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014A -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 - Google Patents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014A
KR20010030014A KR1020000043274A KR20000043274A KR20010030014A KR 20010030014 A KR20010030014 A KR 20010030014A KR 1020000043274 A KR1020000043274 A KR 1020000043274A KR 20000043274 A KR20000043274 A KR 20000043274A KR 20010030014 A KR20010030014 A KR 2001003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struction
curved
civil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535B1 (ko
Inventor
유키모토이사오
하세가와기요노리
Original Assignee
유키모토 이사오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모토 이사오,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모토 이사오
Publication of KR2001003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토목구축물의 표면이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야하는 경우에, 서로 이웃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사이에 깊은 간극이 형성되어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제거한다.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의 측면부(2c)외면을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밖으로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그와 같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의 측벽부(2c)를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사이에서 맞닿음시킨다. 이로서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사이에 형성되는 각 간극(18)을 토목구축물(15)의 표면전체에 걸쳐서 폭이 넓고, 안길이가 전방으로 밀어내어진 것과 같은 간극으로 하고, 평탄면에 가까운 모양으로서 잡히도록 한다.

Description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 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CONSTRUCTION MATERIALS FOR ENGINEERING CONSTRUCTIONS, METHOD FOR USING THE SAME,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NCHOR FOR WALL MATERIALS}
본 발명은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 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호안, 옹벽 등의 토목구축물의 구축에 있어서는 일본특개평 5-33346호 공보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로서, 수용공간이 상부로 개구하는 상자형상의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앵커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된 것을 복수준비하고, 그의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서로 이웃하도록 순차 배열설치하면서 쌓아올림과 동시에 벽면재용 앵커를 대략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의 벽면재용 앵커 및 마찰력증대수단을 토사등으로서 매설하는 것이 있다.
이것에 있어서는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로부터, 견고한 토목구축물이 구축 수 있을 뿐아니라 그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수용공간내에 식생용 토양을 확보하여,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마다 식물을 번성시킬 수 있게 되어, 견고하면서 자연적 환경까지도 겸비하는 토목구축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벽면재용 앵커의 알맞는 것으로서는 대략 곧바로 연장하여 그의 일단부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부로 되는 축형상부와, 그 축형상부의 타단부를 만곡시켜 환상공간을 구획하는 만곡부와를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에 있어서는 만곡부가, 토목구축무용 벽면재의 후방에 충전되는 이입재료에 대하여 직접, 혹은 축형상부에 판면을 이동방향으로 향하면서 이동할수 있도록 유지되는 판상부재(이입재료에 걸어맞춤)에 대하여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되고,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이동저항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01)에 있어서 토목구축물용 벽면재(102)로서는 상자형상(직사각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고,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102)가 서로 이웃하여 형성하는 토목구축물(103)의 표면(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전벽면)이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야 할 부분(장소)(S)에 있어서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102)후방의 토사등(104)이 넘쳐 떨어지지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102)의 양후단부측면을 맞닿음하도록 하면서, 그의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102)의 배열설치 각도를 바꾸어서, 토목구축물(103)의 표면을 근사적으로 만곡시켜야 하고, 거기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102)사이에, 토목구축물용 벽면재(102)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로 열리는 간극(105)이 형성되고, 그 간극(105)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102)의 전후방향 전체에 걸치는 깊은 것으로 되어야 한다. 이때문에, 상기와 같이 토목구축물(103)의 표면으로서, 밖으로 불룩해지는 만곡면을 형성하여야할 부분(장소)(S)에 있어서는 깊은간극(105)이 크게 눈에 띄고, 위화감을 느끼게 된다. 가령, 그 간극(105)을 없게 하기 위하여 그 간극(105)에 토사등(104)을 충전한다하더라도, 그 충전된 토사등(104)은 넘쳐 떨어지기 쉽고,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못한다.
더욱이, 도 14중 부호(106)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있어서 수용공간, 부호(107)는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을 도시한다.
