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439Y1 -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 Google Patents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1439Y1 KR200321439Y1 KR20-2003-0013749U KR20030013749U KR200321439Y1 KR 200321439 Y1 KR200321439 Y1 KR 200321439Y1 KR 20030013749 U KR20030013749 U KR 20030013749U KR 200321439 Y1 KR200321439 Y1 KR 2003214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concrete
- block
- mesh
- support bloc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에 녹화가 조경되는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크리트옹벽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배수구가 내측에 형성되는 콘크리트받침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의 상부와 콘크리트옹벽의 경사면에 지지되며 다단으로 적층설치되고 그 내측에 채워지는 토사에 조경이 식재되는 그물망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옹벽의 콘크리트 경사면에 꽃, 식물 등을 식재하여 성장 생육되도록 함으로서, 옹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자연 속에서 동물의 이동통로로도 사용가능하며,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내측으로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옹벽 전면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받침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의 상부와 콘크리트옹벽의 경사면에 지지되어 적층설치되고 그 내측으로 충진되는 토사에 조경이 식재되는 그물망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도심미관이 수려해지고, 자연 속에서 동물의 이동통로로도 이용가능하도록 하며, 옹벽에도 식물이 푸르게 자랄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경사진 지반을 평평하게 만들때 절, 성토 부위에 축조되는 영구 흙막이 구조물을 일컫는 것으로 산지와 구릉이 많은 국내 여건에 가장 친숙한 구조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산업발달과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의 극대화와 용지보상의 최소화라는 측면에서 옹벽구조물은 규모와 수요면에서 급격한 증가추세로 치닫고 있다.
종래에 시공되는 옹벽은 내측에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을 짜는 초기 시공단계에서 거푸집 상에 내, 외측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수개를 관통되게 설치한 후 물과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이 혼합된 혼합조성물을 타설함으로서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은 주로 회색 콘크리트의 직벽 또는 직선 공간의 창출로 도심의 미관을 저하시키고, 자연속에서 살아가는 동물의 이동통로를 차단하고 있어 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입하고 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구조물의 부식으로 인하여 흉물로 변해가는 등 인공적인 경관의 형성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흙을 돌담이나 옹벽으로 지지하여 붕괴를 방지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토압을 주동토압(主動土壓)이라고 하고, 옹벽을 흙쪽으로 밀어붙였을 때 미는 힘이 어느 한도 이상이 되면 흙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며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수동토압(受動土壓)이라 하는데, 이 토압은 일반적으로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비례해서 증가함으로 비가 내려 흙이 물로 포화하면 토압 외에 수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 수압으로 인해 옹벽을 넘어뜨리려는 힘이 급증하게 되어 옹벽이 붕괴되는 등 위험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토압이 작용하는 뒷벽과 이를 지지하는 앞벽의 지지력을 고려하여 토압을 산정함에 있어서 안정된 지지력과 경사각으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옹벽에 토압에 대응되는 지지력을 부여함으로서 옹벽의 붕괴가 예방되도록 하고, 시계를 좋게하고 안정감을 조성하여 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3a 또는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의 그물망블록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콘크리트옹벽 110...유로홈
120...옹벽배수구 200...콘크리트받침블록
210...앵커 220...배수구
300...그물망블록 310...중간블록
320...상부블록 330...토사공
340...소정공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측으로 다수개의 옹벽배수구가 형성되는 콘크리트옹벽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옹벽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되, 상기 콘크리트옹벽 전면 하부에 앵커에 의해 고정 지지토록 설치되고,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구가 외향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콘크리트받침블록과,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의 상부와 콘크리트옹벽의 경사면에 지지되며 다단으로 적층설치되고, 토사가 인입토록 상부에 토사공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충진되는 토사에 조경이 식재되는 중간블록과 상부블록로서 이루어지는 그물망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그물망블록은, 상기 중간블록과 상부블록이 와이어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상기 콘크리트옹벽의 전면에는 상기 옹벽배수구의 단부가 연결되는 유로홈이 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옹벽(100) 전면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콘크리트받침블록(200)과,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의 상부와 콘크리트옹벽(100)의 경사면에 지지되어 적층되는 그물망블록(300)로서 이루어진다.
