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303Y1 -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 Google Patents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303Y1
KR200413303Y1 KR2020060001388U KR20060001388U KR200413303Y1 KR 200413303 Y1 KR200413303 Y1 KR 200413303Y1 KR 2020060001388 U KR2020060001388 U KR 2020060001388U KR 20060001388 U KR20060001388 U KR 20060001388U KR 200413303 Y1 KR200413303 Y1 KR 200413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support
wall structure
natural stone
moun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홍 filed Critical 이재홍
Priority to KR2020060001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3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 친화적이며 자연스러운 외관을 연출하기 위해 자연석을 이용하여 구축한 옹벽 형태의 구조물인 산벽(山壁)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산벽을 구축함에 있어 강재빔 프레임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각각의 자연석들을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높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므로 환경 친화성과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성 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안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산벽 구조체는, 전면측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연석과; 상기 자연석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강재빔을 지반 상에 소정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세워서 된 지지포스트와; 상기 지지포스트에 소정높이마다 횡방향으로 부설된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격자형으로 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자연석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자연석들을 지지하는 고정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STONE STACKED WALL STRUCTURE USING STEEL BEAM}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산벽 구조체의 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산벽 구조체를 정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자연석 20 : 지지프레임
21 : 지지포스트 22 : 수평지지대
30 : 고정바아 40 : 뒷채움토
50 : 콘크리트 기초부 60 : 잡석다짐
80 : 피복층
본 고안은 환경 친화적이며 자연스러운 외관을 연출하기 위해 자연석을 이용 하여 구축한 옹벽 형태의 구조물, 즉, 산벽(山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산벽을 구축함에 있어 강재빔 프레임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각각의 자연석들을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높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므로 환경 친화성과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성 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개선된 산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단지 및 노변 등에 형성된 절개지, 비탈면 등은 그대로 방치될 경우 우수나 지진 등으로 인해 붕괴됨으로써 큰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바, 이러한 지형 장소들에는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옹벽(擁壁; retaining wall)을 구축 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물은 기존에는 시멘트 블럭을 쌓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축함이 일반적이었으며, 근래에는 공기 단축, 시공의 편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이 널리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주거미관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도 환경 친화적인 형태의 옹벽이 요구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추세에 부응, 획일적이고 무미건조한 기존의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대안으로서 산벽(山壁) 공법이 등장하여 관심을 끌고 있다. 산벽(山壁)이라 함은 경관적 또는 구조적 목적으로 만든 일체화된 자연석 구조체로서, 옹벽의 기능과 조경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환경 친화적인 자연지 복원형 신공법을 뜻한다. 이와 같은 산 벽 공법은 기존의 옹벽들과 비교할 때, 자연석을 쌓아 사용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이고 자연스러운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시공면에 있어서도 비교적 공정이 단순하고 짧은 공기에 시공할 수 있고, 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최근 들어 그 시공예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편으로, 상기와 같은 산벽 공법은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 형성, 차별화된 이미지 및 고부가가치 창출 등 여러 장점이 있는 반면, 다수개의 자연석을 쌓아 구축하는 관계로 각각의 자연석들이 별개로 거동하게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반적인 산벽 구조체의 경우, 그 구축 높이가 높아지면 토압의 영향이 커져 구조해석상 소정 높이 이상으로 설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지진이나 홍수 등과 같은 자연 재해가 발생할 경우 자칫 배면 토사와 함께 무너져 내림으로써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 위험이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산벽 공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한 기술적 시도가 있었으며, 이러한 선행 기술로서는 예컨대 등록특허 제10-0296018호에 개시된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선행특허에 개시된 옹벽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전면측에 자연석으로 된 복수의 장식석을 나란히 배열하고, 그 후방측에는 지지석을 인접하는 한 쌍의 장식석의 사이에 배치하며, 상기 장식석과 지지석을 연결앵커로 연결함으로써 상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선행특허에 의하면, 뒷채움토에 매설된 지지석에 의해 전면측 장식석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자연석을 적층한 경우에 비해 어느 정도는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의 경우, 뒷채움토 내부에 개별적으로 매설된 지지석들에 의하여 장식석들의 지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적인 일체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충분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특허는 우수 등의 침투수에 의해 뒷채움토가 동반 유출됨으로써 배면 침하가 일어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며, 아울러 시공성의 면에서도 여러 개의 지지석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 시공함에 어려움이 있다는 등의 여러 단점이 있었는바, 이 역시 기존의 산벽 공법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산벽 