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11B1 -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911B1
KR101672911B1 KR1020160054199A KR20160054199A KR101672911B1 KR 101672911 B1 KR101672911 B1 KR 101672911B1 KR 1020160054199 A KR1020160054199 A KR 1020160054199A KR 20160054199 A KR20160054199 A KR 20160054199A KR 101672911 B1 KR101672911 B1 KR 10167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ivil engineering
block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박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공영 filed Critical 박공영
Priority to KR1020160054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9/1086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용 토목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블록을 제작함에 있어, 강도의 향상과 식재공의 형성이 일시에 가능하게 하는 등 구조적인 단순화로 토목블록 제작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내구성 향상 및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며, 특히 토목블록을 제작함에 있어 간호화된 공정으로 제작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의 증대와 제작인력의 감소와 제작 원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항시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최적의 조건이 유지되게 하는 등 녹화조성의 안정성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block civil engineering and block civil engineering using a slanted holder one-piece mesh}
본 발명은 식생용 토목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블록을 구성함에 있어 토목블록을 제조시 그 제조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기 위한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 도로·철도의 사면, 공원지역의 비탈면이나 하천제방, 해안도로 등의 옹벽을 공사함에 있어서, 토양안정과 경사면보호라는 측면을 최우선으로 중요시하여 전면 전체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콘크리트재 블록 또는 콘크리트재 패널로 마감한 옹벽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면으로 전면벽 전체를 마감하고 있는 종래의 옹벽은 주변 자연환경과 전혀 조화되지 않는 회색빛 외관을 제공하여 도회경관을 크게 해치고 있으며, 원래의 자연 생태계와는 이질적이어서 식물이나 미생물, 소동물 등의 자연 생태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면으로 된 전면벽 배수를 위해 배수구멍을 뚫어 놓고 자갈 등으로 뒷채움공사를 실시하고는 있으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수압 및 토압에 의해 붕괴될 위험성이 상존하는 등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 10-0934098 호 등에서는 상하부가 통하도록 식재공이 형성된 형태의 옹벽블록을 구성하여 이러한 옹벽블록들을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하고, 식재공에 토양을 채워 외부로 노출되는 식재공의 토양에 식물을 식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옹벽블록은 옹벽블록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는 것이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매우 협소하여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음은 물론 식재하는 식물의 종류가 제한적이며, 옹벽블록의 넓은 전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어 도회미관을 정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934098 호에 따른 옹벽블록의 후면과 측면에 구멍을 뚫어주어 어소용도로 활용하기도 하나 큰 크기의 구멍이 하나씩만 구성되므로 옹벽블록 내부에 채워지는 돌이나 자갈이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빠져나갈 수밖에 없어 어소용도로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었으며, 이러한 형상의 옹벽블록을 옹벽축조에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후면과 측면에 뚫려있는 구멍의 크기가 매우 커 후면과 측면의 토양 및 여기에 포함된 수분이 모두 이러한 구멍을 통해 유동됨에 따라 토양 중의 수압을 낮추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미미해지는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10-1429481호와 같이 전면판에 하방 경사 형태로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되어 식물의 전면 식재가 가능한 전면판과 다수의 수분유통공이 형성된 후면판이 지지대를 통해 연결된 토목블록을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식생용 토목블록은 제조상에 있어 블록내의 토양이 강우시 자연의 물리력에 의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경사각을 주되 경사의 각이 앞측의 아래부분과 뒤측의 윗부분이 최소한 같거나 더 낮게 조성되어야 하는 것인바, 식재공을 형성하기 위한 경사각을 주기 위하여 몰드의 외판과 내판에 구멍을 뚫어 별개의 구비된 쇠봉 등을 끼우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후 다시 쇠봉 등을 제거하여 조성였다.
