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305U -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 Google Patents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305U
KR20110004305U KR2020110002496U KR20110002496U KR20110004305U KR 20110004305 U KR20110004305 U KR 20110004305U KR 2020110002496 U KR2020110002496 U KR 2020110002496U KR 20110002496 U KR20110002496 U KR 20110002496U KR 20110004305 U KR20110004305 U KR 201100043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lanter
planter box
roof structur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영
Original Assignee
임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영 filed Critical 임태영
Priority to KR2020110002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305U/ko
Publication of KR20110004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고라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여 플랜터 박스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는 지붕 구조체(40)가 기둥 구조체(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지붕 구조체(40)에 떨어지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하여 빗물 공급관(50)을 통하여 지면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그 일부를 식물이 식재된 플랜터 박스(20)에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Pagora for Providing Rain Water to a Planter Using Rain Water}
본 고안은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고라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여 편리하게 플랜터 박스로 공급할 수 있는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고라는 마당이나 평평한 지붕 위에 목재나 금속 재질의 기둥을 세우고, 기둥 상부에는 햇빛이나 빗물을 막아 줄 수 있는 지붕 구조체를 고정하고, 기둥 하부에는 사용자들이 지붕 구조체의 아래에서 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정자나 테라스 등의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파고라는 지붕의 형태에 따라 원형 파고라, 사각형 파고라, 오각형 파고라, 육각형 파고라, 팔각형 파고라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또한 파고라의 지붕의 형상에 따라 기둥의 개수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사각형 파고라는 적어도 4개 이상의 기둥을 사용하여야 하며, 원형 파고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파고라는 설치 장소와 설치 목적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파고라의 지붕 구조체의 하단부에 사용자들이 신발을 벗고 올라가 쉴 수 있는 평상을 설치할 수도 있고, 사용자들이 신을 신은 상태로 앉을 수 있는 의자나 원형 벤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들어 건축 시설물에도 친환경 및 친자연 경향이 반영되어, 파고라 주변에 화분을 놓아두거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플랜터(Planter)를 배치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파고라가 주변에 배치된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주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각각의 플랜터에 호스나 물통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주어야만 하였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고라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여 플랜터 박스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고라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고, 또한 집수된 빗물을 일정 기간 보관하면서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이 수분을 필요로 할 때 적절하게 플랜터 박스로 공급할 수 있는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는, 지면에 시공된 기초 구조물에 고정 및 설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직경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방사형으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체결 고리(11)가 돌출 형성된 기둥 구조체(10)와; 적어도 3면 이상의 평면 형상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 형상의 측면이 일체형으로 연결 및 형성되는 외부 측면부와, 상기 기둥 구조체(10)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형상의 내부 측면부와, 외부 및 내부 측면부의 하단부를 밀폐하며, 표면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된 밑면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하나 이상의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플랜터 박스(20)와; 상기 플랜터 박스(20)의 외부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거나, 균일한 일정 공간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밴치(30)와;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기둥 구조체(10)의 상단부에 고정 및 설치되며, 빗물을 집수하기 위해 내부 중심부로 향할수록 방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 중심부에 집수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관통홀(41)이 형성되며, 외부 테두리의 엣지부분에 다수개의 체결 고리(43)가 돌출 형성된 지붕 구조체(40)와; 상기 지붕 구조체(40)의 배수공(41)에서 배수된 빗물을 지면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그 빗물의 일부를 플랜터 박스(2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플랜터 박스(20)의 내부로 분기 및 연장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51)이 형성된 빗물 공급관(5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기둥 구조체(10)의 체결 고리(11)와 지붕 구조체(40)의 체결 고리(43)를 각각 연결 및 고정하는 와이어로프(70)를 포함한다.