한편, 상기한 알맞는 벽면재용 앵커에 관하여는 만곡부를 환상공간을 구획하도록 만곡시킨후, 그 상태를 유지하여 스토퍼로서의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만곡부와 축형상부와는 용접되게 되어 있고, 벽면재용 앵커의 제조에 있어서, 만곡부에 대한 용접작업등의 유지처리작업은 필수인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제 1의 기술적과제는 토목구축물의 표면이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야 하는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용 벽면재 사이에 깊은 간극이 형성되어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제거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2의 기술적과제는 사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3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한 토목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4의 기술적 과제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로 사용되는 것에 적합하고, 게다가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벽면재용 앵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제 1실시형태에 관한 하천호안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제 1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시공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제 1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시공을 평면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제 1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
도 6은 서로 이웃하는 수용용기가 형성하는 간극의 상태를 평면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제 2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 3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 4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 5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제 5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배열설치예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6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제 6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배열설치예를 평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종래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시공을 평면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2: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수용용기)
2c: 측벽부 3: 앵커
4: 수용공간 8: 컬부
9: 와셔 11: 감기부
12: 만곡개시부 13: 만곡종료부
15: 호안 16: 이입재료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벽면재용 앵커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에 있어서,
상기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정폭으로 됨과 동시에,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의 외면이 밖을 향하여 불록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1의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청구항 2,3의 기재가 있다.
상기 제 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위한 청구항 4의 발명에있어서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벽면재용 앵커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복수사용하고, 그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설치하면서 쌓아올림과 동시에 그 벽면재용 앵커를 대략 수평으로 배치하고,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배열설치마다에 있어서, 그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에 있어서 벽면재용 앵커 및 마찰력 증대수단을 이입재료로서 매설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로서,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이 밖으로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에 있어서 맞닿음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3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벽면재용 앵커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가 복수사용되어서, 그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설치되면서 쌓아올려짐과 동시에, 그 각변면용재 앵커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각 벽면재용 앵커 및 그 각 마찰 증대수단이 이입재료중에 매설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에 있어서,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이, 밖으로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이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에 있어서 맞닿음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4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는,
대략 곧바로 연장하고, 그 일단부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부로 되는 축형상부와, 그 축형상부의 타단부를 만곡시켜서 환상공간을 구획하는 만곡부와를 구비하는 벽면재용 앵커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종단부가, 상기 환상공간에 서로 이웃하도록하여 상기 축산부에 감겨져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6의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청구항 7이하에 기재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6은 제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다수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를 사용하여, 토목구축물로서의 호안(예를들면 하천호안)(15)을 시공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로서의 수용용기(이하, 본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호 2를 사용한다)와, 벽면재용 앵커(이하, 앵커라 칭함)(3)와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용기(2)는 상방으로 개구를 갖는 수용공간(4)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벽부(2a)와 후벽부(2b)와, 그의 전벽부(2a)의 폭방향 각단부와 후벽부(2b)의 폭방향 각단부와를 연결하는 한쌍의 측벽부(2c)와, 전벽부(2a), 후벽부(2b) 및 한쌍의 측벽부(2c)가 구획하는 수용공간(4)을 하부에서 덮는 저벽부(2d)와를 갖고 있다. 이 수용용기(2)는 전벽부(2a)로부터 측벽부(2c), 후벽부(2b)로부터 측벽부(2c)에 걸처서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되고, 한쌍의 각 측벽부(2c)는 그의 전후방향 중앙부가 측방외방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만곡(평면에서 보아 반원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의 불룩한 양(돌출량)은 높이방향(도 1중, 상하방향)전체에 걸쳐서 같게되어 있다. 이때문에 수용용기(2)는 높이방향전체에 걸쳐서 폭방향의 길이 L(도 3참조)가 일정폭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수용용기(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크리트로서 형성되어 있고, 높이 20∼30cm, 폭 20∼30cm, 무게 30∼50kg정도, 수용용기(2)의 긴직경 35∼45cm, 수용용기(2)의 짧은직경 20∼30cm, 수용용기(2)의 깊이 15∼25cm로 하는 것이 작업상,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수용용기(2)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구멍(5)과 물빼기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5)은 수용용기(2)의 후벽부(2b)에서 형성되고, 그의 부착구멍(5)은 수용용기(2)의 수용공간(4)까지 관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물빼기구멍(6)은 저벽부(2d)에 형성되어 있고, 이 물빼기구멍(6)을 통해서는 수용공간(4)내와 외부가 연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앵커(3)는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수용용기(2)에 연결되어 있다. 이 앵커(3)에는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용용기(2)의 사용시(쌓아올림상태시)의 이동(미끄러져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형상부(7)와 만곡부로서의 컬부(8)와, 판상부재로서의 와셔(9)가 구비되어 있다. 축형상부(7) 및 컬부(8)는 직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있고, 그의 직선재는 강도, 부식, 가공성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 있다. 이때문에 직선재로서 철선, 철근, 파이프 등이 바람직하고, 그들에게 아연알루미늄합금도금 등의 도금처리를 실시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축형상부(7)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비교적 긴 상태로 곧 바로 연장되어있고(예를들면 0.5∼1.5m정도), 이 앵커(3)의 일단부(도 4중, 좌단부)에는 나사부(3a)가 형성되고, 그의 나사부(3a)보다도 축형상부(7)의 축심방향 내방측에는 스토퍼로서의 돌출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형상부(7)의 일단부와 수용용기(2)와의 연결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구멍(5)에 축형상부(7)의 일단부를 삽통하고, 그의 축형상부(7)의 나사부(3a)에 너트(30)를 나사맞춤하므로서 와셔(31)를 통하여 너트(30)와 돌출부(3b)가 후벽부(2b)를 끼워지지하는 것으로 된다.
