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77B1 -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 - Google Patents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77B1
KR101359577B1 KR1020120052151A KR20120052151A KR101359577B1 KR 101359577 B1 KR101359577 B1 KR 101359577B1 KR 1020120052151 A KR1020120052151 A KR 1020120052151A KR 20120052151 A KR20120052151 A KR 20120052151A KR 101359577 B1 KR101359577 B1 KR 10135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edge
ground
hole
side wall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245A (ko
Inventor
조성일
Original Assignee
조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일 filed Critical 조성일
Priority to KR102012005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7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3Including fibers made from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원은 종래의 시멘트 콘크리트제품이나 돌 등의 무거운 축조석 등으로 제공되는 지반안정 보호물은 처음 시공상의 어려운 작업 문제점 뿐 아니라 사후 관리도 어려웠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가벼우면서 강한 특성을 갖는 FRP재질을 이용하여 직경 10~100㎝, 높이 5~50㎝ 정도의 4~6각 구조의 허니컴 구조로 상하가 관통된 구조의 지반안정보호구를 제공하되, 지반안정보호구가 외연프레임과 내삽보강재 1셋트(set)로 구성되는 지반안정보호구로 제공될 수 있는바, 외연프레임의 상부는 내향굴곡부를 갖고 저부는 톱니구조를 가지며 측벽의 중간 중간으로는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hole)을 다수 개 형성한 구조로 외연프레임이 제공되고, 내삽보강재는 중앙으로 관통홀을 갖고 관통홀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까지 연장되는 측면판을 갖고 관통홀과 측면판의 다수 개소에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hole)을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어서 내삽보강재의 측면판이 외연프레임의 측벽부를 지지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구조로 제공된다.

Description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ground supporter for slope side or back-filing side}
본원은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는 합성수지나 FRP재질로 만들어지는 4~6각형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과 외연프레임 내측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을 보강해 주는 내삽보강재가 1셋트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제품으로 외연프레임은 법면을 보호하는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고 외연프레임 내측에 내장되는 내삽보강재는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서 토압을 받는 외연프레임의 측벽을 단단히 보강해 주는 측면판을 갖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약 70%가 임야로 되어 있고 현재에도 국토의 이곳 저곳에서 도시개발이나 새로운 도로를 신설하는 과정 등으로 많은 절개지, 성토지, 축대 등이 생기고 있고, 이러한 절개지의 법면이나 성토지의 축대 또는 경사지가 붕괴되면 큰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2011년 7월에도 중부지방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서 막대한 피해가 속출되었는바 서울 강남지역에 시간당 110㎜의 집중호우가 내려서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사고가 발생하였고 하천 범람과 하수구 역류 등으로 서울의 도심이 물바다가 되고 교통이 통제되어 출퇴근하던 시민들은 큰 불편을 겪은바 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절개지나 성토지, 축대 등의 우험 지역에 외연프레임과 내삽보강재가 1셋트(set)로 구비되는 지반안정보호구가 다수 개 단위로 묶어 사용되도록 사전 설계에 의해 만들어 준비된 후, 절개지나 또는 경사/비탈면에 옮겨져 경사각을 따라 내삽보강재를 먼저 고정하고 내삽보강재의 외연으로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을 박아 고정하며 각 단위의 지반안정보호구끼리 연결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적용되어 경사지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외연프레임의 내측으로는 나무나 풀 등의 식물을 식재하는 공간으로 제공하여 녹지공간을 확보하도록 적용될 수 있는 지반안정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보다 좋은 복지/주거환경 개선과 도로건설을 위해 많은 산림이 훼손되며 새로운 절개지나 또는 성토지의 축대가 생기게 마련이고, 이러한 절개지의 법면이나 성토지의 축대가 생성되고 있다.