또한,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는, 지면에 시공된 기초 구조물에 고정 및 설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직경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 고리(111)가 돌출 형성된 기둥 구조체(110)와; 적어도 3면 이상의 평면 형상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 형상의 측면이 일체형으로 연결 및 형성되며, 제1 높이에 하나 이상의 수위 조절공(121)이 형성되는 외부 측면부와, 상기 기둥 구조체(110)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형상의 내부 측면부와, 외부 및 내부 측면부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밑면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플랜터 케이스(120)와; 상기 플랜터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 삽입 및 안착되도록 플랜터 케이스(12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닮은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타공(131)이 형성된 내부 측면부, 외부 측면부 및 밑면부를 구비하고, 내부 및 외부 측면부와 밑면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터 박스(130)와; 상기 플랜터 박스(130)의 외부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거나, 균일한 일정 공간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밴치(140)와;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기둥 구조체(110)의 상단부에 고정 및 설치되며, 빗물을 집수하기 위해 내부 중심부로 향할수록 방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 중심부에 집수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관통홀(151)이 형성되며, 외부 테두리의 엣지부분에 다수개의 체결 고리(153)가 돌출 형성된 지붕 구조체(150)와; 상기 지붕 구조체(150)의 배수공(151)에서 배수된 빗물을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그 빗물의 일부를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분기 및 연장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161)이 형성된 빗물 공급관(16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기둥 구조체(110)의 체결 고리(111)와 지붕 구조체(150)의 체결 고리(153)를 각각 연결 및 고정하는 와이어로프(180)와; 상기 플랜터 박스(130)의 밑면에 고정되어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흡수하여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 흡수부재(19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장마철이나 비가 오는 날에 파고라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여 파고라 지붕의 하단부에 위치한 플랜터 박스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터 박스의 관리자는 비가 자주 내리는 우기철에는 파고라에 구비된 플랜터 박스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주지 않아도 될 것이다.
둘째, 장마철이나 비가 오는 날에 파고라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고, 플랜터 박스의 하단부에 빗물을 일정 기간 보관하면서 플랜터 박스에 식재된 식물이 수분을 필요로 할 때 적절하게 플랜터 박스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랜터 박스 관리자는 한 번 비가 내리면 일정 기간 동안 식물이 식재된 플랜터 박스에 물을 주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식물이 식재된 플랜터 박스를 플랜터 케이스에서 분리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 햇빛도 용이하게 쬐여줄 수도 있으며, 식물을 다시 식재할 때도 편리한 장소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횡단면도 및 플랜터 케이스 및 플랜터 박스의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빗물을 활용하여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구성을 설명한다.
첫 번째 실시 예
도 1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빗물을 활용하여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파고라는, 지면에 시공된 기초 구조물에 고정 및 설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직경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방사형으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체결 고리(11)가 돌출 형성된 기둥 구조체(10)와, 적어도 3면 이상의 평면 형상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 형상의 측면이 일체형으로 연결 및 형성되는 외부 측면부와, 기둥 구조체(10)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형상의 내부 측면부와, 외부 및 내부 측면부의 하단부를 밀폐하며, 표면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된 밑면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하나 이상의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플랜터 박스(20)와, 플랜터 박스(20)의 외부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거나, 균일한 일정 공간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밴치(30)와,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해 기둥 구조체(10)의 상단부에 고정 및 설치되며, 빗물을 집수하기 위해 내부 중심부로 향할수록 방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 중심부에 집수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관통홀(41)이 형성되며, 외부 테두리의 엣지부분에 다수개의 체결 고리(43)가 돌출 형성된 지붕 구조체(40)와, 지붕 구조체(40)의 배수공(41)에서 배수된 빗물을 지면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그 빗물의 일부를 플랜터 박스(2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플랜터 박스(20)의 내부로 분기 및 연장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51)이 형성된 빗물 공급관(5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기둥 구조체(10)의 체결 고리(11)와 지붕 구조체(40)의 체결 고리(43)를 각각 연결 및 고정하는 와이어로프(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둥 구조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앙카에 볼트로 체결 및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붕 구조체(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과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기둥 구조체(10)의 상단부에 일정 길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되며, 지붕 구조체(40)의 내부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이기 때문에 지붕 구조체(40)의 외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으며, 지붕 구조체(40)에 집수된 빗물은 지붕 구조체(40)의 관통홀(41)을 통하여 우수 공급관(50)을 통하여 지면으로 배출된다.
이때, 지붕 구조체(40)의 관통홀(41)의 하단부에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고형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5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터 박스(20)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상기 기둥 구조체(10)의 외주면과 플랜터 박스(20)의 밑면에 각각 고정 및 지지되며, 플랜터 박스(20)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덩굴식물 지지대(trellis)(60)가 고정된다.
플랜터 박스(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구조체(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지붕 구조체(40)의 형상이 원형이므로 플랜터 박스(20)의 형상도 원형 구조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원형 벤치(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플랜터 박스(20)를 등 뒤에 위치하도록 바깥 방향을 보면서 앉을 수 있도록 플랜터 박스(20)의 외부 측면을 따라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면번호 31은 원형 원형 벤치(30)의 상부에 고정된 손잡이이다.
