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82B1 -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082B1
KR101925082B1 KR1020160021487A KR20160021487A KR101925082B1 KR 101925082 B1 KR101925082 B1 KR 101925082B1 KR 1020160021487 A KR1020160021487 A KR 1020160021487A KR 20160021487 A KR20160021487 A KR 20160021487A KR 101925082 B1 KR101925082 B1 KR 10192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oundary block
center
main wall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295A (ko
Inventor
강철석
Original Assignee
(유)남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남광 filed Critical (유)남광
Priority to KR102016002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0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6Manure distributors, e.g. dung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인 논두렁에 대하여 경계블록을 연이어 연결공을 통해 고정수단으로 상호 고정되도록 시공함으로써 논두렁 구축을 위한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경계블록 일 측에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배수 조작을 하는 수위조절 배수유닛이 설치됨으로써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논 측이나,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외부로 선택적인 배수가 이루어져 논 바닥 상의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계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길이방향 일 측에 선택적으로 비료나 살충제와 같은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계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길이방향 일 측에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밸브에 선택적으로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밸브가 설치되는 경계블록을 논뿐만 아니라 밭, 하우스 등에 적용하여 논, 밭이나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撒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Boundary block for agricultural land}
본 발명은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인 논두렁에 대하여 경계블록을 연이어 연결공을 통해 고정수단으로 상호 고정되도록 시공함으로써 논두렁 구축을 위한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경계블록 일 측에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배수 조작을 하는 수위조절 배수유닛이 설치됨으로써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논 측이나,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외부로 선택적인 배수가 이루어져 논 바닥 상의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계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길이방향 일 측에 선택적으로 비료나 살충제와 같은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경계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길이방향 일 측에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밸브에 선택적으로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밸브가 설치되는 경계블록을 논뿐만 아니라 밭, 하우스 등에 적용하여 논, 밭이나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에는 이웃하는 논과의 경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흙을 북돋우어서 논두렁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논두렁에 의해 형성된 길을 통하여 작업자가 보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흙으로 형성된 논두렁은 흙이 쉽게 흘러내리므로 작업자가 논두렁을 자주 구축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것이며, 흙으로 구축된 논두렁이 소실되기 쉬워서 논두렁의 경계가 명확하지 못한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논두렁은 논과 논 사이의 흙을 이용하여 제방형태로 축조시킨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견고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우천시나 여름장마때와 같은 경우에 논두렁이 쉽게 허물어져 내리게 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흙으로 쌓아진 논두렁에는 그 자체에 유기질의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어 필요없는 잡초가 쉽게 자라나게 되어 이러한 잡초를 제거시키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F.R.P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조립부재를 서로 짜맞춘 형태로 결합시켜 논두렁을 설치하거나, 또는 논바닥에 직접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논두렁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립강도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논두렁으로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이는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 후 일정기간 동안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요구되므로 시공기간이 길었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논두렁은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길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논두렁 사이의 논 바닥 상에 대한 수위조절을 위해서는 별도의 배수구가 요구되므로 배수구를 별도로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 배수구에 대한 배수의 제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논두렁에 대하여 기제작된 블록을 적용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간단한 배수 조작을 통해 구획된 논 바닥 상에 대한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논 바닥 상에 식재된 벼에 대하여 비료나 약제살포, 살수(撒水)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05441호 2014.06.02.