종래의 절개지나 비탈면을 갖는 축대구조에서도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축조석이나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하고, 철망 등을 씌워 축대나 절개지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 제0617393호 기술에서는 토목, 건축 현장의 토사 또는 암석 등으로 구성되는 경사면 또는 지하굴착 시 형성되는 경사면의 안정화 공법으로 사면보강재를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사면보강재는 경사면의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는 보강재로써 다수의 인발저항재가 선단에 형성된 삽입공을 관통하여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선단에 주입되는 충진재와 함께 상기 보강섬유가 고형화되어 형성되는 구근을 포함하는 보강심재; 및 상기 보강심재를 경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사면보강재에 의하여 구근설치형태를 관리할 수 있어 보강심재의 설치 후 인발저항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설치구성이 경량이면서 부식방지에 용이하여 산악현장 등에서 우수한 사면안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0653374호 기술에서는 지하수의 유출이 많은 토양의 현장여건에 따라 적정한 폭과 깊이의 지하수 유출골을 격자형태로 파내어 시공설치하며, 지하수 유출골의 내부에는 전천후 유골배수관과 돔형 토양보강돌망태와 강봉네일 및 와이어를 시공설치하여 결착 고정설치한 다음, 쇄석을 채워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이 되도록 시공설치함으로써 상기 돔형 토양보강 돌망태 격자틀이 절취사면을 격자형태로 지지보강하여 표토층이 파괴되거나 지하수가 포화되는 일이 없으며, 암반층에 이르도록 심설되는 강봉네일과 와이어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속적으로 인장 및 가압지지 되어 지반강도를 견고하게 하며, 또한 지하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어 안정적인 점토상태로 형성되는 격자형 사면에 장섬유 보강토를 붙임 설치시킴으로써 시공을 완료하는 돔형 토양보강 돌망태 격자틀 및 강봉 네일링에 의한 사면보강시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개시된 기술은 자연생태계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축조석 자체의 하중이나 축조석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형상을 갖고 서로 간에 짜 맞추며 축조되는 구성에 주력하였을 뿐, 자연훼손에 따를 후속대책 없이 다수 층으로 축조석을 쌓은 후 안정화 지반을 이루고자 함에 주력하였고, 생태 환경을 고려하여 비탈진 경사면의 축조 공간 사이에 생기는 좁은 공간에 흙을 부삽하여 풀을 심거나 연산홍이나 철죽 등의 나무나 풀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해 주고자 하는 배려가 없었다.
더구나 기존에 제시된 연약지반 보강시공방법은 비탈진 경사면이나 절개지 등에 무겁고 큰 축조석이나 콘크리트물을 쌓아놓고 그 사이에 관상수나 꽃나무 등을 식재하여 뿌리를 내리게 함으로 지반을 안정화시키고자 하였으나 실제적으로 축조석이나 콘크리트물은 크고 무거운 하중으로 생태환경을 저해하여 풀이나 철죽 등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해 주지 못하게 방해하고 토양의 산성화를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은 토양식물이나 생물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볍고 강한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FRP재질을 이용하여 직경 10~100㎝, 높이 5~50㎝ 정도의 4~6각 구조의 허니컴 구조로 상하가 관통된 구조의 지반안정보호구를 제공하고, 지반안정화가 이루어지고 식생보호공간이 확보된 후에는 합성수지나 FRP재질의 지반안정보호구를 지면에서 뽑아내어 다른 필요한 장소로 이관하여 지반안정보호 기능을 하도록 영구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지반안정보호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은 종래의 시멘트 콘크리트제품이나 돌 등의 무거운 축조석 등으로 제공되는 지반안정 보호물은 처음 시공시의 어려운 작업공정뿐 아니라 사후 관리도 어려웠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가벼우면서 강한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FRP재질을 이용하여 직경 10~100㎝, 높이 5~50㎝ 정도의 4~6각 구조의 허니컴 구조로 상하가 관통된 구조의 지반안정보호구를 제공하되, 지반안정보호구가 외연프레임과 내삽보강재 1셋트(set)로 구성되는 지반안정보호구로 제공되고, 지반안정보호구 다수 개가 묶여 사태나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측벽기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허니컴구조 프레임 안쪽은 관상수나 유실수 등의 나무나 풀을 심는 식생보호 기능도 겸하는 지반안정보호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산사태가 우려되거나 경사면을 갖는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면에 사용하기 위한 지반안정보호구를 제공함에 있어, 지반안정보호구가 합성수지나 FRP재질을 이용하여 직경 30~100㎝, 높이 10~50㎝ 범위의 4~6각의 다각형 구조로 상하가 관통되어 측벽부는 지반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내부는 풀이나 나무 식재가 가능한 식생보호구로 기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는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과 외연프레임 내측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을 보강해 주는 측면판을 갖는 내삽보강재가 조립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는바, 외연프레임의 상부는 내향굴곡부를 갖도록 제공되어 내향굴곡부가 내삽보강재의 측면판을 압박하여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고 외연프레임의 저부는 톱니구조를 이루어서 지면에 박혀지는 구조를 이루게되며 외연프레임의 측벽 중간 중간으로는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hole)을 다수 개 형성한 구조로 외연프레임이 제공된다.
