 스치로폼블록의 상면을 일일이 깍거나 가공해야 하고, 가공이 이루어진 스티로폼블록의 상부로 많은 양의 흙을 도포하여야만 석가산의 상부 형상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문제가 있어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04044(2009.06.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석가산의 형상을 이루기 위한 설치블록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설치블록의 체결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석가산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결합,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베이스조립체와 설치블록 간 결합과, 설치블록 간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석가산의 시공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석가산의 형성을 위하여 각 구성의 크기 및 규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석가산 시공을 위한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석가산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설치블록의 상부로 식물이나 나무의 식생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석가산의 형성 후에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석가산의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바닥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구비된 베이스조립체; 상기 베이스조립체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돌기를 통하여 하단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형성하고자 하는 석가산 형상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되는 설치블록;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설치된 설치블록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식물 및 나무가 심어지게 형성되는 블록 형상의 식재결합구; 상기 베이스조립체에 설치된 설치블록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석가산의 상부 형태를 형성하는 상부형상틀; 상기 설치블록과 상부형상틀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잔디나 이끼가 식재되는 식생매트; 상기 설치블록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의 상부로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장치; 및 상기 식생매트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토양층;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블록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하단에 복수개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T'자 형상의 결합홈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식재결합구 또는 상부형상틀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복수개의 설치블록 간 연결 시, 상기 결합홈은 'H'형상을 이루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의 내측 중심부에는 하향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결합구는 상면에 개구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내측으로 식물 또는 나무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게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의 내측 중심부에는 하향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형상틀은 상면에 원형구, 반원형구, 계단, 경사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받침판과,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게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조립체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블록의 외측 테두리와 인접한 상면에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연결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조립체와 설치블록 간 결합시, 상기 고정홈과 연결공은 수직파이프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블록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수평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에는 복수개의 설치블록 간 연결 시, 설치블록의 연결 부위를 이격시키도록 수평연결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의 일측면에는 설치블록의 내측 중심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상승되는 상향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향결합홈과 대향되는 설치블록의 타측면에는 설치블록의 내측 중심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하강되는 하향결합홈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설치블록 간 연결 시, 상기 상향결합홈과 하향결합홈에 체결되는 연결판을 통하여 설치블록의 결합 위치가 단차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조립체와, 상기 베이스조립체의 상부로 설치되는 설치블록을 포함하는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를 통하여 석가산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바닥면의 상부로 베이스조립체를 설치하는 베이스조립체설치단계; 상기 베이스조립체설치단계를 통하여 설치된 베이스조립체의 상단으로 복수개의 설치블록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되, 베이스조립체의 고정돌기를 통하여 설치블록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설치블록설치단계; 상기 설치블록설치단계를 거친 후에 설치블록의 상단으로 식재결합구와 상부형상틀을 결합하여 석가산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부형상형성단계; 상기 상부형상형성단계 이후에 설치블록의 연결 부위로 물분사장치와 연결된 급수파이프와 배수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는 배관연결단계; 상기 배관연결단계 이후에 설치블록의 상부로 식물 및 나무 심어 조경한 후 설치블록의 상면을 덮도록 식생매트를 설치하는 식생매트 설치단계; 상기 설치단계를 통하여 석가산의 외부 형상이 이루어진 후에 식생매트의 상부를 덮도록 토양층을 도포하는 토양층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연결단계 이후에는 베이스조립체의 고정홈과 설치블록의 연결공을 수직파이프로 연결 설치하는 설치블록지지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석가산의 형상을 이루기 위한 설치블록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설치블록의 체결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석가산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셋째, 결합,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베이스조립체와 설치블록 간 결합과, 설치블록 간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석가산의 시공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넷째, 석가산의 형성을 위하여 각 구성의 크기 및 규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석가산 시공을 위한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석가산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설치블록의 상부로 식물이나 나무의 식생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석가산의 형성 