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573B1 -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2573B1 KR101042573B1 KR1020100114229A KR20100114229A KR101042573B1 KR 101042573 B1 KR101042573 B1 KR 101042573B1 KR 1020100114229 A KR1020100114229 A KR 1020100114229A KR 20100114229 A KR20100114229 A KR 20100114229A KR 101042573 B1 KR101042573 B1 KR 1010425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cell
- cell structure
- vertical
- row
- assemb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이를 위한 단위 셀 구조는 정사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의 수평 지지판(12)과, 그리고 수평 지지판(12)의 각 모서리부에 4개의 수직 지주(14)가 일체로 형성되어 단위 셀 구조를 이루고 있으면서 수평 지지판(12)에는 연결홈(126) 및 결착홈(127)과, 그리고 결착돌기(128)가 형성되어있고, 수직 지주(14)에는 종방향으로 내측 삽입홈(142)과 외측 삽입홈(144) 및 외측 돌출부(146)가 형성되어있으면서 그 단부에 체결홈(148a)과 체결돌기(148b)가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단위 셀 구조로 조립된 지지구조는 외부공기 유입 통기공간의 형성이 가능하여 식물생육요건인 통기성요건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강성이 커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하중 지지가 충분하고 또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가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도2] 본 발명의 단위 셀 구조가 좌우수평으로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조립사시도
[도3] 본 발명의 단위 셀 구조가 상하수직 및 좌우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조립된 조립사시도
[도4] 본 발명의 단위 셀 구조의 조립에 의하여 식생기반용 조립식 포트구조를 이루면서 산과 계곡 등의 형상이 곡선 처리된 모습을 보인 조립사시도
[도5] 본 발명의 단위 셀 구조에 측면판을 삽입하여 식생기반용 조립식 포트구조를 조립하는 조립사시도
[도6] 본 발명의 단위 셀 구조에 측면판을 삽입한 식생기반용 조립식 포트구조의 연결홈에 연결된 앵커 와이어에 의하여 자연석이 지지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7] 본 발명의 단위 셀 구조가 순차적으로 조립ㆍ축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8] 본 발명의 단위 셀 구조의 조립에 의하여 축조된 외부공기 유입 통기 공간을 점적관수라인이 관통하면서 수질정화부 및 우수여과저장부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9] 본 발명의 단위 셀 구조의 조립에 의하여 축조된 외부공기 유입 통기 공간을 거치면서 수질정화부 및 우수여과저장부에 연결된 점적관수라인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12; 수평 지지판, 122; 공동구, 124; 배수공, 126; 연결홈, 127; 결착홈, 128; 결착돌기
14; 수직 지주, 142; 내측 삽입홈, 144; 외측 삽입홈, 146; 외측 돌출부, 148a; 체결홈, 148b; 체결돌기
16; 포트부, 16a; 측면판, 16b; 토양층, 16c; 부직포
18; 외부공기 유입 통기 공간
20; 성토층
30; 앵커 와이어
40; 자연석
50; 수질정화부
60; 우수여과저장부
70; 점적관수라인
Claims (6)
- 정사각형상의 수평 지지판(12)과, 그리고 수평 지지판(12)의 각 모서리부에 4개의 수직 지주(14)가 일체로 형성되어 단위 셀 구조를 이루되 수평 지지판(12)의 중앙에는 공동구(122)가 형성되어있고, 수평 지지판(12)의 각 변에는 연결홈(126) 및 결착홈(127)과, 그리고 수평 지지판(12)의 다른 면에는 결착돌기(128)가 돌출ㆍ형성되어있으며 공동구(122)와 각 변 사이에는 배수공(124)이 형성되어있는 한편, 수직 지주(14)의 단부에는 체결홈(148a)과 체결돌기(148b)가 4개의 수직 지주(14)가 이루는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서로 엇갈린 형태로 형성되어있고, 4개의 수직 지주(14)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면을 내측면, 그리고 서로 마주보고 있지 않는 면을 외측면이라 할 때, 각 수직 지주(14)의 내측면에는 종방향으로 내측 삽입홈(142)이 형성되어있으며, 또 각 수직 지주(14)의 외측면에는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가 반시계방향으로 서로 인접되어있으면서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가 4개의 수직 지주(14)의 외측면에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90도씩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수직 지주(14)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삽입홈(142)에 측면판(16a)을 삽입하여 식물생육을 위한 포트부(1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식물생육을 위한 포트부(16)의 바닥면에 부직포(16c)를 깔고, 그 위에 토양층(16b)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 ⒜ 잡석을 깔고 원지반을 다짐하는 단계;