이에, 블록을 제작함에 있어 제작상의 복잡함으로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었으며, 몰드 탈형시 식재공이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과, 블록 안에 다량의 물이 투입될 때 그 물의 힘에 의해 토양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단점이 있어 식재공의 블록 내부에 망을 데거나 부직포를 데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도 다른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상태에서 몰드를 탈형후, 그 블록에 기계적으로 식재공을 뚫어 조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블록은 부수적인 홀더 등의 구성품 제작에 따른 난해함과, 특히 분리된 구조의 특성상 식재공과 홀더간에 공차가 발생시 홀더가 식재공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강우시 블록 내부의 토압에 의해 홀더가 식재공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식물 성장에 장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34098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294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토목블록을 제작함에 있어, 강도의 향상과 식재공의 형성이 일시에 가능하게 하는 등 구조적인 단순화로 토목블록 제작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내구성 향상 및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며, 특히 토목블록을 제작함에 있어 간호화된 공정으로 제작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의 증대와 제작인력의 감소와 제작 원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항시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최적의 조건이 유지되게 하는 등 녹화조성의 안정성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면판과, 전면판의 후방으로 대항되게 이격 형성되는 후면판과, 전면판과 후면판의 양측을 연결하여 일체화 시키는 한편,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 상,하 관통형 토양 충전공간을 이루게 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며,
전면판과, 후면판과, 측면판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는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메쉬유닛이 매립되게 구성하되,
메쉬유닛은,
전면이 개방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는 한편 그 후단은 하부의 걸름망과 상부의 민판으로 마감되는 컵 형태를 이루며,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는 경사홀더;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경사홀더들을 연결하며, 일측면에는 함몰형 요홈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이 형성된 수직대; 및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경사홀더들을 연결하며, 일측면에는 함몰형 요홈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이 형성된 수평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청구항 제 1항의 토목블록을 제조하되,
후단이 하부의 걸름망과 상부의 민판으로 마감된 다수의 경사홀더와 일측면에 함몰형 요홈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이 각각 형성된 수직대와 수평대가 일체를 이루게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메쉬유닛을 제작하는 메쉬유닛 제작공정;
토목블록을 제작하기 위해 전면판부와 후면판부와 양측의 측면판부를 이루는 사각 관체 형태의 몰드를 구비하되, 제조된 메쉬유닛을 몰드의 전면판부와 후면판부와 측면판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인서트 설치하는 메쉬유닛 설치공정;
몰드의 전면판부와 후면판부와 측면판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토목블록을 얻는 양생공정; 및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몰드로부터 토목블록을 탈거하는 탈형공정을 포함하여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은, 토목블록에 강도 향상을 위한 수직대 및 수평대와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경사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제작하되, 간편하게 몰드에 결합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 및 제작이 가능하게 하는 등 제작상의 편리함으로 제작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의 증대 및 제작인력 감소 및 원가의 현격한 절감 및 강도의 향상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사홀더가 토목블록에 일체로 매설되어 있어 토목블록 내부에서 토압이 작용하더라도 경사홀더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항시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메쉬유닛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경사홀더 후면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의 메쉬유닛 제작공정을 통한 메쉬유닛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의 메쉬유닛 설치공정에 따른 몰드 분해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의 메쉬유닛 설치공정에 따른 몰드 결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의 메쉬유닛 설치공정 간략도.
도 10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의 콘크리트 타설공정 간략도.
도 11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의 양생공정 간략도.
도 12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의 탈형공정 간략도.
도 13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시공상태도.
도 14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시공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6는 본 발명 시공된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식물 식재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 시공된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식물의 정착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메쉬유닛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1)은, 콘크리트재로 구성되며 전면판(10)과, 전면판(10)의 후방으로 대항되게 이격 형성되는 후면판(20)과,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양측을 연결하여 일체화 시키는 한편,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사이에 상,하 관통형 토양 충전공간(40)을 이루게 하는 측면판(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는 메쉬유닛(100)이 매립되게 구성된 것으로, 메쉬유닛(100)은, 다수의 경사홀더(110)와, 수직대(131)과, 수평대(132)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경사홀더(110)는, 전방이 개방되고 후단은 마감되는 컵 형태로 구성되며,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에 매립됨에 있어서는 개방부가 외측으로 노출되고 마감부가 내측으로 노출되는 한편,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경사홀더(110)의 후단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하부의 메쉬 형태의 걸름망(111)과 상부의 민판(112)으로 마감되게 구성된다.