상기 외연프레임 내측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을 보강해 주도록 기능하는 내삽보강재는 중앙으로 관통홀을 갖고 관통홀을 이용하여 중심을 잡으면서 관통홀에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내삽보강재 저부가 예리한 단부로 제공되어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지 않고 내삽보강재 자체가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외연프레임의 측벽이나 내삽보강재의 관통홀과 측면판에는 다수 개소에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hole)을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어서 본원의 지반안정보호구 내, 외부의 물이 구멍(hole)을 통하여 상호 유통되도록 기능하며, 또한 내삽보강재의 측면판은 외연프레임의 측벽부까지 연장되도록 제공되어 내삽보강재의 측면판이 외연프레임의 측벽부를 단단하게 지지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또한 상기 내삽보강재의 측면판은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 크기에 따라 또한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의 구조나 형상 또는 특성에 따라 2~6개 범위로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때 측면판의 상부외연 단부가 프레임 형태를 이루고, 프레임의 단부가 외연프레임의 내향굴곡부에 의해 압박되며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튼튼한 구조로 안정감을 높이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는 기술사상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은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서 지반을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 이용방법으로서, 지반안정보호구가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과 외연프레임 내측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을 보강해 주는 측면판을 갖는 내삽보강재가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용되되, 외연프레임의 상부는 내향굴곡부를 갖고 저부는 톱니구조를 가지며 측벽의 중간 중간으로는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hole)을 다수 개 형성한 구조로 외연프레임이 제공되고, 내삽보강재는 중앙으로 관통홀을 갖고 관통홀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까지 연장되는 측면판을 갖고 관통홀과 측면판의 다수 개소에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hole)을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고,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상기 내삽보강재를 먼저 고정하고 내삽보강재의 외연으로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을 박아 고정할 때 내삽보강재의 측면판단부가 외연프레임의 내향굴곡부에 압박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탄탄한 지반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에서 외연프레임과 내삽보강재가 지면에 박혀지는 구성을 이루어 지반안정화를 도모하는 방법은 내삽보강재의 관통홀이 상하 관통된 구조를 이루고 관통홀에 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내삽보강재 저부가 예리한 단부를 형성하여 밀봉된 구조로 제공되어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지 않고 내삽보강재 자체가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될 수 있는바,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때는 내삽보강재의 관통홀을 통하여 내,외부의 물흐름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구의 축부가 물 흐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굴곡이나 공간부를 형성한 고정축이 사용되어 관통홀이나 측벽판이나 외연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hole)을 통하여 침출수나 유입수의 원활한 물 흐름을 고정구의 추가 차단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또한 내삽보강재 관통홀이 상하 관통된 구조를 이루지 않고 저부가 예리한 단부를 형성하여 지면에 박히는 구조를 이룰 때는 내삽보강재 관통홀의 저부 단부가 밀봉된 구조를 이루지 않을 경우에는 토압에 의해 흙이 관통홀을 메우며 올라올 수 있으므로 밀봉된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관통홀의 측벽에는 여전히 침출수나 유입수의 원활한 물 흐름을 위한 구멍(hole)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외연프레임과 내삽보강재가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박혀져서 안정구조를 이룬 본원의 지반안정보호구 안쪽으로는 다양한 방법으로 꽃 나무나 풀씨가 심겨져서 배열되므로 도시미관을 도모하거나 유실수나 관상수를 심는 식생공간으로 활용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는 붕괴위험이 있는 예상지역에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 내측으로 내삽보강재를 내장한 구성을 이룬 후 빈 공간에 나무를 식재하여 경사면의 붕괴, 산사태 등의 사고를 방지하면서 나무가 지중에 뿌리를 내리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식물의 탄소동화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산림녹화의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합성수지재나 FRP 재질의 지반안정보호구는 나무를 식재 후 지반이 안정화되고 나무가 성장하여 완전히 뿌리를 내린 후 절개지의 법면이나 성토지의 축대가 안정구조를 이룬 후에는 지반안정보호구를 안전하게 뽑아내어 타 지역의 경사면의 붕괴, 산사태 등의 사고 예상지역에 다시 지반안정보호구로 재활용하도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식재목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는 식재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는 나무나 풀을 식재하기 위한 이용에 제한되지 않고, 경사각이 큰 곳에서는 지반안정보호구의 일측에 말뚝이나 파일 등을 박아서 지반안정보호구끼리 연계되어 다수개의 축조석을 연이어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갖고 견고하게 지반을 지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지반안정보호구 내부로는 식생보조구를 마련하여 다양한 수종을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을 만들도록 배열하여 식재된 수종이나 그 꽃들이 특정형상을 이루도록 제공되어 궁극적으로 도시미관을 도모하는 조경문화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도 1 : 본원에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의 분해 사시도.
