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92Y1 - 절토부 옹벽용 패널 - Google Patents

절토부 옹벽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92Y1
KR200455592Y1 KR2020090005797U KR20090005797U KR200455592Y1 KR 200455592 Y1 KR200455592 Y1 KR 200455592Y1 KR 2020090005797 U KR2020090005797 U KR 2020090005797U KR 20090005797 U KR20090005797 U KR 20090005797U KR 200455592 Y1 KR200455592 Y1 KR 200455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body portion
retaining wall
panel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378U (ko
Inventor
이희철
Original Assignee
이희철
그린포스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철, 그린포스이앤씨(주) filed Critical 이희철
Priority to KR2020090005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9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Abstract

본 고안은 지반에 고정되는 인장재가 관통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강하고, 나머지 부분은 구조적으로 얇게 제작함으로써 과도한 콘크리트 사용을 방지한 절토부 옹벽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절토부 옹벽용 패널은, 사각 판재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하향 관통 형성된 인장재 구멍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인장재 구멍에 안착되는 인장재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몸체부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인장재 구멍 주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몸체부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구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와 보강구의 구조적인 두께 차이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구를 통해 몸체부를 국소적으로 보강함으로써 몸체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소모량을 줄이고, 인장재의 인장시 몸체부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분산시켜 안정된 옹벽 지지구조를 구축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과도한 콘크리트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제작 비용의 절감을 이루고,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축조되는 경우, 외관이 우수하게 축조될 수 있으며, 패널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분산시켜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지반, 인장재, 절토부 옹벽용 패널, 보강구, 지압 응력, 보강사면

Description

절토부 옹벽용 패널{SUPPORT PANEL FOR A GROUND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경사지에 설치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지반에 고정되는 인장재가 관통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강하고, 나머지 부분은 구조적으로 얇게 제작함으로써 과도한 콘크리트 사용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옹벽 구축이 가능하고, 양측 모서리에 호형 만곡부를 형성하여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에 적합하게 축조될 수 있으며, 양측 모서리 배면에는 헌치부를 형성하여 인장재의 인장시 패널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감소시키고 유공관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절토부 옹벽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이 무너지지 않게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는 벽체를 옹벽이라 한다. 이와 같은 옹벽들 중에는 영구 앵커를 이용한 옹벽과 인장재, 예를 들면 락볼트를 이용한 옹벽들이 있다.
이와 같은 영구 앵커를 이용한 옹벽은 경사지의 사면을 따라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고, 영구 앵커를 소정간격으로 설치하므로써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가 경사지의 사면을 따라 밀착되어 경사지의 사면을 덮음으로써 경사지의 사태를 방지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영구 앵커 를 이용하는 옹벽은 경사지 전체를 콘크리트 벽체로 덮음으로써 옹벽에 수목식재등의 식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1a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장재를 이용한 옹벽(1)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1)은 계단형태로 절토된 원지반(10)에 고정된 인장재(20)와, 계단 형태의 가상 수직면과 마주하게 적층되고, 인장재(20)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패널(30)들을 포함하며, 이런 패널(30)과 절토된 원지반(10)의 사이는 성토된다. 따라서 계단형태의 성토지(40)에서 수평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식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장재(20)를 이용한 옹벽(1)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패널(30)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이 두꺼운 사각판재 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중앙에는 인장재 구멍(32)이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관통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패널(30)은 전면과 배면 사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꺼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제작에 필요한 콘크리트 소모량이 과다하여 제작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용 패널(30)은 그 양측 모서리가 단순한 직각 모서리(34a)(34b)를 형성하기 때문에 보강 사면이 평면상 직선이 아니고,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패널(30)과 패널(30)의 모서리 이음부가 통일성 있게 보강되지 못하여 옹벽 축소시 외관이 통일되지 못하고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반에 고정되는 인장재가 관통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강하고, 나머지 부분은 구조적으로 얇게 제작함으로써 과도한 콘크리트 사용을 방지하여 제작 비용의 절감을 이루며, 경제적인 옹벽 구축이 가능한 절토부 옹벽용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을 따라서 적합하게 축조될 수 있으며, 인장재의 인장시 패널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분산시켜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축하고, 유공관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절토부 옹벽용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사지에 설치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에 있어서, 사각 판재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하향 관통 형성된 인장재 구멍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인장재 구멍에 안착되는 