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358Y1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 Google Patents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358Y1
KR200396358Y1 KR20-2005-0017892U KR20050017892U KR200396358Y1 KR 200396358 Y1 KR200396358 Y1 KR 200396358Y1 KR 20050017892 U KR20050017892 U KR 20050017892U KR 200396358 Y1 KR200396358 Y1 KR 200396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undary
light emitting
emitting member
road
boundar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옥
Original Assignee
이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옥 filed Critical 이혜옥
Priority to KR20-2005-0017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3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도로경계용블럭을 제공하되 보도와 차도의 경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경계석 내에 직접 삽입하여 발광부재가 발광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축광물질을 내장시켜 만든 도로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도로경계블럭은 폐수지 만을 이용하여 4각기둥 장방형상으로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이루도록 성형물을 얻되, 성형물은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음각홈부를 갖고, 경계블럭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양단으로 암, 수 결합부를 이루도록 성형되고,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도로경계블럭의 음각홈부에 내삽시켜, 보도와 차도의 경계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의 발광부재가 내삽되는 음각홈부는 도로경계블럭 차도 쪽면이나 상부면으로 일정구획 폭으로 일자구획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Road Boundary Block using Wasted Plastic}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도로경계석과 각종 교통안전 시설물 및 안내표시물 등이 설치되어 차량과 행인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통행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있다.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 상에 설치되어 도로와 보도가 구분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재료에 따라 사각형 단면의 석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석재 경계블록, 시멘트를 양생시킨 콘크리트 경계블록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석재로 경계석을 가공하는 경우 그 비용이 증가되고, 일반 골재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얼마 지나지 않아 금이 가거나 파손되어 도시미관을 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석재나 콘크리트제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석은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고유색인 회색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야간에 조명이 없는 곳에서는 눈에 띄지 않아 도로와 차도의 경계를 구분하기가 어려워 야간에는 차량이 보도로 진입하는 등 교통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석재나 콘크리트제 경계석에 빛 반사나 야광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경계블록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 일부의 제품에 볼트 너트나 테이프,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방법, 경계석 또는 경계블록의 표면에 단순히 야광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 등이 개시된바 있었으나 경제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실용화되어 시행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또한, 석재로 경계석을 가공하는 경우 석재가 국내에서 생산되는 양이 부족하여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사용하므로 그 비용이 증가될 뿐 아니라 천연자원이 계속 소모되고 사용 후에는 계속 건설폐기물을 양산시키게 되며, 일반 골재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경계블록은 얼마 지나지 않아 마모 등 부식으로 파손되는 문제점 뿐 아니라 이 역시도 천연골재의 부족현상이 심각하여 모래를 수입하여 사용하는 현실일 뿐 아니라 골재 역시 자연을 파괴하여 생산하여야 하고 사용 후에는 건설폐기물을 계속 양산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로경계석이나 차량진입 방지 용도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석재 경계석은 충격흡수성이 거의 없는 소재이므로 이와 부딪치는 경우 차량의 손상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부딪혔을 때 그 충격으로 신체에 큰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조심성이 부족한 어린이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행하는 사람들에게는 위험을 가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대 산업화 발전과 함께 발전한 플라스틱 산업은 석유화학공업의 발전으로 더욱 눈부시게 발전하여 최근에는 플라스틱의 생산수준이 그 나라 경제규모를 가늠하는 척도로 인식될 만큼 각종 분야에서 플라스틱제품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고 플라스틱의 우수한 재질 특성으로 인해 그 사용량이 매년 10%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 후 버려져 발생되는 폐플라스틱의 발생량도 매년 증가추세에 놓여 있다.
그러나 현재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율은 국가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략 15%에서 40%이내에 그치고 있어 그 나머지 많은량이 매립이나 소각에 의해 일부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며 폐플라스틱의 은 매립 시 부피가 커서 매립 효율을 저하시키고 또한 난분해성으로 인해 매립지 조기 안정화를 저해하며, 소각에 의한 처리 시는 일부 열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또한 다이옥신 등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폐플라스틱의 매립시설 및 소각시설이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그 처리장소 부족으로 정부에서 골머리를 않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폐프라스틱의 재활용은 국가의 산업발전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재활용제품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고 또한 국가에서도 재활용을 장려하여 여러 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고려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도로경계블럭을 제공하되 보도와 차도의 경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경계블럭내에 직접 삽입하여 발광부재가 발광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축광물질을 내장시켜 만든 도로경계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원의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이루는 압착성형품은 상기의 폐수지를 이용하여 장방형상 4각 기둥모양으로 도로경계수지로 된 몸체를 이루되, 경계석과 경계석 사이의 이음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로경계블럭의 양단부에 일측으로는 돌출凸부를, 또 다른 일측으로는 음각凹부를 형성시켜 경계석 설치작업시 연결을 위한 작업성을 높이고, 또한 도로경계블럭 차도 쪽면으로 일정 폭으로 반사광이나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내장시키는 구조를 이루되 발광부재의 보호를 위해 경계석 내부로 음각부가 형성된 압착성형품을 얻고 상기 음각부에 발광부재를 삽입시킨 구조의 도로경계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및 석재 제품의 도로경계석은 그 자체가 갖고 있는 색상만을 표출하는 것이었으나 이를 합성수지로 대체할 경우 본원의 폐플라스틱으로 얻은 도로경계블럭의 외곽을 신제플라스틱에 그린의 초록색이나 블루의 하늘색 등을 나타내는 안료를 사용하여 도시미관을 살리며 밝고 깨끗하고 활기찬 도시환경을 조성하도록 이용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경계블럭은 폐플라스틱 수지를 사용하여 장방 형상으로 폐프라스틱재 4각 기둥형상으로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이루되, 도로 경계블럭의 일부에 보도와 차도의 경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사광이나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경계블럭 내에 삽입시킨 구조의 도로경계블럭을 제공하여 발광부재의 축광물질이 발광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만든 야광 도로경계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바, 상기 도로경계블럭에 종래의 천연자원인 석재나 콘크리트제 경계석을 사용하지 않고, 국가 산업발전에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하고 사용 후에는 폐기물이 발생하는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리싸이클시키고자 하는바, 이로 인하여 얻는 장점을 다 열거할 수가 없을 정도이다.
