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812B1 -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812B1
KR100734812B1 KR1020050084668A KR20050084668A KR100734812B1 KR 100734812 B1 KR100734812 B1 KR 100734812B1 KR 1020050084668 A KR1020050084668 A KR 1020050084668A KR 20050084668 A KR20050084668 A KR 20050084668A KR 100734812 B1 KR100734812 B1 KR 10073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vegetation
drainage
concret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975A (ko
Inventor
김성수
정종민
Original Assignee
김성수
정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정종민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05008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8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단지, 제방, 철도 및 터널등의 구축을 위한 절토 사면에 대한 조경을 겸한 옹벽 설치시 또는 절성토 구간의 붕락경사면에 대하여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과 콘크리트옹벽블럭을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에 배수를 위한 유공배수관을 설치하고, 그 위에 자갈과 식생토를 포설한 다음 관목 및 초본류를 식재하여 옹벽 전체가 녹화가 조성되도록 하여 주변의 녹지부분과 조화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유공배수관을 지그재그로 유공배수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상호연결한 다음 주변을 토사로 되메움을 하여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설치하여 상기 옹벽의 경사면에 발생된 우수등을 옹벽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를 통하여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여 경사면을 보호하면서 경사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Stairtype concrete retaining wall having functions of drainage and vegeta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옹벽블럭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이루고 있는 또 다른 콘크리트옹벽블럭인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5(a)(b)(c)(d)(e)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옹벽블럭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6은 유공배수관을 상호 연결하는 유공배수관연결장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경사면에 설치한 것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계단식옹벽 11 : 경시지반
12 : 앵커부 13 : 정착부
14 : 강선 15 : 배수구
16 : 경사절개면
20 : 콘크리트옹벽블럭 21 : 배수홈
22 : 하향경사부 23 : 상단면
30 :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 31 : 식생 및 배수구
32 : 배수관 33 : V자형 경사홈
34 : 부직포 35 : 식생토
36 : 자갈 37 : 식생(관목 또는 초목류)
40 : 유공배수관 41 : 배수공
50 : 유공배수관연결장치 51 : "ㄷ"자형연결관
52 : 자바라관 53 : "ㄷ"자형연결관 연결부
54 : 연결부 55 : 연결부밀봉필름
본 발명은 도로, 단지, 제방, 철도 및 터널등의 구축을 위한 절토 사면에 대한 조경을 겸한 옹벽 설치시 또는 절성토 구간의 붕락경사면에 대하여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과 콘크리트옹벽블럭을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에 배수를 위한 유공배수관을 설치하고, 그 위에 자갈과 식생토를 포설한 다음 관목 및 초본류를 식재하여 옹벽 전체가 녹화가 조성되도록 하여 주변의 녹지부분과 조화를 이어 도시미관을 조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유공배수관을 지그재그 형식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한 유공배수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옹벽의 경사면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를 통하여 경사면에서 발생된 우수등이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여 경사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환경친화적이면서 견고한 옹벽을 구축하는 콘크리트계단식옹벽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에 발생되는 우수등을 원활히 배수토록하여 경사면이 붕락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경사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계단식옹벽블럭에 배수 및 식생기능이 동시에 포함되는 식생 및 배수구를 설치하여 배수를 위한 유공관을 설치하고 그 위에 식생을 위한 식생토를 부설한 후에 관목류 또는 초목류를 식재하도록 하여 경사면의 옹벽이 콘크리트블록으로 이루어졌음에도 옹벽의 전면에는 식생 및 배수구에 식재된 초본류 또는 관목에 의하여 녹화된 상태로 경사면의 전면이 변화되도록 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환경친화적인 옹벽을 경사면에 설치하도록 하는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는 경사면에 식생토를 뿜칠하여 도포토록한 후에 상기 식생토에서 초본류등의 식생이 활착하도록 하는 것이나 이 또한 경사면에 발생된 우수등을 원활히 배수하지 못해 경사지가 유실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경사면에 부벽식옹벽 또는 중력식 콘크리트옹벽을 단순히 설치하도록 하여 경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또한 옹벽의 전면이 콘크리트로 되어 있어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으며 배수 또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발명으로서, 절성토 구간의 경사면 또는 절개지의 붕락경사면에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과 콘크리트옹벽블럭을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에 배수를 위한 유공배수관을 설치하고, 그 위에 자갈과 식생토를 포설한 다음 관목 및 초본류를 식재하여 옹벽 전체가 녹화가 조성되도록 하여 주변의 녹지부분과 조화를 이루어 도시미관을 조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유공배수관을 지그재그 형식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한 유공배수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옹벽의 경사면에 발생된 우수등이 하부의 기단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가 원활히 하도록 하여 경사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환경친화적이면서 견고한 옹벽을 구축하는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도로, 단지, 제방, 철도 및 터널등의 구축을 위한 절토 사면에 대한 조경을 겸한 옹벽 설치시 또는 절성토 구간의 붕락경사면에 