⒝ 수경설비시설(배관 및 펌프시설포함)을 구비한 수질정화부(50) 및 우수여과저장부(60)를 설치하는 단계;
⒞ 정사각형상의 수평 지지판(12)과, 그리고 수평 지지판(12)의 각 모서리부에 4개의 수직 지주(14)가 일체로 형성되어 단위 셀 구조를 이루되 수평 지지판(12)의 중앙에는 공동구(122)가 형성되어있고, 수평 지지판(12)의 각 변에는 연결홈(126) 및 결착홈(127)과, 그리고 수평 지지판(12)의 다른 면에는 결착돌기(128)가 돌출ㆍ형성되어있으며 공동구(122)와 각 변 사이에는 배수공(124)이 형성되어있는 한편, 수직 지주(14)의 단부에는 체결홈(148a)과 체결돌기(148b)가 4개의 수직 지주(14)가 이루는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서로 엇갈린 형태로 형성되어있고, 4개의 수직 지주(14)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면을 내측면, 그리고 서로 마주보고 있지 않는 면을 외측면이라 할 때, 각 수직 지주(14)의 내측면에는 종방향으로 내측 삽입홈(142)이 형성되어있으며, 또 각 수직 지주(14)의 외측면에는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가 반시계방향으로 서로 인접되어있으면서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가 4개의 수직 지주(14)의 외측면에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90도씩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1의 단위 셀 구조를 수평 지지판(12)이 지반을 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제1의 단위 셀 구조의 수직 지주(14)의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에 각각 조립되는 수평방향으로 제2, 또는 제3, 또는 제4의 단위 셀 구조와, 제2, 또는 제3, 또는 제4의 단위 셀 구조의 수직 지주(14)의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에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계면까지 조립하되 맨 가에 조립되는 단위 셀 구조의 수직 지주(14)의 내측 삽입홈(142)에 측면판(16a)을 삽입하여 토양층(16b)을 갖는 포트부(16)를 형성하고 수평방향의 제1열을 조립하는 단계;
⒟ 수평방향으로 조립된 제1열의 수직 지주(14) 단부의 체결홈(148a)과 체결돌기(148b)에 맞추어 수평방향의 제2열을 조립하되 제1열의 수직 지주(14)의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가 제2열의 수직 지주(14)의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가 서로 엇갈린 형태로 설계면까지 조립하고, 이때 맨 가에 조립되는 단위 셀 구조의 수직 지주(14)의 내측 삽입홈(142)에 측면판(16a)을 삽입하여 토양층(16b)을 갖는 포트부(16)를 형성하고 수평방향의 제2열을 조립하는 단계;
⒠ 수평방향의 제2열위에 수평방향의 제3열의 조립은 ⒞단계의 수평방향의 제1열을 조립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조립하되 수평방향의 제3열의 수평 지지판(12)의 결착홈(127)과 결착돌기(128)를 수평방향의 제2열에 대응되는 결착홈(127)과 결착돌기(128)에 삽입하고, 이때 수평방향의 제3열의 수직 지주(14)의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는 수평방향의 제1열의 수직 지주(14)의 외측 삽입홈(144)과 외측 돌출부(146)의 위치와 동일하게 조립하여 설계면까지 조립하되 맨 가에 조립되는 단위 셀 구조의 수직 지주(14)의 내측 삽입홈(142)에 측면판(16a)을 삽입하여 토양층(16b)을 갖는 포트부(16)를 형성하고 수평방향의 제3열을 조립하는 단계;
⒡ 상기 ⒟단계와 ⒠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설계면까지 수평방향의 제4열, 제5열, 제6열,ㆍㆍㆍㆍㆍ을 조립하는 단계;
⒢ 포트부(16)가 형성된 단위 셀 구조위에 일정두께의 성토층(20)을 형성하고 그 성토층(20)위에 자연석(40)과 나무등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 셀 구조를 이용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수경설비시설을 단위 셀 구조(10)에 의해 조립된 골격 내부인 외부공기 유입 통기 공간(18) 내에 설치하고, 이에 연이어 우수여과저장부(60)를 설치하며, 상기 외부공기 유입 통기 공간(18) 내부에 점적관수라인(70)과 펌프시설을 설치하되 포트부(16)롤 향한 공급라인과 우수여과저장부(60)를 향한 배수라인으로 이루어진 점적관수라인(70)이 순환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 셀 구조를 이용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앵커 와이어(30)의 일단은 성토층(20)위에 설치되는 자연석(40)에, 그 타단은 단위 셀 구조의 수평 지지판(12)에 형성된 연결홈(126)에 연결되어 자연석(40)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단위 셀 구조를 이용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4229A KR101042573B1 (ko) | 2010-11-17 | 2010-11-17 |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4229A KR101042573B1 (ko) | 2010-11-17 | 2010-11-17 |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42573B1 true KR101042573B1 (ko) | 2011-06-20 |