후에도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의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블록의 상부로 상부형상틀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블록의 상부로 식재결합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의 설치블록이 수평연결부재를 통하여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6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의 설치블록이 연결판을 통하여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석가산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석가산을 도시한 다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시공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시공방법의 다른 공정 흐름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석가산(1)의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바닥면(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1)가 구비된 베이스조립체(10); 상기 베이스조립체(10)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돌기(11)를 통하여 하단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형성하고자 하는 석가산(1)의 형상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되는 설치블록(20); 상기 베이스조립체(10)에 설치된 설치블록(2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식물(3) 및 나무(4)가 심어지게 형성되는 블록 형상의 식재결합구(30); 상기 베이스조립체(10)에 설치된 설치블록(2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석가산(1)의 상부 형태를 형성하는 상부형상틀(40); 상기 설치블록(20)과 상부형상틀(2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잔디나 이끼가 식재되는 식생매트(50); 상기 설치블록(2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50)의 상부로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장치(60); 및 상기 식생매트(5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토양층(70);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블록(20)은 상기 고정돌기(11)가 삽입되는 체결홈(21)이 하단에 복수개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T'자 형상의 결합홈(22)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식재결합구(30) 또는 상부형상틀(40)이 결합되는 안착홈(23)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복수개의 설치블록(20) 간 연결 시, 상기 결합홈(22)은 'H'형상을 이루는 연결부재(81)를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조립체(10)는 도시한 도 1, 도 10, 도 11에서와 같이, 석가산(1)을 형성하고자 하는 지면(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결합,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조립체(10)의 상면으로는 도 1에서와 같이, 고정돌기(11)가 구비되어 후술할 설치블록(20)의 체결홈(21)이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석가산(1)의 형성을 이루기 위하여 베이스조립체(10)의 상면으로 복수개의 설치블록(20)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쌓는 경우에도 베이스조립체(10)의 상면과 밀착되게 결합되는 베이스조립체(10)가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20)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조립체(10)의 상면으로 복수개 결합되어 지면(2)의 상부로 석가산(1)의 형상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블록(20)은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압축스치로폼이나,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하여 베이스조립체(10)의 상부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20)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테두리면으로 'T'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결합홈(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홈(22)은 복수 개의 설치블록(20)을 수평 방향으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에서와 같이, 결합을 이루고자 하는 설치블록(20)을 밀착시키고, 밀착된 결합홈(22)으로 'H'형상을 이루는 연결부재(81)를 결합함으로써, 밀착되게 연결된 설치블록(20)이 수평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의 설치블록(20)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설치블록(20)의 수평 방향 연결이 분리되거나, 설치된 위치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쉽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식재결합구(30)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블록(20)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23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이는, 상기 설치블록(20)의 안착홈(23) 내측 중심부로 삽입홈(23a)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식재결합구(30)는 상면에 개구(31a)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내측으로 식물(3) 또는 나무(4)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1b)이 형성된 본체(31)와, 상기 삽입홈(23a)과 대응되게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32)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삽입홈(23a)으로 식재결합구(30)의 결합돌기(32)가 체결되는 결합을 통하여 설치블록(20)의 상부로 식재결합구(30)가 견고하게 결합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식재결합구(30)의 삽입공간(31b)으로 식물(3)이나 나무(4)를 심는 경우에도 삽입공간(31b)에 식생된 식물(3)이나 나무(4)의 하중으로 인하여 설치블록(20)과 식재결합구(30)의 결합이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형상틀(4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블록(2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석가산(1)의 상부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안착홈(23)의 내측 중심부에는 하향 방향으로 삽입홈(23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형상틀(40)은 상면에 원형구, 반원형구, 계단, 경사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받침판(41)과, 상기 삽입홈(23a)과 대응되게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설치블록(20)의 삽입홈(23a)으로 상부형상틀(40)의 체결돌기(42)가 삽입되게 결합하여 설치블록(20)과 상부형상틀(4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부형상틀(40)의 상면으로 원형구, 반원형구, 계단, 경사면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형성되게 함으로써, 복수개의 설치블록(20)을 수직 방향으로 쌓은 후에 석가산(1)의 상부 형상을 변경하기 위하여 설치가 이루어진 설치블록(20)을 가공하거나, 복수개의 매트나 토사를 쌓지 않고도 석가산(1)의 상부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식생매트(50)는 잔디나 이끼를 식재할 수 있는 종래의 식생매트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물분사장치(60)는 