이때 걸름망(111)은, 먼저 경사홀더(110)에 식물이 식재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우천으로 수분이 침투시 걸름망(111)을 통해 하기하는 토양 충전공간(40)으로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토양의 유실은 방지되게 하는 수분통공(111a)이 형성된 것으로, 수분통공(111a)은 걸름망(111)의 둘레에 형성된다.
그리고, 걸름망(111)은, 중간부에 형성되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활착시 유통되어 토양 충전공간(40)으로 유도되는 다수의 활착 유도공(111b)이 형성된다.
즉, 걸름망(111)은, 경사홀더(110)에 식물이 식재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우천으로 수분이 침투시 걸름망(111)의 수분통공(111a)을 통해 하기하는 토양 충전공간(40)으로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토양의 유실은 방지되며, 뿌리가 성장시 걸름망(111)의 활착 유도공(111b)을 통과하여 토양 충전공간(40)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대(131)은, 다수의 경사홀더(110)를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수직대(131)의 일측면에는 함몰형 요홈(131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1b)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대(132)는, 다수의 경사홀더(110)를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수평대(132)의 일측면에는 함몰형 요홈(132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2b)가 형성된다.
즉, 메쉬유닛(100)은, 상기와 같이 상,하,좌,우 배열되는 다수의 경사홀더(110)와 수직대(131) 및 수평대(132)를 통해 격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대(13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사각홀 형태의 지지대 결합공(135)을 더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 결합공(135)에 결합되는 지지대(170)를 별도로 구성하되,
이때, 상기 지지대(170)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를 이루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둘레에는 상기 지지대 결합공(135)에 탄력 결합되도록 걸림돌부(173)를 갖는 탄력편(172)이 돌출 형성된 지지판(171)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때 지지대(170)는, 상기 수직대(131)의 지지대 결합공(135)에 삽입 및 탄력편(172)을 통해 지지대 결합공(135)에 탄력 결합 및 걸림돌부(173)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한편, 지지판(171)에 의해 수직대(131)에 밀착 지지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메쉬유닛(100)은,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고착력을 가지는 한편, 함몰형 요홈(131a)(132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1b)(132b)을 통해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이 증대되어 토목블록(1) 내구성을 현격히 향상시키게 구성된다.
또한, 경사홀더(110)의 전,후방 폭을 통해 그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의 두께를 보상하여 주게 되며, 경사홀더(110)에 충분한 토양의 충전이 가능하여 식재되는 식물의 식생시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식물이 성장시 뿌리가 원활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홀더(110)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그 형상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단면상 원형관으로 구성하거나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형상은 토목블록(1)이 시공되는 환경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도 5는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도이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은, 메쉬유닛 제작공정(S100)과, 메쉬유닛 설치공정(S200)과, 콘크리트 타설공정(S300)과, 양생공정(S400)과, 탈형공정(S500)을 수행하여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메쉬유닛 제작공정(S100)은,
토목블록(1)을 제조함에 있어,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의 보강 및 식물 식재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메쉬유닛(100)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상기 메쉬유닛(10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경사홀더(110)와 수직대(131)와 수평대(132)가 일체를 이루도록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가능하다.
이때, 상기와 같이 메쉬유닛(100)을 제작함에 있어, 경사홀더(110)의 후단이 마감되게 제작하되,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그 후단 하부는 수분의 유통은 가능하고 토양의 유실은 방지하기 위한 걸름망(111)을 이루게 하고, 상부는 수분과 토사 모두의 유통이 방지되도록 민판(112)으로 마감되게 한다.
이때 걸름망(111)은, 먼저 경사홀더(110)에 식물이 식재되어 성장하는 과정에서 우천으로 수분이 침투시 걸름망(111)을 통해 하기하는 토양 충전공간(40)으로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토양의 유실은 방지되게 하는 수분통공(111a)이 형성된 것으로, 수분통공(111a)은 걸름망(111)의 둘레에 형성된다.
그리고, 걸름망(111)은, 중간부에 형성되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활착시 유통되어 토양 충전공간(40)으로 유도되는 다수의 활착 유도공(111b)이 형성된다.
