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291B1 -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291B1
KR101276291B1 KR1020100112733A KR20100112733A KR101276291B1 KR 101276291 B1 KR101276291 B1 KR 101276291B1 KR 1020100112733 A KR1020100112733 A KR 1020100112733A KR 20100112733 A KR20100112733 A KR 20100112733A KR 101276291 B1 KR101276291 B1 KR 101276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vegetation block
retaining wa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345A (ko
Inventor
조삼덕
김주형
이광우
여규권
김남걸
이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정수
삼부토건주식회사
동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정수, 삼부토건주식회사, 동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2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5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a general shape differing from that of a parallelepi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으로 축조되는 옹벽에 초목류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되, 인위적인 관리 없이도 자연적인 생장이 가능하도록 무식생 블록(B')과 이 무식생 블록의 전면보다 앞으로 돌출되는 식생 블록(B)의 조합 축조에 의해 이루어지며, 무식생 블록(B')을 1단 이상으로 축조하고, 이 무식생 블록(B')의 후부 전방에 투수성 골재(R1)를 채우고, 그 위에 부직포(Q)를 세워서 대어주되 부직포(Q)의 하부는 상기 투수성 골재(R1)의 위에 앞뒤 약 0.5~1m의 폭으로 깔고 무식생 블록(B') 배면에 세워진 부직포(Q)의 상부 중 인접하는 무식생 블록(B')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곳에서는 그 폭만큼 부직포(Q)의 양측을 절개한 상태에서 상기 투수성 골재(R1) 위에 깔린 부직포(Q) 위에 초목류의 뿌리가 뻗을 수 있는 식생토체(R2)를 채우고 그 위에 상기 부직포(Q)의 나머지 부분을 덮어주며, 상기 무식생 블록(B') 위에 식생 블록(B)을 1단 이상 축조하되, 이 식생 블록(B)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170)의 전면(172)에 열 차단판(176)을 부착한 후 그 위에 상기 단계(S2)에서 절개된 부직포(Q)를 대고 관통공(170) 내측에 식생토체(R2)를 채우고, 상기 식생 블록(B) 후방의 부직포(Q) 위에 투수성 골재(R1)를 채움으로써 원하는 높이의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을 축조한다.

Description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A PLANTABL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기존의 녹화용 옹벽이 갖고 있던 삭막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블록으로 축조되는 옹벽에 초목류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되, 인위적인 관리 없이도 자연적인 생장이 가능하도록 초목류의 뿌리가 옹벽 후부의 보강토체 쪽으로 왕성하게 뻗을 수 있고, 빗물을 식생공간으로 최대한 유도할 수 있으며, 일광으로 인한 과도한 열은 차단할 수 있는 방식으로 축조하고, 초목류의 줄기와 잎이 옹벽 전면에서 입체적으로 자연스럽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며, 옹벽이 설치되는 지역의 환경에 어울릴 수 있도록 초목류의 식재를 다양한 패턴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 제654625호 및 특허 제660379호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특허 제654625호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조된 옹벽 자체에 소동물 및 초목류의 식생이 가능하고, 축조된 옹벽의 외관이 기존의 옹벽보다 상대적으로 수려하며, 차량의 통행으로 인한 소음이 자주 발생하는 도로변에 설치된 경우 흡음효과를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각각 옹벽을 형성하는 전면(10)과 이 전면에 대응되는 후면(20), 좌·우 측면(30,40) 및 상,하면(50,60)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공(70)이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30,40)의 중간 부분에는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32,42)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50)의 후부 양측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간의 인터록킹을 위한 결합돌기(52,54)가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관통공(79) 후부에 인터록킹되며; 상기 결합돌기(52,54)의 전방과 내측부 후방으로는 보강재 삽입홈(8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 특허 제 660379호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블록보다 좌우의 폭이 큰 대형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신속하게 축조하되 장비를 사용하여 축조함으로써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을 덜어주고, 블록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토체충전부(土體充塡部)를 형성하되 이 토체충전부가 옹벽의 전면으로 일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수직으로 