컬부(8)는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앵커(3)의 축형상부(2)타단부가 컬형상으로 감겨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 컬부(8)내에는 내경 30mm전후의 원형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의 형성후, 그의 앵커(3)의 타단부(만곡종단부)는 감기부(11)로서 용접되는 일없이 단순히 축형상부(7)에 감기게 되어 있다. 이경우, 컬부(8)는 축형상부(7)의 축심을 기준으로하여 대칭형상을 갖고 양측에 불룩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감기부(11)는 그의 컬부(8)의 만곡개시부(12)에 그의 외주측에서 걸어맞춤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특히 감기부(11)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 가공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만곡종료부(13)와 협동하여 축형상부(7)를 끼도록 단순히 대략 U자상으로 감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감기부(11)는 컬부(8)의 만곡개시부(12)에 걸어맞춤하지 않는한, 축형상부(7)에 안내되어 그 축형상부(7)의 축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문에 감기부(11)에 컬부(8)를 향하여 외력이 작용하였을때에는 감기부(11)는 그 감기부(11)와 축형상부(7)와의 안내효과에 의거하여 컬부(8)의 만곡개시부(12)에 반드시 걸어맞춤(맞닿음)되어 이동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도 4, 도 5참조). 물론, 축형상부(7)와 감기부(11)와의 안내, 유지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감기부(11)를 복수회에 걸쳐서 축형상부(7)에 감도록(소위 코일형상으로 감는다)하여도 좋다.
와셔(9)는 그 판면을 축형상부(7)의 연장방향을 향하면서 그 축형상부(7)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와셔(9)는 한변이 50mm전후, 두께가 3mm전후로 된 정사각형상으로 되어있고, 그 중심부에 삽통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와셔(9)의 삽통구멍(14)에는 축형상부(7)가 삽통되어 있고, 와셔(9)는 축형상부(7)를 이동할 수 있는 한편, 컬부(8)에 의하여 이동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와셔(9)를 통하여 외력이 컬부(8)에 작용하였을때에는 감기부(11)가 컬부(8)에 있어서 만곡개시부(12)에 걸어맞춤하여 이동이 규제되게 되므로, 와셔(9)는 컬부(8)에 상당하는 크기의 링을 눌러찌부러 뜨리지 않는 한, 이동할 수가 없고, 컬부(8)는 축형상부(7)에 용접등이 되지 않더라도, 와셔(9)의 스토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게된다.
다음에, 상기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호안의 시공방법)과, 그 사용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호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안(15)의 시공에 있어서는 다수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가 현상태의 호안에 따른 각시공 위치에, 크레인등에 의하여 반송구(도시생략)을 통하여 운반된다.
이때, 앵커(3)가 비교적 긴것인 관계로, 다수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를 묶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또,컬부(8)내의 구멍을 걸림구멍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되어 이에 동반하여 취급, 반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시공위치에 다수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가 반송되면, 그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용용기(2)를 하천측으로 향하게 함과 동시에, 호안의 연장방향(도 1중, 지면직각방향)에 서로 이웃하게 배열설치하면서, 낭떠러지의 구배에 따르게하거나, 혹은 필요한 구배로서 계단상으로 순차, 쌓아올려진다.
이때, 각 수용용기(2)의 폭방향의 길이(L)가 높이방향전체에 걸쳐서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을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설치하면서 쌓아올리는 것만으로 보호벽이 형성되고, 수용용기(2)사이에 채우는 돌 등을 채우는 것은 행하지 않는다. 또, 이 수용용기(2)의 쌓아올림작업에 동반하여 각 수용용기(2)에 있어서 수용공간(4)내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채우는 돌(25), 식생용 토양(26)등이 적당히 충전되게 되어 있고, 그들에 의하여 물고기, 수서생물 등의 집, 식물의 생육환경이 확보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이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의 쌓아올림에 있어서, 최상단으로 되어 있는 앵커(3) 및 와셔(9)상에 쇄석, 자갈, 현장발생제등의 이입재료(16)가 수용용기(2)의 높이까지 쌓아올려지고, 재치(載置)면이 형성된다. 이로서, 쌓아올려져야 할 다음의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의 안정한 재치면 이 확보되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의 쌓아올림작업의 원환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축형상부(7)와 이입재료(16)와의 마찰력, 서로 걸어맞춤상태에 있는 이입재료(16)에 대한 와셔(9)판면의 걸어맞춤에 의거한 하천측에의 이동저항이 얻어지고 앵커(3)의 유지상태를 높여서, 수용용기(2)의 미끄러 떨어짐(이동)이 방지되는 것으로 된다.