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인 논두렁에 대하여 경계블록을 연이어 연결공을 통해 고정수단으로 상호 고정되도록 시공함으로써 논두렁 구축을 위한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경계블록 일 측에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배수 조작을 하는 수위조절 배수유닛이 설치됨으로써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논 측이나,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외부로 선택적인 배수가 이루어져 논 바닥 상의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경계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길이방향 일 측에 선택적으로 비료나 살충제와 같은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경계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길이방향 일 측에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밸브에 선택적으로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밸브가 설치되는 경계블록을 논뿐만 아니라 밭, 하우스 등에 적용하여 논, 밭이나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하부 일정영역이 지층에 묻히도록 시공되며,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이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과 연이어 설치되며,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 지점인 지층에 터파기를 통하여 묻히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기립형성되되 상기 지지대와 함께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지층에 묻히는 메인벽체와, 상기 지지대의 폭보다 일정길이 좁은 폭을 가지되 상기 메인벽체의 상단에 상기 메인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의 일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와 지지대에 걸쳐 반구 형상을 가지고 이음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발판의 타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와 지지대에 걸쳐 상기 이음돌기보다 큰 반구 형상으로 이음홈이 함몰형성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 있어서, 이웃하는 논 또는 외부 측으로 선택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벽체의 일 측에 설치홀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기 설치홀 상에는 일단부가 긴밀하게 연결설치되되 타단부는 상향 일정길이 절곡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에 의해 타단부 측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는 수위조절 배수유닛이 연결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위조절 배수유닛은 일단이 상기 설치홀 상에 긴밀하게 연결설치되며, 타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져 외면이 외향 단이 지게 형성되어 단이 진 둘레를 따라 밀착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수평연결관과, 상기 수평연결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밀착리브에 밀착되도록 삽입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토록 밀착고정되는 회전링과, 일단이 상기 수평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링과 대응되는 고정링이 고정설치되며, 타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절곡 연장되는 직교연장관 및 상기 직교연장관의 타단부에 대하여 상기 수평연결관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고정하여 상기 직교연장관의 타단부를 통해 선택적인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링과 고정링을 연결고정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회전링을 상기 고정링과 연결하여 상기 직교연장관을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수평연결관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과 회전링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연결볼트 및 상기 연결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과 회전링을 밀착시켜 상기 수평연결관과 직교연장관을 연결고정하는 연결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이음홈은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의 이음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돌기와의 틈을 통하여 무수축 모르타르의 충전시 무수축 모르타르에 의한 접합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중앙에 일정면적을 갖는 보조충전홈이 더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발판의 폭 방향 양단부 사이를 각각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로부터 돌출되며, 상부에 설치공이 관통형성되고,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고정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과 상호 연이어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설치공 하부에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단부 측벽 및 상기 단부 측벽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중앙부 사이에 대하여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각각 외향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설치공이 관통형성되는 중앙부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여기서,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부 측벽의 설치공과 상기 중앙부 측벽의 설치공을 통하여 유체공급라인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체공급라인 상에는 연결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밸브 일단에 유체분사수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유체분사수단을 통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단부 측벽과 중앙부 측벽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공급라인 상에 구비되는 한편, 'ㅗ'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밸브 및 상기 밸브 상단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분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발판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는 상협하광의 원기둥 타입, 원뿔 타입 또는 사각뿔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발판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양측에 미끄럼방지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가이드는 상기 발판 상면의 물이 외부로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길이만큼 절개되어 배수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하부 일정영역이 지층에 묻히도록 시공되며,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이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과 연이어 설치되며,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 지점인 지층에 터파기를 통하여 묻히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기립형성되되 상기 지지대와 함께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지층에 묻히는 메인벽체와, 상기 지지대의 폭보다 일정길이 좁은 폭을 가지되 상기 메인벽체의 상단에 상기 메인벽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일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와 지지대에 걸쳐 반구 형상을 가지고 이음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발판의 타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와 지지대에 걸쳐 상기 이음돌기보다 큰 반구 형상으로 이음홈이 함몰형성되는 한편, 상기 이음홈은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의 이음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돌기와의 틈을 통하여 무수축 모르타르의 충전시 무수축 모르타르에 의한 접합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중앙에 일정면적을 갖는 보조충전홈이 더 함몰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발판의 폭 방향 양단부 사이를 각각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로부터 돌출되며, 상부에 설치공이 