공법들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산벽을 구축함에 있어 강재빔 프레임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각각의 자연석들을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높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므로 환경 친화성과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성 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개선된 산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강재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는, 자연석을 쌓아 올려 옹벽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축되는 산벽 구조체에 있어서, 전면측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연석; 상기 자연석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강재빔을 지반 상에 소정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세워서 된 지지포스트와 상기 지지포스트에 소정높이마다 횡방향으로 부설된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격자형으로 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자연석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자연석들을 지지하는 고정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체 산벽 구조체가 구조적으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본적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산벽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아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피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바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아는 각 자연석 높이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의 경우 배면으로 갈수록 소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하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의 경우 배면으로 갈수록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구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이 갖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산벽 구조체는, 기존의 일반적인 산벽 구 조와 비교할 때, 전면 자연석의 후방측에 강재빔을 사용하여 지지프레임을 구축하고, 이 지지프레임에 자연석들을 고정바아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별개로 거동하던 각각의 각 자연석들이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기본적인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자연석과 지지프레임 그리고 뒷채움토 등으로 이루어진 전체 산벽 구조물이 일체화되어 중력식 옹벽과 같이 완전한 하나의 구조체로서 거동하게 되므로 토압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어 여러 층으로 자연석을 쌓아 올렸을 때에도 매우 안정적인 구조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산벽 구조체의 측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산벽 구조체를 정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산벽 구조체는, 전체적으로 자연석을 쌓아 올려 옹벽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축되는 산벽 구조체에 있어서, 전면측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연석(10)과; 상기 자연석의 배면측 지반상에 세워진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자연석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바아(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지반 상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포스트(21)와, 상기 지지 포스트(21)에 횡방향으로 부설된 수평지지대(22)를 포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격자형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산벽 구조체에 있어 산벽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자연석(10)은, 산벽 구조체가 완성되었을 때 외부 시선에 노출되는 외측 전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석재를 다단으로 층층이 쌓아 올려 벽면의 형태를 갖도록 시공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자연석(10)은 주로 산이나 강 또는 해변 등지에서 채취된 석재를 이용하게 되는데, 설치시 자연스러운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그 형태면에서 특별히 가공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자연석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형태 및 질감이 자연석과 유사하도록 인조 가공된 인공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자연석(10)의 후방 배면측에는 자연석의 고정,지지를 위해 지지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연석(10)과 사면(1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이는 본 고안의 산벽 구조체에 있어 전체적인 구조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뼈대 내지는 골조(骨組)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지지포스트(21)와 수평방향의 수평지지대(2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격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자연석(10)들은 후술하는 고정바아(30)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21)는 강재 빔(beam)을 이용하여 구성되는데, 특히 자재 수급이 용이하고 중량에 비해 강성이 우수한 H-형강 빔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포스트(21)에는 소정높이마다 횡방향으로 수평지지대(22)를 부설하여 격자형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22)는 각파이프나 C-채널 등과 같은 비교적 경량의 철골 부재들이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포스트(21)와 수평지지대(22) 및 후술하는 고정바아(30)는 반드시 레미콘 타설 또는 몰탈이나 레미콘으로 도포하여 피복층(80)을 형성함으로써 향후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프레임(2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지지포스트(21)가 설치되는 간격은 최종 산벽 구조체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구조적인 측면에서 설치높이가 높아질수록 지지포스트의 설치 간격을 조밀하게 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산벽높이가 5m 이하일 경우에는 4m 정도로, 산벽높이가 5m ~ 8m일 경우에는 2.5 m ~ 3m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산벽높이가 8m 이상일 경우에는 2 m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수평지지대(22)의 설치 간격의 경우에는 높이에 따른 제한 없이 설치되는 자연석의 크기 등 제반 여건에 맞추어 필요에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며, 대략 1.5m 간격으로 설치하면 적당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경우 본 고안의 구조적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 구조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지지포스트(21)는 