또한, 이와 반대로 사용자들이 플랜트 박스(20)를 서로 바라보면서 앉을 수도 있도록 플랜터 박스(20)로부터 균일한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빗물 공급관(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구조체(40)의 관통홀(41)에서 배수된 빗물을 지면으로 배출하도록 지면까지 연장되는 동시에 플랜터 박스(20)에 상응하는 위치에 플랜터 박스(20)의 내부로 빗물의 일부를 공급하도록 하나 이상의 급수관(51)이 빗물 공급관(50)에서 분기 및 연장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첫번째 실시 예에서는 빗물 공급관(50)의 끝단부가 플랜터 박스(20) 까지만 연장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지면과 플랜터 박스(20)의 내부로 동시에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급수관(51)의 갯수와 직경 그리고 분기 각도는 플랜터 박스(20)의 내부에 공급되는 빗물의 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 예에서는 지붕 구조체(40), 플랜터 박스(20) 및 원형 원형 벤치(30)가 모두 원형 구조체로 형성되었으며, 지붕 구조체(40)를 지지하는 기둥 구조체(10)도 하나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지붕 구조체의 형상이 사각형이나,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플랜터 박스 및 원형 원형 벤치의 형상도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두 번째 실시 예
도 3은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의 횡단면도 및 플랜터 케이스 및 플랜터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른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는, 지면에 시공된 기초 구조물에 고정 및 설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직경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 고리(111)가 돌출 형성된 기둥 구조체(110)와, 적어도 3면 이상의 평면 형상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 형상의 측면이 일체형으로 연결 및 형성되며, 제1 높이에 하나 이상의 수위 조절공(121)이 형성되는 외부 측면부와, 기둥 구조체(110)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형상의 내부 측면부와, 외부 및 내부 측면부의 하단부를 밀폐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플랜터 케이스(120)와, 플랜터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 삽입 및 안착되도록 플랜터 케이스(12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닮은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타공(131)이 형성된 내부 측면부, 외부 측면부 및 밑면부를 구비하고, 내부 및 외부 측면부와 밑면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터 박스(130)와, 플랜터 박스(130)의 외부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거나, 균일한 일정 공간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밴치(140)와,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해 기둥 구조체(110)의 상단부에 고정 및 설치되며, 빗물을 집수하기 위해 내부 중심부로 향할수록 방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 중심부에 집수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관통홀(151)이 형성되며, 외부 테두리의 엣지부분에 다수개의 체결 고리(153)가 돌출 형성된 지붕 구조체(150)와, 지붕 구조체(150)의 배수공(151)에서 배수된 빗물을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그 빗물의 일부를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분기 및 연장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161)이 형성된 빗물 공급관(16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기둥 구조체(110)의 체결 고리(111)와 지붕 구조체(150)의 체결 고리(153)를 각각 연결 및 고정하는 와이어로프(180)와, 플랜터 박스(130)의 밑면에 고정되어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흡수하여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 흡수부재(19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둥 구조체(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앙카에 볼트로 체결 및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붕 구조체(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과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기둥 구조체(110)의 상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되며, 지붕 구조체(150)의 내부 중심부가 오목한 형상이기 때문에 지붕 구조체(150)의 외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으며, 지붕 구조체(150)에 집수된 빗물은 지붕 구조체(150)의 관통홀(151)을 통하여 우수 공급관(160)을 통하여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지붕 구조체(150)의 관통홀(151)의 하단부에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고형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6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터 케이스(120)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기둥 구조체(110)의 외주면과 플랜터 케이스(120)의 밑면에 각각 고정 및 지지되며, 플랜터 케이스(120)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덩굴식물 지지대(trellis)(170)가 고정된다.
플랜터 케이스(120) 및 플랜터 박스(13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구조체(15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지붕 구조체(150)의 형상이 원형이므로 플랜터 케이스(120) 및 플랜터 박스(130)의 각각의 형상도 원형 구조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터 케이스(120)는 내부 및 외부 측면부와 밑면부가 모두 밀폐형으로 조립 형성되며, 플랜터 케이스(120)의 외부 표면의 일정 높이에 빗물을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수위 조절공(121)이 형성되기 때문에 빗물 공급관(160)을 통하여 빗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에 유입되는 빗물은 수위 조절공(121)의 높이까지만 저장되며, 그 이상은 지면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두번째 실시 예에서는 빗물 공급관(160)의 끝단부가 플랜터 케이스(120) 까지만 연장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지면과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로 동시에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에 있는 흙의 습도가 상대적으로 건조한 경우, 플랜터 케이스(120)에 저장된 빗물이 플랜터 박스(130)의 밑면에 고정된 수분 흡수부재(190)를 통해서 플랜터 박스(130) 내부로 흡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 수분 흡수부재(190)는 부직포나, 천, 등의 수분을 빨아올릴 수 있는 소재는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원형 원형 벤치(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이 플랜터 케이스(120)를 등 뒤에 위치하도록 바깥 방향을 보면서 앉을 수 있도록 플랜터 케이스(120)의 외부 측면을 따라 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면번호 131은 원형 원형 벤치(130)의 상부에 고정된 손잡이이다.
