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317A -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6317A KR20230136317A KR1020220033874A KR20220033874A KR20230136317A KR 20230136317 A KR20230136317 A KR 20230136317A KR 1020220033874 A KR1020220033874 A KR 1020220033874A KR 20220033874 A KR20220033874 A KR 20220033874A KR 20230136317 A KR20230136317 A KR 202301363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ss
- artificial turf
- hybrid
- cover plate
- upper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1133760 Acoelorraph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32 tuf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26 Micr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천연 잔디 식생용 토양을 포함하여 천연 잔디의 식생을 원활하게 하여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를 조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은 내부에 잔디 식생용 토양을 담을 수 있으며, 상부 개방된 잔디 식생 용기와; 잔디 식생 용기에서 자란 잔디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상기 잔디 식생 용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판과, 상기 상부 커버판에 결합된 인조잔디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은 내부에 잔디 식생용 토양을 담을 수 있으며, 상부 개방된 잔디 식생 용기와; 잔디 식생 용기에서 자란 잔디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상기 잔디 식생 용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판과, 상기 상부 커버판에 결합된 인조잔디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천연 잔디 식생용 토양을 포함하여 천연 잔디의 식생을 원활하게 하여 인조잔디와 천연잔디를 조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 잔디는 친환경적인 면에서 여러가지 우수한 점이 있지만, 관리가 까다롭고 자주 이용시 잔디가 밟혀 죽기 때문에, 운동장이나 체육 시설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얇을 필름으로 천연 잔디의 술을 구현한 인조 잔디가 널리 사용도고 있다. 인조 잔디는 인조 잔디 구장은 흙을 다짐한 다짐층에, 인조 잔디 술이 심겨진 인조 잔디 매트를 깔고, 규사를 매트에 심겨진 인조잔디 술 사이에 소정 두께로 포설하여 인조잔디 술을 직립시키면서 동시에 규사의 무게를 이용하여 인조잔디매트를 바닥에 고정시키고, 규사층 위에 다시 충격 흡수용 고무칩을 포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조 잔디 술이 심겨진 인조 잔디 매트는 PP, PE 또는 PET와 같은 섬유로 편직된 기포지를 인조잔디 술이 U자 형태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매트의 뒷면에는 심겨진 인조 잔디 술이 사용 중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인더를 이용한 백코팅이 이루어진다. 또한, 백코팅은 인조 잔디의 배수성 저하를 야기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매트의 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조 잔디 구장은 설치와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인조 구조물로서 친환경적인 감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천연 잔디의 질감을 구현하기가 어렵고, 또한 여름철 온도와 습도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과, 장기 사용에 의한 미세 플라스틱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조 잔디와 천연 잔디를 조합하여 천연-인조 잔디 하이브리드 운동장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2168800호에서는 잔디를 파종하고, 일전 수준으로 성장시킨 후, 잔디가 심겨진 토양에 인조 잔디를 식재하는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식은 천연 잔디에 대한 보호 장치가 없어 천연 잔디의 장기간 안정적인 식생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2265557호에서는 이중 천공 지지판 위에 천연 잔디가 심겨지는 천연 잔디 모듈이 형성되고, 상기 천연 잔디 모듈위에 천공된 기포지 형태의 인조 잔디 모듈이 부착되는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천연 잔디가 일정 수준으로 자라기 전에 설치할 경우, 천연 잔디가 밟혀서 죽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제조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또한, 잔디가 자란 후 설치하더라도 인조 잔디 모듈 사이로 자라난 천연 잔디가 인조 잔디 모듈에 눌려서 고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조 잔디와 천연 잔디를 함께 식생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형 잔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조 잔디와 천연 잔디를 함께 식생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형 잔디 구장을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잔디 식생용 토양을 담을 수 있으며, 상부 개방된 잔디 식생 용기와;
잔디 식생 용기에서 자란 잔디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상기 잔디 식생 용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판과,
상기 상부 커버판에 결합된 인조잔디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생 용기는 소정의 길이와 너비와 높이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잔디 식생 용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생 용기는 토양에 식생된 잔디가 자랄 수 있도록 5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cm 이상의 깊이를 가지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장된 천연 잔디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20~30 cm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생 용기는 하면 및/또는 측면에 천연 잔디의 뿌리가 뻗어 나갈 수 있도록 소정의 천공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천공부를 통해 배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방된 직육면체형 잔디 식생 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까지 이송될 경우, 이송 과정에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나의 평면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전개형 용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전개형 용기는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을 해외에 설치하기 위해 컨테이너로 수출시 운송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전개형 용기는 시공 장소에서 상부 개방된 직육면체형 용기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생 용기는 20 cm 이상의 길이와 넓이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50 cm의 길이와 20~30 c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용 용기의 내부에는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용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격벽에는 천연 잔디의 뿌리가 뻗어갈 수 있도록 천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격벽은 양단이 잔디 식생 용기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두 내벽에 양측단이 고정된 격벽용 지지판일 수 있다. 