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087B1 -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087B1
KR100614087B1 KR1020030055313A KR20030055313A KR100614087B1 KR 100614087 B1 KR100614087 B1 KR 100614087B1 KR 1020030055313 A KR1020030055313 A KR 1020030055313A KR 20030055313 A KR20030055313 A KR 20030055313A KR 100614087 B1 KR100614087 B1 KR 10061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ixing
slope
recording
slop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847A (ko
Inventor
유진태
Original Assignee
나래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래조경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래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0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은 절토 및 성토면의 파종 및 매트(볏짚거적, 침방거적, 식생매트 등등)덮기가 시행되는 사면녹화공사에서,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절토 및 성토면의 사면녹화를 시행하는 사면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매트를 고정시켜 상기 매트 및 파종되는 종자의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만족할 만 한 사면녹화공사를 가능하게 하여 절토 및 성토면의 침식 및 풍화를 방지하고, 사면의 구조를 안정화시키며,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매트와 함께 서서히 소멸되어 식물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는 부엽토 역할을 하며, 친환경적이고, 시공이 용이한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Planting mat fixing device for incline and plant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a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의 고정판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의 고정판의 저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의 시공예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의 시공예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 : 절토 및 성토면 2 : 매트(mat)
10 : 고정끈 100 :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110 : 고정판 111 : 고정공(고정판)
112 : 발아공(고정판) 113 : 고정끈삽입홈(고정판)
120 : 고정핀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은 파종 및 매트(볏짚거적, 침방거적, 식생매트 등등)덮기가 시행되는 절토 및 성토면의 사면녹화공사에서,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제작되는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사면의 녹화공사를 가능하게 하는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면은 태풍, 폭설, 강우 등과 같은 자연재해 또는 여러 가지 개발 목적에 의한 자연산의 훼손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면은 외관상 시각적으로 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지하수의 이동변화 및 빗방울에 의한 충격력과 우수(雨水)의 표면 유출 등으로 의한 침식을 받기 쉬우며, 노출되어진 표면은 서리 및 동토 현상과 융해의 반복으로 인해 쉽게 침식 및 풍화하게 되고, 이로 인한 붕괴 현상이 일어나기 쉬우며, 사면 구조의 불안전성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면은 보호가 필요하게 되며, 상기 사면의 보호는 절토 및 성토면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 침식 및 풍화 방지, 및 생태적, 경관적 복원에 의한 시각적 향상에 목적을 두고 행해지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존의 사면보호 방법 중 사면녹화공사 방법은 크게 종자분사공, 식생매트공, 및 잔디뗏장붙이기 등의 전면식생공(全面植生工)과 식생반공, 색생혈공, 및 식생대공 등의 부분식생공(部分植生工)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전면식생공(全面植生工)의 상기 종자분사공(種子噴射工)은 분사에 의해 종자를 파종하고, 그 상부에 볏짚거적, 침방거적 등의 매트(mat)를 덮는 방법으로 파종공(播種工)이라고도 하며, 상기 식생매트공(植生MAT工)은 종자, 비료 등이 장착된 매트 상의 재료를 대상지에 직접 피복하는 방법으로 부차적으로 토양침식방지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 상기 잔디떼장붙이기는 대상지에 뗏장을 입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상기 전면식생공(全面植生工)은 공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단하며, 재료수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전면식생공은 풍우 시 종자, 비료, 및 상기 매트(볏짚거적, 침방거적, 식생매트 등등) 등의 유실이 쉽게 발생하게 되고, 만족할 만한 녹화공사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식물의 종자 및 비료의 유실을 방지하며, 상기 매트(볏짚거적, 침방거적, 식생매트 등등)를 고정하고자 하는 고정앙카 및 고정구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상기 고정앙카 및 고정구는 철제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추후 식물의 발아 완성 후에 시공위치에 그대로 잔존하게 되어 시각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식물의 성장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게 될 뿐 만 아니라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생태적, 경관적에 의한 시각적 복원을 목적으로 하는 상기 사면녹화공사의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은 파종 및 매트(볏짚거적, 침방거적, 식생매트 등등)덮기를 시행하는 사면녹화공사에서,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절토 및 성토면의 사면녹화공사를 