특히, 상기 시공에 있어서는 수용용기(2)의 미끄러 떨어짐을 한층방지하는 관점에서 앵커(3) 및 와셔(9)상에 이입재료(16)를 쌓아올렸을 경우, 외부(상부)로부터 롤러 등에 의하여 압력을 가하는 것(轉壓)에 의하여 이입재료(16)의 밀도를 높여, 이입재료(16)와 앵커(3) 및 와셔(9)와의 마찰력(와셔(9)의 이동저항을 포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1, 도 3 중 부호(17)는 토사등의 빨아냄을 방지하는 빨아냄 방지시트이다.
이와같은 시공의 결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의 수용용기(2)가 호안벽면(보호벽)을 구성하는 호안(15)이 형성되게되고, 그의 호안(15)에 있어서는 견고하면서 수서생물등을 생육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수용용기(2)마다 식물(27)을 번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용기(2)를 쌓아올려서 보호벽(토목구축물의 표면)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야 할 경우가 있다. 이경우에는 보호벽이 평탄하게 연결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원호형상의 측벽부(2c)의 존재에 의하여 서로 이웃하는 수용용기(2)간에 형성되는 간극(18)공간을 좁힐 수가 있고, 폭이넓고, 안길이가 전방으로 밀어내어진 것과 같은 간극(18)(도 6중, 사선으로서 도시하다)을 형성하여, 보호벽의 표면을 간극(18)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도, 평탄면에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폭이 넓고, 안길이가 전방으로 밀어내어진것과 같은 간극(18)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보호벽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키는 경우인가 여부에 불구하고, 서로 이웃하는 수용공간(2)간에 규칙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문에 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를 사용하므로서, 보호벽(토목구축물의 표면)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야 하는가의 여부에 불구하고, 서로 이웃하는 수용용기(2)간의 간극(18)을 평탄면에 가까운 모양으로서 잡을 수가 있고, 보호벽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안곡시킬때에만, 깊은 간극(18)이 형성된다 라는 위화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서로 이웃하는 수용용기(2)간에 형성되는 간극(18)(폭이넓고 안길이가 전방으로 밀어내어진 것과 같은 간극)은 흙집합소, 웅덩이 공간 등으로서 적당한 것이고 그것을 이용하여 자연환경을 높일 수도 있다.
도 7은 제 2실시형태, 도 8은 제 3실시형태, 제 9는 제 4실시형태, 도 10, 도 11은 제 5실시형태, 도 12, 도 13은 제 6실시형태를 도시하다. 이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1실시형태 및 이 실시형태전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제 2실시형태는 상기 제 1실시형태에 관한 앵커(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3)에 있어서는 축형상부(7)의 일단부 외주의 상하부에 복수의 홈(20)과, 표(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홈은 5mm 전후의 폭으로 되고, 그의 각 홈(20)은 다만 끝의 홈(20)이 앵커(3)의 일단에서 10mm전후의 위치에 위치되고, 그에 계속하여 다른 홈(20)이 5mm전후의 간격을 두고 앵커(3)의 타단측으로 향하여 순차, 위치되어 있다. 표(2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V자상의 홈을 형성하여 있고, 그의 위치는 최내방위치의 홈에서 15mm전후 내방위치로서, 앵커(3)의 일단에서 50mm전후 내방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앵커(3)는 사용에 있어서, 앵커(3)의 일단부가 접착제와 함께 자연석, 콘크리트 불룩, 콘크리트제 용기 등의 벽면재에 미리 형성된 구멍내에 표위치까지 삽입되고, 각 홈(20)은 접착면적 혹은 걸어맞춤면적의 증대를 도모하고 표는 소정의 삽입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제 3실시형태도 상기 제 1실시형태에 관한 앵커(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3)에 있어서는 컬부(8)가 축형상부(7)의 축심을 기준으로하여, 한쪽측에만 불룩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컬부(8)를 축형상부(7)의 축심을 기준으로하여 양측에 불룩해지도록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간단히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경우, 와셔(9)에 대하여 컬부(8)을 향하여 외력이 작용하였을때 컬부(8)는 와셔(9)의 이동에 동반하여 축경되게되고, 그것이 반발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되고, 이에 의거하여 컬부(8)는 와셔(9)의 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만곡부(8)가 만곡 종료측만을 불룩해지도록 만곡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역으로 만곡개시측만을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도 좋다. 