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146B1 -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 Google Patents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146B1
KR101720146B1 KR1020160021386A KR20160021386A KR101720146B1 KR 101720146 B1 KR101720146 B1 KR 101720146B1 KR 1020160021386 A KR1020160021386 A KR 1020160021386A KR 20160021386 A KR20160021386 A KR 20160021386A KR 101720146 B1 KR101720146 B1 KR 10172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rregular
anchor
wood block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팔
김수득
Original Assignee
해안종합목재(주)
김수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안종합목재(주), 김수득 filed Critical 해안종합목재(주)
Priority to KR102016002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01G1/001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우드블록 및 그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비정형의 통나무를 일정한 높이로 절단하고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비정형원목블록(10)의 내부를 커팅하여 식재홈(12)를 형성하고, 식재홈(12)의 양 측벽부(13)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원목우드블록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방부제가 침투 또는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우드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Wood block and the retainer wall thereof}
본 발명은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외관이 자연스럽고 친환경적인 옹벽을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흙을 성토하거나 사면을 절토하는 경우, 도로나 단지내 토목시설이나 조경시설 또는 비탈길이나 등산로의 사면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옹벽이나 블록이나 자연석쌓기 등의 여러 가지 사면보강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콘크리트옹벽이나 블록을 쌓는 시공법은 외관이 자연스럽거나 친환경적이지 못하여 주변의 자연경관과 조화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연석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외관상 자연스럽거나 친환경적이지만, 자연석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중량이 많이 나가며 전문가의 시공을 요하므로 시공코스트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통나무 원목을 절단하여 사각형 철망 또는 개비온의 전면에 부착하고, 원목이 노출되도록 개비온을 적층한 후에 개비온의 전방에는 식재용 토양을 충전하고 배면에는 골재를 충전하는 옹벽구조물도 소개된 바 있으나, 이는 통나무 원목을 단순히 장식요소로 사용할 뿐 옹벽에 대한 지지구조는 주로 개비온과 충전된 석재가 담당하는데,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장대하여 코스트가 많이 들고, 높이가 높은 옹벽에만 적용되고 옹벽시공을 위해서는 배면의 절토량이 많아서 시공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특개평 제8-120695호 (1996.5.1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옹벽 또는 사면보강구조물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외관이 자연스럽고 친환경적인 옹벽을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정형의 통나무의 외관형태를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원자재에 대한 가공작업이 줄어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불규칙하고 비정형의 외관형태와 식생이 어우러져 더욱 자연스러운 경관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불규칙한 둘레형태를 가지는 비정형의 통나무를 일정한 높이로 절단한 단주형태의 통나무편을 다시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비정형원목블록(10)의 둘레부의 수피(11)를 제거 또는 존치시킨 상태에서 직경방향 절단부에서 내부를 향해 오목한 상하 관통된 식생홈(12)을 형성하고, 이 식생홈(12)의 양 측벽부(13)에는 체결공(14)을 형성하고, 상기 비정형원목블록(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방부제를 침투 또는 도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우드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정형원목블록(10)의 체결공(14)에는 후단에 앵커블록(20)이 결합된 앵커스트립(16)이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우드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불규칙한 