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964A -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964A
KR20090028964A KR1020070094132A KR20070094132A KR20090028964A KR 20090028964 A KR20090028964 A KR 20090028964A KR 1020070094132 A KR1020070094132 A KR 1020070094132A KR 20070094132 A KR20070094132 A KR 20070094132A KR 20090028964 A KR20090028964 A KR 20090028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ructure
retaining wall
semi
pipe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308B1 (ko
Inventor
이재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밸리
Priority to KR102007009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3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은, 암벽이나 절개지의 지반에 마련된 기초 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 상부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면 치장석과,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다수의 후방 지지물과,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 및 다수의 후방 지지물을 상호 연결하고 주변 양측의 전면 치장석간을 상호 연결하고 또는 후방 지지물간을 상호 연결하는 앵커부 및 토양에 유입된 빗물을 집수하고, 집수된 빗물이 개방된 종단부를 통해서 배수되는 다수의 반유공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에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을 지지함은 물론, 보다 경제적인 시공으로 환경 친화적인 자연 경관을 갖게 되며, 우천시에 지면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하도록 하여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도모한 효과가 있다.
옹벽구조물, 배수시설, 반유공관, 전면 치장석, 후방 지지물, 앵커

Description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Breast Wall Structure Possessing Dra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본 발명은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에 반유공관을 이용하여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을 지지함은 물론, 보다 경제적인 시공으로 환경 친화적인 자연 경관을 갖게 되며, 우천시에 지면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하도록 하여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도모한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구조물은, 주택부지 및 노변 등에 형성된 경사지, 절토지 및 암반 등의 전면에 설치하여 상기한 지반들이 토압 또는 우수 등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체를 말한다.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형성되어있는 우리나라에서는 건물이나 도로 건설 을 위하여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의 발생은 필연적이다. 이때 발생한 사면의 안정화를 위한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옹벽구조물이다.
종래의 인공적인 콘크리트 옹벽구조물은 주변 자연지형과의 부조화를 유발하게 되고 이용자의 불쾌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은 물론, 기존의 옹벽구조물은 우천시에 유입된 빗물에 의하여 옹벽구조물 내부에 발생한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쉽게 붕괴되는 문제가 있었다.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기온이 높아지고 대기 중에 에너지 불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집중호우 발생 가능성도 커져 기상청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하루에 80㎜ 이상 비가 쏟아지는 집중호우 발생 빈도가 최근 10년 동안 무려 36.7일로 크게 증가했다. 이와 같이 집중호우로 인한 지반 또는 이미 설치된 옹벽구조물의 붕괴는 도로나 건축물 유실 등의 물질적인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 크고 작은 인명피해까지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옹벽구조물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의 옹벽구조물의 설계 구조를 개선하여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에 반유공관을 이용하여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을 지지함은 물론, 보다 경제적인 시공으로 환경 친화적인 자연 경관을 갖게 되며, 우천시에 지면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하도록 하여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은, 암벽이나 절개지의 지반에 마련된 기초 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부면에 전면 노출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전면 치장석과,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과 연결되는 다수의 후방 지지물과,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과 다수의 후방 지지물을 상호 연결하고 인접한 상기 전면 치장석간에 상호 연결하고 인접한 상기 후방 지지물간에 상호 연결하는 앵커부 및 토양에 유입된 빗물을 집수하고, 개방된 종단부를 통하여 집수된 빗물을 배수하는 기능을 하는 다수의 반유공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기립하는 형태로 전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다수의 전면 치장석을 일정 각도로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치장석의 후방에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한 후 상기 후방 지지물을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치장석과 후방 지지물간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 지지물에 반유공관과 T형관을 배치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다시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하는 단계로 시공됨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에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반유공관을 이용하여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우천시에 지면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하도록 하여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보다 경제적인 시공으로 환경 친화적인 자연 경관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옹벽구조물은 크게 암벽이나 절개지의 지반에 마련된 기초 콘크리트부(10)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10) 상부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면 치장석(20)과,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후방 지지물(30)과,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 및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을 상호 연결하고 주변 양측의 상기 전면 치장석(20)끼리 상호 연결하고 상기 후방 지지물(30)끼리 상호 연결하는 앵커부(40) 및 토양에 유입된 빗물을 집 수하고, 개방된 종단부를 통하여 집수된 빗물을 배수하는 기능을 하는 다수의 반유공관(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10)는 옹벽이 설치될 절개지에 기초지반 작업을 한 후, 상기 기초지반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철근작업을 수행하고 전면 치장석(20)이 배치될 부분에 콘크리트로 도포작업을 수행하여 지반을 다져서 형성한다.