그 경우에는 상기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감기부(11)와 만곡개시부(12)와를 걸어맞춤시킬 수가 있어, 동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하는 제 4실시형태는 앵커(3)로부터 와셔(9)를 없애고, 컬부(8)를 직접, 마찰력증대수단으로서 이용한 것이다. 이경우에는 걸어맞춤상태에 있는 쇄석, 자갈, 등과 컬부(8)가 걸어맞춤하므로서 와셔(9)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 1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에 의거하여 큰 이동저항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제 5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는 후벽부를 갖지 않고, 전벽부(2a)와 측벽부(2c)가 일체적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측벽부(2c)는 전단보다도 후단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의 폭방향에서 넓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식생용토양(26)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용공간(4)을 간소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목구축물 시공시에 후방측에서 식생용토양(26)등을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을 뿐아니라 토목구축물(호안(15)등)의 표면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야만 하는 부분(장소)에서, 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1)를 사용하므로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만곡정도가 크면 클수록(도 11중,θ1, θ2참조)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출물용 벽면재(2)의 맞닿음부분을 전방으로 밀어내게하여, 그 양토목구축물용 벽면재(2)가 형성하는 토목구축물의 표면을 보다 매끄러운 면으로 근접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제 6실시형태를 상기 제 5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제 6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공간(4)하방의 저벽부(2d)가 측벽부(2c)보다도 앵커(3)의 타단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게다가 보강을 도모하기 위하여, 그의 저벽부(2d)와 전벽부(2a)와는 리브(2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제 5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아니라, 전벽부(2a) 전방등으로 부터의 외력에 대하여 강도를 높일 수가 있고 더욱이, 저벽부(2d)의 재치면적, 저벽부(2a)상에 쌓아올려지는 식생용 토양등의 영역(중량)의 증가에 의거하여,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자체의 이동저항을 높이고,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의 안정성을 향상시키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1) 수용용기(2)를 콘크리트에 한하지 않고, 플라스틱, 철판 등의 각종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
(2)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로서 자연석, 콘크리트불룩(의석, 의목 등을 포함), 나무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예를들면 나무를 짜서 수용용기를 형성한 것과 같은 것)등을 사용하는 것.
(3) 컬부(8)의 구멍을 마찰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지지말뚝을 박아넣기위한 구멍으로서 이용하거나, 연결선을 갖고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
(4) 컬부(8)의 구멍의 형상으로서는 원형에 한하지 않고, 타원, 직사각형등의 비원형의 것에 포함되는 것.
(5)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부로서의 앵커(3)의 일단부는 직접,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에 고정하는 외에 간접적으로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에 고정하는 양태를 포함하고 있을 것. 이때문에, 예를들면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에 연결구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연결구를 통하여 토목구축물용 벽면재(2)에 앵커(3)의 일단부가 연결되게 된다. 물론 이때, 그의 연결구와 앵커(3)의 일단부와는, 주지의 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 된다.
(6) 판상부재로서, 와셔(9)에 대신하여 콘크리트판, 철판, 플라스틱판등의 여러가지를 사용할 것.
(7) 이입재료(16)에 콘크리트폐기물 등의 폐기물을 사용할 것.