또한, 사출 성형되는 각각의 수직대(131)와 수평대(132)에는 일측면에 함몰형 요홈(131a)(132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1b)(132b)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쉬유닛(100)을 사출 성형함에 있어, 상기 수직대(13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사각홀 형태의 지지대 결합공(135)을 더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 결합공(135)에 결합되는 지지대(170)를 별도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70)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를 이루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둘레에는 상기 지지대 결합공(135)에 탄력 결합되도록 걸림돌부(173)를 갖는 탄력편(172)이 돌출 형성된 지지판(171)이 형성된다.
즉, 지지대(170)는, 상기 수직대(131)의 지지대 결합공(135)에 삽입 및 탄력편(172)을 통해 지지대 결합공(135)에 탄력 결합 및 걸림돌부(173)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한편, 지지판(171)에 의해 수직대(131)에 밀착 지지되게 구성된다.
이후, 상기 메쉬유닛 설치공정(S200)은,
먼저,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토목블록(1)을 제작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몰드(200)를 구비한다.
이때 몰드(200)는, 먼저 중앙에 사각형태의 관통홀(202)이 형성된 두께를 갖는 사각 형태의 지지플레이트(201)가 구성된다.
또한, 몰드(2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1)의 관통홀(202) 내주면에 힌지(H) 연결되어 내측으로 회동 가능한 4개 한 쌍의 내판(203)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내판(203)의 그 양단이 이웃하는 내판(203)과 소정 이격되게 구성함으로 내측으로의 회동시 이웃하는 내판(203)의 간섭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몰드(2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1)의 외둘레에 힌지(H) 연결되어 외측으로 회동 가능한 4개 한 쌍의 외판(204)이 구성된다.
또한, 몰드(200)는, 상기 관통홀(202)의 각각의 모서리에 수직 형성되어 이웃하는 내판(203)을 지지하며, 하부가 관통홀(202) 내부에서 지지플레이트(201)에 힌지(H) 연결되어 대각선 방향 즉 관통홀(202)의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4개 한 쌍의 내판 지지대(205)가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몰드(200)을 사용시에는 지지플레이트(201)에 각각 힌지(H) 연결된 각각의 내판(203)과 외판(204)을 힌지(H) 회동시켜 기립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상기 각각의 내판(203)과 외판(204)의 사이에 공간 형태의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양측의 측면판부(230)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판(203)이 기립된 상태에서 내판 지지대(205)를 힌지(H) 회동시켜 내판(203)이 이웃하는 모서리에 기립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웃하는 내판(203)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립된 외판(204) 및 내판 지지대(205)는 별도의 바(도면중 미도시함)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것이다.
이에, 메쉬유닛(100)을 도 9의 도시와 같이 몰드(200)의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양측의 측면판부(230)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인서트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인서트시 메쉬유닛(100)의 지지대(170)가 내판(203)과 외판(204)에 지지되는 한편, 각각의 경사홀더(110)의 양단부 또한 내판(203)과 외판(204)에 면접된 상태를 이루고, 각각의 수직대(131)와 수평대(132)는 내판(203)과 외판(204) 사이에 공간부에 위치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몰드(200)의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측면판부(230)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메쉬유닛(100)을 형성함은, 일예로 전면판(10)에만 형성시 전면판(10)의 보강은 물론 경사홀더(110)를 통해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게 되고, 후면판(20)에 메쉬유닛(100)을 형성시 후면판(20)의 보강 및 경사홀더(110)을 통해 사면과 접하여 시공되는 과정에서 토양 충전공간(40)과 사면의 수분통로 역할을 하게되며, 측면판(30)에 메쉬유닛(100)을 형성시 측면판(30)의 보강 및 경사홀더(110)을 통해 이웃하여 설치되는 토목블록(1)과의 토양 결속력 부여 및 수분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콘크리트 타설공정(S300)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와 같이 메쉬유닛(100)이 몰드(200)에 인서트 된 상태에서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측면판부(230)에 콘크리트(300)를 주입 타설하면 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여 메쉬유닛(100)의 각각의 수직대(131)와 수평대(132)에 형성된 함몰형 요홈(131a)(132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1b)(132b)에는 콘크리트가 유입 충전되어 메쉬유닛(100)의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이 증대되게 된다.