상기 격벽용 지지판은 대향하는 내벽에 형성된 수직하는 두 홈에 양단이 삽착되어 고정되는 조립식 지지판일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1자형 단면을 가지거나 십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잔디 식생 용기의 상부 개방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판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잔디 식생용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형 식생 용기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판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잔디 식생 용기에 충진된 토양에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1mm 이상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5 mm 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투명 내지 반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또는 투명성을 가지도록 개질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으며, 투명성을 가지도록 개질된 수지는 투명 폴리프로필렌, 투명 ABS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는 다수의 천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부는 동일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서 천공부에 의한 천공 면적은 하이브리드 잔디에서 식생되는 천연 잔디와 인조잔디의 비율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커버 면적의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일 수 있으며, 적절하게는 20~35%의 면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천공부의 면적이 상기 면적보다 적을 경우에는 식생되어 자라는 천연 잔디가 커버의 외부로 빠져나오기 힘들어 천연 잔디의 식생을 방해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부의 면적이 지나치게 넓으면 상부 커버판에 필요한 강성과 같은 물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의 하면에는 잔디 식생 용기에 충진되는 흙에 박혀서 상부 커버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기는 반구형 지지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판에 형성된 반구형 지지 돌기들은 원통형 상부 지지대와 반구형 하부 커버로 이루어진 반구형 지지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들은 잔디 식생 용기에 충진된 흙에 일부 또는 전부가 박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지지들기들은 잔디 식생 용기에 충진된 토양의 상면과 상부 커버판의 하면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일부가 박힐 수 있다. 이격된 공간에서 식생된 잔디가 밟히지 않고 자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는 내부에 상부 개방된 우물형 홈이 형성된 우물형 돌기일 수 있으며, 상기 우물형 돌기에는 배수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들은 반구형 지지돌기 형태의 홈을 가지는 암금형과 상기 암금형에 맞물리는 반구형 지지 돌기를 가지는 숫금형을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 형성된 돌기들은 각각의 반구형 지지 돌기의 주변에 4개의 천공된 구멍이 형성된 배치되고, 천공된 각각의 구멍의 주변에 4개의 반구형 지지 돌기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 고정되는 인조 잔디 술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인조 잔디술은 상부 커버판에 터프팅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지반을 설치하는 단계; 및
내부에 잔디 식생용 토양과 잔디씨가 담긴 상부 개방된 잔디 식생 용기와, 잔디 식생 용기에서 자란 잔디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상기 잔디 식생 용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판과, 상기 상부 커버판에 결합된 인조잔디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상기 지반에 상호 연접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재를 위한 토양은 잔디 재배에 사용될 수 있는 왕겨, 낙엽, 야자수, 거름, 톱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은 내부에 잔디가 자랄 수 있는 충분한 토양이 충분한 깊이로 들어 있어서 잔디의 생육이 안정되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개형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은 하부 용기가 전개형으로 이루어져 설치전 부피가 작아 이송이 편리하고, 시공 현장에서 직접 조립 해서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의 사시도 방향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형 인조잔디 모듈의 전개된 하부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이루는 상부 커버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이루는 상부 커버판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이루는 상부 커버판에 인조잔디술이 터프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의 격벽을 이루는 판재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에서 토양이 충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들로 이루어진 인조 잔디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이루는 상부 커버판의 평면 사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형 인조잔디 모듈의 전개된 하부 용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이루는 상부 커버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이루는 상부 커버판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이루는 상부 커버판에 인조잔디술이 터프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의 격벽을 이루는 판재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에서 토양이 충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들로 이루어진 인조 잔디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잔디 모듈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을 이루는 상부 커버판의 평면 사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 잔디와 천연 잔디를 함께 식생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잔디 모듈(10)은 내부에 천연 잔디가 식생할 수 있는 토양을 담을 수 있는 상부 개방된 천연 잔디 식생 용기(100)와; 상기 천연 잔디 식생 용기에서 자란 잔디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를 가지며, 상기 천연 잔디 식생 용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판(200)과, 상부 커버판에 결합된 인조잔디술(300)과, 상기 천연 잔디 식생 용기(100)의 내부에서 상부 커버판(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격벽(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이브리드형 잔디 모듈(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잔디 식생 용기(100)는 하이브리드형 잔디모듈(10)들이 전후 좌우로 배열될 때, 상호간에 틈이 없이 서로연접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L)와 너비(W)와 높이(H)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잔디 식생 용기로 이루어진다.