관통형성되고,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고정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과 상호 연이어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설치공 하부에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단부 측벽 및 상기 단부 측벽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중앙부 사이에 대하여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각각 외향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설치공이 관통형성되는 중앙부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부 측벽의 설치공과 상기 중앙부 측벽의 설치공을 통하여 유체공급라인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체공급라인 상에는 연결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밸브 일단에 유체분사수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유체분사수단을 통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단부 측벽과 중앙부 측벽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공급라인 상에 구비되는 한편, 'ㅗ'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밸브 및 상기 밸브 상단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분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발판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미끄럼방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돌기는 상협하광의 원기둥 타입, 원뿔 타입 또는 사각뿔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발판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양측에 미끄럼방지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가이드는 상기 발판 상면의 물이 외부로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길이만큼 절개되어 배수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인 논두렁에 대하여 경계블록을 연이어 연결공을 통해 고정수단으로 상호 고정되도록 시공함으로써 논두렁 구축을 위한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경계블록 일 측에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배수 조작을 하는 수위조절 배수유닛이 설치됨으로써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논 측이나,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외부로 선택적인 배수가 이루어져 논 바닥 상의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경계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길이방향 일 측에 선택적으로 비료나 살충제와 같은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경계블록의 측벽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의 길이방향 일 측에 연결밸브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밸브에 선택적으로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밸브가 설치되는 경계블록을 논뿐만 아니라 밭, 하우스 등에 적용하여 논, 밭이나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서, 요부인 블록부분만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수위조절 배수유닛이 결합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측 단면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후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요부인 블록부분만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실시예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실시예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전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실시예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경계블록의 후면 측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실시예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경계블록의 전면 측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서, 요부인 발판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서, 요부인 블록부분만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수위조절 배수유닛이 결합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측 단면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을 나타낸 후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요부인 블록부분만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실시예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실시예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전면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실시예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경계블록의 후면 측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의 실시예들이 상호 연이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경계블록의 전면 측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서, 요부인 발판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향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하부 일정영역이 지층에 묻히도록 시공되며,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이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과 연이어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경계블록(100)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과 연이어 설치되어,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크게 분류하면, 지지대(110)와, 메인벽체(120)와, 발판(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10)는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 지점인 지층에 터파기를 통하여 묻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벽체(120)는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기립형성되되 상기 지지대(110)와 함께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지층에 묻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150)은 상기 지지대(110)의 폭보다 일정길이 좁은 폭을 가지되 상기 메인벽체(120)의 상단에 상기 메인벽체(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특히, 상기 발판(150)의 일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120)와 지지대(110)에 걸쳐 반구 형상을 가지고 이음돌기(16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발판(150)의 타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120)와 지지대(110)에 걸쳐 상기 이음돌기(161)보다 큰 반구 형상으로 이음홈(165)이 함몰형성된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이웃하는 논 또는 외부 측으로 선택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메인벽체(120)의 일 측에 