이후, 양생공정(S400)은,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에서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킴으로 토목블록(1)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양생방법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고 통상의 콘크리트 토목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의 양생방법과 같이 자연 양생시키거나 별도의 양생실에서 양생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메슈유닛(100)의 수직대(131)와 수평대(132)는 콘크리트와의 고착력이 부여되고, 그 수직대(131)와 수평대(132)에 형성된 함몰형 요홈(131a)(132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1b)(132b)에 유입 충전된 콘크리트를 통해 결속력 및 고착력이 더욱 증대되어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측면판부(230)의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이후, 탈형공정(S500)은,
도 12의 도시와 같이 상기와 같이 양생된 토목블록(1)으로부터 몰드(200)를 탈형시키면 되는 것으로, 몰드(200)의 탈형시에는, 먼저 몰드(200) 외판(204)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수단을 탈거 및 외판(204)을 지지플레이트(201)로부터 힌지(H) 회동시켜 양생된 토목블록(1)으로부터 탈형 시키킨다.
이후, 내판(203)을 탈거하되, 먼저 내판(203)을 지지하고 있는 내판 지지대(205)를 지지플레이트(201)로부터 힌지(H) 회동시켜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내판(203)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며, 내판(203)은 지지플레이트(201)로부터 힌지(H) 회동시켜 토목블록(1)으로부터 탈형하면 된다.
이에, 토목블록(1)을 감싸고 있는 내판(203) 및 외판(204)가 분리된 것인바, 양생된 토목블록(1)은 지지플레이트(201)로부터 탈거하면 되는 것으로, 메쉬유닛(100)이 일체 형성된 토목블록(1)의 제조가 완료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제작된 토목블록(1)은 경사홀더(110)를 갖는 메쉬유닛(100)이 일체 형성된 것인바,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는 한편, 별도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을 형성하기 위한 쇠봉 등의 설치 및 탈거나 식재공의 타공 및 식재공에 별도의 경사홀더의 설치가 필요없게 되는 등 토목블록(1)의 제작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특히, 토목블록(1)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경사홀더(110)를 형성함에 있어,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 중 원하는 곳에 메쉬유닛(100)을 설치함으로 경사홀더(110)의 형성이 가능한 것인바, 필요에 따라 하나의 몰드(200)로 다양한 토목블록(1)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몰드(200)로부터 양생된 토목블록(1)을 탈거함에 있어서도, 몰드(200) 전체를 탈형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외판(204)만을 탈형 후, 탈거가 가능한 것인바,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은, 견고하면서도 매우 실용적인 토목블록을 얻을 수 있으면, 이러한 토목블록의 제작 또한 매우 간편하여 그 생산성의 현격한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제조된 토목블록(1)의 시공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토목블록(1)은, 옹벽, 어소, 방틀, 석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후면판(20)이 굴착된 설치면에 면접된 상태로, 좌,우 배열 및 상,하로 적층시키면 되는 것이며, 적층시에는 하단의 토목블록(1)과 상단의 토목블록(1)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토목블록(1)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그 내부의 토양 충전공간(40)에는 보강토 토양을 지속적으로 충전하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층하는 방식으로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계단식 적층 또한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적층 시공된 토목블록(1)은 그 후면판(20)을 통해 설치면에 안정된 지지력이 부여되고 전면판(10)은 노출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도 16의 도시와 같이 전면판(10)에 형성된 경사홀더(110)에는 식물의 식재에 필요한 토양을 충전하여 가면서 식물을 종자나 모종을 식재하면 되는 것으로, 이렇게 식재된 식물을 통해 토목블록(1) 전면의 녹화가 가능하며, 특히 도 17의 도시와 같이 경사홀더(110)의 후단 걸름망(111)의 활착 유도공(111b)을 통해 식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뿌리가 고르게 유통되어 토양 충전공간(40)에 정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식물의 안정된 성장 유도에 따른 활착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을 시공함에 있어, 식물의 식재를 위해 별도의 식재공을 형성하거나 경사홀더의 결합과정 없이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식물의 식재시 그 식물의 안정된 성장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10 : 전면판 20 : 후면판
30 : 측면판 40 : 토양 충전공간
100 : 메쉬유닛 110 : 경사홀더