축조된 옹벽의 전면에 식생이 가능한 블록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러한 블록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하층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블록 자체의 하중으로 인한 전단력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옹벽 및 그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10)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부호생략됨)과; 인접하는 블록간의 요철결합을 위해 각각 대응되는 요철결합부가 형성되는 좌·우 측면(30,30')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40)과; 이 상면과 대응되는 하면(부호생략됨)을 포함하며, 상기 상, 하면의 좌, 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지지핀 체결을 위한 지지핀 삽입구멍(h)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토체충전부(60)가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전면 양측에는 블록의 상,하 교차축조시 상기 토체충전부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측후방으로 후퇴면(12,1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허 제660379호의 옹벽 축조방법은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지지핀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와; 유니트화 된 블록을 콘크리트 기초 위에 축조하는 1차 축조단계와; 1차 축조된 블록의 후부에 보강토체를 포설하고, 블록에 보강재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 위에 깔고 보강토체를 다짐하는 단계와; 1차 축조된 블록의 토체충전부에 흙을 채우고 초목류를 식재(파종 또는 이식)하는 단계와;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지지핀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와; 1차 축조된 블록 유니트 위에 2차로 유니트화 된 블록을 좌·우로 교차되도록 축조하는 2차 축조단계와; 2차 축조된 블록의 후부에 보강토체를 포설하고, 2차 축조된 블록에 보강재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 위에 깔고 보강토체를 다짐하는 단계와; 2차로 축조된 블록의 토체충전부에 흙을 채우고 초목류를 식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한 특허 제654625호 및 특허 제660379호에 의한 옹벽에서는 식생이 가능하기는 하였으나,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 사이사이에 식재된 초목류의 식생기반이 그다지 충실하지 못하여 초목류의 왕성한 뿌리 내림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기후가 건조한 계절이나 건조한 지역에 옹벽이 시공된 경우에는 영구적인 녹화가 어려워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블록 자체의 구조 및 축조방식의 설계에 있어서 초목류의 뿌리가 옹벽 후방의 토체로 깊게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충분히 고려되지 못한데 기인하였고, 옹벽 전면으로 노출된 초목류의 식생공간도 협소하여 수분 즉, 빗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되지 못함으로써 식생에 반드시 필요한 생육인자인 수분의 공급이 자연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인위적인 관수 등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식물이 고사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특허 제654625호 및 특허 제660379호에 있어서는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 면 자체가 대체로 평면화되어 있었고, 수목류의 식재 위치가 인접하는 블록과 블록 사이의 틈(홈)에 형성된 좁은 공간에 있었으므로 빗물의 흡수나 일조량 등이 적어 초목류의 식생에도 효율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비록 식생이 이루어져 있다 하더라도 식생경관 자체도 입체적이지 못하고 밋밋한 평면적인 조경으로 그치게 되어 자연스러운 경관의 연출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으로 축조되는 옹벽에 초목류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되, 인위적인 관리 없이도 생장에 필요한 인자(물과 햇빛 등)의 공급이 이루어져 자연적인 생장이 가능하도록 초목류의 뿌리가 옹벽 후부의 보강토체 쪽으로 왕성하게 뻗을 수 있도록 하고, 초목류의 필수 식생인자인 수분과 일조량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초목류의 줄기와 잎이 입체적으로 자연스럽게 생장할 수 있도록 하고, 옹벽이 설치되는 지역의 환경에 어울릴 수 있도록 초목류의 식재를 다양한 패턴으로 할 수 있는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식생 블록과 상기 무식생 블록의 측부 또는 상부에 축조되며 상기 무식생 블록의 전면보다 앞으로 돌출되는 식생 블록의 조합 축조에 의해 형성되는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무식생 블록과 식생 블록은 상하 1단씩 교차축조되거나, 상하 2단씩 교차축조되는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무식생 블록은 2단 이상으로 축조되고 식생 블록은 무식생 블록 위에 1단으로 축조되는 것이 반복되는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무식생 블록의 전면으로 돌출 축조되는 식생 블록이 다이아몬드 형태나 원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패턴으로 축조되는 식생 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을 제공한다.