인장재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된 몸체부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인장재 구멍 주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몸체부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구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와 보강구의 구조적인 두께 차이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구를 통해 몸체부를 국소적으로 보강함으로써 몸체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소모량을 줄이고, 인장재의 인장시 몸체부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분산 시켜 안정된 옹벽 지지구조를 구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통하여 과도한 콘크리트 사용을 방지하여 패널 제작 비용의 절감을 이루며, 경제적인 옹벽 구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그 양측 모서리에 호형의 둥근 만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만곡부는 몸체부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향하여 휘어진 둥근 모서리를 형성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을 따라서 적합하게 축조될 수 있으며, 통일성 있게 외관을 유지하여 정돈된 절토부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그 양측 모서리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헌치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유공관을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인장재의 인장시 패널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분산시켜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축하고, 유공관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구는 그 바닥면은 몸체부의 바닥면에 일치하는 평면이고, 그 상면 및 양측면은 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질수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구는 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질수록 그 단면 크기가 축소되는 사각 뿔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를 통하여 보강구의 단면은 몸체부의 배면쪽이 크고 점차 작아지는 크기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몸체부의 배면을 보강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와 보강구는 인장재 구멍의 단면이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향할수록 인장재 구멍의 상부면보다 바닥면이 점차 깊어지 는 형태로 형성되어 인장재 구멍의 전방 단면보다 인장재 구멍의 후방 단면이 크게 형성되고, 인장재 구멍내에 끼워진 인장재의 장착각도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인장재의 설치각도를 보다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서 보다 쉽게 원지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그 하부 양측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몸체부와 원지반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고 안정된 지반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그 전면에 인장재 구멍을 막는 뚜껑을 구비하여 외부와 격리시킴으로써 인장재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인장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패널의 전면부 외관을 우수하게 꾸밀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부의 배면에 보강구를 일체로 형성하되, 몸체부와 보강구의 구조적인 두께 차이를 형성하여 보강구를 통해 몸체부를 국소적으로 보강함으로써 몸체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소모량을 줄이고, 지반에 고정되는 인장재가 관통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 제작에 사용되는 과도한 콘크리트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제작 비용의 절감을 이루며, 경제적인 옹벽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부의 양측 모서리에 호형의 둥근 만곡부를 형성하고, 만곡부는 몸체부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향하여 휘어진 둥근 모서리를 형성 함으로써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축조되는 경우, 모서리의 이음부가 통일성 있게 정돈되어 축조된 후에는 외관이 우수하게 축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부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헌치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유공관을 배치함으로써 인장재의 인장시 패널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분산시켜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축하고, 유공관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도 얻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패널의 전면에 보강구가 있는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앵커의 보강구를 패널 내측에 은폐하므로써 패널 전면부에 앵커 보강구의 돌출을 제거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가 앵커 보강구에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전면이 돌출된 보강부가 없이 매끄러운 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패널의 전면 전체에 대해 다양한 문양을 새길 수 있게 되므로 패널의 경관성이 우수해진다. 뿐만 아니라, 패널의 전면에 보강구가 있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패널의 배면에 토사를 최대한 충진할 수 있게 되므로 식물 또는 미생물의 생장 조건이 양호해진다. 만일 보강구가 전면에 있으면 사각판재가 성토 부분을 차지하므로 성토량이 줄어들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배면 보강구의 상부와 측면에서 패널의 콘크리트 절단부만큼 토사충진이 많아질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110)의 배면에 보강구(120)가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110)를 국소적으로 보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100)은 몸체부(110)가 사각 판재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하향 관통 형성된 인장재 구멍(11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인장재 구멍(112)에 안착되는 인장재(150)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안착홈(116)을 오목하게 형성한 구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몸체부(110)의 배면에는 보강구(12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보강구(120)는 몸체부(110)의 인장재 구멍(112) 주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몸체부(110)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10)와 보강구(120)는 각각 구조적인 두께 차이를 형성하게 되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는 그 배면에 보강구(1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이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절단부(130)를 형성한다.