잔디 식생 용기의 길이와 폭은 사출에 의한 성형이 가능하도록 각각 20~50 cm 범위를 사용할 수 있다. 잔디 식생 용기는 고분자 수지를 사출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는 잔디 식생 용기에 요구되는 물성과 특성을 고려하여 공지된 고분자 수지에서 선택될 수 있다. 잔디 식생 용기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격이 저렴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 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잔디 식생 용기의 두께는 사용되는 고분자의 강도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잔디 식생 용기에 충진되는 흙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3 mm 이상이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격벽 형성과 전개를 위한 홈의 형성을 위해서 5 mm 이상의 두께, 예를 들어, 5 mm, 6 mm, 7 mm, 8 mm, 9 mm 또는 10 mm의 두께를 사용할 수 있다.
잔디 식생 용기(100)는 내부에 식생되는 천연잔디가 뿌리를 내려면서 적절하게 식생될 수 있도록 10 cm 이상의 깊이, 예를 들어, 20~50 cm의 깊이, 일 예로, 20 cm, 25 cm, 30 cm, 35 cm, 40 cm, 45 cm, 또는 50 cm의 깊이를 가진다.
잔디 식생 용기(100)는 바닥판(101)과 4개의 측면판(110, 120, 130, 140)으로 이루어지며, 바닥판(101)과 4개의 측면판(110, 120, 130, 140)에는 내부에서 식생된 뿌리가 외부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뿌리용 천공부(150)를 가진다. 바닥판(101)에 형성된 뿌리용 천공부(150)는 잔디 뿌리가 외부로 뻗어나가는 구멍을 이룸과 동시에 배수를 위한 배수구로서 기능한다.
잔디 식생 용기(100)의 내부에 충진되는 토양은 천연 잔디의 씨앗과 식생을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이 설치되는 지역 또는 국가의 토양을 사용한다.
잔디 식생 용기(100)의 내부에서 식생되는 천연 잔디는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이 설치되는 지역 또는 국가의 토양을 사용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 식생 용기(100)는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까지 이송될 경우, 이송 과정에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바닥판(101)과 제1 측면판(110), 제2 측면판(120), 제3 측면판(130), 및 제4 측면판(140)이 하나의 평판으로 전개되는 전개형 잔디 식생 용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개형 잔디 식생 용기는 상호간의 빈틈 없는 적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을 국내 또는 국외로 이송시, 특히 컨테이너를 통해 해외 수출시 운송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소정의 길이(L), 폭(W), 및 높이(H)를 가지는 잔디 식생 용기(100)는 잔디 식생 용기(100)의 바닥면을 이루며 잔디식생 용기(100)의 길이(L) 및 폭(W)과 동일한 길이(L)와 폭(W)을 가지는 직사각형 바닥판(101)과, 일측이 상기 직사각형 바닥판(10)에 붙어 있으면서 직사각형 바닥판(101)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잔디 식생 용기(100)의 높이(H)와 동일한 폭을 제1 측면판(110)과, 일측이 상기 제1 측면판(110)의 일측에 붙어 있으면서 상기 제1 측면판(1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잔디 식생 용기(100)의 폭(W)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제2 측면판(120)과, 일측이 상기 제1 측면판(110)의 타측에 붙어 있으면서 상기 제1 측면판(1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잔디 식생 용기(100)의 폭(W)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제3 측면판(130)과, 상기 제3 측면판(130)의 타측에 붙어 있으면서 상기 제3 측면판(13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잔디 식생 용기(100)의 길이(L)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제4 측면판(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측면판(110), 제2 측면판(120), 제3측면판(130) 및 제4 측면판(140)에서 각 측면판들의 중간에는 격벽 결합용 홈(430)들이 형성된다.