둘레형태를 가지는 비정형의 통나무를 일정한 높이로 절단한 단주형태의 통나무편을 다시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비정형원목블록(10)의 둘레부의 수피(11)를 제거 또는 존치시킨 상태에서 직경방향 절단부에서 내부를 향해 오목한 상하 관통된 식생홈(12)을 형성하고, 이 식생홈(12)의 양 측벽부(13)에는 체결공(14)을 형성한 비정형원목블록(10)을 상하단이 서로 어긋나면서 수직으로 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후퇴되도록 적층하되, 상기 각각의 비정형원목블록(10)의 체결공(14)에는 일단에 앵커블록(20)이 결합된 앵커스트립(16)을 체결하여, 이 앵커스트립(16)과 앵커블록(20)을 후방으로 연장배치한 상태에서 뒷채움흙(24)을 채우고, 비정형원목블록(10)의 식생홈(12)에는 식재용 토양(26)을 충전하며, 전면에 노출된 식생홈(12)에는 나무나 꽃을 포함하는 식물(22)이 식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우드블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규칙한 둘레형태를 가진 비정형의 통나무를 일정한 높이로 절단한 단주형태의 통나무편을 다시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비정형원목블록(10)을 직경방향 절단부에서 내부를 향해 오목한 상하관통된 식생홈(12)를 형성하고, 식생홈(12)의 양 측벽부에는 체결공(14)을 형성하고, 비정형원목블록(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방부제가 침투 또는 도포된 원목우드블록을 제공함으로써, 화단이나 낮은 옹벽 등으로 시공하면 수십년 이상의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일반 콘크리트블록이나 시멘트블록으로 시공하는 것에 비해 자연친화적이면서도, 중량이 가벼워서 시공이 용이한 원목우드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불규칙한 형태의 비정형의 통나무의 외관형태를 그대로 우드블록의 외관형태로 활용함으로써 원자재에 대한 가공작업이 줄어들어 재료의 로스나 가공공수가 줄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으면서도, 불규칙한 외관형태와 식생홈(12)에 식재된 식물과 어우러져 주변 자연경관과 잘 조화되는 자연스럽고 친환경적인 조경이나 화단 또는 옹벽구조물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원목우드블록(10)의 식생홈(12) 양 측벽부에 형성된 체결공(14)을 통해, 앵커블록(20)이 단부에 형성된 앵커스트립(16)을 간편하게 체결함으로써, 비정형원목블록(10)의 시공시에 배면토층과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된 옹벽 또는 경사구조물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축조된 옹벽구조물의 전면에 노출된 식생홈(12)에는 식재용 토양(26)을 충전하고 여기에 나무나 꽃 등의 식물(22)을 식재함으로써, 통나무와 같은 원목이 지닌 비정형의 자연스런 블록의 화분에 나무나 꽃을 심어서 더욱 친환경적이고 자연친화적인 옹벽구조를 달성하고, 주변의 자연경관과 더욱 잘 조화를 이룰 수 있어서 경관이 미려한 옹벽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목우드블록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원목우드블록의 외관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앵커스트립을 체결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옹벽구조물의 단면구조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원목우드블록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다른 실시예의 원목우드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원목우드블록에 앵커스트립을 체결한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면이 불규칙한 둘레형상을 가지는 비정형의 통나무를 일정한 높이, 예를 들면 직경이 대략 50~60cm인 경우에 높이가 25~35cm 정도로 절단한 단주형태의 비정형원목블록(10)을 제작한다.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블록의 높이는 블록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게 제작하여 적층조립시에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자연의 통나무를 절단하여 제작하므로 비정형원목블록(10)의 직경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므로 자연스러운 외관형태의 옹벽구조를 달성할 수 있고, 비정형원목블록(10)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비정형원목블록(10)의 적층시에 인접하는 원목블록(10)과 수직방향으로 단차가 생기지 않아서 상하로 적층시에 비정형원목블록(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일체화된 안정된 블록 적층구조체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가 낮은 단주형 비정형의 통나푸무을 대략 직경방향으로 절단하여 대략 반쪽의 비정형원목블록(10)을 얻고, 불규칙하게 만곡된 외부면을 그대로 두고, 직경방향 절단부에서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커팅하여 식생홈(12)를 형성한다. 