상기 식생 블록과 무식생 블록은 기본적으로 각각 옹벽을 형성하는 전면과 이 전면에 대응되는 후면, 좌·우 측면 및 상, 하면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좌·우 측면에는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의 후부 양측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간의 인터록킹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관통공 후부에 인터록킹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전방과 내측부 후방으로는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식생 블록의 관통공은 초목류의 식재를 위한 공간으로 블록 내측에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되 전방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식생 블록의 전면은 무식생 블록의 전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이 돌출된 부위의 상면에는 빗물을 관통공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빗물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생블록의 관통공 내측 전면에는 관통공 내측에 식재된 초목류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식생블록이 일광에 의해 가열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열 차단판이 부착되고, 상기 식생 블록의 관통공 하부는 식생 블록 하부에 축조되는 무식생 블록 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블록 후방에 채워지는 토체와 연결되어 상기 식생 블록의 관통공에 식재되는 초목류의 뿌리가 뻗어나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 블록과 무식생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는 띠형 섬유보강재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은 무식생 블록을 1단 이상으로 축조하는 단계; 1단 이상의 축조된 무식생 블록 후부 전방에 투수성 골재를 소정 높이까지 채우고 투수성 골재 위쪽의 무식생 블록 배면에 부직포를 대고 부직포의 하부는 투수성 골재의 위에 깔고 부직포의 상부 중 인접하는 무식생 블록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부직포의 양측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부직포 위에 초목류의 뿌리가 뻗을 수 있는 토체를 채우는 단계; 상기 무식생 블록 위에 식생 블록을 축조하되, 상기 식생 블록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 전면에 먼저 열 차단판을 대고 그 위에 상기 절개된 부직포를 대고 관통공 내측에 식생토체를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식생 블록 후방에 투수성 골재를 채우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단계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높이의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게 되며, 최종 단계로 최상단 블록의 후방 상부에 빗물 유입을 위한 스틸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서 보강재의 연결 및 보강토체의 다짐은 기존의 블록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띠형 섬유 보강재의 선단부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에 동시에 접거나 펼친 상태로 걸어주고, 보강토체에는 펼쳐서 눕힌 상태가 되도록 하여 보강토체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되 보강토체의 후단부는 U자으로 돌려서 세운상태에서 보강토체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마찰저항력과 더불어 수동지지저항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띠형 섬유 보강재가 지그재그 상태로 연속 설치되므로 시공 속도가 빠르고 시공이 간편하며, 띠형 섬유 보강재의 상,하면이 보강토체와 마찰됨과 동시에 보강재 후단의 수동저항부에 의해 지지력이 강화됨으로써 옹벽 배면의 뒷채움 길이가 짧은 시공현장에서도 견고한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은 기존의 단조로운 평면적인 식생만이 가능하던 식생옹벽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입체적인 식생이 가능하고, 초목류가 식재된 관통공으로의 빗물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광에 의해 가열된 콘크리트의 열기가 관통공 내측의 토체와 초목류 뿌리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인위적인 관리가 필요없이도 초목류가 자연적인 환경하에서 왕성한 생장이 가능하며, 옹벽이 설치되는 지역의 환경에 어울릴 수 있도록 초목류의 식재를 다양한 패턴으로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생 블록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무식생 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무식생 블록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B - B선 단면도,
도 9는 식생 블록과 무식생 블록의 혼합 축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식생 블록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식생 블록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C - C선 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식생 블록의 축조상태 평면도(뒷물림 1단계),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식생 블록의 축조상태 평면도(뒷물림 2단계),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식생 블록의 축조상태 평면도(뒷물림 3단계)
도 17은 도 11의 식생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18은 도 11의 식생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19는 도 11의 식생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의 측단면도,
도 20은 종래기술에 의한 녹화용 옹벽의 측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블록의 사시도,
도 2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녹화용 옹벽의 축조상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블록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의 축조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전면부 및 배면부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식생 블록과 무식생 블록을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식생 블록과 무식생 블록의 혼합 축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보강토 옹벽은 무식생 블록(B')과 상기 무식생 블록의 측부 또는 상,하부에 축조되며 상기 무식생 블록의 전면보다 앞으로 돌출되는 식생 블록(B)의 조합 축조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인 식생 블록(B)과 무식생 블록(B')은 기본적으로 각각 옹벽을 형성하는 전면(110)과 이 전면에 대응되는 후면(120), 좌,우 측면(130,140) 및 상,하면(150,160)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공(170)이 형성되되, 상기 좌,우 측면(130,140)에는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180)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150)의 후부 양측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간의 인터록킹을 위한 