즉 상기 몸체부(110)는 보강구(120)를 통해 인장재 구멍(112)의 주위가 국소적으로 보강됨으로써 몸체부(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절단부(130)에서 불필요한 콘크리트 소모량이 크게 줄어들게 되어 제작단가가 줄어들게 되고,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인장재(150)의 인장시 몸체부(110)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은 두께가 강화된 보강구(120)가 분산시키고 지탱하여 안정된 옹벽 지지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절토부 옹벽용 패널(10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지반(140)에 인장재(150)를 통해서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한 측방 모서리에는 각각 부직포(142)가 배치되어 몸체부(110)의 배면에 성토되는 토양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절토부 옹벽용 패널(1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는 그 양측 모서리에 호형의 둥근 만곡부(160)를 형성하며, 상기 만곡부(160)는 몸체부(11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향하여 휘어진 둥근 모서리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부(110)는 이와 같은 둥근 만곡부(160)의 구조로 인하여 몸체부(110)의 전면보다 배면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둥근 만곡부(160)를 형성한 구조에서는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의 원지반(140)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축조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만곡부(160)의 구조로 인하여 모서리부가 선접촉으로 맞닿게 되어 모서리의 이음부가 통일성 있게 정돈되고, 축조된 후에는 외관이 우수하게 축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서로 인접한 측방 모서리에는 각각 부직포(142)가 배치되어 몸체부(110)의 배면에 성토되는 토양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보강구(120)는 그 바닥면(122a)이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일치하는 평면이고, 그 상면(122b) 및 양측면(122c)(122d)은 몸체부(110)의 배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질수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강구(120)는 몸체부(110)의 배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질수록 그 단면 크기가 축소되는 사각 뿔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배면에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구조적으로 보강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상기 몸체부(110)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 모서리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헌치부(170)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유공관(180)을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다수의 패널(100)들을 나란하게 배치한 경우, 헌치부(170)들이 서로 인접하게 되어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오목한 공간의 내측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유공관(180)을 배치함으로써 패널 배면의 지표수의 배수를 원활히 하는 유공관(180)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유공관(180)에는 그 상단에 마개(182)를 장착하거나, 부직포(142)를 에워싸고, 그 유공관(180)의 중간 몸체에는 부직포(184)를 둘러싸서 뒷채움 콘크리트(200)의 타설시 콘크리트에 의해 유공관(180)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몸체부(110)와 보강구(120)는 인장재 구멍(112)의 단면이 단순한 중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인장재 구멍(112)은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향할수록 인장재 구멍(112)의 상부면(114a)보다 바닥면(114b)이 점차 깊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인장재 구멍(112)의 전방 단면(d1)보다 인장재 구멍(112)의 후방 단면(d2)이 크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인장재 구멍(1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면(d1)보다 인장재 구멍(112)의 후방 단면(d2)이 크게 형성되고, 인장재 구멍(112)은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향할수록 인장재 구멍(112)의 상부면(114a)보다 바닥면(114b)이 점 차 깊어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인장재 구멍(112)내에 끼워진 인장재(150)의 장착각도를 상하로 보다 여유롭게 조정하여 원지반(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인장재(150)의 설치각도를 보다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서 보다 쉽게 원지반(14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몸체부(110)가 그 하부 양측에 배수공(190)을 형성하여 몸체부(110)와 원지반(140)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는 그 전면에 인장재 구멍(112)을 막는 뚜껑(195)을 구비하여 몸체부(110)에 고정된 인장재(150)를 외부와 격리시킴으로써 인장재(15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지반(140)에 인장재(150)를 통하여 설치된다.
즉 본 고안은 옹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선을 따라 절토하여 원지반(140)을 형성하고, 지반(140a)을 수평 정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반(140a)을 정리한 다음, 상기 원지반(140)에 천공기(미 도시)를 통하여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도록 천공구멍(146)을 형성하며, 그 다음에는 인장재(150)를 천공구멍(146)에 삽입하고, 그라우팅(Grouting)(148)으로 충전하여 양생시킨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본 고안의 패널(100)을 지반에 안착시키고, 인장재 구멍(112)에는 슬리브(154)를 설치한 다음, 인장재(150)를 인장재 구멍(112)으로 관통시켜 두부(頭部)(156)를 고정시킴으로써 프리캐스트 패널(100)이 경사지의 반대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다음으로는 본 고안의 패널(100)의 몸체부(110) 배면과 경사지의 원지반(140) 사이에 숏크리트 또는 뒷채움 콘크리트(200)를 타설 양생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유공관(180)으로 이루어진 배수관을 몸체부(110)의 배면에 설치하거나, 몸체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헌치부(170)에 삽입하여 세운 다음, 몸체부(110)의 배수공(190)에 연결시키고, 숏크리트 또는 뒷채움 콘크리트(200)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숏크리트 또는 뒷채움 콘크리트(200)의 양생이 완료되면 몸체부(110)의 전면에서 긴장장치(미 도시)를 도입하여 인장재(150)를 긴장시키고, 인장재 캡(150a)을 씌워서 두부(156)를 정리하고, 뚜껑(195)으로 인장재 구멍(112)을 덮어서 마감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배면과 경사지의 원지반(140) 사이에서 숏크리트 또는 뒷채움 콘크리트(200)의 상부에 성토하여 성토지(210)를 조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토지(210)를 조성한 다음에는, 성토지(210)에 수목을 식생시킬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열(列)의 절토부 옹벽을 상하에 연이어서 형성한 다음, 후에 수목을 식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경사지에 설치되는 절토부 옹벽의 구축용으로 사용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몸체부(110)의 배면에 보강구(120)를 일체로 형성하되, 몸체부(110)와 보강구(120)의 구조적인 두께 차이를 형성하여 보강구(120)를 통해 몸체부(110)를 국소적으로 보강한 것이다.
