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945B1 - 하천변의생태보호환경조성체 - Google Patents

하천변의생태보호환경조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945B1
KR100303945B1 KR1019980043096A KR19980043096A KR100303945B1 KR 100303945 B1 KR100303945 B1 KR 100303945B1 KR 1019980043096 A KR1019980043096 A KR 1019980043096A KR 19980043096 A KR19980043096 A KR 19980043096A KR 100303945 B1 KR100303945 B1 KR 10030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verside
present
habitat space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5849A (ko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나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민 filed Critical 나성민
Priority to KR101998004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9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변의 생태 보호 환경 조성체(Thing for ecology protection environmentof river side) 에 관한 것으로, 블록(10)의 일측면에 길이가 긴 다수의 돌출부재(21)를 임의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유속을 저감시켜 어류 서식공간(20)과 수초 서식공간(60)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적층 또는 하천의 바닥에 무작위로 깔아주거나, 기 설치된 옹벽(100)에 앙카볼트(22)를 매개로 돌출부재(21)를 고정 설치하여 조성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천변의 본 발명을 적층 또는 무작위로 깔아 주거나, 기 설치된 옹벽(100)에 돌출부재(21)를 고정 설치하여 하천변의 유실을 방지함과 더불어 어류 서식공간(20)과 수초 서식공간(60)을 조성하므로서 환경 친화적인 하천변을 조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하천변의 유속을 저감시켜 치어와 같이 작은 물고기들도 서식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천변의 상태 보호 환경 조성체
본 발명은 하천변의 생태 보호 환경 조성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변의 유실 방지와 환경친화적인 어류 서식공간 및 수초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옹벽의 적층시 운반 및 적층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변의 유실 방지를 위하여 형성하는 옹벽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형성하거나,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진 블록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옹벽은 하천변의 유실 방지가 주된 목적으로서 고기들이 서식할 수 있는 어류 서식공간과 수초들이 서식할 수 있는 수초 서식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특히, 옹벽 주변의 유속이 매우 빨라 치어와 같이 어리고 약한 고기들이 은둔 서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하천변에 길이가 긴 다수의 돌출부재를 돌출 형성시켜 환경 친화적인 어류 서식공간과 수초 서식공간이 조성되게 한 것이다.
특히, 블록에 어류 서식공간을 조성하는 다수의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에 운반 및 고정이 용이하게 결속부를 구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적층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재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11 : 결합홈
12 : 고정홈 20 : 어류 서식공간
21 : 돌출부재 21a : 치어은폐공간
22 : 앙카볼트 30 : 철골구조
31 : 틀골격 32 : 가로부재
33 : 세로부재 31a,32a,33a : 결속부
50 : 기소 51 : 결합부
60 : 수초 서식공간 100 : 옹벽
본 발명은 하천변의 벽체에 길이가 긴 자연석 이나 흙을 빚어 소성한 돌출부재(21)들을 임의 간격으로 설치하여 유속을 억제하므로서 돌출부재(21)들의 사이에 어류 서식공간(20)을 조성하고 돌출부재(21) 하위의 하상에 수초 서식공간(60)을조성한 것으로, 상기 어류 서식공간(20)과 수초 서식공간(60)의 조성을 위한 돌출부재(21)의 일단을 규격화된 블록(10)의 일측면에 고정하여 된 것을 하천변에 적층 설치하여 조성하거나, 이미 옹벽(100)이 설치된 하천변에는 상기 옹벽(100)에 돌출부재(21)를 앙카볼트(22)를 매개로 고정 설치하여 조성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로서, 결속부(31a,32a,33a)가 노출되게 철골구조(30)를 매설한 블록(10)의 일측면에 길이가 긴 다수의 돌출부재(21)를 임의 간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어류 서식공간(20) 및 수초 서식공간(60)을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 돌출부재(21)의 부착구조는 블록(10)의 일측면에 돌출부재(21)의 일단을 심어 형성하거나, 블록(10)에 앙카볼트(22)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앙카볼트(22)에 돌출부재(21)를 결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재(21)는 고기들에게 유해하지 않고 환경 친화적인 재질로서 비교적 길이가 긴 자연석을 이용하거나, 황토 또는 고령토를 임의 형상 모양으로 소성한 것을 이용하며, 치어와 같이 작은 물고기들이 은둔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되는 치어은폐공간(2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블록(10)은 외주연에 결합부재(40)가 안착되게 요입 형성된 결합홈(11)을 형성하고 후면 사방 모서리와 각 변의 중앙에는 매설된 철골구조(30)의 노출에 의하여 결속부(31a,32a,33a)가 돌출 형성된 고정홈(12)을 요입 형성한 것이고, 상기 블록(10)에 매설되는 철골구조(30)는 사각형으로 절곡하되 각 모서리에 고리형의 결속부(31a)가 형성되게 절곡 형성한 틀골격(31)과, 상기 틀골격(31)의 가로 양변과 세로 양변에 걸쳐 고정되어 양 단에 결속부(32a,33a)가 형성되는 가로부재(32)와 세로부재(33)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적층하여 하천변의 유실을 방지함과 더불어 어류 서식공간(20)과 수초 서식공간(60)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적층하고자 하는 하천 가장자리의 바닥을 일정한 깊이로 굴착하고 기소(50)를 형성하되 상기 기소(50)의 상면에는 본 발명의 블록(10)이 정위치에 적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결합부(51)가 돌출 형성되게 타설한다.
이상과 같이 기소(50)가 완료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고리형 결속부(31a)에 크레인으로 걸어서 들어 적치하면 상기 기소(50)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51)가 본 발명의 결합홈(11)에 안착되므로 본 발명이 정위치에 적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차 적치가 완료되면, 블록(10) 후방의 고정홈(12)에 돌출 형성된 결속부(31a,32a,33a)를 기소(50)의 철근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본 발명을 이단 적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의 결합홈(11)에 환봉의 결합부재(40)를 안치시키고 2 단 적치하고자 하는 본 발명을 들어 적치하면 결합홈(11)에 안치된 결합부재(40)에 의하여 유도되어 적치되므로 다단 적치되는 본 발명이 균일하게 적치되며, 적치된 본 발명의 결속부(31a,32a,33a)와 결속부(31a,32a,33a)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기 적치된 본 발명의 결속부(31a,32a,33a)와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므로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치와 고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블록(10)의 후방에 흙을 매워 주므로 모든 작업이 완료되며, 본 발명의 블록(10) 전면으로 돌출된 돌출부재(21)들이 어류 서식공간(20)과 수초 서식공간(60)을 조성한다.
특히, 블록(1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21)가 하천변의 유속을 저감시켜 치어와 같이 작은 고기들이 서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옹벽(100)이 기 설치된 하천변에 있어서 고기의 어류 서식공간(20)을 조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옹벽(100)에 천공 후 앙카볼트(22)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앙카볼트(22)에 돌출부재(21)를 결합하므로서 어류 서식공간(20)이 조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하천변의 옹벽(100) 외에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또는 호수 등의 바닥에 무작위로 깔아 주므로서 고기들이 서식할 수 있는 어류 서식공간(20)이 증대되고 물의 흐름의 빠른 하천 바닥에도 수초들의 서식할 수 있는 수초 서식공간(60)가 증대된다.
이상과 같이 하천변의 본 발명을 적층 또는 무작위로 깔아 주거나 기 설치된 옹벽에 돌출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하천변의 유실을 방지함과 더불어 어류 서식공간과 수초 서식공간을 조성하므로서 환경 친화적인 하천변을 조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하천변의 유속을 저감시켜 치어와같이 작은 물고기들도 서식 가능한 것이다.
또한, 사방 모서리에 결속부를 구비하므로서 운반 및 블록과 블록의 고정이 용이하며, 사방 외주연에 결합홈으로 인하여 적층시 정위치에 적층이 이루어져 규격된 적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배면의 사방모서리와 각 변의 중앙부위에서 노출되게 철골구조(30)를 매설하여 형성한 블록(10)의 일측면에 길이가 긴 다수의 돌출부재(21)를 임의 간격으로 도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블록(10)의 외주연에 결합부재(40)가 안착되게 요입 형성된 결합홈(11)을 형성하며, 노출되게 매설된 철골구조(30)에 의하여 배면의 각 모서리와 각 변의 중앙에 결속부(31a,32a,33a)가 노출 형성되게 고정홈(12)을 요입 형성하되,
    상기 블록(10)에 매설되는 철골구조(30)는 사각형으로 절곡하되 각 모서리에 고리형 결속부(31a)가 형성되게 절곡 형성한 돌골격(31)과, 상기 돌골격(31)의 가로 양변과 세로 양변에 걸쳐 고정되어 양 단에 결속부(32a,33a)가 형성되는 가로부재(32)와 세로부재(33)로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재(21)의 부착구조는 블록(10)의 일측면에 길이가 긴 돌출부재(21)의 일단을 심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변의 생태 보호 환경 조성체.
KR1019980043096A 1998-10-15 1998-10-15 하천변의생태보호환경조성체 KR10030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096A KR100303945B1 (ko) 1998-10-15 1998-10-15 하천변의생태보호환경조성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096A KR100303945B1 (ko) 1998-10-15 1998-10-15 하천변의생태보호환경조성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849A KR20000025849A (ko) 2000-05-06
KR100303945B1 true KR100303945B1 (ko) 2001-11-22