설치홀(121)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홀(121) 상에는 일단부가 긴밀하게 연결설치되되 타단부는 상향 일정길이 절곡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에 의해 타단부 측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는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을 통하여 이웃하는 논 또는 외부 측으로 선택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은 수평연결관(171)과, 회전링(174)과, 직교연장관(176) 및 연결수단(179)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연결관(171)은 일단이 상기 설치홀(121) 상에 긴밀하게 연결설치되며, 타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져 외면이 외향 단이 지게 형성되어 단이 진 둘레를 따라 밀착리브(17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링(174)은 상기 수평연결관(17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밀착리브(172)에 밀착되도록 삽입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토록 밀착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직교연장관(176)은 일단이 상기 수평연결관(171)의 타단에 연결되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링(174)과 대응되는 고정링(177)이 고정설치되며, 타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절곡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179)은 상기 직교연장관(176)의 타단부에 대하여 상기 수평연결관(17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고정하여 상기 직교연장관(176)의 타단부를 통해 선택적인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링(174)과 고정링(177)을 연결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179)은 상기 회전링(174)을 상기 고정링(177)과 연결하여 상기 직교연장관(176)을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수평연결관(171)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수단(179)은 상기 고정링(177)과 회전링(174)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연결볼트(179a) 및 상기 연결볼트(179a)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177)과 회전링(174)을 밀착시켜 상기 수평연결관(171)과 직교연장관(176)을 연결고정하는 연결너트(179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 회전링(174)은 상기 수평연결관(17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밀착리브(172)에 밀착되도록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연결관(171)의 외면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토록 상기 밀착리브(172)와 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179)을 선택적으로 해지하게 되면 상기 회전링(174)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직교연장관(176)을 일정각도 회전 조절한 후에 상기 고정링(177)과 상기 회전링(174)를 재차 상기 연결수단(179)을 통하여 상기 회전링(174)이 상기 밀착리브(172)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수평연결관(171)과 직교연장관(176)의 연결상태가 회전됨이 없이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상기 직교연장관(176)의 선택적인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수평연결관(171)을 경유하여 상기 직교연장관(176)의 단부를 통한 배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경계블록들(100, 100')에 의해 구획된 논과 논 사이 또는 논과 외부 사이에 대한 선택적인 이웃하는 논 또는 외부로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직교연장관(176)은 상기 수평연결관(171)과 연결되는 반대 측으로서 절곡된 단부에 개구된 부분은 정방형 타입으로 개구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직교연장관(176)의 상기 수평연결관(171)과 연결되는 측 단부의 개구된 부분은 상기 수평연결관(171)의 내경과 대응되는 원형 타입으로 개구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직교연장관(176)은 상기 수평연결관(171)과 연결되는 반대 측으로서 절곡된 단부 둘레에 대한 형상이 단부로부터 일정길이에 대하여 사각기둥 타입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직교연장관(176)에 대하여 작업자가 파지하여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작업이 미끄러짐이 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의 수평연결관(171) 일단이 상기 메인벽체(120)의 설치홀(121) 상에 긴밀하게 연결설치되되, 상기 설치홀(121) 내면 일 측으로서, 상기 수평연결관(171)이 삽입연결되는 외면과의 사이에는 실링재(S)를 통하여 실링처리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링재(S) 일 측의 상기 설치홀(121) 내면과 상기 수평연결관(171) 외면과의 사이에는 충전재(m)로 긴밀하게 충전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재(S)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또는 PVC접착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전재(m)는 실리콘, 우레탄 폼, PVC접착제 또는 무수축 모르타르 중 어느 하나로 충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에서, 상기 이음홈(165)은 도 1 내지 5와 함께, 도 7 내지 10을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의 이음돌기(16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돌기(161)와의 틈을 통하여 무수축 모르타르(M)의 충전시 무수축 모르타르(M)에 의한 접합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음홈(165)은 반구 형상의 중앙에 일정면적을 갖는 보조충전홈(166)이 더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단부 측벽(130) 및 중앙부 측벽(1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부 측벽(130)은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발판(150)의 폭 방향 양단부 사이를 각각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120)로부터 돌출되며, 상부에 설치공(131)이 관통형성되고, 고정볼트(B)와 고정너트(N)의 고정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과 상호 연이어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설치공(131) 하부에 상기 고정볼트(B)가 삽입되는 연결공(135)이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경계블록(100)과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이 상호 연이어 배치되되, 상기 연결공(135)이 상호 마주하도록 밀착된 후, 마주하는 연결공(135)을 통하여 상기 고정볼트(B)와 고정너트(N)를 체결하여 연이어 배치된 경계블록들이 상호 연결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공(135)은 상기 경계블록(100', 100)의 각 단부 측벽(130) 상에 외광내협의 형상으로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고정볼트(B)와 고정너트(N)에 대한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앙부 측벽(140)은 상기 단부 측벽(130)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발판(150)의 길이방향 중앙부 사이에 대하여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120)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각각 