결합돌기(190)가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관통공(170) 후부에 인터록킹되며, 상기 결합돌기(190)의 전방과 내측부 후방으로는 보강재 삽입홈(19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162는 블록의 하면(160) 후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블록의 운반시 블록 상면(150)의 후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9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결합홈(162)의 전후 폭은 결합돌기(190)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운반시 다수의 블록을 수직이 되도록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62)은 블록의 유니트화시 별도의 지지핀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하 블록 사이를 상호 인터록킹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바, 블록 상면(150)의 결합돌기(190)가 블록 하면(160)의 결합홈(162)에 끼워짐으로써 상부에 위치한 블록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며, 상부의 블록이 일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적층될 경우에도 하부 블록의 결합돌기(190)가 상부 블록의 하면(160) 후부에 좌우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홈(162)에 걸려 인터록킹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 블록(B)의 관통공(170)은 기본적으로 블록의 경량화를 위한 목적 외에도 초목류의 식재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는바, 이를 위해서 블록(B)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넓고 전후방향으로도 넓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170) 내측의 전면(172)은 식생 블록(B)의 상면(150)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식생 블록(B)의 전면(110)은 무식생 블록(B')의 전면(110)에 비해 대략 70mm 정도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식생 블록(B)의 돌출된 전면(110)의 상면에는 빗물을 관통공(170)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빗물 유도부(175)가 형성되어 있어 우천시 식생 블록(B)의 돌출된 부위로 떨어진 빗물을 관통공(170) 쪽으로 최대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식생 블록(B)의 관통공(170) 내측 전면(172)에는 관통공 내측에 식재된 초목류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식생블록이 일광에 의해 가열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열 차단판(176)이 부착되게 된다.
또, 상기 식생 블록(B)의 관통공(170) 하부는 식생 블록(B) 하부에 축조되는 무식생 블록(B)의 인접하는 측면(130,14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무식생 블록(B') 후방에 채워지는 토체와 연결되어 상기 식생 블록(B)의 관통공(170)에 식재되는 초목류의 뿌리가 왕성하게 뻗어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식생 블록(B')의 관통공(17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블록의 경량화를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170)의 중간 부분에는 전후방향으로 보강용 리브가 형성되어 블록의 강도를 높여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강용 리브에 의해 좌우측의 관통공이 격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식생 블록(B')의 관통공(170)은 또 하부에 축조되는 식생 블록(B) 쪽으로 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빗물통로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블록(B) 및 무식생 블록(B')에는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을 위한 결합돌기(190)의 후부에 뒷물림 간격의 조절 및 인터록킹 상태의 강화를 위한 지지핀(200)이 삽입되는 지지핀 삽입홈(195,196)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결합돌기(190)의 후면에 절반 정도 중첩하는 제1 지지핀 삽입홈(195)과, 이 제1 지지핀 삽입홈(195)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돌기(190)의 후면에 선단부가 바로 접하는 제2 지지핀 삽입홈(19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제1,2 지지핀 삽입홈(195,196)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지지핀(200)을 끼운 상태 또는 지지핀(200) 없이 하부 블록 위에 상부 블록을 축조함으로써 뒷물림 간격의 조절을 다단계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 상태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핀(200)은 섬유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환봉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 등의 금속 환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핀(200)을 사용하지 않고 축조할 경우에는 식생 블록(B)을 무식생 블록(B') 위에서 최대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적층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하부에 위치한 무식생 블록(B') 상면의 후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90)의 후면에 식생 블록(B)의 하면(160) 후부에 형성된 결합홈(162)의 후면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에 위치한 식생 블록(B)이 최대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적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하부의 블록(B,B')은 순전히 결합돌기(190)와 결합홈(162) 간의 인터록킹 작용에 의해 상부의 식생 블록(B)이 앞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식생 블록(B) 위에 무식생 블록(B')을 축조할 경우에는 식생 블록(B)이 무식생 블록(B')의 전방으로 최대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식생 블록(B')이 최대한 후퇴된 상태가 되도록 축조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 블록(B)의 상면(150) 후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90) 후방의 제2 지지핀 삽입홈(196)에 지지핀(200)을 끼워준 상태에서 그 위에 무식생 블록(B')을 적층하면 지지핀(200)의 굵기에 해당하는 만큼 상부의 무식생 블록(B')이 후퇴된 상태로 적층되는 것이며, 하부의 식생 블록(B) 위에 끼워진 지지핀(200)의 상부는 상부에 적층된 무식생 블록(B')의 하면(160) 후부에 형성된 결합홈(162)의 후면에 접하게 되고, 이 지지핀(200)의 앞 부분은 하부에 위치한 식생 블록(B)의 상면(150) 후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90)의 후면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지지핀(200)의 돌출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부에 적층된 무식생 블록(B')과의 인터록킹 상태가 강화되게 되어 식생 블록(B) 상부에 위치한 무식생 블록(B')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핀(200)은 제2 지지핀 삽입홈(196)이 아닌 제 1지지핀 삽입홈(195)에 끼울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뒷물림이 적어지게 된다.