그리고 식생홈(12)의 양 측벽부(13)에는 체결공(14)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체결공(14)은 상하로 복수개 형성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체결공(14)에 연결되는 앵커스트립(16)의 위치를 시공상태나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비정형원목블록(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방부제를 침투 또는 도포함으로써, 통나무인 원목의 내구성을 수십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방부재란 원목재료의 부패를 막아서 재료의 내구성을 연장시키는 다양한 용도와 기능의 약품을 지칭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비정형원목블록(10)에서 나무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수피(11)를 존치시킨 상태에서 제작하여, 원목블록(10)의 외관상의 자연스러움이 더욱 드러나도록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나무의 수피(11)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탈락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피(11)는 미리 박리하여 제거시킬 필요도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수피(11)를 미리 박리제거한 비정형원목블록(10)을 사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수피(11)를 그 표면에서 제거하는 방법은 수피층만을 통나무블록에서 제거하거나, 아니면 통나무의 외표면을 수피(11)의 깊이 이상으로 절단하여 수피(10)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제작된 비정형원목블록(10)의 양 측벽부(14)의 체결공(14)에는 볼트(17)와 너트(18)를 사용하여 앵커스트립(16)을 체결한다. 이 앵커스트립(16)은 바람직하게는 부식되지 않으면서 소정의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내식성처리된 금속재료로 제작된다. 그리고 앵커스트립(16)이 결합되는 비정형원목블록(10)의 체결공(14) 부위에는 고무패드(19)가 부착되어 체결공(14) 주변의 목재로 된 측벽부(13)를 보강 또는 보호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앵커스트립(16)의 단부에는 T자형 구조의 콘크리트블록으로 제작되는 앵커블록(20)이 장착된다. 시공여건에 따라 이 앵커블록(20)이 인접하는 앵커블록(20)과 중첩되지 않도록 그 설치위치를 어긋나게 하기 위해, 앵커스트립(16)의 후단에는 복수개의 체결공(28)을 형성하여 앵커블록(2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앵커블록(20)은 뒷채움흙(24) 속에 매입되어 원목우드블록 옹벽구조물의 배면토사층과의 결합력을 높여서 원목우드블록 적층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블록으로 된 앵커블록(20)을 볼트(25)와 너트(26)로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앵커블록(20)의 재료는 콘크리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앵커스트립(16)과의 연결방법도 매입이나 결속, 기계적 결합 등 다양한 연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이러한 비정형원목블록(10)을 사용하여 축조한 경사 옹벽구조물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등에 비정형원목블록(10)을 조적하되 배면으로 앵커스트립(16)이 연장된 상태에서 배면에 뒷채움흙을 되메우고, 옹벽높이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필요시에 몇 개 층의 비정형원목블록(10)마다 지오그리드(30)를 깔아서 배면토사층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배면 토사층의 안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이 지오그리드(30)는 앵커스트립(16)의 후단, 바람직하게는 앵커블록(20)에 장착하여 결합하는데, 기계적 걸림방식이나 결속 기타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비정형원목블록(10)이 위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후퇴되도록 적층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뒤쪽으로 후퇴되지 않고 수직으로 적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적층된 비정형원목블록(10)의 사이에 노출되는 식재홈(12)에는 식재용 토양(26)이 충전되고, 여기에는 꽃이나 관목과 같은 식물(22)이 식재된다.

Claims (3)

  1. 불규칙한 둘레형태를 가지는 비정형의 통나무를 일정한 높이로 절단한 단주형태의 통나무편을 다시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비정형원목블록(10)의 둘레부의 수피(11)를 제거 또는 존치시킨 상태에서 직경방향 절단부에서 내부를 향해 오목한 상하 관통된 식생홈(12)을 형성하고, 이 식생홈(12)의 양 측벽부(13)에는 체결공(14)을 형성하고, 상기 비정형원목블록(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방부제를 침투 또는 도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우드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형원목블록(10)의 체결공(14)에는 후단에 앵커블록(20)이 결합된 앵커스트립(16)이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우드블록.