대하여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과 콘크리트옹벽블럭(20)을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하되, 상기 콘크리트 옹벽블럭(20)의 전면에 설치된 정착부(13)에 강선(14)의 일단을 정착하도록 하고 타단을 경사지반(11)내에 설치된 앵커부(12)에 고정정착하도록 하여 경사지반에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이 견고히 고정정착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에 배수를 위한 유공배수관(40)을 설치하고, 그 위에 자갈(36)과 식생토(35)를 포설한 다음 관목 및 초본류를 식재하여 옹벽 전체가 식생되도록 한 녹화가 조성되도록 하고,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일측단끼리 상호 지그재그로 유공배수관 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연결한 다음 주변을 토사로 되메우기를 하여 상기 지그재그로 상호 연결하도록 한 유공배수관 연결장치(50)에 의하여 옹벽의 경사면에 발생된 우수등이 경사면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15)를 통하여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는 콘크리트계단식옹벽(10)시공방법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옹벽블럭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서, 일정한 크기의 직육면체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콘크리트옹벽블록(20)으로서, 상기 블록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정착부(13)를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을 경사절개면에 맞도록 설치하면서 경사지반(11)내에 설치된 앵커부(12)에 강선(14)의 타단을 고정정착하도록 하고, 일단은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전면부에 설치된 정착부(13)에 강선(14)을 고정정착하도록 하여 견고하게 경사면에 고정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정착부(13)는 콘크리트옹벽블럭(20)과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모두에 설치하도록 하여 강선(14)을 이용하여 경사지반내에 설치된 앵커부(12)에 고정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경사면의 최상단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옹벽블록을 제외한 각각의 콘크리크옹벽블록(20)의 상단면(23)에는 후술하는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전면부가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위에 설치되는 위치에 배수홈(21)을 설치하여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에 형성된 식생 및 배수구(31)에 부설된 유공배수관(40)에 의하여 배수되는 것이외에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상단면(23)에 발생된 우수등을 배수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후면부가 경사절개면에 일치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절개면의 형상에 따라 길이 및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서, 상단면(23)에 배수홈(21)을 설치하는 대신에 하향 경사부(22)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상단면에 발생되는 우수등이 상기 하향경사부(22)에 의하여 콘크리트옹벽블럭(20) 의 하부에 적층되는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식생 및 배수구(31)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도의 경우에도 전면부에 정착부(13)를 설치하도록 한다. 설치된 정착부의 기능은 상기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이루고 있는 또 다른 콘크리트옹벽블럭인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서, 일정한 크기의 직육면체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으로서, 상기 블럭(30)의 전면에 일정한 크기의 식생 및 배수구(31)를 설치하고,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 인근까지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전면부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옹벽블럭(20)하부에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을 순차적으로 적층설치하면서 경사면의 일정한 경사도가 형성되어 옹벽이 계단식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착부(13)는 콘크리트옹벽블럭(20) 뿐만아니라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에도 설치하도록 하여 강선(14)을 이용하여 경사지반내에 설치된 앵커부(12)에 고정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정착부(13)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사면의 지반상태에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식생 및 배 수구(31)에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배수구(31)의 면을 따라 부직포(34)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구(31)의 하부면 중앙부에 몸체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수공(41)이 형성된 유공배수관(40)을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유공배수관(40)을 부직포(34)로 감싼 다음 상기 배수구(31)의 하부중앙부에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자갈(36)을 일정한 높이로 포설한 다음 그 위에 식생을 위한 식생토(35)인 토사를 포설하고, 그 위에 관목류 또는 초본류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식재하도록 한 다음, 상기 배수구(31)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의 단부를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로 상호 지그재그로 연결하도록 하여 최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일단을 통하여 상기 옹벽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15)에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배수관(32)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에서 미처 처리하지 못한 우수를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후면부가 경사절개면에 일치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절개면의 형상에 따라 길이 및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서,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전면부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의 하부면 중앙부를 향하게 일정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구의 하부면이 "V"자형 경사홈(33)이 형성되도 록 하여 상기 경사홈내에 유공배수관(40)을 설치하도록 하여 배수가 원활히 되도록 한다.