시행함으로써, 상기 매트를 고정시켜 상기 매트 및 파종되는 종자의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만족할 만 한 사면녹화를 가능하게 하여 절토 및 성토면의 침식 및 풍화를 방지하고, 사면의 구조를 안정화시키며,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매트와 함께 서서히 소멸되어 식물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는 부엽토 역할을 하며, 친환경적이고, 시공이 용이한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은 절토 및 성토면의 파종 및 매트(볏짚거적, 침방거적, 식생매트 등등)덮기가 시행되는 사면녹화공사에서,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절토 및 성토면의 사면녹화를 시행함으로써, 상기 매트의 유실을 방지하며 만족할 만 한 사면녹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면구조를 이루게 하고, 시공이 완성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썩어서 소멸되는 상기 매트와 함께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도 썩어 소멸됨으 로써, 식물의 부엽토 역할을 하며 식물성장을 원활하게 하는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의 자세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고정판(110)의 평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고정판(110)의 저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는 절토 및 성토면(1)의 파종 및 매트(볏짚거적, 침방거적, 식생매트 등등, 2)덮기가 시행되는 사면녹화공사에서, 상기 매트(2)의 상부에 위치되고, 전후면을 관통하는 발아공(112) 및 고정공(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및 후면에는 일방향으로 고정끈(10)이 위치되도록 하는 고정끈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110); 및 상기 고정판(110)의 상기 고정공(111)에 삽입되는 고정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110) 및 상기 고정핀(120)은 일정 시간 경과 후 소멸되는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상기 고정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정공(111)은, 사면녹화공사 시 상기 고정판(110)의 고정공(111)으로 상기 고정핀(120)의 타격 삽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이한 방법으로 절토 및 성토면(1)에 설치되는 상기 매트(2)를 고정시키고, 상기 매트(2) 및 파종되는 종자의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사면녹화를 가능하게 하여 안정적인 사면구조를 이루게 한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상기 고정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발아공(112)은, 사면녹화공사 완성 시 파종되는 종자의 발아가 상기 발아공(112)으로도 이루어지게 되어 사면구조의 안정성 확보와 생태적, 경관적 복원에 의한 시각적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사면녹화공사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상기 고정판(110)은 측면 및 후면에는 일방향으로 고정끈(10)이 위치되도록 하는 고정끈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120)의 고정끈삽입홈(113)은 사면녹화공사 시, 상기 매트(2)를 가고정하도록 일정간격을 가지며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끈(10)의 삽입을 충족할 수 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은 상기 고정끈삽입홈(113)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정판(110)은 상기 매트(2)의 상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다수개의 고정끈(10)의 교차부위에서, 상기 고정끈(10)이 상기 고정판(110)의 고정끈삽입홈(113)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10)의 고정공(111)으로 상기 고정핀(120)이 타격 삽입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고정끈(10)과 함께 절토 및 성토면(1)에 상기 매트(2)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상기 매트(2)의 유실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상기 고정판(110) 및 상기 고정핀(120)은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10) 및 상기 고정핀(120)은 사면녹화공사 시 상기 매트(2)를 절토 및 성토면(1)에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는 화이버보드(fiberboard) 재질 또는 판지(板紙, paperboard)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화이버보드(fiberboard) 및 상기 판지(板紙, paperboard)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이버보드(fiberboard)는 나무를 작은 나뭇조각으로 부수어 약제와 함께 압력솥에 넣어서 열과 압력을 가하고, 종이를 만들 때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나무를 구성하는 세포가 모두 흐트러지게 한 다음, 다시 열과 압력을 가하여 넓은 판으로 만드는 것으로, 흡음성, 단열성이 우수하고 재료에는 방향성이 없어 사용하기가 용이하며, 원료도 폐재(廢材)를 이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상기와 같은 화이버보드는 비중에 따라 인슐레이션보드(insulation board, 연질섬유판), 세미하드보드(semihard board, 중질섬유판), 하드보드(hard board, 경질섬유판)로 나눌 수 있다.
인슐레이션보드(insulation board, 연질섬유판)는 비중이 0.4g/㎤ 미만으로, 식물섬유(볏짚, 톱밥, 폐펄프 파지 등)를 주원료로 하여, 다 다져 혼합한 것을 탈수 성형하여 건조시킨 것이며, 경량으로 가공 및 접착이 용이하다.
세미하드보드(semihard board, 중질섬유판)는 비중이 0.4~0.8g/㎤으로, 인슐 레이션보드와 동일한 재료 및 방법으로 제작되지만 제판할 때 열압하는 점이 다르다. 상기 세미하드보드는 휨강도가 50kg/㎠ 이상으로 인슐레이션보드 보다는 강도가 크며, 흡음,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세미하드보드의 예로서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를 들 수 있다.