이하, 본 실시 예의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의 측단면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이 축조될 위치에 조성된 콘크리트 기초(C) 위에 무식생 블록(B')을 1단 이상으로-도면상으로는 2단- 축조하는 단계(S1)와;
콘크리트 기초(C1) 위에 1차로 축조된 무식생 블록(B)의 후부 전방에 투수성 골재(R1)를 소정 높이까지(도면상으로는 1단 무식생 블록의 높이까지) 채우고, 이 투수성 골재(R1) 위쪽의 무식생 블록(B') 배면에 폭 1~2m정도의 폭으로 이루어진 부직포(Q)를 세워서 대어주되 부직포(Q)의 하부는 상기 투수성 골재(R1)의 위에 앞뒤 약 0.5~1m의 폭으로 깔고 무식생 블록(B') 배면에 세워진 부직포(Q)의 상부 중 인접하는 무식생 블록(B')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곳에서는 그 폭만큼 부직포(Q)의 양측을 절개한 상태에서 상기 투수성 골재(R1) 위에 깔린 부직포(Q) 위에 초목류의 뿌리가 뻗을 수 있는 식생토체(R2)를 채우고 그 위에 상기 부직포(Q)의 나머지 부분을 덮어주는 단계(S2)와;
상기 무식생 블록(B') 위에 식생 블록(B)을 1단 이상 축조하되, 이 식생 블록(B)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170)의 전면(172)에 열 차단판(176)을 부착한 후 그 위에 상기 단계(S2)에서 절개된 부직포(Q)를 대고 관통공(170) 내측에 식생토체(R2)를 채우는 단계(S3); 및
상기 식생 블록(B) 후방의 부직포(Q) 위에 투수성 골재(R1)를 채우는 단계(S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띠형 섬유보강재(T)의 선단부는 상기 블록(B,B')의 상면(150) 후부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홈(192)에 인접하는 2개의 블록(B,B')을 동시에 연계하여 반폭으로 접어서 연결하고, 띠형 섬유보강재(T)의 중간부는 전폭으로 펼쳐서 보강토체에 매립하되, 이 띠형 섬유 보강재(T)의 후단부는 펼쳐서 세워준 상태에서 보강토체에 매립되도록 하며, 상기 단계(S1,S2,S3,S4)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높이의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게 되며, 최종 단계로 최상단 블록의 후방 상부에 빗물 유입을 위한 스틸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S5); 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S3)에서는 식생 블록(B)의 관통공(170) 내부에 채워진 식생토체(R2)에 초목류를 식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초목류의 식재는 옹벽의 축조 완료 후 별도의 과정으로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서 부호 R은 보강토체이고, 부호 T는 보강재이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 외에도 식생 블록(B)을 다양한 패턴으로 축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무식생 블록을 2단으로 유니트화하여 축조하고, 이 2단 무식생 블록 위에 식생 블록 1단을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하며, 이 식생 블록 위에 다시 무식생 블록을 2단으로 유니트화 하여 축조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보다 초목류의 밀도를 더 조밀하게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축조방법이다.