(8) 토목구축물로서, 옹벽등을 구축하는 것.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혹은 이점으로서 기재된 것에 대응한 것을 제공하는 것 까지도 암묵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정폭으로 됨과 동시에,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있어서 측벽부외면이 바깥으로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하므로서, 채우는 돌등을 행하는 일없이 간단히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서로 이웃하도록 순차배열 설치하면서 쌓아올리는 것만으로, 견고한 보호막을 구축할 수 있고, 더욱이, 그 보호벽을 구축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보호벽(토목구축물의 표면)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하여야 할때에는 보호벽을 평탄하게하고 있을때와 동일하게, 원호형상의 측벽부의 존재에 의하여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간에 형성되는 간극공간을 좁힐 수가 있고, 폭이 넓고, 안길이가 전방으로 밀어내어진 것과 같은 간극을 형성하여, 보호벽의 표면을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도, 평탄면으로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폭이 넓고, 안길이가 전방으로 밀어내어진 것과 같은 간극은 보호벽을 밖으로 불룩하도록 만곡시키는 경우의 여부에 불구하고,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용물용 벽면재간에 규칙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문에, 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하므로서, 보호벽(토목구축물의 표면)을 밖으로 불룩하도록 만곡시켜야 할 것인가의 여부에 불구하고,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간의 간극을, 평탄면에 가까운 모양으로서 포착할 수가 있고, 보호벽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킬때에만 깊은 간극이 형성된다라는 위화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하므로서,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간에 형성되는 간극(폭이 넓고 안길이가 전방으로 밀어내어 지도록 한 간극)을 적당한 흙집합소, 웅덩이 공간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자연환경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경우, 벽면재용 앵커, 마찰력 증대수단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 후방에 충전되는 이입재료와의 사이에서 큰 마찰력(이동저항)을 생기게 하여 그 마찰력에 의거하여,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유지상태(이동규제)를 공고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상방으로 개구를 갖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인하여, 그 수용공간을 이용하여, 토목구축물의 목적에 따른 여러가지의 충전물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문에, 예를들면 수용공간내에 식생용 토양을 확보하여, 이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사용하여 구축한 토목구축물에 있어서,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마다 식물을 번성시킬 수 있는 등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벽면재용 앵커가 대략 곧바로 연장하여 그의 일단부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부로 되는 축형상부와, 이 축형상부의 타단부를 만곡시켜 환상공간을 구획하는 만곡부와를 구비하고, 만곡부의 종단부가 감기부로서, 환상공간에 서로 이웃하도록 하여 축형상부에 감겨져 있으므로, 만곡부에 축형상부의 타단부 외방을 향하여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감기부가 축형상부에 안내되어 만곡부가 축경되어, 반발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문에 이 벽면재용 앵커의 만곡부를 토목구축물용 벽면재 후방에 충전되게되는 이입재료와 걸어맞춤시키므로서, 혹은 출형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판상부재(이입재료에 걸어맞춤)을 통해서 이입재료에 걸어맞춤시키므로서,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이동저항을 확보할 수 있게되어, 상기 청구항 1 등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이 벽면재용 앵커에 있어서는 축형상부의 타단부를 만곡시킨후, 만곡부의 감기부(만곡종단부)를 축형상부에 감는 것만으로, 스토퍼를 구성할 수가 있고, 용접등의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문에, 벽면재용 앵커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동반하여 이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벽면재용 앵커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복수사용하고, 그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설치하면서 쌓아올림과 동시에, 그 벽면재용 앵커를 대략 수평으로 배치하고,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배열설치할때마다, 그 각토목구축물용 구축재에 있어서 벽면재용 앵커 및 마찰력 증대수단을 이입재료로서 매설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로서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이, 밖으로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외면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맞닿음시키므로서, 이 사용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하므로서, 보호벽(토목구축물의 표면)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야 하는가 여부에 불구하고,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간의 간극을 평탄면에 가까운 모양으로서 잡을 수 있고, 보호벽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킬때에만, 깊은 간극이 생긴다라는 위화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벽면재용 앵커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가 복수 사용되고, 그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설치하면서 쌓아올려짐과 동시에, 그 각 벽면재용 앵커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각 벽면재용 앵커 및 그 각 마찰 증대수단이 이입재료중에 매설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에 있어서,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이, 밖으로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이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맞닿음되어 있으므로, 이 토목구축물에 있어서는,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사용하므로서, 보호벽(토목구축물의 표면)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켜야 하는가 여부에 불구하고, 서로 이웃하는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간의 간극을 평탄면에 가까운 모양으로서 잡을 수가 있고, 보호벽을 밖으로 불룩해지도록 만곡시킬때에만, 깊은 간극이 생긴다라는 위화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대략 곧 바로 연장하여 그의 일단부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부로 되는 축형상부와, 그 축형상부의 타단부를 만곡시켜 환상공간을 구획하는 만곡부와를 구비하고, 그의 만곡부의 종단부가 감기부로서, 환상공간에 서로 이웃하도록 하여 축형상부에 감겨져 있으므로, 만곡부에 축형상부의 타단부 외방을 향하여 외력이 작용하고, 감기부가 축형상부에 안내되어 만곡부가 축경되게 될때에는 이에 동반하여,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되고, 이 벽면재용 앵커의 만곡부를 토목구축물용 벽면재 후방에 충전되게 되는 이입재료와 걸어맞춤시키므로서, 혹은 축형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판상부재를 통하여 이입재료에 걸어맞춤시키므로서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이동저항을 확보할 수 있게된다. 