도 2 : 본원에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 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의 적용예시도.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구현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마련되는 지반안정보호구를 이루는 구성요소인 외연프레임(30)과 내삽보강재(20)를 상, 하 구분하여 표시한 것으로, 외연프레임(30)을 상부에 도시한 것이고, 외연프레임(30) 내부에 내장되는 내삽보강재(20)를 하부에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지반안정보호구를 이루는 외연프레임(30)은 4~6각 구조의 허니컴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외연프레임의 상부는 중심부를 향하여 2~10㎝ 범위로 내향굴곡부(31)를 이루며 상단프랜지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고 저부는 톱니구조로 톱니오목부(32a) 및 톱니볼록부(32b)를 가지며 측벽(33)과 측벽 사이에는 오목굴곡부(33a)가 형성되고, 또한 측벽(33)의 중간 중간으로는 물 흐름을 유도하는 구멍(34)을 다수 개 형성한 구조로 외연프레임(30)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지반안정보호구에서 합성수자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외연프레임(30)은 높은 강도를 갖고 지면에 박히거나 추후 지반안정화 목적을 달성한 후 지면에서 외연프레임을 뽑을 때 내향굴곡부(31)를 이룬 형태를 상부프랜지부를 활용하여 지면에 박거나 뽑아낼 수 있도록 보조기능을 갖게 함과 동시에 외연프레임(30)의 오목굴곡부(33a) 내부로는 내삽보강재(20)의 상부프랜지(23) 단부(23a)를 감싸/보호하며 지면에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지반안정보호구를 이루는 내삽보강재(20)는 중앙으로 관통홀(21)을 갖고 관통홀에 고정구(10)가 끼워져 지면에 박히는 구조를 이루며 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는바, 도 1, 2에서는 관통홀(21)을 중심으로 하여 외연으로 120°로 분기되며 외연프레임(30)의 측벽(33)까지 연장되는 3개의 측면판(2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측면판은 지반안정보호구의 크기에 따라 2~6개 등의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측면판(22)의 상단은 측면판보다 넓은 상부프랜지(23)를 가지며 상부프랜지(23)의 외연 단부(23a)는 외연프레임(30)의 측벽(33)과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굴곡부(33a)에 대응하여 내삽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고 관통홀(21)과 측면판(22)의 다수 개소에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21a, 22a)을 형성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마련되는 지반안정보호구(50)의 내삽보강재(20)가 경사 지면에 압착되어 박히기 위해 고정구(10)를 이용하여 지면에 박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는 외연프레임(30)과 내삽보강재(20)가 분리된 상태로 제공된 적용양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나, 도 2에서는 저부로 내삽보강재(20)가 재치되고 내삽보강재(20) 외연으로 외연프레임(30)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내삽보강재(20)의 관통홀(21) 중앙으로 고정구(10)를 이용하여 경사/비탈면의 지면에 박히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제시되는 고정구(10)는 못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헤드부(11)와 삽입축(12)을 갖되 삽입축(12)은 관통홀에 들어오고 나가는 물 흐름 공간(12a)을 확보하도록 삽입축(12)이 밀폐구조를 이루지 않도록 제공되는 고정구의 삽입축(12)이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되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도 2에 제시되는 고정구(10)를 사용할 때는 내삽보강재(20)의 관통홀(21)이 상부 폭은 넓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은 형태로 제공되어서 지면에 쉽게 박히는 구조를 이루고 삽입축(12)이 관통된 구멍을 통하여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내삽보강재(20')의 구조가 관통홀(21)의 하단부(21b)가 밀봉된 구조로 제공되어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지 않고 내삽보강재 자체가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도 3a는 내삽보강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내삽보강재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제시되는 