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294B1 -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294B1
KR100965294B1 KR1020080010970A KR20080010970A KR100965294B1 KR 100965294 B1 KR100965294 B1 KR 100965294B1 KR 1020080010970 A KR1020080010970 A KR 1020080010970A KR 20080010970 A KR20080010970 A KR 20080010970A KR 100965294 B1 KR100965294 B1 KR 10096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d triangular
slope
block
coupled
foot ste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196A (ko
Inventor
이동흡
손동원
김외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01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2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탈면에 친환경 소재인 간벌재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미리 제조한 역삼각 구조의 원주목블록을 시공현장에서 결체 조립하여 흙채움 작업 및 식생매트를 피복함으로써 비탈면의 붕괴를 막고 친환경적인 녹화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에 있어서,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은 발디딤부재의 양측에 좌측사선부재와 우측사선부재의 상단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좌측사선부재와 우측사선부재의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역삼각형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발디딤부재는 상측발디딤부재와 하측발디딤부재가 상, 하로 적층되어지되, 서로 엇갈리게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역삼각 원주목블록, 비탈면, 발디딤부재, 좌측사선부재, 우측사선부재

Description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The inverted triangular wooden column block for the slop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 소재인 간벌재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비탈면에 역삼각 구조의 원주목블록을 시공하여 흙채움 작업 및 식생매트를 피복함으로써 비탈면의 붕괴를 막고 친환경적인 녹화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개설을 위한 절개지, 사방공사 절개지, 암반절개지 등의 성토사면 또는 절토사면, 거친경사면, 소규모 사태지역 등에는 침식으로 인한 비탈면의 붕괴를 막고 식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조경블록, 잔디블록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비탈면에 시공되는 조경블록, 잔디블록 등은 대부분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자연과 어우러지지 못하여 주변경관을 해칠뿐 아니라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공해물질로 인하여 주위 자연환경이 다시 오염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시멘트 콘크 리트에는 식물이 자랄 수 없기 때문에 물을 필요로 하는 모든 생물로부터 격리가 일어나고 점진적으로 생물종이 단절 또는 절멸되는 위기가 초래될 수도 있으며 태양의 복사열과 반사열을 흡수하는 기능이 떨어지므로 도시열섬현상을 가중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인공적인 재료를 이용한 비탈면 복구공사 대신 평떼 녹화방법이나 씨앗 뿜어 붙이기와 같은 비탈면 보호공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평떼녹화방법은 정해진 규격대로 채취된 잔디를 면 고르기 마감된 대상 비탈면에 식재하는 방법으로써 뗏장을 수평으로 나열하고 잔디와 경사면이 밀착할 수 있도록 잘 누르면서 배토하며 시공하는데 고정구로써 대나무 등을 이용한다. 또한, 씨앗 뿜어 붙이기 비탈면 보호공법은 씨앗, 비료, 흙 등의 뿜어 붙일 재료에 물을 가한 혼합재료를 뿜어 붙이기 기계를 사용하여 비탈면에 뿜어 붙이는 공법이다. 상기의 방법들은 친환경적이기는 하지만, 비탈면이 급한 곳에서는 식생재료가 쉽게 붙지 않기 때문에 시공 후에도 비탈면이 침식되거나 훼손되는 경우가 많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인 간벌재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역삼각 원주목블록을 구성한 후 비탈면에 시공하는 것으로써, 신속하게 비탈면보호 시공을 필요로 하는 긴급복구지, 급경사에 의해 발디딤작업이 어려운 비탈면, 색생도입을 위해 복토가 필요하거나 흙붙임이 어려운 절개 또는 성토사면의 지면을 평탄하게 다듬어 녹화하고 붕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멘트 부산물질 등과 같은 강알칼리성의 물질에 의하여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위환경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친환경 소재인 목재를 공장에서 미리 반제품으로 조립한 후 현장에서는 각 조립체간의 정해진 방향대로 결체만 하면 되므로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지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A)에 있어서,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은 발디딤부재(11)의 양측에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상단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역삼각형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발디딤부재(11)는 상측발디딤부재(111)와 하측발디딤부재(112)가 상, 하로 적층되어지되, 서로 엇갈리게 조립되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디딤부재(11)의 상측발디딤부재(111)와 하측발디딤부재(112)가 서로 엇갈리게 조립되어짐으로써 상기 발디딤부재(11)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내민부(113)에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상단이 각각 고정핀(14)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하단도 서로 적층되어 상기 고정핀(14)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지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될 비탈면을 다지고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준비하는 비탈면준비단계(S01)와; 상기 비탈면의 전면 하단에 베이스부재(20)를 횡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재(30)를 설치하는 베이스부재설치단계(S02)와;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상부에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설치하는 역삼각 원주목블록설치단계(S03)와;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측면 양단에 측면부재(40)를 설치하는 측면부재설치단계(S04) 및;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상부에 흙채움을 하고 평탄작업을 하는 흙채움단계(S0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흙채움단계(S05) 중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 설치시 고정핀(14)이 비탈면에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식생매트를 피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인 간벌재 등과 같은 목재를 이 용한 역삼각 원주목블록을 비탈면에 시공하는 것으로써, 시멘트,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조경블록, 잔디블록 등과는 달리 공해물질에 의한 자연환경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위환경과 어우러진 친환경적인 경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소재인 목재를 미리 균일 규격으로 공장에서 조립하여 반제품을 제작한 후 시공현장에서 결체하여 시공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안정적인 역삼각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발디딤 작업이 어려운 급경사 비탈면 등 난해한 