Family

ID=1955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096A KR100303945B1 (ko) 1998-10-15 1998-10-15 하천변의생태보호환경조성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374A (ko) * 1999-02-19 2000-09-15 고연표 다공질 자연석 호안 생태블럭
KR100747483B1 (ko) * 2006-09-25 2007-08-08 나성민 식생부를 갖는 석근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655843B1 (ko) * 2014-12-26 2016-09-08 박대용 수로관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44A (ja) * 1995-02-09 1996-08-27 Tetra:Kk 擬岩ブロック
JPH09170220A (ja) * 1995-12-21 1997-06-30 Yamatatsugumi: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44A (ja) * 1995-02-09 1996-08-27 Tetra:Kk 擬岩ブロック
JPH09170220A (ja) * 1995-12-21 1997-06-30 Yamatatsugumi: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849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0303945B1 (ko) 하천변의생태보호환경조성체
KR100730507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100593842B1 (ko) 수생동식물의 서식특성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하천 블록구조
KR20200052158A (ko) 연근해 해상용 풍력발전 케이블 보호 덕트 기능을 구비한 인공어초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101418476B1 (ko) 조립형 세굴방지 및 어초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복합체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JPH02299525A (ja) 人工上昇流の形成方法
US20020088408A1 (en) Vegetation zone facility
KR100815290B1 (ko) 물고기집이 설치된 옹벽블럭조립체
KR100447265B1 (ko) 친환경적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541923B1 (ko) 하천 정비 공법 및 그 구조
KR200389601Y1 (ko) 인공어초
KR100429733B1 (ko) 친환경세굴방지 어소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371808B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보호환경 조성용 식생구
KR200259236Y1 (ko) 생태 하천 제방의 제방틀 구조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101376276B1 (ko) 하천의 생태수로 구조
JP3396802B2 (ja) 自然石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複合した連鎖状マット
KR100598142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서식 구조물
KR100654304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228745Y1 (ko) 기초어상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