  3. 불규칙한 둘레형태를 가지는 비정형의 통나무를 일정한 높이로 절단한 단주형태의 통나무편을 다시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비정형원목블록(10)의 둘레부의 수피(11)를 제거 또는 존치시킨 상태에서 직경방향 절단부에서 내부를 향해 오목한 상하 관통된 식생홈(12)을 형성하고, 이 식생홈(12)의 양 측벽부(13)에는 체결공(14)을 형성한 비정형원목블록(10)을 상하단이 서로 어긋나면서 수직으로 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후퇴되도록 적층하되, 상기 각각의 비정형원목블록(10)의 체결공(14)에는 일단에 앵커블록(20)이 결합된 앵커스트립(16)을 체결하여, 이 앵커스트립(16)과 앵커블록(20)을 후방으로 연장배치한 상태에서 뒷채움흙(24)을 채우고, 비정형원목블록(10)의 식생홈(12)에는 식재용 토양(26)을 충전하며, 전면에 노출된 식생홈(12)에는 나무나 꽃을 포함하는 식물(22)이 식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우드블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20160021386A 2016-02-23 2016-02-23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72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386A KR101720146B1 (ko) 2016-02-23 2016-02-23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386A KR101720146B1 (ko) 2016-02-23 2016-02-23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146B1 true KR101720146B1 (ko) 2017-04-10

Family

ID=5858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386A KR101720146B1 (ko) 2016-02-23 2016-02-23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372B1 (ko) 2019-05-16 2020-04-28 오한금채 우드블록 제작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695A (ja) 1994-10-19 1996-05-14 Kankyo Kogaku Kk 擁壁構造物
KR20010030014A (ko) * 1999-09-07 2001-04-16 유키모토 이사오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
KR20040067569A (ko) * 2003-01-24 2004-07-30 (주)레코기술 옹벽 구축용 나무, 그를 이용한 나무 옹벽구조 및 그의시공방법
KR20060110185A (ko) * 2005-04-19 2006-10-24 덕풍건설 주식회사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JP2013076238A (ja) * 2011-09-29 2013-04-25 Kyosei Kiko Kk 補強土擁壁及びその施工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695A (ja) 1994-10-19 1996-05-14 Kankyo Kogaku Kk 擁壁構造物
KR20010030014A (ko) * 1999-09-07 2001-04-16 유키모토 이사오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
KR20040067569A (ko) * 2003-01-24 2004-07-30 (주)레코기술 옹벽 구축용 나무, 그를 이용한 나무 옹벽구조 및 그의시공방법
KR20060110185A (ko) * 2005-04-19 2006-10-24 덕풍건설 주식회사 식생용 옹벽블럭 구조체
JP2013076238A (ja) * 2011-09-29 2013-04-25 Kyosei Kiko Kk 補強土擁壁及びその施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372B1 (ko) 2019-05-16 2020-04-28 오한금채 우드블록 제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3611A1 (en) Method for conserving soil and water by integrating botanical net body and soft framework
KR100947248B1 (ko) 사면보호용 스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74635B1 (ko) 보강토 옹벽용 친환경 식생블록
KR101720146B1 (ko)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0935176B1 (ko)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44804B1 (ko) 저탄소 친환경 복합식 옹벽
KR101117149B1 (ko)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107751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89662B1 (ko) 호안 보호용 석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3825758B2 (ja) 斜面の緑化工法、並びに緑化防護柵および斜面の緑化構造
KR101824416B1 (ko) 식생기반체가 설치되는 옹벽
JP3201899U (ja) 木製防護体
KR100592117B1 (ko) 건축공사용 흙막이 옹벽구조
KR100965294B1 (ko)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862209B1 (ko) 사각코이어롤을 이용한 저수호안 시공법
KR102519112B1 (ko) 사면안정 격자구조물
JP2001107363A (ja) 傾斜地崩壊防止用アンカー及び該アンカー利用した傾斜地崩壊防止工法
CN211498717U (zh) 一种用于减少水土流失的生态驳岸的排桩支护结构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960002780Y1 (ko) 수목지하지지구
KR100929366B1 (ko) 목재생태블록 및 목재생태블록을 이용한 법면공사 시공방법
KR20080090956A (ko) 식생축조석 및 이를 이용한 조경방법
JP3477069B2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
KR101359577B1 (ko)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