외향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설치공(141)이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부 측벽(130)의 설치공(131)과 상기 중앙부 측벽(140)의 설치공(141)을 통하여 유체공급라인(20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체공급라인(200) 상에는 연결밸브(30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밸브(300) 일단에 유체분사수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유체분사수단을 통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밸브(300)는 상기 단부 측벽(130)과 중앙부 측벽(140)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공급라인(200) 상에 구비되는 한편, 'ㅗ'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유체공급라인(200)과 연결되는 커플링(310)과, 상기 커플링(3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밸브(320) 및 상기 밸브(320) 상단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분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구(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밸브(300)를 구성하는 연결구(330) 상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유체분사수단(미도시)의 하단과 연결되는 플렉서블 호스(미부호)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체분사수단(미도시)는 통상의 농약 살포를 위한 유체분사기 등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연결밸브(300)를 구성하는 연결구(330) 상부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체분사수단(미도시)으로서 스프링클러가 연결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밸브(300)를 구성하는 연결구(330) 상부에 연결되는 유체분사수단(미도시)이 스프링클러로 연결 적용됨으로써 연결밸브(3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스프링클러를 통하여 경계블록에 의해 구획된 구역에 식재된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밸브(300)가 설치되는 경계블록을 논뿐만 아니라 밭, 하우스 등에 적용하여 논, 밭이나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밸브(300)를 구성하는 상기 연결구(330)는 상부에 상기 플렉서블 호스(미부호)가 없이 상기 유체분사수단(미도시)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밸브(300)를 구성하는 커플링(310)은 'ㅗ' 자 타입으로 제공되되, 'ㄴ'자 형상의 엘보 관재의 하부 일단에 직교하여 수평관재가 연결된 정면에서 봤을 때, 'ㅗ'자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에서, 상기 발판(150)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미끄럼방지돌기(151)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51)는 상협하광의 원기둥 타입으로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11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뿔 타입 또는 사각뿔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발판(150)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양측에 미끄럼방지가이드(155)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가이드(155)는 상기 발판(150) 상면의 물이 외부로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1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길이만큼 절개되어 배수홈부(15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미끄럼방지가이드(155)의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가 발판(150) 상을 보행할 경우에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발판(15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메인벽체(120)의 일 측에 설치홀(121)이 관통형성되지 않아 설치홀(121)을 통한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의 연결설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되, 도 7 내지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하부 일정영역이 지층에 묻히도록 시공되며,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이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 100)과 연이어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경계블록(100')은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 100)과 연이어 설치되어,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계블록(100')은 크게 분류하면, 지지대(110)와, 메인벽체(120)와, 발판(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10)는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 지점인 지층에 터파기를 통하여 묻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벽체(120)는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기립형성되되 상기 지지대(110)와 함께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지층에 묻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150)은 상기 지지대(110)의 폭보다 일정길이 좁은 폭을 가지되 상기 메인벽체(120)의 상단에 상기 메인벽체(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특히, 상기 발판(150)의 일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120)와 지지대(110)에 걸쳐 반구 형상을 가지고 이음돌기(161)가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발판(150)의 타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120)와 지지대(110)에 걸쳐 상기 이음돌기(161)보다 큰 반구 형상으로 이음홈(165)이 함몰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음홈(165)은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 100)의 이음돌기(16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돌기(161)와의 틈을 통하여 무수축 모르타르(M)의 충전시 무수축 모르타르(M)에 의한 접합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이음홈(165)은 반구 형상의 중앙에 일정면적을 갖는 보조충전홈(166)이 더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단부 측벽(130) 및 중앙부 측벽(1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부 측벽(130)은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발판(150)의 폭 방향 양단부 사이를 각각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120)로부터 돌출되며, 상부에 설치공(131)이 관통형성되고, 고정볼트(B)와 고정너트(N)의 고정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 100)과 상호 연이어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설치공(131) 하부에 상기 고정볼트(B)가 삽입되는 연결공(135)이 관통형성된다.