도 5(a)(b)(c)(d)(e)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으로서, (a)도는 도로, 단지, 제방, 철도 및 터널등의 구축을 위한 절토 사면 또는 절성토 구간의 붕락경사면의 경사절개면에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과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후단부를 일치하도록 하면서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과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전면부는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하면서,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전면에 설치된 정착부(13)에 강선(14)의 일단을 고정정착하고, 상기 강선(14)의 타단은 경사지반(11)내에 설치된 앵커부(12)에 고정정착하는 단계이고,
(b)는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의 전체면에 부직포(34)를 설치하는 단계이고,
(c)는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의 중앙부의 부직포(34) 위에 유공배수관(40)을 설치하면서 최상부 및 그 바로 하부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에 각각 부설된 유공배수관(40)의 일측단끼리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최상부의 식생 및 배수구(31)의 바로 하부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의 타측단과 상기 바로 하부의 하부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에 부설된 유공배수관(40)의 타측단끼리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여 결국 도 5(c)에서 보는바와 같이 유공배수 관(40)을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지그재그로 연결하도록 하여, 결국 경사부 옹벽의 최상부에서 발생된 우수가 "S"자 형상으로 연결된 유공배수관(40)을 타고 옹벽의 최하부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15)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유공배수관을 연결하도록 하는 단계이고,
(d)는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위에 40mm이하의 규격의 자갈(36)을 포설하는 단계이고,
(e)는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일정한 높이로 포설된 자갈(36) 위에 일정한 높이로 식생토(35)를 포설한 다음 관목류 및 초본류를 식재하여 옹벽의 경사면 전체가 녹화가 조성되도록 하고,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을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지그재그로 상호 연결한 위에 토사로 복토를 한 다음, 최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일단을 통하여 옹벽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15)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과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을 일정한 경사로 적층하는 방법은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하부에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을 적층하거나 또는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만으로만 적층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옹벽블럭(20)만으로 적층하도록 하거나 또는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의 순으로 적층하는 것중에서 경사지의 토사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층방법중에서 콘크리트옹벽블럭(20)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강선(14) 으로 지반과 상기 블록(20)의 정착부(13)에 고정정착하도록 하여 보다 강한 옹벽의 설치가 되도록 한다.