내삽보강재는 관통홀(21)의 측벽을 통하여 내,외부의 물흐름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구멍(hole)을 갖고 지면이나 지하의 침출수나 유입수가 상호 이동하도록 기능하고, 또한 내삽보강재 관통홀 하단부가 관통된 구조로 제공될 경우에는 토압에 의해 지하 토사가 관통구멍을 통해 유입되면서 관통홀(21)을 막을 수 있으므로 작은 물 구성을 통하여 물 흐름은 허용하고 토사의 흐름은 방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또한 관통홀이 상부 폭은 넓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은 형태로 제공되어 지면에 쉽게 박히는 구조를 이루도록 관통홀(21)의 하단부(21b)는 예리부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원의 외연프레임(30) 및 내삽보강재(20)로 제공되는 지반보호구가 절개 경사면에 다수 개가 연결되어 박힌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비탈면이나 경사면에서 지반의 안정화를 이루기 위해 시멘트 콘크리트제품이나 돌 등의 무거운 축조석 등으로 적층되어 시멘트 콘크리트제품이나 축조석 등의 하중으로 절개지의 안정화를 깨고 처음 시공시의 불안정 상태가 해소되지 않을 뿐 아니라 사후 관리도 어려웠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바, 본원에서는 합성수지나 FRP재질의 가벼우면서 강한 특성을 이용하여 직경 30~100㎝, 높이 10~50㎝ 정도의 4~6각의 다각형 구조로 상하가 관통된 구조의 지반안정보호구가 예를 들면, 직경 30~100㎝, 높이 10~50㎝ 범위의 3~6각의 다각형 구조로 제공되어 지반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외연프레임(30)의 내부에서 내삽보강재(20)의 측면판(22)과 측면판 사이의 공간에는 풀이나 나무 식재가 가능한 식생 공간으로 제공되고, 외연프레임(30)의 측벽이 내삽보강재(20)의 측면판(22)에 의해 단단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서 아무리 큰 토압이라도 이겨내는 보강구조를 이루며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기타 본원의 지반안정보호구를 이루는 내삽보강재(20)가 도 1, 2에서는 관통홀(21)에서 120°로 분기되며 3개의 측면판(2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측면판은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의 크기와 규격에 따라서 2 ~ 6개로 얼마든지 가변적으로 적용되어 외연프레임(30)의 측벽을 보호하도록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고정구 11 : 헤드부
12 : 삽입 축 12a : 물 흐름 공간
20 : 내삽보강재 21 : 관통홀
21a : 관통홀 구멍 21b : 관통홀 하단부
22 : 측면판 22a : 측면판 구멍
23 : 상부프랜지 23a : 상부프랜지 단부
30 : 외연프레임 31 : 내향굴곡부
32a : 톱니오목부 32b : 톱니볼록부
33 : 측벽 33a : 오목굴곡부
34 : 측벽 물 구멍 50 : 지반안정보호구

Claims (5)

  1.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서 지반을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에 있어서,
    지반안정보호구가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30)과 외연프레임 내측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을 보강해 주는 측면판을 갖는 내삽보강재(20)가 조립되는 구성으로 제공되되, 외연프레임(30)의 상부는 내향굴곡부(31)를 갖고 저부는 톱니구조를 가지며 측벽의 중간으로는 물 흐름을 유도하는 구멍(hole)을 다수 개 형성한 구조로 외연프레임이 제공되고,
    내삽보강재(20)는 중앙으로 관통홀(21) 및 관통홀구멍(21a)을 갖고 관통홀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까지 연장되는 3개의 측면판(22)을 가지며 측면판에도 다수개소에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22a)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어서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지반안정보호구로 적용될 때 먼저 내삽보강재(20)가 측면판(22)과 함께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된 후 내삽보강재(20)의 외연으로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30)의 측벽(33)이 박혀져서 고정될 때 내삽보강재(20) 측면판의 상단부(23a)가 외연프레임(30)의 내향굴곡부(31)에 압박되고 내삽보강재(20)의 3개의 측면판(22)은 외연프레임(30)의 측벽(33)을 지지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도록 외연프레임(30)과 내삽보강재(20)로 구분되어 하나의 지반안정보호구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보호구.
