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820B1 -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820B1
KR100579820B1 KR1020020088037A KR20020088037A KR100579820B1 KR 100579820 B1 KR100579820 B1 KR 100579820B1 KR 1020020088037 A KR1020020088037 A KR 1020020088037A KR 20020088037 A KR20020088037 A KR 20020088037A KR 100579820 B1 KR100579820 B1 KR 10057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lastic
soil
plastic mesh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745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김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호 filed Critical 김용호
Priority to KR102002008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8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축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옹벽 축조 공법은,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플라스틱 망상체를 깔고, 그 위에 흙이나 골재를 일정 두께로 성토하여 다진 후 선단을 말아올리고 그 위에 또다른 플라스틱 망상체를 깔고 그 위에 일정두께의 흙이나 골재를 성토하여 다진 후 다시 말아올리는 작업을 반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다.
또한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앵커부를 갖고 그 선단에 상향 연결된 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에 성토 높이를 간격으로 상,하 지지간을 연결하여 일체화 마감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말아올려지는 부위의 상기 플라스틱망상체 내측에 배치하여 앵커부는 성토부에 묻히도록 하고, 상기 지지간은 플라스틱망상체가 급격히 접히도록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도 있고, 양측 지지대의 전방에 잔디가 심어지는 모판이 부착하여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옹벽이 축조될 위치에 플라스틱 망상체를 깔고 그 위에 주변의 흙이나 잡석 등을 성토하여 다진 후 감아 올린 후 그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층을 쌓아 옹벽을 축조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망상체 자체가 앵커역할을 하여 토압에 대한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로 보다 견고한 옹벽을 이룰 수가 있고, 또 주변의 흙이나 잡석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망상체 이외에는 재료비가 전혀 들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플라스틱 망상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의해 물빠짐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층간별로 플라스틱 망상체가 말려져 형성된 곡면의 돌출부를 갖게 되어 매우 미려한 외관을 가짐은 물론이고, 망상체의 구멍을 통해 식물이 자랄 수 있게 되어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지지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모판에 의해 씨앗이 흙에 뿌리를 내리기가 용이해 지기 때문에 잔디와 같은 식물이 잘 자라게 되어 자연환경에 잘 조화되는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이룰 수가 있다.
옹벽, 플라스틱 망상구조물, 모판, 잔디, 식물, 자연친화