도 6은 유공배수관을 상호 연결하는 유공배수관연결장치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하부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의 직경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ㄷ"자형연결관(51)의 양쪽 연결단부(57)에는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을 배치한 다음 상기 양쪽연결단부(57)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56)은 직경이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직경보다 작은 관을 사용하여 "ㄷ"자형연결관연결부(53)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양쪽연결단부(57)와 유공배수관(40)이 상호 연결된 부분의 외부에는 연결부밀봉필름(55)인 발포폴리에틸렌을 감싸도록 하여 상호 연결이 보다 밀접하게 연결되도록 하면서 토사가 복토될 때 자갈등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양쪽연결단부(57)를 "ㄷ"자형연결관연결부(53)에 의하여 상호 연결한 연결관(56)의 외부에 자바라관(52)이 설치되도록 하여 추후에 토사가 복토될 때 자갈등에 의한 연결관(56)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ㄷ"자형연결관(51)을 교체하거나 보수하고자 할때 용이하게 해체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을 경사면에 설치한 것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5의 단계를 거쳐 시공완료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10)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도에 도시된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를 점선으로 표기한 것은 토사로 복토를 하여 토사내에 묻혀 있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절성토 구간의 경사면 또는 절개지의 붕락경사면에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과 콘크리트옹벽블럭을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에 배수를 위한 유공배수관을 설치하고, 그 위에 자갈과 식생토를 포설한 다음 관목 및 초본류를 식재하여 옹벽 전체가 녹화가 조성되도록 하여 주변의 녹지부분과 조화를 이루어 도시미관을 조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유공배수관을 지그재그 형식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한 유공배수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옹벽의 경사면에 발생된 우수등이 하부의 기단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가 원활히 하도록 하여 경사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환경친화적이면서 시공이 간편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시공방법인 것이다.

Claims (8)

  1. 도로, 제방, 철도 및 터널의 구축을 위한 절토사면 또는 절성토 구간의 붕락경사면에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과 콘크리트옹벽블럭(20)을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하면서,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 전면에 형성된 정착부(13)에 정착된 강선(14)과, 상기 강선(14)의 타단은 경사지반(11)내에 설치된 앵커부(12)에 고정정착하고,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에 설치된 부직포(34)와,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과,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포설된 자갈과 식생토(35,36)와, 상기 자갈과 식생토에 식재된 관목 및 초본류와, 상하로 적층된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전면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을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로 연결하되 지그재그로 상호연결하고, 최하단부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과 경사면옹벽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15)를 연결하여 경사면에서 발생된 우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면에 식생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은 일정한 크기의 직육면체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콘크리트옹벽블럭으로서, 상기 블록(20)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정착부(13)를 설치한 것이며,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은 일정한 크기의 직육면체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으로서, 상기 블럭(30)의 전면에 일정한 크기의 식생 및 배수구(31)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상단면에는 배수홈(21) 또는 하향경사부(22)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전면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의 하부면 중앙부를 향하게 일정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의 하부면이 “V”자형경사홈(33)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는 “ㄷ”자형연결관(51)의 양쪽연결단부에는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을 배치한 다음, 상기 양쪽연결단부를 상호연결하는 연결관은 직경이 상기 유공배수관의 직경보다 작은 관인 “ㄷ”자형연결관연결부(53)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관을 상호 연결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
  6. 절성토 경사면 및 붕낙된 경사면에 대한 옹벽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도로, 단지, 제방, 철도 및 터널의 구축을 위한 절토사면 또는 절성토 구간의 붕락경사면의 경사절개면에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과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후단부를 일치하도록 하면서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과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전면부는 일정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시공하고,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전면에 설치된 정착부(13)에 강선(14)의 일단을 고정 정착하고, 상기 강선(14)의 타단은 경사지반(11)내에 설치된 앵커부(12)에 고정정착하는 단계;