이때문에 만곡부에 대한 용접작업등의 유지처리작업등을 생략하더라도 본래의 기능이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이 벽면재용 앵커의 제조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만곡부가 적어도 축형상부의 축심을 기준으로 만곡개시측에서 불룩해지도록 형성되고, 만곡부의 감기부가 그 만곡부에 있어서 만곡개시부의 외주측에서 인접배치되어 있으므로, 만곡부에 축형상부의 타단부 외방을 향하여 외력이 작용하였을때에는 만곡부의 감기부(만곡종단부)가 만곡개시부에 걸어맞춤하여 이동이 규제되게 되고, 감기부(만곡종부)가 축형상부에 용접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실질적으로 만곡부에 상당하는 크기의 일체적인 환상부재가 스토퍼로서 형성되게 된다. 이때문에, 이 벽면재용 앵커에 있어서는 만곡부에 상당하는 크기의 환상부재를 눌러 찌부러 뜨리지 않는한, 이동할 수가 없고, 간단한 구성을 갖고, 극히 큰 이동저항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만곡부의 만곡개시부가 축형상부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감기부와 만곡개시부와의 걸어맞춤후, 그 걸어맞춤관계를 유지하는 확실성이 높아지고 큰 이동저항을 안정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의하면, 만곡부가 축형상부의 축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불룩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청구항 7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축형상부에 이입재료와 걸어맞춤시키는 판상부재를 이동가능하게 유지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그 판상부재를 축형상부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만곡부에 의하여 받아낼 수가 있고, 만곡부를 판상부재에 대한 스토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만곡부가 환상공간으로서 원형상공간을 구획하고 있으므로, 상기 청구항 9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아니라, 만곡부를 강도상 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양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감기부가 만곡부의 만곡종료부로 협동하여 축형상부를 사이에 끼도록, 만곡부의 만곡개시부 외주부를 통해서 그 만곡부의 종료부측으로 귀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감기부는 축형상부에 대하여 대략 U자상의 형태를 갖고 유지되어(감겨져서), 소정의 안내효과 등을 얻을 수 있게 되어 필요한 가공을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감기부가, 축형상부에 복수회에 걸쳐서 감겨져 있으므로, 축형상부에 대한 유지, 축형상부를 이용한 관세효과를 높일수가 있고, 이동저항을 확실히 얻을 수 있게된다.
청구항 13의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축형상부에 판상부재가 그 판상부재의 판면을 그 축형상부의 연장방향을 향하면서 그 축형상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으므로, 용접등을 실시하는 일 없이 간단히 형성되는 만곡부를 판상부재의 스토퍼로서 기능시켜, 판상부재를 이입재료에 대하여 걸어맞춤시켜, 앵커로서 극히 큰 이동저항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벽면재용 앵커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에 있어서,
    상기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정폭으로 됨과 동시에,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의 외면이 밖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상방으로 개구를 갖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재용 앵커가 대략 곧바로 연장하고, 그의 일단부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부로 되는 축형상부와, 그 축형상부의 타단부를 만곡시켜서 환상공간을 구획하는 만곡부와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부의 만곡종단부가 감기부로서 상기 환상공간에 서로 이웃하도록하여 상기 축형상부에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4.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벽면재용 앵커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를 복수 사용하고, 그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설치하면서 쌓아올림과 동시에 그 벽면재용 앵커를 대략 수평으로 배치하고,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배열설치마다에 있어서, 그 각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에 있어서 벽면재용 앵커 및 마찰력 증대수단을 이입재료로서 매설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로서,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이 밖으로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에서 맞닿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
  5.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에 벽면재용 앵커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벽면재용 앵커의 타단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력 증대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구축재가 복수 사용되어서, 그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설치되면서 쌓아올려짐과 동시에, 그 각변면용재 앵커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각 벽면재용 앵커 및 그 각 마찰 증대수단이 이입재료중에 매설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에 있어서,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가 그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외면이, 밖으로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벽면재의 측벽부 외면이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에 있어서 맞닿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
  6. 대략 곧바로 연장하고, 그 일단부가 토목구축물용 벽면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부로 되는 축형상부와, 그 축형상부의 타단부를 만곡시켜서 환상공간을 구획하는 만곡부와를 구비하는 벽면재용 앵커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종단부가, 감기부로서 상기 환상공간에 서로 이웃하도록 하여 상기 축형상부에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재용 앵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가 적어도 상기 축형상부의 축심을 기준으로하여 만곡개시측에서 불룩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의 감기부가 그 만곡부에 있어서 만곡개시부의 외주측에서 인접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재용 앵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만곡개시부가 상기 축형상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재용 앵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가 상기 축형상부의 축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불룩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재용 앵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가 환상공간으로서 원형상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재용 앵커.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부와 상기 만곡부의 만곡종료부와 협동하여 상기 축형상부를 끼우도록, 상기 만곡부의 만곡개시부 외주측을 지나 그 만곡부의 종료부측으로 귀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재용 앵커.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부가 상기 축형상부에 복수회에 걸쳐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재용 앵커.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축형상부에 판상부재가, 그 판상부재의 판면을 그 축형상부의 연장방향으로 향하면서 그 축형상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재용 앵커.