상기 전면 치장석(20)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10)의 상부면에 전면 노출방향을 향하여 일렬로 다수 배치된다. 인접하는 상기 전면 치장석(20)간에는 일정 각도를 갖고 배치되며, 전면 보조앵커(42)로 양측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다수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10)의 상부면에 배치된 다수의 상기 전면 치장석(20)의 상부에 상기 전면 보조앵커(42)로 양측이 연결된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이 적층될 수도 있다. 적층되어 배치된 상부의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과 하부의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간은 상기 전면 보조앵커(42)로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전면 치장석(20)의 소재는 발파석, 자연석, 인공석 중에서 어느 하나이며, 메인 앵커(41)와 전면 보조앵커(42)를 삽입 고정시키는 설치공(21)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 지지물(30)은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과 대응하여 일렬로 다수 배치된다. 상기 후방 지지물(30)의 3방향 각단부에는 상기 전면 치장석(20) 및 좌우 양측에 인접한 상기 후방 지지물(30)과 연결되는 앵커부(40)가 T자 형상을 이루도록 삽입되어 형 성된다.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의 상단부에는 상기 반유공관(50)이 형합되어 설치되기 위하여 반원주 형태의 설치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반유공관(50)이 관통하여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반유공관(50)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 관통공(32)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방 지지물(30)은 소재가 콘크리트, 발파석, 자연석 중에서 어느 하나로, 상기 후방 지지물(30)은 T자형, L자형, 양단에 맞춤턱이 있는 일자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40)는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을 상호 연결하는 전면 보조앵커(42)와,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을 상호 연결하는 후면 보조앵커(43) 및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과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을 상호 연결하는 메인 앵커(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보조앵커(42)는 인접하는 상기 전면 치장석(20)간에 양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21)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물(30)에는 3방향 각단부에 T자 형상으로 상기 앵커부(40)가 삽입 형성되는데, T자 형상의 상단부 좌우양측으로 형성된 앵커부(40)가 후면 보조앵커(43)이고, 하단부 일측으로 형성된 앵커부(40)가 메인 앵커(41)이다.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후방 지지물(30)에 삽입 형성된 상기 후면 보조앵 커(43)를 상호 강재 고정하여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에 형성된 상기 메인 앵커(41)와 상기 전면 치장석(20)에 형성된 상기 설치공(2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기 메인 앵커(41)가 상호 강재 고정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을 지지한다.
상기 메인 앵커(41)와 전면 보조앵커(42) 및 후면 보조앵커(43)는 평면투영시 상기 전면 치장석(20)에서 사각형을 그리는 형태로 연결구조를 형성하여 사면에서 발생하는 응력에 대해 보강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앵커(41), 전면 보조앵커(42) 및 후면 보조앵커(43)는 애폭시 소재 등으로 감쌈으로써 피복층이 형성되어 지중에서 부식과 습기에 대해 높은 내구성이 유지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반유공관(5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반유공관(50)은 토양에 유입된 빗물을 집수하고, 개방된 종단부를 통하여 집수된 빗물을 배수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지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에 다수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유공관은 토양의 침하 유동성이 큰 지역에 주로 매설되는 배수관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반유공관(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을 갖는 원형관의 지름을 경계로 하여 상부 반원 외주면을 따라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흡수구가 각각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유공관(50)은 상기 지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 물(30)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과, 상기 지반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일측이 연속한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유공관(5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유공관(50)은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반원주 형태의 설치홈(31)과 형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반유공관(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속된 상기 후방 지지물(30)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유공관의 다른 설치방법이 적용된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유공관의 다른 설치방법이 적용된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는, 도5 및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유공관(50)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후방 지지물(30)의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후방 지지물(30)은 중앙부에 상기 반유공관(50)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 상기 관통공(32)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반유공관(50)은 상기 지반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일측이 연속한 상기 전면 치장석(20) 사이에 배치되도록 다수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의 흡수구를 통하여 집수된 빗물은 연속한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 사이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을 통하여 배수된다.