즉, 상기 경계블록(100')과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 100)이 상호 연이어 배치되되, 상기 연결공(135)이 상호 마주하도록 밀착된 후, 마주하는 연결공(135)을 통하여 상기 고정볼트(B)와 고정너트(N)를 체결하여 연이어 배치된 경계블록들이 상호 연결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공(135)은 상기 경계블록(100', 100)의 각 단부 측벽(130) 상에 외광내협의 형상으로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고정볼트(B)와 고정너트(N)에 대한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 측벽(140)은 상기 단부 측벽(130)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발판(150)의 길이방향 중앙부 사이에 대하여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120)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각각 외향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설치공(141)이 관통형성된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은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부 측벽(130)의 설치공(131)과 상기 중앙부 측벽(140)의 설치공(141)을 통하여 유체공급라인(20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체공급라인(200) 상에는 연결밸브(30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밸브(300) 일단에 유체분사수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유체분사수단을 통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밸브(300)는 상기 단부 측벽(130)과 중앙부 측벽(140)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공급라인(200) 상에 구비되는 한편, 'ㅗ'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유체공급라인(200)과 연결되는 커플링(310)과, 상기 커플링(3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밸브(320) 및 상기 밸브(320) 상단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분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구(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밸브(300)를 구성하는 연결구(330) 상부에는 유체분사수단(미도시)의 하단과 연결되는 플렉서블 호스(미도시)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연결구(330)는 상부에 상기 플렉서블 호스(미도시)가 없이 상기 유체분사수단(미도시)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밸브(300)를 구성하는 커플링(310)은 'ㅗ' 자 타입으로 제공되되, 'ㄴ'자 형상의 엘보 관재의 하부 일단에 직교하여 수평관재가 연결된 정면에서 봤을 때, 'ㅗ'자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에서, 상기 발판(150)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발판(150)은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미끄럼방지돌기(151)가 돌출형성되며,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51)는 상협하광의 원기둥 타입으로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51)는 도 11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뿔 타입 또는 사각뿔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발판(150)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양측에 미끄럼방지가이드(155)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가이드(155)는 상기 발판(150) 상면의 물이 외부로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1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길이만큼 절개되어 배수홈부(15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미끄럼방지가이드(155)의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가 발판(150) 상을 보행할 경우에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발판(15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 100')의 실시예들은 메인벽체(120)의 일 측에 설치홀(121)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설치홀(121) 상에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이 설치되는 경계블록(100) 및 메인벽체(120)의 일 측에 설치홀(121)이 형성됨이 없이 구성되는 경계블록(100')이 상호 길이방향으로, 예컨대 1개와 2개로 교번되는 등 상호 교번하여 연이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이은 설치를 통하여, 상기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논이나 이웃하는 외부 측으로 배수처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경계블록(100) 일 측에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배수 조작을 하는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이 설치됨으로써 경계블록(100, 100')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논 측이나, 경계블록(100, 100')에 의해 구획된 논으로부터 이웃하는 외부로 선택적인 배수가 이루어져 논 바닥 상의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 100')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인 논두렁에 대하여 경계블록(100, 100')을 연이어 연결공(135)을 통해 고정수단으로 상호 고정되도록 시공함으로써 논두렁 구축을 위한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욱이, 경계블록(100, 100')의 측벽(130, 140)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131, 141)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200)의 길이방향 일 측에 선택적으로 비료나 살충제와 같은 약제를 살포하는 살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밸브(300)가 구비됨으로써 경계블록(100, 100')에 의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경계블록(100, 100')의 측벽(130, 140) 상부에 관통된 설치공(131, 141)을 통하여 설치되는 유체공급라인(200)의 길이방향 일 측에 연결밸브(300)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밸브(300)에 선택적으로 스프링클러를 연결하여 작물에 살수(撒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밸브가 설치되는 경계블록을 논뿐만 아니라 밭, 하우스 등에 적용하여 논, 밭이나 하우스 등에 식재된 작물에 대한 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100': 경계블록
110: 지지대 120: 메인벽체
121: 설치홀 130: 단부 측벽
131: 설치공 135: 연결공
140: 중앙부 측벽 141: 설치공
150: 발판 151: 미끄럼방지돌기
155: 미끄럼방지가이드 156: 배수홈부
161: 이음돌기 165: 이음홈
166: 보조충전홈 170: 수위조절 배수유닛
171: 수평연결관 172: 밀착리브
174: 회전링 176: 직교연장관
177: 고정링 179: 연결수단
179a: 연결볼트 179b: 연결너트
200: 유체공급라인 300: 연결밸브
310: 커플링 320: 밸브
330: 연결구 B: 고정볼트
N: 고정너트 M: 모르타르
S: 실링재 m: 충전재

Claims (15)