Family
ID=4440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4229A Active KR101042573B1 (ko) | 2010-11-17 | 2010-11-17 |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257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2215B1 (ko) * | 2013-07-29 | 2014-12-11 | (주)에어패스 | 조립식 인공폭포 장치 |
KR102067923B1 (ko) * | 2019-01-04 | 2020-01-17 | 신동헌 |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5301A (ko) * | 2005-02-22 | 2005-03-14 | 김성수 | 절개사면의 옹벽설치방법 |
KR100636085B1 (ko) | 2006-01-26 | 2006-10-18 | (주)리버앤텍 | 조립식 옹벽 구조체 |
KR20090126906A (ko) * | 2008-06-05 | 2009-12-09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백화 현상과 구조를 개선한 강화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인공폭포 |
US20100101170A1 (en) | 2008-10-24 | 2010-04-29 | Mancine Steven J | Modular construction block |
-
2010
- 2010-11-17 KR KR1020100114229A patent/KR10104257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25301A (ko) * | 2005-02-22 | 2005-03-14 | 김성수 | 절개사면의 옹벽설치방법 |
KR100636085B1 (ko) | 2006-01-26 | 2006-10-18 | (주)리버앤텍 | 조립식 옹벽 구조체 |
KR20090126906A (ko) * | 2008-06-05 | 2009-12-09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백화 현상과 구조를 개선한 강화인공암 및 이를 이용한인공폭포 |
US20100101170A1 (en) | 2008-10-24 | 2010-04-29 | Mancine Steven J | Modular construction block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2215B1 (ko) * | 2013-07-29 | 2014-12-11 | (주)에어패스 | 조립식 인공폭포 장치 |
KR102067923B1 (ko) * | 2019-01-04 | 2020-01-17 | 신동헌 | 자연축경식 석가산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951667B (zh) | 一种绿色生态边坡一体化加固方法 | |
KR101275615B1 (ko) |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 |
CN101982626A (zh) | 楼顶屋面建坡立体绿化方法 | |
CN1844611A (zh) | 盆式生态庭院及其建造方法 | |
KR101034445B1 (ko) | 인공 조경 시스템 | |
CN201865258U (zh) | 楼顶屋面绿化立体构造 | |
KR101701001B1 (ko) |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 |
KR101042573B1 (ko) | 명산을 도입한 자연 축경식 산수정원의 조립식 단위 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수정원의 조성방법 | |
KR101345525B1 (ko) |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 |
KR101179544B1 (ko) | 인공 조경 시스템 | |
JP2008092924A (ja) | 高保水ラス網パネルを利用した枠建式建造物施肥土、灌水及びビル壁面緑化建設工法。 | |
CN210695116U (zh) | 一种拼装式可循环应用的生态围墙 | |
CN217445975U (zh) | 一种灌草绿化花盆式结构 | |
JP2012023992A (ja) |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 |
CN215563828U (zh) | 一种梁结构、空中绿道走廊、绿化屋顶和活动平台 | |
CN215760052U (zh) | 一种dcs零坡度虹吸排水收集系统 | |
CN209428880U (zh) | 一种海绵城市雨水循环利用系统 | |
CN108103878A (zh) | 一种生态铺地构造 | |
CN212393316U (zh) | 一种模块化蓄水型花钵 | |
CN203057920U (zh) | 一种护栏花槽 | |
KR101345553B1 (ko) |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 |
CN112064891A (zh) | 一种具有种植功能的梁结构 | |
CN222424825U (zh) | 一种积木式景观花盆 | |
JP2002017161A (ja) | 緑化装置と建築物における屋上用緑化装置の形成方法 | |
CN203072446U (zh) | 一种适用于多层楼房未封闭阳台或露台的花园的花槽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