베이스조립체(10)의 상부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쌓이는 설치블록(20)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50)의 상부로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물분사장치(60)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설치블록(20)의 연결 부위로 급수파이프(61)와 배수파이프(62)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물분사장치(6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급수파이프(61)를 통하여 식생매트(50)의 상부로 분사되게 하고, 분사가 이루어진 물은 배수파이프(62)를 통하여 수거되어 상기 물분사장치(60)로 다시 수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토양층(70)은 설치블록(20)의 상부로 식생매트(50)가 설치된 후에 상기 식생매트(5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토양층(70)은 종래의 토양층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조립체(10)의 상면에 쌓이는 설치블록(20)이 견고하게 설치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조립체(1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12)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설치블록(20)의 외측 테두리와 인접한 상면에는 상기 고정홈(1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연결공(24)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베이스조립체(10)와 설치블록(20) 간 결합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홈(12)과 연결공(24)으로 수직파이프(82)를 결합하여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설치블록(20)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6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블록(2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수평공(25)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평공(25)에는 복수개의 설치블록(20) 간 연결 시, 설치블록(20)의 연결 부위를 이격시키도록 수평연결부재(83)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복수개의 설치블록(20)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블록(20)의 수평 방향 연결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주보게 위치된 설치블록(20)의 수평공(25)으로 수평연결부재(83)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블록(20)의 연결 부위가 이격되며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연결 부위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술한 물분사장치(60)의 급수파이프(61), 배수파이프(62)를 설치하거나, 석가산(1)의 외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치블록(20)은 도시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블록(20)의 일측면에는 설치블록(20)의 내측 중심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상승되는 상향결합홈(26)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향결합홈(26)과 대향되는 설치블록(20)의 타측면에는 설치블록(20)의 내측 중심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하강되는 하향결합홈(27)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1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설치블록(20)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결합홈(26)과 하향결합홈(27)에 체결되는 연결판(90)을 통하여 설치블록(20)의 결합 위치가 단차를 이루도록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석가산(1)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석가산(1)을 형성 과정에서 불필요한 재료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먼저,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바닥면(2)의 상부로 베이스조립체(10)를 설치하는 베이스조립체설치단계(100S)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는 베이스조립체(10)를 석가산(1)을 형서하고자 하는 바닥면(2)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은 바닥면(2)의 상부를 고르게 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조립체설치단계(100S)를 통하여 설치된 베이스조립체(10)의 상단으로 복수개의 설치블록(20)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되, 베이스조립체(10)의 고정돌기(11)를 통하여 설치블록(2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설치블록설치단계(200S)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는 복수개의 설치블록(20) 연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바닥면(2)의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조립체(10)의 고정돌기(11)가 설치블록(20)의 체결홈(21)에 삽입되도록 하며 베이스조립체(10)의 상부로 복수개의 설치블록(20)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설치블록(20)은 도 2, 도 3, 도 6, 도 9, 도 10, 도 11에서와 같이, 석가산(1)을 이루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설치단계(200S) 이후에는 설치블록(20)의 상단으로 식재결합구(30)와 상부형상틀(40)을 결합하여 석가산(1)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부형상형성단계(300S)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복수개의 설치블록(20)을 연결하여 석가산(1)의 형상을 이룬 후에 설치블록(20)의 상단으로 복수개의 상부형상틀(40)을 결합하여 석가산(1)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고, 식물(3)이나 나무(4)가 식재될 수 있는 식재결합구(30)를 설치블록(20)의 상단에 결합하여 석가산(1)의 상부에 식물(3), 나무(4)가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 이후에는 설치블록(20)의 연결 부위로 물분사장치(60)와 연결된 급수파이프(61)와 배수파이프(62)를 연결 설치하는 배관연결단계(400S)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배관연결단계(400S)는 석가산(1)의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설치블록(20)의 연결 부위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물분사장치(60)와 연결된 급수파이프(61)와 배수파이프(62)를 연결 설치하여 물분사장치(60)로 석가산의 상부에 물을 뿌릴 수 있도록 하고, 뿌려진 물이 다시 배수파이프(62)를 통하여 수거되어 물분사장치(60)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배관연결단계(400S) 이후에 설치블록(20)의 상부로 식물(3) 및 나무(4)를 심어 조경한 후 설치블록(10)의 상면을 덮도록 식생매트(50)를 설치하는 식생매트 설치단계(500S)를 수행하고, 상기 식생매트 설치단계(500S)를 통하여 석가산(1)의 외부 형상이 이루어진 후에 식생매트(50)의 상부를 덮도록 토양층(70)을 도포하는 토양층도포단계(600S)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석가산(1)의 상부 형상을 더욱 정밀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석가산의 상부로 각종 식물(3)이나 나무(4)를 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관연결단계(400S) 이후에는 베이스조립체(10)의 고정홈(12)과 설치블(20)의 연결공(24)을 수직파이프(82)로 연결 설치하는 설치블록지지단계(700S)가 더 수행한다.