따라서 몸체부(110)의 제작시 종래와 같이 전체적으로 과도하게 두껍게 제작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지반에 고정되는 인장재(150)가 관통하여 집중적으로 지압을 받는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과도한 콘크리트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제작 비용의 절감을 이루고, 경제적인 옹벽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몸체부(110)의 양측 모서리에 호형의 둥근 만곡부(160)를 형성하고, 만곡부(160)는 몸체부(11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향하여 휘어진 둥근 모서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의 원지반(140)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축조되는 경우, 모서리의 이음부가 통일성 있게 정돈되어 축조된 후에는 외관이 우수하게 축조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부(11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헌치부(170)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유공관(180)을 배치함으로써 헌치부(170)에서 인장재(150)의 인장시 패널(100)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분산시켜 더욱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축할 수 있고, 유공관(180)의 위치를 안정되게 고정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을 이용하여 경사지 옹벽을 축조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을 이용하여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의 원지반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축조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에서 양측 모서리에 만곡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의 만곡부를 이용하여 요철이 있는 보강사면의 원지반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축조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에서 양측 모서리에 만곡부가 형성되고, 헌치부가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의 만곡부와 헌치부를 이용하여 유공관을 배치하고 축조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의 인장재 구멍에 인장재가 삽입되고, 경사각도가 조정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절토부 옹벽용 패널을 이용하여 경사지 옹벽을 축조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옹벽 10..... 원지반
20.... 인장재 30..... 패널
32..... 인장재 구멍 34a,34b.... 직각 모서리
40,210.... 성토지 100.... 본 고안의 절토부 옹벽용 패널
110.... 몸체부 112.... 인장재 구멍
114a.... 상부면 114b.... 바닥면
120.... 보강구 122a.... 바닥면
122b... 상면 122c,122d... 양측면
130.... 콘크리트 절단부 140.... 원지반
142,184.... 부직포 146.... 천공구멍
148.... 그라우팅(Grouting) 150.... 인장재
150a... 인장재 캡 156.... 인장재 두부
160.... 만곡부 170.... 헌치부
180.... 유공관 182.... 마개
190.... 배수공 195.... 뚜껑
200.... 숏크리트 또는 뒷채움 콘크리트
d1.... 전방 단면 d2.... 후방 단면

Claims (7)

  1. 경사지에 설치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에 있어서,
    사각 판재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하향 관통 형성된 인장재 구멍(11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상기 인장재 구멍(112)에 안착되는 인장재(150)의 머리부(156)가 수용되는 안착홈(116)이 오목하게 형성된 몸체부(110)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인장재 구멍(112) 주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몸체부(110)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구(120)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110)와 보강구(120)의 구조적인 두께 차이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구(120)를 통해 몸체부(110)를 국소적으로 보강함으로써 몸체부(110)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소모량을 줄이고, 인장재(150)의 인장시, 몸체부(110)에 가해지는 지압 응력을 분산시켜 안정된 옹벽 지지구조를 구축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그 양측 모서리에 호형의 둥근 만곡부(160)를 형성하며, 상기 만곡부(160)는 몸체부(110)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향하여 휘어진 둥근 모서리를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그 양측 모서리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오목한 헌치부(170)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 유공관(180)을 배치한 것임을 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120)는 그 바닥면(122a)은 몸체부(110)의 바닥면에 일치하는 평면이고, 그 상면(122b) 및 양측면(122c)(122d)은 몸체부(110)의 배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질수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구(120)는 몸체부(110)의 배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질수록 그 단면 크기가 축소되는 사각 뿔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와 보강구(120)는 인장재 구멍(112)의 단면이 전면으로부터 배면으로 향할수록 인장재 구멍(112)의 상부면(114a)보다 바닥면(114b)이 점차 깊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인장재 구멍(112)의 전방 단면(d1)보다 인장재 구멍(112)의 후방 단면(d2)이 크게 형성되고, 인장재 구멍(112) 내에 끼워진 인장재(150)의 장착각도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그 하부 양측에 배수공(190)을 형성하여 몸체부(110)와 원지반(140)사이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는 그 전면에 인장재 구멍(112)을 막는 뚜 껑(195)을 구비하여 외부와 격리시킴으로써 인장재(150)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용 패널.