    (b) 상기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전면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의 전체면에 부직포(34)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의 중앙부의 부직포(34) 위에 유공배수관(40)을 설치하고, 상부 및 그 바로 하부에 적층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에 각각 부설된 유공배수관(40)의 일측단끼리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상호연결하면서, 상기 상부의 식생 및 배수구(31)의 바로 하부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의 타측단과 상기 바로 하부에 설치된 식생 및 배수구(31)의 하부에 설치된 또 다른 식생 및 배수구(31)에 부설된 유공배수관(40)의 타측단끼리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로 상호연결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므로서, 지그재그로 연결되도록 하여, 결국 경사부옹벽의 최상부에서 발생된 우수가 지그재그인 “S”자 형상으로 연결된 유공배수관(40)을 타고, 옹벽의 최하부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15)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유공배수관(40)을 상호연결하는 단계;
    (d)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 위에 40mm이하 규격의 자갈(36)을 포설하는 단계;
    (e)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일정한 높이로 포설된 자갈(35) 위에 일정한 높이로 식생토(35)를 포설한 다음, 관목류 및 초본류를 식재하여 옹벽의 경사면 전체가 녹화가 조성되도록 하고, 상기 식생 및 배수구(31)내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을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지그재그로 상호연결한 위에 토사로 복토를 한 다음, 최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일단을 통하여 옹벽의 기단부에 설치된 배수구(15)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의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배수관연결장치(50)를 이용하여 상호연결하는 방법은 상하부에 설치된 유공배수관(40)의 직경과 사호연결하기 위하여 “ㄷ”자형연결관(51)의 양쪽 연결단부에는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을 배치하여 상호연결한 다음, 상기 양쪽연결단부를 상호연결하는 연결관은 직경이 상기 유공배수관(40)의 직경보다 작은 관을 사용하여 “ㄷ”자형연결관연결부(53)를 이용하여 상호연결한 다음, 상기 양쪽연결단부와 유공배수관(40)이 상호연결된 부분의 외부에는 연결부밀봉필름(55)인 발포폴리에틸렌을 감싸도록 하며, 상기 양쪽연결단부를 “ㄷ”자형연결관연결부(53)에 의하여 상호연결한 연결관의 외부에 자바라관(52)을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의 시공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옹벽블럭(20)과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을 일정한 경사로 적층하는 방법은 콘크리트옹벽블럭(20)의 하부에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을 적층하거나 또는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만으로만 적층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옹벽블럭(20)만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배수 및 식생콘크리트옹벽블럭(30)의 순으로 적층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한가지 인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계단식옹벽의 시공방법.
KR1020050084668A 2005-09-12 2005-09-12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KR10073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68A KR100734812B1 (ko) 2005-09-12 2005-09-12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68A KR100734812B1 (ko) 2005-09-12 2005-09-12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223U Division KR200404056Y1 (ko) 2005-09-12 2005-09-12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975A KR20070029975A (ko) 2007-03-15
KR100734812B1 true KR100734812B1 (ko) 2007-07-06

Family

ID=3810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668A KR100734812B1 (ko) 2005-09-12 2005-09-12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64B1 (ko) * 2011-04-18 2011-11-08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연성관을 이용한 연직 배수형 친환경 계단식 옹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60B1 (ko) * 2009-08-31 2010-03-11 김동수 간척지 나무 식재방법
KR101021889B1 (ko) * 2010-06-28 2011-03-18 주식회사 비엠테크 계단식 옹벽용 식생 시스템 및 식생 공법
CN107268643B (zh) * 2017-07-03 2020-11-10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保土透水的生态边坡结构
CN114197516A (zh) * 2020-09-17 2022-03-18 云南宏图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一体式抗滑型桩基托梁挡土墙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75A (ko) * 2001-04-11 2001-09-26 김승규 옹벽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75A (ko) * 2001-04-11 2001-09-26 김승규 옹벽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64B1 (ko) * 2011-04-18 2011-11-08 평화지오텍 주식회사 연성관을 이용한 연직 배수형 친환경 계단식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975A (ko)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812B1 (ko)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KR100902308B1 (ko)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CN112064756A (zh) 一种可拆卸式立体生态排水沟结构及施工方法
KR200404056Y1 (ko)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CN112301833B (zh) 景观滨水步道系统及施工方法
CN214657144U (zh) 一种适用于西北黄土高原地区的新型生态护坡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100352143B1 (ko) 가로수의 생육여건개선용 식수대(植樹帶) 시공방법
CN211256719U (zh) 半圆状排水通道
CN112695774A (zh) 一种陡坡坡面加固绿化系统及其施工方法
KR20200034203A (ko)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KR100872371B1 (ko) 건축 및 하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CN214143521U (zh) 景观滨水步道系统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200321439Y1 (ko)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KR102660558B1 (ko) 저영향개발 세그먼트 구조박스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20090006403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옹벽 기초 구조물
KR102223787B1 (ko) 옹벽형 빗물 저류조
CN107829347A (zh) 用于城市天然草皮的人行道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