111 : 걸름망 111a : 수분통공
111b : 활착 유도공 112 : 민판
131 : 수직대 131a : 요홈
131b : 결속공 132 : 수평대
132a : 요홈 132b : 결속공
135 : 지지대 결합공 170 : 지지대
171 : 지지판 172 : 탄력편
173 : 걸림돌부 200 : 몰드
201 : 지지플레이트 202 : 관통홀
203 : 내판 204 : 외판
205 : 내판 지지대
210 : 전면판부 220 : 후면판부
230 : 측면판부 300 : 콘크리트
S100 : 메쉬유닛 제작공정 S200 : 메쉬유닛 설치공정
S300 : 콘크리트 타설공정 S400 : 양생공정
S500 : 탈형공정

Claims (7)

  1. 전면판(10)과, 전면판(10)의 후방으로 대항되게 이격 형성되는 후면판(20)과,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양측을 연결하여 일체화 시키는 한편,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사이에 상,하 관통형 토양 충전공간(40)을 이루게 하는 측면판(30)으로 구성되며,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는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메쉬유닛(100)이 매립되게 구성하되,
    메쉬유닛(100)은,
    전면이 개방되고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는 한편 그 후단은 하부의 걸름망(111)과 상부의 민판(112)으로 마감되는 컵 형태를 이루며,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는 경사홀더(110);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경사홀더(110)들을 연결하며, 일측면에는 함몰형 요홈(131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1b)이 형성된 수직대(131); 및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경사홀더(110)들을 연결하며, 일측면에는 함몰형 요홈(132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2b)이 형성된 수평대(132)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경사홀더(110)의 걸름망(111)은,
    둘레에 형성되어 수분의 유통이 가능하게 하는 수분통공(111a)과, 중간부에 다수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가 활착시 유통되는 다수의 활착 유도공(111b)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직대(131)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대 결합공(135)을 더 형성하고, 지지대 결합공(135)에 결합되는 지지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지지대(170)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과 측면판(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를 이루며, 둘레에는 지지대 결합공(135)에 탄력 결합되는 걸림돌부(173)를 갖는 탄력편(172)이 돌출 형성된 지지판(171)이 형성되어, 수직대(131)의 지지대 결합공(135)에 삽입 및 탄력편(172)을 통해 지지대 결합공(135)에 탄력 결합 및 지지판(171)에 의해 수직대(131)에 밀착 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4. 청구항 제 1항의 토목블록을 제조하되,
    후단이 하부의 걸름망(111)과 상부의 민판(112)으로 마감된 다수의 경사홀더(110)와 일측면에 함몰형 요홈(131a)(132a)과 다수의 관통형 결속공(131b)(132b)이 각각 형성된 수직대(131)와 수평대(132)가 일체를 이루게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메쉬유닛(100)을 제작하는 메쉬유닛 제작공정(S100);
    토목블록을 제작하기 위해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양측의 측면판부(230)를 이루는 사각 관체 형태의 몰드(200)를 구비하되, 제조된 메쉬유닛(100)을 몰드(200)의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측면판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인서트 설치하는 메쉬유닛 설치공정(S200);
    몰드(200)의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측면판부(230)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콘크리트 타설공정(S300);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시켜 토목블록(1)을 얻는 양생공정(S400); 및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몰드(200)로부터 토목블록(1)을 탈거하는 탈형공정(S500)을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메쉬유닛 제작공정(S100)에서,
    각각의 경사홀더(110)의 걸름망(111)은,
    경사홀더(110)의 걸름망(111)은,
    둘레에 형성되어 수분의 유통이 가능하게 하는 수분통공(111a)과, 중간부에 다수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가 활착시 유통되는 다수의 활착 유도공(111b)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메쉬유닛(100)의
    각각의 수직대(131)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대 결합공(135)을 더 형성하고, 지지대 결합공(135)에 결합되어 몰드(200)의 내판(203)과 외판(204)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대(170)를 더 형성하되,
    지지대(170)는,
    내판(203)과 외판(204)의 이격 길이를 이루며, 둘레에는 지지대 결합공(135)에 탄력 결합되는 걸림돌부(173)를 갖는 탄력편(172)이 돌출 형성된 지지판(171)이 형성되어, 수직대(131)의 지지대 결합공(135)에 삽입 및 탄력편(172)을 통해 지지대 결합공(135)에 탄력 결합 및 지지판(171)에 의해 수직대(131)에 밀착 지지되게 구성하며,