또한, 이와 반대로 사용자들이 플랜트 케이스(120)를 서로 바라보면서 앉을 수도 있도록 플랜터 케이스(120)로부터 균일한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빗물 공급관(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구조체(150)의 관통홀(151)에서 배수된 빗물을 지면으로 배출하도록 지면까지 연장되는 동시에 플랜터 박스(130)에 상응하는 위치에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빗물의 일부를 공급하도록 하나 이상의 급수관(161)이 빗물 공급관(160)에서 분기 및 연장된다.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서도 지붕 구조체(150), 플랜터 케이스(120), 플랜터 박스(130) 및 원형 벤치(140)가 모두 원형 구조체로 형성되었으며, 지붕 구조체(150)를 지지하는 기둥 구조체(110)도 하나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지붕 구조체의 형상이 사각형이나,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플랜터 박스 및 원형 벤치의 형상도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 예에 의하면, 파고라의 지붕에 떨어진 빗물은 지붕 구조체에 의해 용이하게 집수되어, 빗물 공급관을 통하여 플렌터 케이스에 배출공이 형성된 높이까지 저장되는 동시에 그 일부가 플랜터 박스로 용이하게 공급되며, 배출공의 높이 보다 더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그 빗물이 저장되지 않고 배출공을 통하여 지면으로 배출됨을 알 수 있다.
10, 110: 기둥 구조체
20, 130 : 플랜터 박스
120 : 플랜터 케이스
30, 140 : 원형 벤치
40, 150 : 지붕 구조체
50, 160 : 빗물 공급관
60, 170 : 덩굴식물 지지대
70, 180 : 와이어로프
190 : 물 공급관
200 : 수분 흡수부재

Claims (2)

  1. 지면에 시공된 기초 구조물에 고정 및 설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직경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방사형으로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체결 고리(11)가 돌출 형성된 기둥 구조체(10)와;
    적어도 3면 이상의 평면 형상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 형상의 측면이 일체형으로 연결 및 형성되는 외부 측면부와, 상기 기둥 구조체(10)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형상의 내부 측면부와, 외부 및 내부 측면부의 하단부를 밀폐하며, 표면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21)이 형성된 밑면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하나 이상의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플랜터 박스(20)와;
    상기 플랜터 박스(20)의 외부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거나, 균일한 일정 공간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원형 밴치(30)와;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기둥 구조체(10)의 상단부에 고정 및 설치되며, 빗물을 집수하기 위해 내부 중심부로 향할수록 방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 중심부에 집수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관통홀(41)이 형성되며, 외부 테두리의 엣지부분에 다수개의 체결 고리(43)가 돌출 형성된 지붕 구조체(40)와;
    상기 지붕 구조체(40)의 배수공(41)에서 배수된 빗물을 지면으로 배출하는 동시에 그 빗물의 일부를 플랜터 박스(2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플랜터 박스(20)의 내부로 분기 및 연장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51)이 형성된 빗물 공급관(5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기둥 구조체(10)의 체결 고리(11)와 지붕 구조체(40)의 체결 고리(43)를 각각 연결 및 고정하는 와이어로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2. 지면에 시공된 기초 구조물에 고정 및 설치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직경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 고리(111)가 돌출 형성된 기둥 구조체(110)와;
    적어도 3면 이상의 평면 형상 또는 하나 이상의 곡면 형상의 측면이 일체형으로 연결 및 형성되며, 제1 높이에 하나 이상의 수위 조절공(121)이 형성되는 외부 측면부와, 상기 기둥 구조체(110)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형상의 내부 측면부와, 외부 및 내부 측면부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밑면부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플랜터 케이스(120)와;
    상기 플랜터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 삽입 및 안착되도록 플랜터 케이스(12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닮은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타공(131)이 형성된 내부 측면부, 외부 측면부 및 밑면부를 구비하고, 내부 및 외부 측면부와 밑면부로 이루어지는 수용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터 박스(130)와;
    상기 플랜터 박스(130)의 외부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지면에 설치되거나, 균일한 일정 공간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밴치(140)와;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기둥 구조체(110)의 상단부에 고정 및 설치되며, 빗물을 집수하기 위해 내부 중심부로 향할수록 방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내부 중심부에 집수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관통홀(151)이 형성되며, 외부 테두리의 엣지부분에 다수개의 체결 고리(153)가 돌출 형성된 지붕 구조체(150)와;