KR2020090005797U 2009-05-13 2009-05-13 절토부 옹벽용 패널 KR200455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97U KR200455592Y1 (ko) 2009-05-13 2009-05-13 절토부 옹벽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97U KR200455592Y1 (ko) 2009-05-13 2009-05-13 절토부 옹벽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78U KR20100011378U (ko) 2010-11-23
KR200455592Y1 true KR200455592Y1 (ko) 2011-09-15

Family

ID=4420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797U KR200455592Y1 (ko) 2009-05-13 2009-05-13 절토부 옹벽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208B1 (ko) * 2011-05-30 2012-03-05 이홍규 가변 지지대가 구비된 옹벽블록과 연결블록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364316B1 (ko) 2021-06-29 2022-02-17 주식회사 신광콘크리트 뉴캐슬록블록의 구조 및 상기 뉴캐슬록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163B1 (ko) * 2014-07-10 2016-09-09 김영호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628079B1 (ko) * 2015-06-22 2016-06-08 (주)케미우스코리아 사면 보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76289B1 (ko) * 2017-10-16 2018-07-09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보강블럭을 구비하는 옹벽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패널 시공방법
KR101863300B1 (ko) * 2017-10-16 2018-05-30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보강블럭을 이용한 옹벽패널 시공방법
KR102445385B1 (ko) * 2021-10-18 2022-09-20 주식회사 여명건설 배수로가 형성된 옹벽패널 및 이 옹벽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67Y1 (ko) 1999-11-26 2000-04-15 조용상 조립식 옹벽 알씨 블럭
KR20010088532A (ko) * 2001-08-02 2001-09-28 정성필 사면붕괴방지를 겸한 녹화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100873408B1 (ko) 2008-07-11 2008-12-12 주식회사 지오환경 세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구조
KR20090028964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에코밸리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67Y1 (ko) 1999-11-26 2000-04-15 조용상 조립식 옹벽 알씨 블럭
KR20010088532A (ko) * 2001-08-02 2001-09-28 정성필 사면붕괴방지를 겸한 녹화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20090028964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에코밸리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73408B1 (ko) 2008-07-11 2008-12-12 주식회사 지오환경 세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208B1 (ko) * 2011-05-30 2012-03-05 이홍규 가변 지지대가 구비된 옹벽블록과 연결블록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364316B1 (ko) 2021-06-29 2022-02-17 주식회사 신광콘크리트 뉴캐슬록블록의 구조 및 상기 뉴캐슬록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78U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592Y1 (ko) 절토부 옹벽용 패널
KR101652163B1 (ko)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140078395A (ko) 중력블록형 합벽식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100123339A (ko) 단지개발 및 도로건설 절토부에 적용하는 생태 연통관을 구비한 식생용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97727B1 (ko) 절토부 옹벽 시공구조 및 설치방법
CN209555948U (zh) 一种拼装式生态桩间挡土板构造
KR20040076713A (ko) 영구앵커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 구조및 옹벽의 시공방법
KR20060101186A (ko)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JPH04161610A (ja) 液状化地盤の改良方法
JP4795810B2 (ja) コンクリート床形成方法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KR102157763B1 (ko) 앵커패널과 개비온월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87838B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US20220145571A1 (en) Floating Foundation
KR200183206Y1 (ko) 옹벽용 블럭
KR100779583B1 (ko) 보강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안정 및 보강공법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0543799B1 (ko) 도로 비탈면 보강토 옹벽 구조
JPH09195289A (ja) 補強土壁面ブロックおよび補強土壁面構造
KR1024943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200357962Y1 (ko)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KR101029261B1 (ko) 숏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