Description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construct to build retaining wall that use plastic reticular 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감장치 앵커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옹벽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모판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라스틱 망상체 11,12 - 종,횡근
14 - 잡석 20 - 마감장치
21 - 앵커부 22 - 지지대
23 - 홀더 24,25 - 상,하 지지간
28 - 이탈방지핀 30 - 모판
본 발명은 옹벽 축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지에 도로나 건물을 축조할 때는 흙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축조한다.
옹벽의 축조방법으로 가장 일반화 되어 있는 방법은 옹벽의 형상으로 거푸짚을 설치한 후 이에 콘크리트를 치고 양생시켜 옹벽 구조물을 이루는 방법과, 석재를 경사지게 축조하여 옹벽을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또 도로를 내기 위해 산을 절개하여 형성된 경사지에는 앵커를 박고 그외부에 망을 씌운 후 콘크리트를 뿌려 바위와 같은 느낌을 내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옹벽은 거푸짚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치고 양생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석축에 의한 옹벽공법은 많은 석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석재를 구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석재의 무게로 인하여 운반은 물론이고 축조시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힘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어려움과 비용이 많든다. 특히 토압에 대한 지지력이 떨어지는 관계로 소규모의 축대외에 경사가 높은 지역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 앵커를 박고 그 외부에 콘크리트를 뿌려 형성하는 공법은 자연미를 갖는 외관을 가질 지는 모르지만 토압을 앵커로만 지지하기 때문에 연약지반에서는 지지력이 떨어져 이또한 안전한 공법이라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옹벽 축조방법들의 단점 즉, 작업이 어렵고. 시간 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토압 지지력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이다.
그 목적은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신장시켜 전단강도를 높인 플라스틱 망상체 또는 본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10-2000-0044054호에 개시된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하여 시공현장의 흙이나 골재를 재료로 신속 간편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 잔디와 같은 조경식물이 자랄 수 있는 조건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보다 자연친화적인 외관을 가질 수 있는 옹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망상체를 깔고, 그 위에 흙을 일정 두께로 성토하여 다진 후 선단을 말아올리고 그 위에 또다른 플라스틱 망상체를 깔고 그 위에 일정두께로 성토하여 다진 후 다시 말아올리는 작업을 반복하여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플라스틱 망상체(10)는 일정한 배열로 구멍이 뚫려있는 합성수지판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신시키거나 양방향으로 모두 연신시켜 각 구멍의 둘레로 연신된 종,횡근(11)(12)을 갖는다.
이러한 플라스틱 망상체(10)를 옹벽을 축조하고자하는 바닥에 깔고 그 위에 흙이나 잡석(14)을 일정두께 성토한 다음 이를 다진다. 이때 플라스틱 망상체(10)는 말아 올릴 것을 예상하여 넉넉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성토 및 다짐이 완료되면 그 선단을 말아 올려 성토면에 밀착시킨 다음 또다른 플라스틱 망상체(10)를 깔고 다시 처음과 같이 성토작업 및 다짐작업을 실시한 후 선단을 말아올는 작업을 반복하여 옹벽을 쌓는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망상체(10)를 이용하여 옹벽을 쌓게 되면 플라스틱 망상체(10) 자체가 앵커역할을 하기 때문에 토압에 대한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견고한 옹벽을 이룰 수가 있다.
또한 주변의 흙이나 잡석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망상체(10) 이외에는 재료비가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망상체(10)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의해 물빠짐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또 구멍을 통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플라스틱 망상체(10)를 이용하여 옹벽을 쌓게 되면 완성된 옹벽은 층간별로 플라스틱 망상체(10)가 말려져 형성된 곡면의 돌출부가 층층이 형성되므로 외관이 매우 미려한 효과를 갖게 된다.
만일, 완성된 옹벽면이 이루는 곡면의 돌출부의 형상을 어느정도 각이진 구조로 연출하고자 한다면, 도 2에서와 같이 마감장치(20)를 이용하여 원하는 옹벽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길이를 갖는 앵커부(21)를 갖고 그 선단에 상향 연결된 지지대(22)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에 성토 높이를 간격으로 상,하 지지간(24)(25)을 연결하여 일체화한 마감장치(20)를 구비한다. 이때 상부 지지간(24)은 지지대(22)의 상단에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홀더(23)를 설치하여 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가 있으며, 양측 앵커부(21)의 하부에는 이탈방지핀(28)이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감장치(20)를 말아올려지는 위치의 플라스틱 망상체(10) 내측에 배치한 후 성토하여 앵커부(21)가 성토된 흙이나 잡석(14)에 묻히도록 한다. 이때 이탈방지핀(28)에 의해 마감장치(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 그리고 하부 지지간(25)을 지지하여 플라스틱망상체(10)를 접어올린 후 다시 상부 지지간(24)을 지지하여 후측으로 접어 젖히게 되면 상하부가 상,하부 지지간(24)(25)에 의해 급격히 접히게 됨에 따라 전면은 평면의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옹벽면의 형상은 블록을 쌓은 것과 같이 각을 이루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 망상체(10)에 의한 축조된 옹벽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양측 지지대(22)의 전방에 잔디가 심어지는 모판(30)을 부착한다.
즉, 지지대(22)의 상부 홀더(23)에 상부 지지간(24)을 설치할 때 모판(30)의 양측 상단을 홀더(23)에 위치시킨 후 상부 지지간(24)을 밀어넣게 되면 홀더(23)와 상부 지지간(24) 사이에 모판(30)이 끼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하단은 하부 지지간(25)의 하부에 개재하게 되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는 달리 모판(30)을 단순히 상부지지간에 고리 등으로 매달아 놓아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모판(30)이 부착되면 모판(30)이 흙과 잡석(14)에 접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모판(30)에 심어진 씨앗이 흙에 뿌리를 내리기가 용이해 지게 되어 잔디와 같은 식물이 잘 자라게 되며, 이와 같이 자라는 식물은 노출된 플라스틱 망상체(10)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자라게 된다. 따라서 용벽의 외관이 자연친화적 미려함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이 축조될 위치에 플라스틱 망상체를 깔고 그 위에 주변의 흙이나 잡석 등을 성토하여 다진 후 감아 올린 후 그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층을 쌓아 옹벽을 축조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망상체 자체가 앵커역할을 하여 토압에 대한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로 보다 견고한 옹벽을 이룰 수가 있고, 또 주변의 흙이나 잡석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망상체 이외에는 재료비가 전혀 들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플라스틱 망상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의해 물빠짐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층간별로 플라스틱 망상체가 말려져 형성된 곡면의 돌출부를 갖게 되어 매우 미려한 외관을 가짐은 물론이고, 망상체의 구멍을 통해 식물이 자랄 수 있게 되어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지지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모판에 의해 씨앗이 흙에 뿌리를 내리기가 용이해짐에 따라 잔디와 같은 식물이 잘 자라게 되어 자연환경에 잘 조화되는 자연친화적인 옹벽을 이룰 수가 있다.