  2. 삭제
  3.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서 지반을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지반
    안정보호구 이용방법에 있어서,
    지반안정보호구가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30)과 외연프레임 내측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을 보강해 주는 측면판을 갖는 내삽보강재(20)가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용되되, 외연프레임(30)의 상부는 내향굴곡부(31)를 갖고 저부는 톱니구조를 가지며 측벽의 중간으로는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hole)을 다수 개 형성한 구조로 외연프레임이 제공되고,
    내삽보강재(20)는 중앙으로 관통홀(21) 및 관통홀구멍(21a)을 갖고 관통홀에서 외연프레임의 측벽까지 연장되는 3개의 측면판(22)을 가지며 측면판에도 다수 개소에 물흐름을 유도하는 구멍(22a)을 형성한 구조로 제공되며,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지반안정보호구로 적용될 때는 먼저 내삽보강재(20)가 측면판(22)과 함께 지면에 박혀져서 고정된 후 내삽보강재(20)의 외연으로 허니컴 구조의 외연프레임(30)의 측벽(33)이 박혀져서 고정될 때 내삽보강재(20) 측면판의 상단부(23a)가 외연프레임(30)의 내향굴곡부(31)에 압박되고 내삽보강재(20)의 3개의 측면판(22)은 외연프레임(30)의 측벽(33)을 지지하여 토압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구조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안정보호구의 이용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20052151A 2012-05-16 2012-05-16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 KR10135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151A KR101359577B1 (ko) 2012-05-16 2012-05-16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151A KR101359577B1 (ko) 2012-05-16 2012-05-16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245A KR20130128245A (ko) 2013-11-26
KR101359577B1 true KR101359577B1 (ko) 2014-02-11

Family

ID=4985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151A KR101359577B1 (ko) 2012-05-16 2012-05-16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345A (ko) * 2008-04-24 2009-10-28 (주) 효창이엔지 방사형 식생틀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20100046566A (ko) * 2008-10-27 2010-05-07 조성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식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345A (ko) * 2008-04-24 2009-10-28 (주) 효창이엔지 방사형 식생틀 압착식 절토사면 보강 공법
KR20100046566A (ko) * 2008-10-27 2010-05-07 조성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제공되는 지반안정보호구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식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245A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0305B (zh) 一种用于改善水库消落区生态环境的湿地治理方法
KR100653374B1 (ko)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CN201027311Y (zh) 用于加固边坡的排水式锚杆框架梁
CN201826318U (zh) 道路疏松土质边坡简易生态护坡结构
CN103362135B (zh) 防崩岗、护水土的网草护坡
CN104878719A (zh) 互嵌加筋式生态挡墙施工方法
CN102518136A (zh) 一种防治软岩强风化带湿化破坏的柔性加筋组合防护结构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CN205530299U (zh) 一种离子型稀土矿山生态护坡结构
KR100945473B1 (ko) 지면 보호용 식생블록 구조물 및 이 식생블록 구조물의 현장 타설 방법
CN105756015B (zh) 一种生物多样性动态景观生态复合系统修复的方法
KR20090087775A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101359577B1 (ko) 경사면의 절개지나 성토지의 축대 면에 사용되는 지반안정 보호구
CN202090354U (zh) 一种边坡生态防护结构
KR101138723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CN208328984U (zh) 生态格框挡墙
KR101282286B1 (ko) 개비온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9990046526A (ko) 조경법면설치구조물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KR20120038665A (ko)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KR100840155B1 (ko) 간벌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및 비탈면 보강용 앵커시스템
KR200420007Y1 (ko) 도로 암절개지 사면의 조경 식재 구조
KR101625652B1 (ko) 산책로 지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13514A (ko) 높이가 낮고 토사 및 붕적토 비탈면의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소일핀과 밧줄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