즉, 도로변 비탈면, 절개지 등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여 붕괴를 방지하는 콘크리트옹벽(100)은, 토사를 절토하고 철근이나 패널로 거푸집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그 측단면이 'ㅗ'형으로 축조되는데, 상기 콘크리트옹벽(100)의 전면부에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과 그물망블록(300)이 설치된다.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은, 상기 콘크리트옹벽(100)의 저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이어 설치되고, 그 하부는 FRP앵커(210)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옹벽(100)에 고정 지지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은, 그 단면이 사다꼴형상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과 타측의 경사면은 상기 콘크리트옹벽(100)와 그물망블록(300)에 각각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에는, 상기 콘크리트옹벽(100)의 옹벽배수구(120)로 부터 배출되는 우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구(220)가 내측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에 밀착 설치되는 그물망블록(300)은,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의 경사면과 콘크리트옹벽(100)의 경사면에 각각 지지되며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다.
상기 그물망블록(30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중간블록(310)과, 적층 설치된 중간블록(310)의 최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콘크리트옹벽(100)의 상단 수평면과 연장선상으로 설치되는 상부블록(320)으로서 이루어진다.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블록(310)은, 내측으로 소정공간(340)이 형성되어 소정각도 기울어지는 육면체 형상의 그물망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소정공간(340)으로 토사가 채워질 수 있도록 그 상부면에 토사공(330)이 형성된다.
또한,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블록(320)은, 상기 중간블록(310)의 최상층에 적층되고 , 그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블록(310)과 상부블록(320)은 상호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결속되고, 상기 콘크리트옹벽(100)의 전면으로 상기 옹벽배수구(120)의 단부와 대응되는 유로홈(110)이 콘크리트옹벽(100)의 경사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토사를 절토하고 철근이나 패널로 거푸집을 형성한 후 옹벽기초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그 측단면이 'ㅗ'형이 되도록 축조하고, 상기 콘크리트옹벽의 전면부에 콘크리트받침블록과 그물망블록을 설치한다.
콘크리트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실사용시 성토층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옹벽배수구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측으로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을 짜는 초기 시공단계에 있어서는 거푸집 상에 내,외측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수개를 관통되게 설치한 후 물과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이 혼합된 혼합조성물을 타설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콘크리트옹벽은 통상적으로 타설을 완료한 후 기존의 지반층과 옹벽 내에 토사로 이루어진 성토층을 다단으로 적층 형성하여 우수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취함과 동시에 이를 유도하여 옹벽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옹벽배수구 상으로 우수가 여과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은 상기 콘크리트옹벽의 저부 횡방향을 따라 연이어 설치하되 콘크리트받침블록의 배수구가 상기 콘크리트옹벽 내부의 옹벽배수구와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후, 콘크리트옹벽 전면 저부로 FRP앵커를 통해 고정설치한다.