지반 상에 견고히 고정될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포스트(2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지반 내에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50)에 의해 매립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포스트(21)의 하단부에는 별도로 H-형강을 이용한 수평방향의 하부지지대(25)를 일체로 접합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50)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지지포스트(21)가 더욱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1 및 도2에 있어서 미설명 식별부호 60은 기초 콘크리트(50)의 하부에 형성된 잡석 다짐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지지프레임(20)과 전면 자연석(10)의 사이에는 고정바아(30)가 설치되며, 이 고정바아(30)에 의해 상기 자연석(10)들이 지지프레임(20)에 연결됨으로써 자연석(10)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바아(30)는 비교적 가늘고 긴 선형 부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자연석(10)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당한 강성을 갖는 자재일 것을 요하며, 이러한 고정바아(30)로는 예컨대 강봉이나 철근과 같이 건설 현장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아(30)는 상기와 같이 철근이나 강봉을 사용할 경우 뒷채움토사(40)에 함유된 수분 등에 의해 부식될 염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방청처리를 필요로 하며, 이와 같은 방청처리로는 고정바아(30)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혹은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도포하여 피복층(80)을 형성하는 방식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 상기와 같은 고정바아(30)는 기존의 산벽 구조체에서 처럼 지면과 평행하도록 수평되게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자연석(1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연결되는 고정바아(30)들의 설치각도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하여 설치하는 것을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제안한다. 즉,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바아(30)를 설치함에 있어 각 자연석(10) 높이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의 경우 뒷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하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의 경우에는 뒷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구도를 이루도록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이 고정바아(30)를 경사지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단순히 고정바아를 수평되게 설치한 경우에 비해 더욱 내구성 및 구조적 안정성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 각 자연석(10)의 하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31)의 경우 그 설치각도가 하향 경사짐으로 인해 자연석을 아래쪽에서 받쳐 줌으로써 자연석의 자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32)의 경우 설치각도가 상향 경사짐으로써 윗쪽에서 자연석이 토압에 의해 앞으로 전도되는 것을 잡아 주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고정바아(30)는 물 고임을 방지함으로써 부식의 가능성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와 같은 고정바아(31)(32)의 경사각도는 대략 15°전후가 적당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산벽 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산벽 구조체 시공 방법은 전체적으로, 산벽이 설치될 지반 상에 강재빔을 소정 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세워 지지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포스트의 소정높이마다 횡방향으로 수평지지대를 부설하여 전체적으로 격자형으로 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측에 다수개의 자연석을 적층하고, 상기 자연석과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바아를 설치하여 자연석을 지지프레임에 연결 고정하는 단계 ; 및, 상기 자연석의 후방측에 뒤채움토를 채워 넣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산벽 구조체 시공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전작업으로서 설치대상 경사지(100) 상의 잡초나 나무뿌리 등을 제거한 다음, 산벽 구조체가 형성될 하부 지반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여 기초 터파기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굴착 깊이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략 60cm ~ 80cm의 범위에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굴착된 터파기 지반의 상태에 따라 지반이 연약하여 충분한 지내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잡석층(60)을 소정 두께로 형성하여 지반 개량 작업을 시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터파기 작업이 완료되면, 터파기된 지반 상에 강재빔으로 된 지지포스트(2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포스트(21)의 소정높이마다 횡방향으로 수평지지대(22)를 부설함으로써 자연석(10) 고정을 위한 강재 지지프레임(20)을 설치한 다. 우선,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구성하는 지지포스트(21)를 지반상에 일정 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세워 설치한 뒤(설치대상 경사지의 각도 및 형태에 대응하여 약간 기울여 설치하며 경사지로부터 약 300mm 정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지지포스트(21)의 하단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50)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포스트(21)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현장 여건에 따라 필요한 경우 거푸집을 설치하여 타설하며, 타설 두께는 400mm 정도로 하고, 그 내부에는 철근과 같은 보강재를 배근하여 적절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지지포스트(21) 상에는 소정 높이마다 횡방향으로 수평지지대(22)를 부설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지지프레임(20)을 격자형으로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수평지지대(22)와 지지포스트(21)의 결합은 용접이나 볼팅 등 기존에 알려져 사용되고 있던 강재의 접합 방식들 중에서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이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의 타설 및 지지프레임(20)의 설치가 이루어진 다음에는 산벽이 형성될 외곽 라인을 따라 자연석(10) 중 1단 기초석(11)을 나란하게 배열한 후(대략 경사지로부터 1m 정도의 거리를 유지한다), 상기 기초석(11)의 앞, 뒤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석(11)이 지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석(11)의 주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는 산벽 구조체의 설치높이에 따라 가변되는데, 대략적으로 산벽높이가 5m 이하일 경우에는 200mm로, 산벽높이가 5m ~ 8m일 경우에는 300mm로, 산벽높이가 8m 이상일 경우에는 400mm로 타설하는 것 이 적당하다.