제1 측면판(110)과 제2 측면판(120)의 사이와, 상기 제1 측면판(110)과 제3 측면판(130)의 사이와, 제3 측면판(130)과 제4 측면판(140) 사이에는 전개된 용기가 접힐 때 상호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45°경사면으로 이루어진 V자 단면의 접힙용 홈(160)들이 형성된다.
상기 직사각형 바닥판(101)의 둘레에는 소정폭의 결합용 테두리(17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용 테두리(170)에는 결합용 홈(180)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면판(120). 제3 측면판(130), 제4 측면판(14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용 홈(180)에 삽입되는 결합용 돌기(190)들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용 홈(180)에 삽착되며, 이를 통해서 바닥판과 측면판들이 결합되어,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잔디 식생 용기(100)를 이룬다.
잔디 식생 용기(100)를 덮는 상부 커버판(200)은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잔디 식생 용기(100)를 커버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형 식생 용기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판(200)은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환경 변화를 견딜 수 있고, 내부 토양에 가시광선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약 2 mm 두께의 반투명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커버판(200)에는 잔디 식생 용기(100)에서 식생된 후 자라난 천연 잔디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 천공(210)들이 대각선을 따라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약 10~15 mm 직경의 원형 천공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된 영역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18~24 % 범위를 이룬다.
상기 다수의 원형 천공(210)들은 상부 커버판(200)의 길이 및 폭에 평행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정사각형 형태의 단위 격자(A)에서 정사각형의 네 꼭지점과 대각선이 교차하는 중심부에 원형 천공들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체심입방구조의 일면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상부 커버판(200)의 하면에는 원형 천공(210) 사이 사이에 다수의 반구형 지지돌기(220)이 위치한다.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220)는 원통형 상부 지지대(221)와 반구형 하부 돌기(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220)은 내부가 비어 있고, 외면과 내면의 형상이 동일하고, 상부 개방되어 있어, 상부 커버판(200)의 상면에서 볼 때 반구형 바닥면을 가지는 반구형 우물(230)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220)에서 원통형 상부 지지대(221)의 내부 지름은 10~14 mm이며, 반구형 하부 돌기의 반지름은 5~7 mm를 이루며, 반구형 지지 돌기(220)의 두께는 1~2 mm 정도로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반구형 우물(230)은 정사각형 단위 격자(A)에서 직사각형의 네변에 중심이 위치하며, 단위 격자(A)의 중심에 위치하는 원형 천공(210)을 4개의 반구형 우물(230)이 마름모 형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 커버판(200)의 일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상부 커버판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용 연장편(240)이 상부 커버판(200)과 동일 평면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결합용 연장편(240)에는 하향 돌출되는 결합용 돌기(24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용 돌기(241)는 인접하는 다른 상부 커버판에 형성된 원형 천공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판(200)의 상부 표면에서 원형 천공(210)과 반구형 우물(230) 사이의 빈틈에는 인조잔디술(300)이 결합된다. 상기 인조잔디 술(300)은 상부 커버판(200)을 U자 형태로 관통하는 터프팅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인조잔디술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커버판(200)에 터프팅된 인조잔디 술(300)의 높이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10 c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프팅되는 인조잔디 술(300)은 6~20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잔디 식생 용기(100)의 내부에는 상부 커버판(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십자형 지지용 격벽(400)이 삽착된다. 상기 십장형 지지용 격벽(400)의 길이는 잔디 색생 용기의 길이(L)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잔디 식생 용기의 폭(W)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며, 잔디 식생 용기의 높이 (H)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진다.