    메쉬유닛 설치공정(S200)에서,
    메쉬유닛(100)의 지지대(170)가 내판(203)과 외판(204)에 지지되는 한편, 각각의 경사홀더(110)의 양단부 또한 내판(203)과 외판(204)에 면접된 상태를 이루고, 각각의 수직대(131)와 수평대(132)는 내판(203)과 외판(204) 사이에 공간부에 위치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몰드(200)는,
    중앙에 사각형태의 관통홀(202)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지지플레이트(201);
    지지플레이트(201)의 관통홀(202) 내주면에 힌지(H) 연결되어 내측으로 회동 가능한 4개 한 쌍의 내판(203);
    지지플레이트(201)의 외둘레에 힌지(H) 연결되어 외측으로 회동 가능한 4개 한 쌍의 외판(204);
    관통홀(202)의 각각의 모서리에 수직 형성되어 이웃하는 내판(203)을 지지하며, 하부가 관통홀(202) 내부에서 지지플레이트(201)에 힌지(H) 연결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4개 한 쌍의 내판 지지대(205)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각각의 내판(203)과 외판(204)의 사이에 전면판부(210)와 후면판부(220)와 양측의 측면판부(230)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제조방법.
KR1020160054199A 2016-05-02 2016-05-02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KR10167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199A KR101672911B1 (ko) 2016-05-02 2016-05-02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199A KR101672911B1 (ko) 2016-05-02 2016-05-02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911B1 true KR101672911B1 (ko) 2016-11-04

Family

ID=5753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199A KR101672911B1 (ko) 2016-05-02 2016-05-02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7939A (ja) * 1996-11-20 1998-06-02 Takenaka Komuten Co Ltd 植栽基盤造成方法及び植栽ブロック
KR20090098339A (ko) * 2008-03-14 2009-09-17 유해준 식재공관
KR100934098B1 (ko) 2009-07-13 2009-12-24 이영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KR101417672B1 (ko) * 2013-08-20 2014-07-09 박공영 벽면 녹화구조물
KR101429481B1 (ko) 2013-12-18 2014-08-18 벽화수주식회사 토목용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7939A (ja) * 1996-11-20 1998-06-02 Takenaka Komuten Co Ltd 植栽基盤造成方法及び植栽ブロック
KR20090098339A (ko) * 2008-03-14 2009-09-17 유해준 식재공관
KR100934098B1 (ko) 2009-07-13 2009-12-24 이영암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KR101417672B1 (ko) * 2013-08-20 2014-07-09 박공영 벽면 녹화구조물
KR101429481B1 (ko) 2013-12-18 2014-08-18 벽화수주식회사 토목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919B1 (ko)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KR200455592Y1 (ko) 절토부 옹벽용 패널
KR20180134445A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용 거푸집
KR101672911B1 (ko)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토목블록 및 그 토목블록 제조방법
KR102157763B1 (ko) 앵커패널과 개비온월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29481B1 (ko) 토목용 블록
KR101231123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생태블록 시공방법 및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383624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1395104A (zh) 彩色沥青梁浇筑式商品住宅小区景观路面
KR101900728B1 (ko)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101699440B1 (ko) 옹벽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KR100654629B1 (ko)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1201917B1 (ko) 패널, 이 패널을 이용한 펜스, 이 펜스 시공방법, 이 펜스를 이용한 혼합토 성토구조물 시공방법
JP3537398B2 (ja) 組立柵工
KR20120001556U (ko) 시설물의 기초 구조물
KR101775431B1 (ko) 친환경 식생 호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3586020B2 (ja) 擁壁の植栽方法と植栽可能な擁壁
KR101331826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0999938B1 (ko) 그린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최상층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옥상 정원 구조체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JP3140759U (ja) 外構用基礎構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