상기와 같은 기초석(11)을 포함하는 자연석(10)과 지지프레임(20) 상호 간은 철근 또는 강봉 등으로 된 고정바아(30)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바아(30)는 자연석(10)의 상하에 걸쳐 최소 2개 이상을 설치하도록 하며, 각 고정바아(30)의 일단은 자연석(10)에 일정 깊이 이상 삽입하여 정착되도록 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2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충분히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바아(3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연석(10) 높이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의 경우 뒷쪽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하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의 경우에는 뒷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구도를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고정바아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단순히 수평되게 설치한 경우에 비해 더욱 내구성 및 구조적 안정성에서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지지프레임(20)과 1단 기초석(11)의 설치가 완료된 다음으로는, 상기 1단 기초석(11)의 배면측에 뒷채움토(40)를 채워 넣어 법면 붕괴를 막고 기초석(11)과 지지프레임(20)이 완전히 일체화될 수 있도록 시공한다. 이후로는, 상부로 2단 이상의 자연석(10)을 계속적으로 설치해 나가며, 최종적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이르기까지 자연석 쌓기 및 뒷채움토 채움작업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전 체 산벽 구조체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2단 이후로의 자연석의 고정 및 후속 공정은 전술한 1단 기초석(11) 설치에서와 동일한 방식에 따라 반복하여 시공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전용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개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산벽을 구축함에 있어 강재빔 프레임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각각의 자연석들을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높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므로 환경 친화성과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성 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자연석을 쌓아 올려 옹벽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축되는 산벽 구조체에 있어서,
    전면측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연석;
    상기 자연석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강재빔을 지반 상에 소정거리마다 상하방향으로 세워서 된 지지포스트와; 상기 지지포스트에 소정높이마다 횡방향으로 부설된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격자형으로 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자연석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자연석들을 지지하는 고정바아;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체 산벽 구조체가 구조적으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아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아는 각 자연석 높이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의 경우 배면으로 갈수록 소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하부측에 결합된 고정바아의 경우 배면으로 갈수록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구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2020060001388U 2006-01-17 2006-01-17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KR200413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88U KR200413303Y1 (ko) 2006-01-17 2006-01-17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388U KR200413303Y1 (ko) 2006-01-17 2006-01-17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820 Division 2006-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303Y1 true KR200413303Y1 (ko) 2006-04-05

Family

ID=4176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388U KR200413303Y1 (ko) 2006-01-17 2006-01-17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3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95B1 (ko) 2006-07-13 2007-12-21 홍순호 경사지, 절개지 또는 성토지에 대한 조경시설물의 시공방법
KR101006426B1 (ko) 2010-04-22 2011-01-06 마승희 조경석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06668B1 (ko) 2012-02-07 2012-11-29 김진호 자연석을 이용한 다층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95B1 (ko) 2006-07-13 2007-12-21 홍순호 경사지, 절개지 또는 성토지에 대한 조경시설물의 시공방법
KR101006426B1 (ko) 2010-04-22 2011-01-06 마승희 조경석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06668B1 (ko) 2012-02-07 2012-11-29 김진호 자연석을 이용한 다층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6119B (zh)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CN104947682A (zh) 一种基坑支护施工方法及其装置
CN100510281C (zh) 超大直径、超埋深度调蓄池的半逆作施工方法
CN109371989B (zh) 一种适用于边坡稳定支护的组合式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024662A (zh) 锚杆静压桩托换无地下室建筑地下空间增层的方法
CN211200426U (zh) 一种微型钢管桩挡墙抗滑支挡结构
CN103334450B (zh) 一种带排水沟的桩柱预制板挡土墙的施工方法
KR100902308B1 (ko)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01891130U (zh)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CN108035360B (zh) 一种用于基坑支护的方法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CN107326932B (zh) 一种地下车库的准半逆作施工方法
CN111622234B (zh) 一种斜竖向组合钢管桩承托的卸荷式薄壁箱型挡墙及施工工艺
CN202730796U (zh) 既有挡土墙肋板式卸荷加固结构
CN110117959B (zh) 一种临近江河基坑支护施工方法
CN201801843U (zh) 一种带锚碇结构的水上重力式挡土结构
CN215406119U (zh) 一种高大边坡光面支护结构
KR100393515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CN204715364U (zh) 一种基坑支护装置
CN211773858U (zh) 一种景观石笼挡墙
CN112609731A (zh) 一种柔性透水路堑挡墙及施工方法
CN208309592U (zh) 一种基坑支护结构
CN206722391U (zh) 基于砖胎膜的地下室挡墙造型墙支模结构
CN111663492A (zh) 一种河道生态治理施工工艺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