Claims (7)

  1. 옹벽을 축조함에 플라스틱 망상체 위에 흙이나 골재를 일정 두께로 성토하여 다진 후 선단을 말아올리는 플라스틱망상체와, 그 플라스틱망상체를 지반에 박아 넣는 이탈방지핀과, 그 위에 또다른 플라스틱망상체를 깔고 그 위에 일정두께의 흙이나 골재를 성토하여 다진 후 다시 말아올린 플라스틱 망상체로 이루어진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흙이나 골재를 수용하는 겹쳐질수 있는 구조를 가진 플라스틱망상체(10)와;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앵커부(21)와, 상기 앵커부(21)와 수직방향으로 일체된 지지대(22)와, 상기 앵커부(21)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하부지지간(25)과, 상기 좌우측 지지대(22)의 끝단에 성형되는 홀더(23)와, 상기 지지대(22)의 상단 좌우측 홀더(23)에 끼워지는 상부지지간(24)로 구성된 마감장치(20)와;
    상기 플라스틱 망상체(10) 사이에 수용되는 흙이나 잡석(14)이; 결합하되 상기 플라스틱망상체(10)의 배면에 프레임화되게 배치되는 마감장치(20)가 조립되고, 그 내부에 흙이나 잡석(14)이 채워진 상태로 플라스틱망상체(10)가 접혀서 다층을 이루어 시공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지지대(22)의 홀더(23)에 끼워진 상부 지지간(24) 사이에는,
    잔디가 심어지는 모판(3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장치(20)의 앵커부(21)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핀(2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20088037A 2002-12-31 2002-12-31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057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037A KR100579820B1 (ko) 2002-12-31 2002-12-31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037A KR100579820B1 (ko) 2002-12-31 2002-12-31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745A KR20040061745A (ko) 2004-07-07
KR100579820B1 true KR100579820B1 (ko) 2006-05-12

Family

ID=3735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037A KR100579820B1 (ko) 2002-12-31 2002-12-31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94B1 (ko) * 2006-04-04 2006-07-19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비탈면 슬라이딩 차단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745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20070073434A (ko) 사면녹화안정용 보강토옹벽
KR101276291B1 (ko)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0959828B1 (ko) 이중 스틸케이지로 성토부와 식생부를 분리 시공한 식생 사면 조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식생사면구조체
CZ2008145A3 (cs) Vegetacní strecha, zejména sklonitá a zpusob její výroby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100579820B1 (ko)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JP2008038369A (ja) 植生ネットおよび柔性枠組の結合による土地改良措置工法
KR2009001959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24416B1 (ko) 식생기반체가 설치되는 옹벽
KR101012655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CN202627005U (zh) 岩石山体生态修复结构
KR100992076B1 (ko)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930115B1 (ko)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110939141A (zh) 边坡的支护结构
KR100787099B1 (ko) 식생보강토 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보강토시공구조
KR100641583B1 (ko)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JPS5820338B2 (ja) 法面安定工法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JP3477069B2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KR100995094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0892080B1 (ko) 식생 가능한 사면 보호공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구조물 및 시공 방법
CZ2008144A3 (cs) Reklamní plocha vytvorená na svahu a/nebo mající svažitý pov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