상기 십자형 지지용 격벽(400)은 상단이 상부 커버판(200)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용 격벽(400)에는 잔디 뿌리의 확산을 위해서 다수의 관통구(410)가 형성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십자형 지지용 격벽(400)은 두 개의 일자형 격벽(401)이 상호 결합하여 십자형 지지용 격벽(400)을 이루고, 십자형 지지용 격벽(400)은 잔디 식생 용기(100)의 내벽에 수직하게 형성된 격벽 결합용 홈(43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일자형 격벽(401)은 잔디 식생 용기(100)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와, 잔디 식생 용기(100)의 깊이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며, 중앙에는 일자형 격벽(401)들이 상호 결합하여 십자형 지지용 격벽(400)을 이룰 수 있도록, 절개형 홈(411)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형 홈(411)의 깊이는 일자형 격벽(401)의 폭의 절반에 상응하는 깊이를 가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잔디 식생 용기(100)의 내부에는 토양(500)이 충진된다. 토양(500)은 잔디 식생 용기(100)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충진되어, 토양(500)의 상면과 상부 커버판(200)의 하면 사이에 소정 높이의 이격 공간(510)이 형성된다. 토양(500)의 상면과 상부 커버판(200)의 하면 사이의 이격 간격은 반구형 지지돌기(220)의 전체 길이보다 작아 반구형 지지돌기(220)의 하단 일부가 토양(500) 내부에 박혀서 고정되어 상부 커버판(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이격 공간(510)은 토양에서 자라난 천연 잔디(600)가 토양(500)의 표면을 따라서 좌우로 뻗어 가는 통로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격 공간(510)은 반구형 지지돌기(220)들에 의해서 토양의 상부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밟을 경우에도 잔디의 뿌리나 줄기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 커버판(20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고, 반구형 지지돌기(220)들은 반구형 우물(230)을 통해서 입사되는 광을 상기 이격 공간(510)으로 반사시켜, 상기 이격 공간(510)을 온실화시켜 토양에서 자란 잔디가 겨울철 낮은 온도를 견딜 수 있게 된다.
충진된 토양에서 식생되는 천연 잔디는 뿌리가 자라면서 잔디 식생 용기(100)의 토양에서 직사각형 바닥판(10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150)를 통해서 용기 외부로 뻗어나가게 되며, 제1 측면판(110)에서부터 제4측면판(140)에 걸쳐서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410)를 통해서 다른 잔디 식생 용기 내부로 뻗어나가게 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층(2)에 다수의 직육면체형 하이브리드형 잔디 모듈(10)을 연접하게 배치하면, 상부 커버판(200)들이 서로 결합되면서 인조잔디와 천연잔디가 조화된 하이브리드형 잔디 표면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인조잔디 술(300)이 결합된 상부 커버판(200)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지지돌기 형태의 홈을 가지는 하부 암금형(1100)을 가열하는 금형 가열단계(a)와, 상기 암금형(1100)에 폴리에틸렌 펠렛(1200)을 충진하는 충진 단계(b)와, 상기 암금형(1100)에 맞물리는 반구형 지지 돌기를 가지는 상부 숫금형(1300)하강시키는 단계(c)와, 상부 숫금형(1300)을 하부 암금형(1100)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압착시켜, 캐비티에 폴리에틸렌 펠렛을 녹여서 충진시키는 단계(d)를 이용해서 비천공된 상부 커버판을 형성하고, 이후 천공 과정을 거쳐서 상부 커버판(200)을 완성한다. 이후, 상부 커버판에서 반구형 지지돌기와 원형 천공홀 사이에 인조 잔디술을 터프팅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10: 하이브리드형 잔디 모듈
100: 잔디 식생 용기
101: 바닥판
110: 제1 측면판
120: 제2 측면판
130: 제3 측면판
140: 제4 측면판
150: 관통구
160: 접힙용 홈
170: 결합용 테두리
200: 상부 커버판
300: 인조잔디술
400: 십자형 지지용 격벽
100: 잔디 식생 용기
101: 바닥판
110: 제1 측면판
120: 제2 측면판
130: 제3 측면판
140: 제4 측면판
150: 관통구
160: 접힙용 홈
170: 결합용 테두리
200: 상부 커버판
300: 인조잔디술
400: 십자형 지지용 격벽
Claims (13)
- 내부에 잔디 식생용 토양이 담겨질 수 있는 상부 개방된 잔디 식생 용기와;
잔디 식생 용기에서 자란 잔디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와 하부 지지돌기들을 가지며, 상기 잔디 식생 용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커버판과,
상기 상부 커버판에 결합된 인조잔디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방된 직육면체형 잔디 식생 용기는 하나의 평면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전개형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용 용기의 내부에는 상부 커버판을 지지하는 지지용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로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격벽은 전개형 격벽의 내벽에 고정되는 조립식 지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격벽은 전개형 격벽의 내벽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딩 방식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는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커버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기는 반구형 지지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지지돌기는 내부에 우물형 홈이 형성된 반구형 지지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판에 고정되는 인조 잔디 술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인조잔디 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생용 토양이 상부 커버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충진되고, 하부 지지돌기는 잔디 식생용 토양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인조 잔디 모듈. - 제11항에 따른 인조 잔디 모듈이 상호 연접되게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인조잔디 모듈층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형 잔디.