상기 반유공관(50)의 재질은 콘크리트,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합성수지 로 중량이 가벼워 운반과 시공이 용이하며, 산성 및 알카리성 토양의 오염물에도 잘 부식되지 않는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T형관(60)의 연결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에 설치된 인접한 두개의 상기 반유공관(50)과 일측이 연속한 상기 전면 치장석(20)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유공관(50)은 상기 T형관(60)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T형관(60) 상단부의 양측에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10)가 마련된 지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을 각각 연결하고, 하단부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10)가 마련된 지반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일측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상기 반유공관(5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T형관(60)은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상기 반유공관(50) 선상에서 전면에 배치된 상기 전면 치장석(20)의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당한 간격을 갖고 다수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 중에서 양 끝단에 위치하여 일측이 개방된 두개의 상기 반유공관(50)과 상기 다수의 T형관(60)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을 통하여 집수된 빗물이 배수된다.
상기 T형관(60)의 재질은 상기 반유공관(50)과 동일한 콘크리트,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중량이 가벼워 운반과 시공이 용이하며, 산성 및 알카리성 토양의 오염물에도 잘 부식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시공한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옹벽구조물은 설치대상 경사지의 높이에 따라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되며, 층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 후방에 토사가 뒷채움 된 상부에 다시 적층하여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과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이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며, 또 그 상부에 반복적으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과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이 추가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은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을 지지함은 물론, 기존의 옹벽구조물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경관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반유공관(50)을 이용한 배수시설을 갖춤으로써, 우천시에 지면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하도록 하여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시공방법 흐름도로서,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지반에 기립하는 형태로 전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을 일정 각도로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S10)와, 상기 전면 치장석(20)의 후방에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한 후 후방 지지물(30)을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S20)와, 상기 전면 치장석(20)과 후방 지지물(30)간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S30)와, 상기 후방 지지물(30)에 반유공관(50)과 T형관(60)을 배치하여 연결하는 단계(S40) 및 다시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하는 단계(S5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기립하는 형태로 전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을 일정 각도로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S10)는, 옹벽이 설치될 절개지에 기초지반 작업을 한 후, 상기 기초지반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철근작업을 수행하고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이 배치될 부분에 콘크리트로 도포작업을 수행하여 지반을 다져서 기초 콘크리트부(10)를 형성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10)의 상부면에 전면 노출방향을 향하여 다수의 상기 전면 치장석(20)이 일렬로 배치되며, 인접하는 상기 전면 치장석(20)간에는 일정 각도를 갖고 배치된다. 상기 배치된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은 상기 전면 보조앵커(42)로 양측이 서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전면 치장석(20)의 후방에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한 후 후방 지지물(30)을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S20)는,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의 후방에 토사를 덮어 지반을 다진 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을 일렬로 배치한다.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후방 지지물(30)의 좌우양측으로 삽입 형성된 상기 후면 보조앵커(43)간을 상호 강재 고정하여 연결한다.
상기 전면 치장석(20)과 후방 지지물(30)간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S30)는, 상기 후방 지지물(30)에 삽입 형성된 상기 메인 앵커(41)와 상기 전면 치장석(20)에 형성된 설치공(21)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기 메인 앵커(41)를 상호 강재 고정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을 지지하게 된다.
도 10은 상기 후방 지지물(30)에 반유공관(50)과 T형관(60)을 배치하여 연결 하는 단계(S40)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후방 지지물(30)에 반유공관(50)과 T형관(60)을 배치하여 연결하는 단계(S40)는,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후방 지지물(30) 사이에 T형관(60)을 배치하는 단계(S41)와, 횡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50)을 배치하고 상기 T형관(60)에 연결하는 단계(S42) 및 종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50)을 배치하고 상기 T형관(60)에 연결하는 단계(S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지지물(30) 사이에 T형관(60)을 배치하는 단계(S41)는, 일렬로 설치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 사이임과 동시에, 전면에 배치된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간의 사이와 대응되는 적당한 위치에 상기 T형관(60)을 다수 배치한다.