하드보드(hard board, 경질섬유판)는 비중이 0.9g/㎤으로 고밀도의 화이버보드를 일컫는 것으로서, 나무 부스러기 등을 모아 섬유질을 제거한 후 물 속에 넣어 펄프 스프처럼 만든 후 메쉬 스크린으로 건져내어 매트에 놓고 압축하여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상기 하드보드는 함수율이 5% 이상일 경우 휨강도는 350kg/㎠ 이상이며, 함수율이 13% 이상일 경우 휨강도는 450kg/㎠ 이상으로 비중이 높고 단단하다.
판지(板紙, PAPER BOARD)는 일반적으로 0.3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고 있는 종이를 일컬으며, 아이보리 ·카드보드 ·마닐라보드 ·황판지 ·백판지 ·칩보드 ·골판지 원지 등이 이에 속한다. 상기 판지의 원료로는 화학펄프 ·쇄목펄프 ·짚[藁]펄프 ·고지(故紙) 등이 사용되며, 보통 환망 초지기(丸網抄紙機)로 뜬다. 얇은 것은 몇 층의 지층(紙層)의 초합(抄合)에 의하고, 두꺼운 것은 수공적 혹은 기계적인 방법으로 배접하여 마무리한다.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상기 화이버보드 재질 또는 판지 재질로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가 제작될 경우,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는 그 제작이 용이하게 되며, 소정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절토 및 성토면(1)의 상기 매트(2) 상부 설치 시 상기 고정핀(120)의 타 격 삽입이 가능하게 되며, 풍우 시 상기 매트(2)의 유실을 방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상기 매트(2)와 함께 서서히 썩어 소멸되면서 식물의 발화를 돕는 부엽토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더욱 더 친환경적인 사면녹화공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재질은 상기 하이버보드(인슐레이션보드, 세미하드보드, 하드보드) 재질 및 판지 재질 중 제작상황에 맞는 것을 택일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외에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은 절토 및 성토면(1)을 면정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절토 및 성토면(1)에 파종 및 매트(2)를 덮는 제2단계; 상기 매트(2) 상부에 일정간격을 가지며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다수개의 고정끈(10)을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는 다수개의 고정끈(10)의 교차부위에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상기 고정판(110)을 배치하고, 상기 고정판(110)의 고정공(111)에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고정핀(120)을 삽입하여 상기 매트(2)를 고정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의 자세한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시공예는 파종 및 매트(2)덮기가 시행되는 상기 전면식생공(全面植生工)의 상기 종자분사공(種子噴射工)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상기 매트(2)는 볏짚거적인 것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는 화이버보드의 세미하 드보드 중 MDF로 제작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의 시공예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의 시공예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 및 성토면(1)의 잔돌 및 면정리 작업을 시행하고, 그 상부에 설계물량에 맞추어 적절하게 혼합된 종자 및 비료를 종자 살포기로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한다.
이후, 볏짚거적(2)을 사면길이에 맞게 절단한 후 펼쳐서 좌, 우 10㎝ 씩 겹치게 배치시키고, 그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끈(10)을 일정간격을 가지며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끈(10)은 코코넛섬유 등으로 만든 끈이거나 기타 폴리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 시공현장의 상황에 맞는 것을 택일하여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볏짚거적(2) 상부에 상기 고정끈(10)을 배치한 후,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위치의 1㎡ 당 1.5개의 착지핀(3)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볏짚거적(2) 및 상기 고정끈(10)을 가고정 시킨다. 이때 상기 착지핀(3)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면녹화공사용 착지핀을 사용한다.
이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볏짚거적(2) 상부에 위치된 상기 다수개의 고정끈(10)의 교차부위에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의 상기 고정판(110)을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판(110)은 상기 고정판(110)의 고정끈삽입홈(113)에 상기 고정끈(10)이 위치되도록 유의하여 배치한다.