시공현장에서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시공순서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시공과정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디딤부재(11)의 양측에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상단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역삼각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먼저 발디딤부재(11)는 상측발디딤부재(111)와 하측발디딤부재(112)가 상, 하로 적층되어 형성되어지되, 바로 옆에 이어지는 다른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상측발디딤부재(111)와 하측발디딤부재(112)가 직결나사못 등의 고정핀(14)으로 결체되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서로 엇갈리도록 조립되어짐으로써 상기 발디딤부재(11)의 양측단에 내민부(113)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측발디딤부재(111)의 내민부(113) 하면에 좌측사선부재(12)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핀(14)으로 결합하고, 하측발디딤부재(112)의 내민부(113) 상면에 하측사선부재(13)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핀(14)으로 결합하며, 상측사선부재(12)와 하측사선부재(13)의 하단이 역삼각형의 꼭지점 위치에 서 상측사선부재(12) 하부에 하측사선부재(13)가 놓여지도록 한 후 고정핀(14)으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각 변이 서로 비스듬히 경사지어 맞물리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결체되는 고정핀(14)으로는 직결나사못, 철물앵커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원주목간의 결체 시에는 직결나사못이 사용되고, 각각의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비탈면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철물앵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각 개체간에는 직결나사못으로 전체가 하나의 구조물이 되게 비탈면에 수평으로 설치하고, 각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상부의 내측에는 철물앵커가 비탈면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게 함으로 구조물은 수평 및 수직으로 비탈면과 결체되게 하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비탈면보호물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역삼각 원주목블록(A)은 지형의 요철에 관계없이 바닥 의 지면에 고정할 수 있으며,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시공됨으로써 발디딤부재(11) 상측으로 충분한 복토가 쌓일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고, 폭우 또는 풍화 침식 등으로 복토가 쉽게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디딤부재(11)는 비탈면에서 발디딤판의 역할을 하므로 급경사지에서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간벌재 등의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역삼각형의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어 각 블록의 중량이 20kg 미만으로 형성되어 시공이 불편한 비탈면에서도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양호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비탈면준비단계(S01)로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이 시공되어질 위치의 비탈면을 고르고 다진 후 공장에서 반제품으로 조립된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준비한다.
다음, 베이스부재설치단계(S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짐질 된 비탈면의 전면 하단에 간벌재 등의 목재로 형성된 길이가 긴 베이스부재(20)를 횡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전면에 고정부재(3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30)로써 말목길이 60cm의 원주목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직결나사못으로 고정하거나 말뚝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미도시하였지만 전면에 목재옹벽 등이 설치되어 있다면 그 곳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베이스부재(20)를 설치함으로써 역삼각 원주목이 전면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역삼각 원주목블록설치단계(S03)로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상부 비탈면에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횡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다.
먼저 각각의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직결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역삼각의 구조체가 되도록 블록간 체결하고 횡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하는데, 각각의 역삼각 원주목블록(A)은 바로 옆에 이어지는 다른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상측발디딤부재(111) 하면에 하측발디딤부재(112)의 상면이 위치하도록 하여 직결나사못으로 결체한다. 또한 각각의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상부쪽인 발디딤부재(11)의 양측 꼭지점에는 직경 15mm의 철제앵커로 땅 속 깊이 40cm이상으로 고정한다.
한 줄이 설치되면 그 상층에 동일한 방법으로 각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횡으로 연결하여 하부에 놓여진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발디딤부재(1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층과 하층의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맞닿는 부분을 직결나사못으로 결체하는 것을 반복하여 설치한다.
다음, 측면부재설치단계(S04)로 비탈면에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모두 설치한 후 각 층마다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측면 양단에 측면부재(40)를 설치하면 양단부분도 자연스럽게 삼각형상을 이루므로 조립체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며 미관적으로도 안정적이고 수려한 경관이 조성되게 된다. 또한, 역삼각형으로 연속 연결된 모양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마름모의 형상을 나타내므로 주변 환경과 조화하기 쉽고 미관적으로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마지막은 흙채움단계(S05)로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상부에 복토를 하고 평탄작업을 하여 마감한다. 이때 빠른 식생을 돕기위하여 식생매트 등을 피복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식생매트로는 야자매트 등과 같은 식물성 매트 또는 수지재의 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볏짚, 보리짚, 밀짚, 또는 나무섬유재 등으로 하여 식생매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식생매트를 사용하면 식생을 도울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에 채워지는 복토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하여 전체 구조가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시공면이 깔끔하게 마무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와 같은 식생매트는 처음 제조할 때 원하는 식물의 종자가 함께 내재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A)은 친환경소재인 나무 목재를 시공이 편리하도록 미리 공장에서 반조립한 후 시공현장에서 손쉽게 결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시공순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역삼각 원주목블록 11 : 발디딤부재
12 : 좌측사선부재 13 : 우측사선부재
14 : 고정핀 20 : 베이스부재
30 : 고정부재 40 : 측면부재