    상기 지붕 구조체(150)의 배수공(151)에서 배수된 빗물을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그 빗물의 일부를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분기 및 연장된 하나 이상의 급수관(161)이 형성된 빗물 공급관(16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기둥 구조체(110)의 체결 고리(111)와 지붕 구조체(150)의 체결 고리(153)를 각각 연결 및 고정하는 와이어로프(180)와;
    상기 플랜터 박스(130)의 밑면에 고정되어 플랜터 케이스(12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흡수하여 플랜터 박스(130)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 흡수부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KR2020110002496U 2011-03-25 2011-03-25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KR201100043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496U KR20110004305U (ko) 2011-03-25 2011-03-25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496U KR20110004305U (ko) 2011-03-25 2011-03-25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05U true KR20110004305U (ko) 2011-05-02

Family

ID=4424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496U KR20110004305U (ko) 2011-03-25 2011-03-25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305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81B1 (ko) * 2014-11-24 2015-02-25 신영철 공기우산장치
CN104763171A (zh) * 2015-03-26 2015-07-08 苏州福润机械有限公司 一种公园亭台
WO2016085215A1 (ko) * 2014-11-24 2016-06-02 신영철 공기우산장치
CN108756318A (zh) * 2018-06-20 2018-11-06 浙江顺艺园林工程有限公司 攀缘植物立体景观亭成型装置
CN111034497A (zh) * 2019-12-07 2020-04-21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具有集雨蓄水绿化功能的组合式海绵座椅组
KR102387404B1 (ko) * 2020-12-08 2022-04-15 대한민국 식물 식재가 가능한 파라솔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681B1 (ko) * 2014-11-24 2015-02-25 신영철 공기우산장치
WO2016085215A1 (ko) * 2014-11-24 2016-06-02 신영철 공기우산장치
CN106998864A (zh) * 2014-11-24 2017-08-01 申相浩 空气雨伞装置
CN106998864B (zh) * 2014-11-24 2018-11-27 申相浩 空气雨伞装置
US10852017B2 (en) 2014-11-24 2020-12-01 Sang Ho Shin Air umbrella device
CN104763171A (zh) * 2015-03-26 2015-07-08 苏州福润机械有限公司 一种公园亭台
CN104763171B (zh) * 2015-03-26 2016-09-14 苏州福润机械有限公司 一种公园亭台
CN108756318A (zh) * 2018-06-20 2018-11-06 浙江顺艺园林工程有限公司 攀缘植物立体景观亭成型装置
CN111034497A (zh) * 2019-12-07 2020-04-21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具有集雨蓄水绿化功能的组合式海绵座椅组
CN111034497B (zh) * 2019-12-07 2021-06-15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具有集雨蓄水绿化功能的组合式海绵座椅组
KR102387404B1 (ko) * 2020-12-08 2022-04-15 대한민국 식물 식재가 가능한 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670B1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및 이의 설치방법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KR20110004305U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JP2008043241A5 (ko)
JP3203419U (ja) 多段式植栽ボックス
KR20130048670A (ko) 경량 식재 모듈 구성으로 식물의 생육, 빗물 여과, 홍수조절 시스템
JPH08140502A (ja) グリーンシェルター
KR100535743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조립식 조경수 버팀대
JP2011050329A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JP6315252B2 (ja) 緑化ベンチ
JP6347077B2 (ja) 建築物緑化システム
JP4376109B2 (ja) プランター
CN108901469A (zh) 一种供蔬菜栽培的社区道路棚架系统
KR200411876Y1 (ko) 급수 기능이 구비되는 화분
NL1038053C2 (en) Tree container and assembly of a tree container and a tree.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KR101249642B1 (ko) 워터 커튼 타입의 분수를 구비한 파고라 및 이의 설치 방법
CN205875809U (zh) 一种凉亭
KR101034152B1 (ko) 옥상 녹화시스템
TWM481590U (zh) 可串聯式自動灌排植栽盆
JP2010029096A (ja) 多段容器式栽培装置
JP6473624B2 (ja) 緑化構造及び植栽ルーバー
JP3241940U (ja) 緑化装置
JP7360758B1 (ja) 植物栽培装置
KR101844804B1 (ko) 식생 경관석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