횡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50)을 배치하고 T형관(60)에 연결하는 단계(S42)는, 연속 배치된 다수의 상기 후방 지지물(30)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반원주 형태의 설치홈(31)이 형성되며, 상기 반유공관(50)이 상기 설치홈(31)에 형합되어 배치된다. 연속한 상기 후방 지지물(30) 사이에 배치한 상기 T형관(60) 상단부 양측에 상기 배치한 반유공관(50)을 각각 연결한다.
또는, 횡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50)을 배치하고 T형관(60)에 연결하는 단계(S42)는,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 중앙부에 상기 반유공관(50)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 관통공(32)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반유공관(50)은 연속 배치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의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연속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 사이에 배치 한 상기 T형관(60) 상단부 양측에 상기 배치한 반유공관(50)을 각각 연결한다.
종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50)을 배치하고 T형관(60)에 연결하는 단계(S43)는, 상기 지반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일측이 전면의 연속된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을 설치한다. 상기 배치한 T형관(60)의 하단부에 일측이 인접한 상기 전면 치장석(20)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반유공관(50)의 타측을 삽입하여 연결한다.
상기 배치된 반유공관(50)은 일정 폭을 갖는 원형관의 지름을 경계로 하여 상부 반원 외주면을 따라 각각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흡수구가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하는 단계(S50)는,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과 다수의 전면 치장석(20)이 상호 연결되면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30)과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50) 및 상기 다수의 T형관(60)을 토사로 덮어 지반을 다진다.
아울러, 설치대상 경사지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전면 치장석(20)의 후방에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한 후 후방 지지물(30)을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S20)와, 상기 전면 치장석(20)과 후방 지지물(30)간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S30)와, 상기 후방 지지물(30)에 반유공관(50)을 설치하는 단계(S40) 및 다시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하는 단계(S50)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적층구조를 이루어 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 토 지반의 수직 사면에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반유공관(50)을 이용하여 배수시설을 갖춤으로써, 우천시에 지면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하도록 하여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벽이나 절개지 또는 성토 지반의 수직 사면을 지지함은 물론, 보다 경제적인 시공으로 환경 친화적인 자연 경관을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설치대상 경사지의 높이에 따라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되어, 경사지의 높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반유공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유공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유공관의 다른 설치방법이 적용된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반유공관의 다른 설치방법이 적용된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T형관의 연결을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시공한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시공방법 흐름도
도 10은 도 9의 후방 지지물에 반유공관을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 : 기초 콘크리트부 20 : 전면 치장석
21 : 설치공 30 : 후방 지지물
31 : 설치홈 32 : 관통공
40 : 앵커부 41 : 메인앵커
42 : 전면보조앵커 43 : 후면보조앵커
50 : 반유공관 60 : T형관

Claims (15)

  1. 암벽이나 절개지의 지반에 마련된 기초 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부면에 전면 노출방향을 향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전면 치장석과;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의 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과 연결되는 다수의 후방 지지물과;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과 다수의 후방 지지물을 상호 연결하고, 인접한 전면 치장석간에 상호 연결하고, 인접한 후방 지지물간에 상호 연결하는 앵커부; 및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에 설치되어, 토양에 유입된 빗물을 집수하고 개방된 종단부를 통해서 집수된 빗물을 배수하는 다수의 반유공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 사이에 위치하여 상단부의 양측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가 마련된 지반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에 밀착하여 설치되는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을 각각 연결하고;
    하단부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가 마련된 지반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일측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을 연결하 는 다수의 T형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의 상단부에는 반원주형의 설치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유공관이 상기 설치홈에 형합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의 중앙부에는 상기 반유공관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며, 상기 반유공관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물은,
    T자형, L자형 또는 일자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유공관은,