또 다른 축조방법으로는 식생 블록과 무식생 블록을 각각 1단씩 교차되게 상하로 적층하여 축조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옹벽 면에 대한 초목류의 식생밀도를 최대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축조방법이다.
또 다른 축조방법으로는 식생 블록을 옹벽의 수평방향을 따라서 일직선상으로 축조되는 경향을 벗어나서 식생 블록을 각 층(단)별로 상하 부분적으로 교차하도록 축조하여 다이아몬드 패턴이나 기타 다양한 돌출형 식생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단씩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층된 식생 블록의 일부를 무식생 블록으로 교체하여 식생 블록을 수평방향을 따라서 연속되지 않고 간헐적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옹벽 전면에 다양한 심벌이나 문양 또는 기호나 문자 등과 같은 패턴이 되도록 축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축조시 사용되는 보강재의 연결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강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띠형 섬유보강재(T)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데, 이때에는 블록(B,B')의 상면(150) 후부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홈(192)에 인접하는 2개의 블록(B,B')을 동시에 연계하여 띠형 보강재(T)를 연결하면 된다.
한편, 띠형 섬유보강재(T)의 후단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서 세워준 상태에서 보강토체에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마찰저항에 부가하여 수동저항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조된 본 발명의 옹벽은 기존의 식생 옹벽에 비해 입체적인 녹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초목류의 식생에 필수적인 수분이 옹벽 후부의 토체 및 옹벽 전면에서 받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저장하고 뿌리 또한 토체 쪽으로 왕성하게 뻗을 수 있게 되므로 건조기에도 초목류가 자생할 수 있으며, 식생 블록이 무식생 블록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초목류의 줄기와 잎 또한 왕성하게 생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식생 블록(B)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뒷물림 간격을 달리 축조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7 내지 도 19는 식생 블록(B)만으로 축조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및 배면부 사시도와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의 식생 블록(B)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식생 블록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실시 예의 식생 블록(B)은 무식생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식생 블록만을 사용하여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뒷물림각을 갖는 사면 식생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식생 옹벽(B)은 상,하 블록 간의 인터록킹이 지지핀(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위해 블록 상면 후부에는 전후로 이격된 3개의 지지핀 삽입홈(195,196,197)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 하면의 후부에는 상기 지지핀 삽입홈(195,196,197)에 선택적으로 끼워진 지지핀(200)이 걸리는 결합홈(162)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핀(200)의 고정위치를 3개의 지지판(195,196,197) 중에서 선택하는 것으로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기울기를 다양하게 하는 사면 식생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10 : 전면 120 : 후면
130,140 : 측면 150 : 상면
160 : 하면 162 : 결합홈
170 : 관통공 172 : 전면
175 : 빗물 유도부 176 : 열 차단판
180 : 돌출부 190 : 결합돌기
192 : 보강재 삽입홈 195 : 제1 지지핀 삽입홈
196 : 제2 지지핀 삽입홈 197 : 제3 지지핀 삽입홈
200 : 지지핀 B : 식생 블록
B' : 무식생 블록 C : 콘크리트 기초
G : 스틸 그레이팅 Q : 부직포
R1 : 투수성 골재 R2 : 식생토체
T : 띠형 섬유보강재

Claims (4)

  1. 무식생 블록(B')과 상기 무식생 블록의 측부 또는 상,하부에 축조되며, 상기 무식생 블록의 전면보다 앞으로 돌출되는 식생 블록(B)의 조합 축조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식생 블록(B)과 무식생 블록(B')은 각각 옹벽을 형성하는 전면(110)과 이 전면에 대응되는 후면(120), 좌,우 측면(130,140) 및 상,하면(150,160)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공(170)이 형성되되, 상기 좌,우 측면(130,140)에는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180)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150)의 후부 양측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간의 인터록킹을 위한 결합돌기(190)가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관통공(170) 후면 또는 블록 하면(160) 후부의 걸림홈(162)에 인터록킹되며; 상기 결합돌기(190)의 전방과 내측부 후방으로는 보강재 삽입홈(19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90) 후부에는 뒷물림 간격의 조절 및 인터록킹 상태의 강화를 위한 지지핀(200)이 삽입되는 지지핀 삽입홈(195,196)이 형성된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상기 식생 블록(B)의 관통공(170)은 식생 블록(B)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넓고 전후방향으로도 넓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70) 내측의 전면(172)은 식생 블록(B)의 