이후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배치된 상기 고정판(110)의 고정공(111)에 상기 고정핀(120)을 타격 삽입하여 상기 볏짚거적(2)의 고정을 완전하게 이룬다. 이때 상기 고정판(110) 및 상기 고정핀(120)은 MDF 재질로 제작된 것으로써,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절토 및 성토면(1)에 타격 삽입이 가능하게 되고, 시공 후에는 상기 매트(2)를 상기 절토 및 성토면(1)에 고정시키며 풍우(風雨)에도 상기 매트(2)가 유실되지 않고 상기 절토 및 성토면(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지지력을 갖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도 2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포된 종자가 발아 및 성장하게 되고, 상기 볏짚거적(2) 및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100)는 썩어서 소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은 절토 및 성토면의 파종 및 매트(볏짚거적, 침방거적, 식생매트 등등)덮기가 시행되는 사면녹화공사에서,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절토 및 성토면의 사면녹화공사를 시행함으로써, 용이한 방법으로 상기 매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매트 및 파종되는 종자의 유실을 방지하고 만족할 만 한 사면녹화를 가능하게 하여 지반을 보호하고, 침화 및 풍화를 방지하며, 사면의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은 일정 시간 경과 후 종자가 발아되고, 상기 매트가 썩어 없어지게 될 때,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도 상기 매트와 함께 서서히 소멸하게 됨으로써, 식물의 부엽토 역할을 하며 종자의 발아를 원활하게 하고, 생태적, 경관적 복원에 의한 시각적 향상이 가능하게 하는 친환경적인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절토 및 성토면의 파종 및 매트덮기가 시행되는 사면녹화공사에서,
    상기 매트의 상부에 위치되고, 전후면을 관통하는 발아공 및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및 후면에는 일방향으로 고정끈이 위치되도록 하는 고정끈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고정핀은 일정 시간 경과 후 소멸되는 목재 또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고정핀의 재질은 화이버보드(fiberboard) 또는 판지(板紙)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3. 절토 및 성토면 면정리하는 제1단계;
    상기 절토 및 성토면에 파종 및 매트를 덮는 제2단계;
    상기 매트 상부에 일정간격을 가지며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다수개의 고정끈을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는 다수개의 고정끈의 교차부위에 제1항의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의 상기 고정판을 배치하고, 상기 고정판의 고정공에 상기 사 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의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매트를 고정시키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KR1020030055313A 2003-08-11 2003-08-11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KR10061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313A KR100614087B1 (ko) 2003-08-11 2003-08-11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313A KR100614087B1 (ko) 2003-08-11 2003-08-11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824U Division KR200332243Y1 (ko) 2003-08-11 2003-08-11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847A KR20050017847A (ko) 2005-02-23
KR100614087B1 true KR100614087B1 (ko) 2006-08-25

Family

ID=3722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313A KR100614087B1 (ko) 2003-08-11 2003-08-11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575B1 (ko) 2007-06-28 2008-02-04 주식회사 풍록원 매트고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096B1 (ko) * 2005-09-01 2006-03-03 김수호 법면공사의 시공방법 및 법면공사용 고정구
CN112482814B (zh) * 2020-12-04 2022-10-28 浙江固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框架梁加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575B1 (ko) 2007-06-28 2008-02-04 주식회사 풍록원 매트고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847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260B1 (ko) 하천 하안 버드나무 식재방법
KR100828167B1 (ko) 옥상 녹화용 식생기반재, 이를 포함하는 식생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2522B1 (ko)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20100061964A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0614087B1 (ko)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방법
KR200332243Y1 (ko) 사면녹화용 매트 고정장치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CN111042158B (zh) 一种用于混凝土框架和浆砌片石骨架护坡的植物种植方法
KR101042265B1 (ko)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KR200272951Y1 (ko) 자연형 하천 조성용 식생블록
KR100872483B1 (ko) 암반사면의 녹화용 녹화분
KR100950466B1 (ko) 친환경 네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생태하천 조성공법
JP2004154118A (ja) 過酷な環境にある人工構造物を緑化するための貯水容器を用いた緑化基盤材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390378B1 (ko) 절개된 급경사 나대지의 자연식생형 녹화시공방법
KR20050077405A (ko)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JP4611124B2 (ja) 自然修復法面工法
KR200419272Y1 (ko) 포트 삽입용 식생기반 매트
KR100881032B1 (ko) 천공 및 녹화분을 이용한 암반사면의 녹화공법
EP0473595B1 (en) Element for turfed roofs
JP3053981B2 (ja) 植生基盤造成工法
KR20110127776A (ko) 토사 흐름방지 및 녹화를 위한 사면 안정화 시공방법
KR200391833Y1 (ko) 조경 공사 비탈면 보호를 위한 생태계 녹화용 특수 식생블록의 설치 구조
JP4767116B2 (ja)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KR20120036009A (ko) 식생 매트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