    일정 폭을 갖는 원형관의 지름을 경계로 하여 상부 반원 외주면을 따라 각각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흡수구가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7.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반에 기립하는 형태로 전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다수의 전면 치장석을 일정 각도로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치장석의 후방에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한 후 상기 후방 지지물을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치장석과 후방 지지물간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 지지물에 반유공관과 T형관을 배치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다시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하는 단계로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면 치장석의 후방에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한 후 상기 후방 지지물을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치장석과 후방 지지물간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후방 지지물에 반유공관과 T형관을 배치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다시 뒷채움토사로 층 다짐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옹벽구조물이 복수로 적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물에 반유공관과 T형관을 배치하여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후방 지지물 사이에 T형관을 배치하는 단계와;
    횡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을 배치하고 상기 T형관에 연결하는 단계; 및
    종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을 배치하고 상기 T형관에 연결하는 단계로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을 배치하고 상기 T형관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반원주 형태의 설치홈에 상기 반유공관을 형합하여 배치하고, 인접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에 배치한 상기 반유공관을 상기 T형관 상단부의 양측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을 배치하고 상기 T형관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갖도록 천공된 관통공에 상기 반유공관을 관통하여 배치하고, 인접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에 배치한 상기 반유공관을 T형관 상단부의 양측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상기 반유공관을 배치하고 상기 T형관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일측이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다수의 반유공관을 배치하고, 상기 다수의 전면 치장석 사이에 일측을 배치한 상기 반유공관의 타측을 상기 T형관의 하단부에 삽입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13.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의 상단부에는 반원주형의 설치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1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후방 지지물의 중앙부에는 상기 반유공관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15.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유공관은,
    일정 폭을 갖는 원형관의 지름을 경계로 하여 상부 반원 외주면을 따라 각각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흡수구가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070094132A 2007-09-17 2007-09-17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0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132A KR100902308B1 (ko) 2007-09-17 2007-09-17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132A KR100902308B1 (ko) 2007-09-17 2007-09-17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964A true KR20090028964A (ko) 2009-03-20
KR100902308B1 KR100902308B1 (ko) 2009-06-12

Family

ID=4069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132A KR100902308B1 (ko) 2007-09-17 2007-09-17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3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92Y1 (ko) * 2009-05-13 2011-09-15 이희철 절토부 옹벽용 패널
KR102498033B1 (ko) * 2022-04-19 2023-02-10 주식회사 천윤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79B1 (ko) 2010-03-23 2012-04-26 박준석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체
KR101383624B1 (ko) * 2012-06-19 2014-04-14 김미곤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93648B1 (ko) 2015-07-24 2017-1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옹벽 구조물용 지반보강 겸용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82069B1 (ko) 2020-11-26 2021-07-27 주식회사 청광개발 배수 기능이 있는 자연석 옹벽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661B1 (ko) * 2006-01-11 2006-06-14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로용 블록식 보강토옹벽 구조
KR100657773B1 (ko) * 2006-02-21 2006-12-14 주식회사 에코밸리 환경친화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63207B1 (ko) 2006-07-10 2007-01-05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단지의 옹벽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592Y1 (ko) * 2009-05-13 2011-09-15 이희철 절토부 옹벽용 패널
KR102498033B1 (ko) * 2022-04-19 2023-02-10 주식회사 천윤 배수기능 유지 및 토사의 유실방지를 위한 다발관 결속재를 사용한 토낭 축조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308B1 (ko) 200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21470B (zh) 装配式锚杆拱形骨架复合式生态护坡施工方法
KR100902308B1 (ko)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5887898A (zh) 一种防护胀缩性岩土路堑边坡的方法及结构
CN102966119A (zh)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CN112983461A (zh) 坡积体中偏压隧道洞口的施工方法
KR100734812B1 (ko)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KR101169437B1 (ko) 트라프를 이용한 구조물 설치구조 및 시공공법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102511387B1 (ko)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NO320078B1 (no) Fremgangsmate for a danne en bratt demning, system for anvendelse ved dannelse av den bratte demning, samt en bratt demning.
CN212026135U (zh) 一种滨水步道护坡结构
KR100635927B1 (ko) 건축물 경사면 보강 공법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JP2010183845A (ja) 樹木の設置方法
CN111663492A (zh) 一种河道生态治理施工工艺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2022011215A (ja) 貯留システム
CN214005295U (zh) 一种盐碱地景观中沥青透水铺装与泛盐碱防护一体结构
KR102511386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9653738U (zh) 一种边坡柔性生态支护结构
CN219386394U (zh) 一种微型钢管灌注桩挡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