계속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블록에 토사를 상부에 형성된 토사공을 통해 채운후, 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의 경사면과 콘크리트옹벽 경사면에 지지되도록 적층하여 설치 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중간블록이 적층되는 최상부에는 토사가 충진된 상부블록을 적층하여 상기 콘크리트옹벽의 상면과 동일평면상에 대응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블록의 측면과 상기 상부블록의 상부면에는 블록박스 내측으로 토사를 채우후 주로 양잔디나 향토초목의 식재하되 그 중에서도 주위환경과 잘 조화되고, 발아율이 높아 단시일 내에 녹화가 조성될 있는 것으로 식재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공된 옹벽의 경사면에 토사를 채운 그물망블록을 설치하여 옹벽의 붕괴를 예방하고,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블록의 측면으로 여러가지의 초목을 식재하여 도심미관이 수려해지는 동시에 생태계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변 비탈면, 제방, 단지 조경벽면 등 절개지에 시공된 옹벽의 경사면에 토사를 채운 그물망블록을 설치함으로서 옹벽에 토압에 대응되는 지지력을 부여하여 옹벽의 붕괴를 예방하고, 안정감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옹벽의 콘크리트 경사면에 꽃, 식물 등을 식재하여 성장 생육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심미관이 수려해지고, 자연 속에서 동물의 이동통로로도 이용가능하며, 푸르게 식물이 자랄수 있어 환경적으로 생태계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 내측으로 다수개의 옹벽배수구가 형성되는 콘크리트옹벽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옹벽(1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되, 상기 콘크리트옹벽(100) 전면 하부에 앵커(210)에 의해 고정 지지토록 설치되고,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구(220)가 외향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콘크리트받침블록(200)과,상기 콘크리트받침블록(200)의 상부와 콘크리트옹벽(100)의 경사면에 지지되며 다단으로 적층설치되고, 토사가 인입토록 상부에 토사공(330)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충진되는 토사에 조경이 식재되는 중간블록(310)과 상부블록(320)로서 이루어지는 그물망블록(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블록(300)은, 상기 중간블록(310)과 상부블록(320)이 와이어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상기 콘크리트옹벽(100)의 전면에는 상기 옹벽배수구(120)의 단부가 연결되는 유로홈(110)이 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3749U KR200321439Y1 (ko) | 2003-05-02 | 2003-05-02 |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3749U KR200321439Y1 (ko) | 2003-05-02 | 2003-05-02 |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1439Y1 true KR200321439Y1 (ko) | 2003-07-28 |
Family
ID=4933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3749U KR200321439Y1 (ko) | 2003-05-02 | 2003-05-02 |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143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118B1 (ko) * | 2004-02-02 | 2005-06-16 | 충청북도 |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
-
2003
- 2003-05-02 KR KR20-2003-0013749U patent/KR20032143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118B1 (ko) * | 2004-02-02 | 2005-06-16 | 충청북도 |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3236B1 (ko) |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 |
KR100704408B1 (ko) | 식생용 블럭 | |
CN108166520B (zh) | 电力输电线路工程建设水土保持方法 | |
KR20070033301A (ko) | 식생형 중공블록 | |
CN209555948U (zh) | 一种拼装式生态桩间挡土板构造 | |
KR100654936B1 (ko) | 옹벽 블록 시공 방법 | |
KR100734812B1 (ko) | 배수 및 식생기능을 겸비한 콘크리트 계단식옹벽 및 이의시공방법 | |
KR200403507Y1 (ko) | 식생형 중공블록 | |
KR101501733B1 (ko) |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 |
CN210857234U (zh) | 一种边坡马道平台绿化和防护的组合结构 | |
KR200345937Y1 (ko) |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 |
KR200321439Y1 (ko) |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 |
CN214657144U (zh) | 一种适用于西北黄土高原地区的新型生态护坡 | |
CN111778925B (zh) | 一种河道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 |
CN110714478B (zh) | 一种透水格栅型重力生态挡土墙结构 | |
KR100671791B1 (ko) |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 |
KR200357964Y1 (ko) | 옹벽 블록 | |
KR100763874B1 (ko) | 식생용 옹벽블록 | |
KR100593186B1 (ko) | 친환경적 옹벽 | |
KR200402406Y1 (ko) |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 |
JP4886822B2 (ja) | 組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連鎖状構造物 | |
KR200376567Y1 (ko) | 식재공이 있는 계단식 콘크리트 옹벽 | |
KR102666680B1 (ko) | 자립형 중력식 옹벽블록 | |
CN214530513U (zh) | 一种绿色生态抗冲刷型水岸结构 | |
CN217678882U (zh) | 一种用于城市河道的多功能直立生态护岸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