  1.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하부 일정영역이 지층에 묻히도록 시공되고,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이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과 연이어 설치되며,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 지점인 지층에 터파기를 통하여 묻히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기립형성되되 상기 지지대(110)와 함께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지층에 묻히는 메인벽체(120)와, 상기 지지대(110)의 폭보다 일정길이 좁은 폭을 가지되 상기 메인벽체(120)의 상단에 상기 메인벽체(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발판(150)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150)의 일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120)와 지지대(110)에 걸쳐 반구 형상을 가지고 이음돌기(16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발판(150)의 타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120)와 지지대(110)에 걸쳐 상기 이음돌기(161)보다 큰 반구 형상으로 이음홈(165)이 함몰형성되며, 이웃하는 논 또는 외부 측으로 선택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벽체(120)의 일 측에 설치홀(121)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기 설치홀(121) 상에는 일단부가 긴밀하게 연결설치되되 타단부는 상향 일정길이 절곡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에 의해 타단부 측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는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이 연결설치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발판(150)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양측에 미끄럼방지가이드(155)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가이드(155)는 상기 발판(150) 상면의 물이 외부로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1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길이만큼 절개되어 배수홈부(1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 배수유닛(170)은 일단이 상기 설치홀(121) 상에 긴밀하게 연결설치되며, 타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져 외면이 외향 단이 지게 형성되어 단이 진 둘레를 따라 밀착리브(172)가 돌출 형성되는 수평연결관(171)과,
    상기 수평연결관(17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밀착리브(172)에 밀착되도록 삽입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회전가능토록 밀착고정되는 회전링(174)과,
    일단이 상기 수평연결관(171)의 타단에 연결되되, 길이방향 둘레를 따라 상기 회전링(174)과 대응되는 고정링(177)이 고정설치되며, 타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절곡 연장되는 직교연장관(176) 및
    상기 직교연장관(176)의 타단부에 대하여 상기 수평연결관(171)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고정하여 상기 직교연장관(176)의 타단부를 통해 선택적인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링(174)과 고정링(177)을 연결고정하는 연결수단(179)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79)은,
    상기 회전링(174)을 상기 고정링(177)과 연결하여 상기 직교연장관(176)을 선택적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수평연결관(171)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177)과 회전링(174)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연결볼트(179a) 및
    상기 연결볼트(179a)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링(177)과 회전링(174)을 밀착시켜 상기 수평연결관(171)과 직교연장관(176)을 연결고정하는 연결너트(179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홈(165)은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의 이음돌기(16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돌기(161)와의 틈을 통하여 무수축 모르타르(M)의 충전시 무수축 모르타르(M)에 의한 접합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중앙에 일정면적을 갖는 보조충전홈(166)이 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발판(150)의 폭 방향 양단부 사이를 각각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120)로부터 돌출되며, 상부에 설치공(131)이 관통형성되고, 고정볼트(B)와 고정너트(N)의 고정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과 상호 연이어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설치공(131) 하부에 상기 고정볼트(B)가 삽입되는 연결공(135)이 관통형성되는 단부 측벽(130) 및
    상기 단부 측벽(130)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발판(150)의 길이방향 중앙부 사이에 대하여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120)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각각 외향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설치공(141)이 관통형성되는 중앙부 측벽(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부 측벽(130)의 설치공(131)과 상기 중앙부 측벽(140)의 설치공(141)을 통하여 유체공급라인(20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체공급라인(200) 상에는 연결밸브(30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밸브(300) 일단에 유체분사수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유체분사수단을 통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300)는 상기 단부 측벽(130)과 중앙부 측벽(140)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공급라인(200) 상에 구비되는 한편,
    'ㅗ'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유체공급라인(200)과 연결되는 커플링(310)과,
    상기 커플링(3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밸브(320) 및
    상기 밸브(320) 상단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분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구(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50)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미끄럼방지돌기(151)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51)는 상협하광의 원기둥 타입, 원뿔 타입 또는 사각뿔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9. 삭제
  10.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하부 일정영역이 지층에 묻히도록 시공되고,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이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 100)과 연이어 설치되며,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 지점인 지층에 터파기를 통하여 묻히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 중앙에 일체로 기립형성되되 상기 지지대(110)와 함께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지층에 묻히는 메인벽체(120)와, 상기 지지대(110)의 폭보다 일정길이 좁은 폭을 가지되 상기 메인벽체(120)의 상단에 상기 메인벽체(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발판(150)을 포함하되, 상기 발판(150)의 일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120)와 지지대(110)에 걸쳐 반구 형상을 가지고 이음돌기(16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발판(150)의 타단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메인벽체(120)와 지지대(110)에 걸쳐 상기 이음돌기(161)보다 큰 반구 형상으로 이음홈(165)이 함몰형성되는 한편, 상기 이음홈(165)은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 100)의 이음돌기(16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음돌기(161)와의 틈을 통하여 무수축 모르타르(M)의 충전시 무수축 모르타르(M)에 의한 접합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중앙에 일정면적을 갖는 보조충전홈(166)이 더 함몰 형성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발판(150)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져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양측에 미끄럼방지가이드(155)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가이드(155)는 상기 발판(150) 상면의 물이 외부로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1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길이만큼 절개되어 배수홈부(1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발판(150)의 폭 방향 양단부 사이를 각각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120)로부터 돌출되며, 상부에 설치공(131)이 관통형성되고, 고정볼트(B)와 고정너트(N)의 고정수단을 통해 이웃하는 동일하거나 다른 어느 하나의 경계블록(100', 100)과 상호 연이어 고정설치되도록 상기 설치공(131) 하부에 상기 고정볼트(B)가 삽입되는 연결공(135)이 관통형성되는 단부 측벽(130) 및