KR10-2000-0043274A 1999-09-07 2000-07-27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 KR100469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52747 1999-09-07
JP25274799A JP4451944B2 (ja) 1999-09-07 1999-09-07 壁面材用アンカ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14A true KR20010030014A (ko) 2001-04-16
KR100469535B1 KR100469535B1 (ko) 2005-01-31

Family

ID=1724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274A KR100469535B1 (ko) 1999-09-07 2000-07-27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51944B2 (ko)
KR (1) KR1004695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21B1 (ko) * 2000-11-09 2003-12-01 서경화 벽면 녹화장치
KR101720146B1 (ko) * 2016-02-23 2017-04-10 해안종합목재(주)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536B1 (ko) * 2001-12-18 2004-07-09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옹벽블럭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와의 연결구조
JP2006097252A (ja) * 2004-09-28 2006-04-13 Kankyo Kogaku Kk 壁面材用アンカー
JP5935340B2 (ja) * 2012-01-18 2016-06-15 株式会社大林組 防潮構造物
JP5938919B2 (ja) * 2012-01-25 2016-06-22 株式会社大林組 防潮構造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825A (ja) * 1984-10-30 1986-05-24 Kyosei Gijutsu Kaihatsu Kiko Kk 中空中詰重力式コンクリ−ト土木工作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0351380Y2 (ko) * 1986-08-13 1991-11-05
JPH02243822A (ja) * 1989-03-16 1990-09-27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擁壁
JP2612411B2 (ja) * 1993-09-20 1997-05-21 強化土エンジニヤリング株式会社 補強土留め擁壁
JPH0841911A (ja) * 1994-07-26 1996-02-13 Rikiyou:Kk 土留工法及び土留工法に用いる枠状ブロック体
JPH08311891A (ja) * 1995-05-22 1996-11-26 Yoshida Cement Kogyo Kk 貫通型空洞部を有する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移動防止装置
JP3032778B2 (ja) * 1996-03-12 2000-04-17 日本政策投資銀行 補強土擁壁工法
JPH1193135A (ja) * 1997-09-24 1999-04-06 Hatanaka Showa:Kk 護岸植生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21B1 (ko) * 2000-11-09 2003-12-01 서경화 벽면 녹화장치
KR101720146B1 (ko) * 2016-02-23 2017-04-10 해안종합목재(주)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73393A (ja) 2001-03-21
JP4451944B2 (ja) 2010-04-14
KR100469535B1 (ko) 200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535B1 (ko)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토목구축물용 구축재의 사용방법,토목구축물 및 벽면재용 앵커
KR102014747B1 (ko) 조립식 쉘터 유닛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쉘터 구조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2045117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45075B1 (ko) 토목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경사지반의안정화 공법
JP5097035B2 (ja) サンゴ増養殖用構造物の格子状構造物の連結具
KR10080662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19990083890A (ko) 전단키를 갖춘 케이슨
KR20200052158A (ko) 연근해 해상용 풍력발전 케이블 보호 덕트 기능을 구비한 인공어초
JPH10331128A (ja) 潜堤用消波ブロック及び潜堤
JP2001073393A5 (ko)
KR200419959Y1 (ko) 친환경 고밀도 합성재 와이어 결속 돌망태
KR20190123710A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8712629U (zh) 一种港口航道防冲刷护坡结构
CN218322809U (zh) 一种硬质边坡的回填土加固结构
CN215593863U (zh) 一种基于u形板桩的生态护岸
CN215562315U (zh) 一种新型生态驳岸墙
KR100483885B1 (ko) 하구나 해안의 연약지반에서의 호안공 시공방법
CN216664082U (zh) 一种航道护岸用联锁组合板桩结构
KR200344121Y1 (ko) 앵커 블록
KR100303945B1 (ko) 하천변의생태보호환경조성체
CN212405009U (zh) 一种河流抗冲护岸结构
CN221118384U (zh) 装配式河道生态框式挡墙结构
KR101376276B1 (ko) 하천의 생태수로 구조
CN213114498U (zh) 一种框架式生态防洪挡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