상면(150)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식생 블록(B)의 전면(110)은 무식생 블록(B')의 전면(110)에 비해 70mm정도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이 돌출된 부위의 상면에는 빗물을 상기 관통공(170) 내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빗물 유도부(17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 삽입홈(195,196)은 복수로 형성되되, 결합돌기(190)의 후면에 절반 정도 중첩하는 제1 지지핀 삽입홈(195)과, 이 제1 지지핀 삽입홈(195)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돌기(190)의 후면에 선단부가 바로 접하는 제2 지지핀 삽입홈(19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112733A 2010-11-12 2010-11-12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276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33A KR101276291B1 (ko) 2010-11-12 2010-11-12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33A KR101276291B1 (ko) 2010-11-12 2010-11-12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45A KR20120051345A (ko) 2012-05-22
KR101276291B1 true KR101276291B1 (ko) 2013-06-24

Family

ID=4626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733A KR101276291B1 (ko) 2010-11-12 2010-11-12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217A (zh) * 2016-07-20 2016-10-12 邱炎新 抗爆生态挡土墙的构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18B1 (ko) * 2012-08-13 2013-03-15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보강옹벽용 식생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66926A (ko) * 2016-12-09 2018-06-20 이루산업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CN106638677B (zh) * 2017-02-28 2018-11-30 江苏绿和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斜坡生态挡土巨型块体
KR102257315B1 (ko) * 2020-10-30 2021-05-27 주식회사 한포스 띠형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및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237699B1 (ko) * 2020-12-21 2021-04-08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465Y1 (ko) * 2003-10-31 2004-01-24 (주)신우콘크리트산업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KR200371882Y1 (ko) * 2004-06-29 2005-01-15 (주)신우콘크리트산업 조립식 축조블록 장치
KR100660379B1 (ko) * 2004-05-27 2006-12-21 이정수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0936125B1 (ko) * 2009-02-12 2010-01-12 이애연 식생축조블록에 의한 식생공간이 돌출되게 축조된 옹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465Y1 (ko) * 2003-10-31 2004-01-24 (주)신우콘크리트산업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KR100660379B1 (ko) * 2004-05-27 2006-12-21 이정수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200371882Y1 (ko) * 2004-06-29 2005-01-15 (주)신우콘크리트산업 조립식 축조블록 장치
KR100936125B1 (ko) * 2009-02-12 2010-01-12 이애연 식생축조블록에 의한 식생공간이 돌출되게 축조된 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217A (zh) * 2016-07-20 2016-10-12 邱炎新 抗爆生态挡土墙的构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45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965B2 (en) Retaining wall blocks and retaining walls constructed from such blocks
KR101276291B1 (ko)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CN210104786U (zh) 一种可绿化的路肩挡土构件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0945473B1 (ko) 지면 보호용 식생블록 구조물 및 이 식생블록 구조물의 현장 타설 방법
CN207553123U (zh) 一种高速铁路岩质路堑边坡绿色防护结构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CN113322895A (zh) 一种三维水土保护驳岸及其施工方法
KR100641583B1 (ko)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JP3266876B2 (ja) 客土・覆土ブロック、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9975613U (zh) 一种地貌恢复用生态袋错缝叠压连接件
KR100579820B1 (ko) 플라스틱 망상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CN218466557U (zh) 一种绿色生态边坡防护结构
KR102321943B1 (ko) 절개지 법면 녹화 수로 보강용 설치 구조 및 그 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89638B1 (ko) 금속재 전면판을 이용한 녹화용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옹벽의 시공방법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20090021917A (ko) 성토층 조성공법
CZ2008144A3 (cs) Reklamní plocha vytvorená na svahu a/nebo mající svažitý povrch
JP2000273869A (ja) 補強土壁用壁面材および補強土壁の構築方法
KR200451311Y1 (ko) 식재용 받침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