    상기 단부 측벽(130)과 대응되어,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발판(150)의 길이방향 중앙부 사이에 대하여 일정두께를 가지고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벽체(120)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각각 외향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설치공(141)이 관통형성되는 중앙부 측벽(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12. 제11항에 있어서,
    구획된 논을 향하여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부 측벽(130)의 설치공(131)과 상기 중앙부 측벽(140)의 설치공(141)을 통하여 유체공급라인(20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유체공급라인 상에는 연결밸브(30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밸브(300) 일단에 유체분사수단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유체분사수단을 통해 구획된 논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비료나 약제살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밸브(300)는 상기 단부 측벽(130)과 중앙부 측벽(140)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공급라인(200) 상에 구비되는 한편,
    'ㅗ'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상기 유체공급라인(200)과 연결되는 커플링(310)과,
    상기 커플링(3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밸브(320) 및
    상기 밸브(320) 상단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분사수단이 연결되는 연결구(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50)은 작업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미끄럼방지돌기(151)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돌기(151)는 상협하광의 원기둥 타입, 원뿔 타입 또는 사각뿔 타입 중 어느 하나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15. 삭제
KR1020160021487A 2016-02-23 2016-02-23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KR10192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87A KR101925082B1 (ko) 2016-02-23 2016-02-23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87A KR101925082B1 (ko) 2016-02-23 2016-02-23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95A KR20170099295A (ko) 2017-08-31
KR101925082B1 true KR101925082B1 (ko) 2018-12-04

Family

ID=5976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87A KR101925082B1 (ko) 2016-02-23 2016-02-23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0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9413B (zh) * 2017-12-15 2023-06-16 中国农业科学院农田灌溉研究所 一种田间智能排水装置
KR102159375B1 (ko) 2018-08-20 2020-09-23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CN117598125B (zh) * 2024-01-22 2024-04-12 黑龙江省农业科学院水稻研究所 一种向实验稻田喷洒稻瘟病原液的病毒接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82Y1 (ko) * 2006-07-24 2006-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100954295B1 (ko) * 2009-07-13 2010-04-26 이영암 논두렁 구축용 블록
KR101405441B1 (ko) * 2012-12-07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치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382Y1 (ko) * 2006-07-24 2006-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100954295B1 (ko) * 2009-07-13 2010-04-26 이영암 논두렁 구축용 블록
KR101405441B1 (ko) * 2012-12-07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치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95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340B2 (en) Modular, self 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KR101925082B1 (ko)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JP5437795B2 (ja) バンカー用内張アセンブリ
KR101249670B1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31478B1 (ko)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405441B1 (ko)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US4787557A (en) Solid set spike irrigation head connecting device
JP4941859B2 (ja) 植物保護資材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JPH0951728A (ja) プランターと植物栽培装置
KR102067923B1 (ko)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68974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101925083B1 (ko) 논ㆍ밭두렁 용·배수블록
CN207176415U (zh) 园林地砖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US20110182667A1 (en) Subsurface irrigation system
JP2010011806A (ja) 芝生保護材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318575B1 (ko)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KR100747155B1 (ko) 보행자 통로확보를 위한 공동주택용 옹벽 전면배수덮개
AU2014317813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structure
TWI598489B (zh) Parking lot of irrigation and drainage construction method and irrigation drainage system
KR100965294B1 (ko)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41256A (ko) 식물 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유공관
JP2011152086A (ja) 人工地盤の緑化方法および緑化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