Claims (4)

  1.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A)에 있어서,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은 발디딤부재(11)의 양측에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상단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역삼각형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발디딤부재(11)는 상측발디딤부재(111)와 하측발디딤부재(112)가 상, 하로 적층되어지되, 서로 엇갈리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발디딤부재(11)의 양측단에 내민부(1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내민부(113)에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상단이 각각 고정핀(14)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하단도 서로 적층되어 상기 고정핀(14)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2. 삭제
  3.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어지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공될 비탈면을 다지고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준비하는 비탈면준비단계(S01)와;
    상기 비탈면의 전면 하단에 베이스부재(20)를 횡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부재(30)를 설치하는 베이스부재설치단계(S02)와;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상부에 역삼각 원주목블록(A)을 설치하는 역삼각 원주목블록설치단계(S03)와;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측면 양단에 측면부재(40)를 설치하는 측면부재설치단계(S04) 및;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의 상부에 흙채움을 하고 평탄작업을 하는 흙채움단계(S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은 발디딤부재(11)의 양측에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상단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역삼각형태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발디딤부재(11)는 상측발디딤부재(111)와 하측발디딤부재(112)가 상, 하로 적층되어지되, 서로 엇갈리게 조립됨으로써 상기 발디딤부재(11)의 양측단에 내민부(1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내민부(113)에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상단이 각각 고정핀(14)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좌측사선부재(12)와 우측사선부재(13)의 하단도 서로 적층되어 상기 고정핀(14)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흙채움단계(S05) 중 상기 역삼각 원주목블록(A) 설치시 고정핀(14)이 비탈면에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식생매트를 피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의 시공방법.
KR1020080010970A 2008-02-04 2008-02-04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965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970A KR100965294B1 (ko) 2008-02-04 2008-02-04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970A KR100965294B1 (ko) 2008-02-04 2008-02-04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196A KR20090085196A (ko) 2009-08-07
KR100965294B1 true KR100965294B1 (ko) 2010-06-24

Family

ID=4120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970A KR100965294B1 (ko) 2008-02-04 2008-02-04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2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069A (ja) 1999-12-27 2001-07-03 Sanko:Kk 木製法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2242194A (ja) 2001-02-21 2002-08-28 San Buresu:Kk 枠ブロック及び施工面保護工
JP2005133359A (ja) 2003-10-29 2005-05-26 Takatoku:Kk 丸太法枠工法
JP2006207205A (ja) 2005-01-26 2006-08-10 Tokuhiro Senyama 法枠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069A (ja) 1999-12-27 2001-07-03 Sanko:Kk 木製法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2242194A (ja) 2001-02-21 2002-08-28 San Buresu:Kk 枠ブロック及び施工面保護工
JP2005133359A (ja) 2003-10-29 2005-05-26 Takatoku:Kk 丸太法枠工法
JP2006207205A (ja) 2005-01-26 2006-08-10 Tokuhiro Senyama 法枠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196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10728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 environmentally-friendly retaining wall using soil bags for vegetation and fixing members,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101898630B1 (ko)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0965294B1 (ko)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224504B1 (ko)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KR101385172B1 (ko) 식재수단이 형성된 옹벽구조물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2107751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010009377A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101720146B1 (ko)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120038665A (ko)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KR101122412B1 (ko) 잔디블럭
KR101012655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53751A (ko) 녹지화가 가능한 비탈진 제방 구조
KR101625652B1 (ko) 산책로 지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14087B1 (ko)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JP3477069B2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
JP3053981B2 (ja) 植生基盤造成工法
KR100929366B1 (ko) 목재생태블록 및 목재생태블록을 이용한 법면공사 시공방법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CN220284869U (zh) 一种矿山迹地植被修复生态挡墙
KR100579820B1 (ko)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US20200230483A1 (en) Golf course bun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