상기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조립체(10)와 설치블록(20)을 수직파이프(82)로 연결하여 베이스조립체(10)와 설치블록(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석가산 2: 바닥면
3: 식물 4: 나무
10: 베이스조립체 11: 고정돌기
12: 고정홈 20: 설치블록
21: 체결홈 22: 결합홈
23: 안착홈 23a: 삽입홈
24: 연결공 25: 수평공
26: 상향결합홈 27: 하향결합홈
30: 식재결합구 31: 본체
31a: 개구 31b: 삽입공간
32: 결합돌기 40: 상부형상틀
41: 받침판 42: 체결돌기
50: 식생매트 60: 물분사장치
61: 급수파이프 62: 배수파이프
70: 토양층 81: 연결부재
82: 수직파이프 83: 수평연결부재
100S: 베이스조립체설치단계
200S: 설치블록설치단계
300S: 상부형상형성단계
400S: 배관연결단계
500S: 식생매트 설치단계
600S: 토양층도포단계
700S: 설치블록지지단계

Claims (8)

  1. 석가산(1)의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바닥면(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1)가 구비된 베이스조립체(10);
    상기 베이스조립체(10)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돌기(11)를 통하여 하단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형성하고자 하는 석가산(1)의 형상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 설치되는 설치블록(20);
    상기 베이스조립체(10)에 설치된 설치블록(2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식물(3) 및 나무(4)가 심어지게 형성되는 블록 형상의 식재결합구(30);
    상기 베이스조립체(10)에 설치된 설치블록(2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석가산(1)의 상부 형태를 형성하는 상부형상틀(40);
    상기 설치블록(20)과 상부형상틀(2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잔디나 이끼가 식재되는 식생매트(50);
    상기 설치블록(2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식생매트(50)의 상부로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장치(60); 및
    상기 식생매트(5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토양층(70);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블록(20)은
    상기 고정돌기(11)가 삽입되는 체결홈(21)이 하단에 복수개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T'자 형상의 결합홈(22)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식재결합구(30) 또는 상부형상틀(40)이 결합되는 안착홈(23)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복수개의 설치블록(20) 간 연결 시, 상기 결합홈(22)은 'H'형상을 이루는 연결부재(81)를 통하여 연결되되,
    상기 안착홈(23)의 내측 중심부에는 하향 방향으로 삽입홈(23a)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결합구(30)는
    상면에 개구(31a)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내측으로 식물(3) 또는 나무(4)가 삽입되는 삽입공간(31b)이 형성된 본체(31)와,
    상기 삽입홈(23a)과 대응되게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32)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23)의 내측 중심부에는 하향 방향으로 삽입홈(23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형상틀(40)은
    상면에 원형구, 반원형구, 계단, 경사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받침판(41)과,
    상기 삽입홈(23a)과 대응되게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42)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조립체(1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1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설치블록(20)의 외측 테두리와 인접한 상면에는 상기 고정홈(1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연결공(24)이 더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조립체(10)와 설치블록(20) 간 결합시, 상기 고정홈(12)과 연결공(24)은 수직파이프(82)를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설치블록(20)의 일측면에는 설치블록(20)의 내측 중심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상승되는 상향결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상향결합홈(26)과 대향되는 설치블록(20)의 타측면에는 설치블록(20)의 내측 중심방향으로 점차 높이가 하강되는 하향결합홈(27)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설치블록(20) 간 연결 시, 상기 상향결합홈(26)과 하향결합홈(27)에 체결되는 연결판(90)을 통하여 설치블록(20)의 결합 위치가 단차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블록(2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수평공(25)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공(25)에는
    복수개의 설치블록(20) 간 연결 시, 설치블록(20)의 연결 부위를 이격시키도록 수평연결부재(8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01279A 2019-01-04 2019-01-04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6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79A KR102067923B1 (ko) 2019-01-04 2019-01-04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79A KR102067923B1 (ko) 2019-01-04 2019-01-04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923B1 true KR102067923B1 (ko) 2020-01-17

Family

ID=6936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279A KR102067923B1 (ko) 2019-01-04 2019-01-04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3259A (zh) * 2020-12-24 2021-04-23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塑石假山
KR102391424B1 (ko) * 2021-07-07 2022-04-27 주식회사 미담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44B1 (ko) 2008-11-06 2009-06-23 이종남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34445B1 (ko) * 2009-12-11 2011-05-12 박정혁 인공 조경 시스템
KR101042573B1 (ko) * 2010-11-17 2011-06-20 주식회사 에코밸리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44B1 (ko) 2008-11-06 2009-06-23 이종남 축소된 자연 재현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34445B1 (ko) * 2009-12-11 2011-05-12 박정혁 인공 조경 시스템
KR101042573B1 (ko) * 2010-11-17 2011-06-20 주식회사 에코밸리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3259A (zh) * 2020-12-24 2021-04-23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塑石假山
KR102391424B1 (ko) * 2021-07-07 2022-04-27 주식회사 미담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US10045490B2 (en)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US10973175B2 (en) Plant surface structure and modul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008043241A5 (ko)
KR102067923B1 (ko)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4818870B2 (ja) 土砂又は植物の敷設ユニット
JP2009077687A (ja) 緑化駐車場
KR101452408B1 (ko)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블록고정 지지판
KR101925082B1 (ko)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JP5975381B2 (ja) 植栽基盤及び植栽基盤の施工方法、緑化エリアのボーダー部処理構造
KR102390348B1 (ko) 조경용 정원 및 이의 시공방법
JP4921586B1 (ja) タイル枠
JP3791692B1 (ja) 土木構築物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5907462B2 (ja) 植栽基盤
KR102186554B1 (ko) 나선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식생 사면을 조성하는 방법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JP3164196U (ja) 立体壁庭
JP5103576B1 (ja) 連結構造
JP3615038B2 (ja) グリーン・フェンス・ブロック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20090076430A (ko) 조립식 목재블럭을 이용한 목재옹벽
KR200403151Y1 (ko) 계단식 옹벽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