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생용 토양은 왕겨, 낙엽, 야자수, 거름, 및 톱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잔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3874A KR102701150B1 (ko) | 2022-03-18 | 2022-03-18 |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3874A KR102701150B1 (ko) | 2022-03-18 | 2022-03-18 |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6317A true KR20230136317A (ko) | 2023-09-26 |
KR102701150B1 KR102701150B1 (ko) | 2024-08-30 |
Family
ID=8819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3874A KR102701150B1 (ko) | 2022-03-18 | 2022-03-18 |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115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2339B1 (ko) * | 1999-05-10 | 2001-06-01 | 문영만 | 잔디 보호대 |
JP2004052435A (ja) * | 2002-07-23 | 2004-02-19 | Kyowa Concrete Industry Co Ltd | 組立法枠および同法枠を用いた斜面緑化方法 |
KR100762203B1 (ko) * | 2005-11-09 | 2007-10-01 | 석성기업주식회사 | 잔디 주차장 구조 |
KR20110028162A (ko) * | 2009-09-11 | 2011-03-17 | 이랜드체육산업 (주) | 인조잔디 투수탄성 포장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
KR20130024322A (ko) * | 2011-08-31 | 2013-03-08 | 이승철 | 인조 잔디 매트 |
KR101333467B1 (ko) * | 2012-01-30 | 2013-11-26 | 김진완 | 조립식 보도 블럭 케이스 |
-
2022
- 2022-03-18 KR KR1020220033874A patent/KR1027011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2339B1 (ko) * | 1999-05-10 | 2001-06-01 | 문영만 | 잔디 보호대 |
JP2004052435A (ja) * | 2002-07-23 | 2004-02-19 | Kyowa Concrete Industry Co Ltd | 組立法枠および同法枠を用いた斜面緑化方法 |
KR100762203B1 (ko) * | 2005-11-09 | 2007-10-01 | 석성기업주식회사 | 잔디 주차장 구조 |
KR20110028162A (ko) * | 2009-09-11 | 2011-03-17 | 이랜드체육산업 (주) | 인조잔디 투수탄성 포장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
KR20130024322A (ko) * | 2011-08-31 | 2013-03-08 | 이승철 | 인조 잔디 매트 |
KR101333467B1 (ko) * | 2012-01-30 | 2013-11-26 | 김진완 | 조립식 보도 블럭 케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1150B1 (ko) | 2024-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6993B1 (ko) | 식물 재배 매트 및 이의 설치 방법 | |
JP3813934B2 (ja) | 緑化体 | |
KR20160048614A (ko) | 철망 녹화블록 | |
KR100686693B1 (ko) | 천마재배를 위한 재배용기 | |
CN113080049A (zh) | 新型基质育苗盘、育苗系统及育苗方法 | |
KR101638985B1 (ko) | 조립식 식생모듈 | |
KR20230136317A (ko) |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 |
KR101187777B1 (ko) | 인공지반녹화에 적용가능한 식생블럭 | |
KR102669410B1 (ko) | 롤형 하이브리드 잔디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50054077A (ko) | 조립식 입체형 녹화구조물 | |
JP2720272B2 (ja) | 天然芝生用プランター | |
JP3890532B2 (ja) | 多目的緑化盤及び緑化方法 | |
KR200183479Y1 (ko) | 인삼묘 재배장치 | |
JPH11155369A (ja) | マット栽培トレー及び植物栽培方法 | |
KR100902663B1 (ko) |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688778B1 (ko) | 에코매트가 포함된 식생용 개비온 | |
KR20240017456A (ko) | 식물 부산물 재활용 하이브리드 잔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잔디 시공 방법 | |
KR102665477B1 (ko) |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 |
KR20240017467A (ko) | 식물 부산물 재활용 롤형 하이브리드 잔디 제조 및 그 시공 방법 | |
JP3868604B2 (ja) | 植栽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332747B1 (ko) | 자연녹지화용 보조지지장치 | |
JP2546563Y2 (ja) | 人工植物栽培床 | |
CN217308556U (zh) | 生态绿化覆盖层 | |
KR102658871B1 (ko) | 식물 부산물 재활용 하이브리드형 투수성 잔디 블록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시공 방법 | |
KR101417672B1 (ko) | 벽면 녹화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