우선 본원에서는 종래의 도로경계블럭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도로와 보도가 구분되도록 하는 용도로 석재와 콘크리트제로 마련된 경계석의 것 이어서 지금까지 '도로경계석' 으로 불려져 온 것이나 본원의 도로경계석은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것이 일절 사용되지 않고 전체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 이므로 본원에서는 이를 '도로경계블럭' 이라고 부르도록 한다.
본원의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블럭은 종래의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도로경계석이 국토의 유용한 천연자원인 석재나 골재를 계속 훼손하거나 자재를 수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현실이고 사용 후에는 부피가 큰 건설폐기물로 계속 배출시키는 원인이되어 국토를 계속 오염시키는 근원임에 비하여 본원은 산업사회 발전을 위하여 필요불가결하게 사용해야 하고 매년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폐플라스틱 자원을 유효하게 리사이클 시켜 사용하는 2중효과를 갖게 된다.
본원의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블럭은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고유색인 회색을 피하고 플라스틱의 우수한 물성을 살리고 안료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판을 그린의 초록색이나 블루의 하늘색 등으로 제작하여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어 밝고 깨끗하고 활기찬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원의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블럭은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딱딱한 강도, 충격흡수성이 거의 없는 소재이므로 차량이나 사람이 부딪치는 경우 차량의 손상뿐 만 아니라 보행자가 신체에 큰 손상을 입는 경우에 비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충격흡수성으로 인하여 그 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고, 특히 조심성이 부족한 어린이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행하는 사람에게도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은 폐플라스틱재 수지를 이용하여 장방 형상으로 4각 기둥모양으로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이루되, 도로경계판의 일부에 보도와 차도의 경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경계판 내에 삽입시킨 구조의 도로경계블럭을 얻고자 하는바, 이하에서 본원의 플라스틱재 도로경계판을 얻기 위한 구체적 구현방법을 실시예를 겸하여 기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폐플라스틱 원료를 수집하여 이로부터 다시 폐수지 원료를 만드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다.
그 내용을 간단히 언급하여 보면, 일반적으로 폐플라스틱 발생경로는 석유화학 유화원료 제조업체 및 합성수지 성형제품의 제조업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규격 외품이나 로스제품이 발생하게 되며 이들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종류별 색상별로 분류하여 압출기에서 용융압출작업을 실시하여 냉각조를 경유하며 냉각되고 절단기를 통하여 입상형으로 절단되어 25㎏ 정도로 단위포장되어 재생수지원료로 리싸이클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일반 가정용기 및 포장용기 등 기타 플라스틱 폐기물은 이물질 제거공정을 거쳐 종류별 색상별로 분류되고 부피가 큰 덩어리의 경우는 절단되어지고 압출이 용이하도록 분쇄되고 세척처리조에서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탈수기를 경유하여 수분을 제거시키고 열풍으로 건조시킨 후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압출작업을 실시하여 냉각조를 경유하여 냉각시키고 절단기를 통하여 입상형으로 절단되어 25㎏ 정도로 단위포장 되어 재생수지원료로 사용되어지는 과정을 거쳐 폐플라스틱이 재활용되는 공정이 사용되어 진다.
본원은 상기와 같이 준비된 폐플라스틱 재생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농촌의 농산물용 온실하우스의 폐비닐, 산업용, 공업용 각종 폐수지, 각종 포장재 폐수지 등을 수거하여 세척이나 분쇄, 건조 등의 선별과정 없이 단순히 폐수지를 용융압출기에 투입될 정도로 적당한 크기로 절단시켜 용융압출기에 투입하여 2, 3차 용융과정을 거치며 완전 용융된 폐플라스틱을 장방 형상으로 4각 기둥모양으로 압축성형시켜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얻게 되는바, 압축성형 조건은 180℃∼280℃로 예열된 유압프레스기내에 원료 혼합물을 넣고 40㎏/㎠ 내지 80㎏/㎠의 압력으로 5∼10분간 압축성형시켜 도로경계블럭을 얻게되며, 폐수지원료 90 ~ 95 중량부에 돌가루 5 ~ 10 중량부의 비율로 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성형품에 도시미관을 위해 안료를 추가하여 원하는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압축성형 원료에 자외선안정제 또는 자외선차단제를 첨가시켜 오래도록 색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원의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이루는 압착성형품은 상기의 폐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장방형상 4각 기둥모양으로 도로경계판 몸체를 이루되, 경계석과 경계석 사이의 이음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로경계판 양단부에 일측으로는 돌출凸부를, 또 다른 일측으로는 음각凹부를 형성시켜 현장 설치작업시 작업성을 높이고, 또한 도로경계판의 차도 쪽면으로 일정 폭으로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내장시키는 구조를 이루되 발광부재의 보호를 위해 경계석 내부로 음각부가 형성된 압착성형품을 얻고 상기 음각홈부에 발광부재를 삽입시킨 구조의 도로경계블럭을 제공하게 된다.
음각홈부는 도로경계판 본체의 일측부에 일정폭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즉 주행하는 차량이 주행 중 인식할 수 있도록 차도쪽으로 반사광 또는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가 일직선으로 균일하게 30~ 60㎜ 정도의 폭으로, 도로경계판 안쪽으로 약 2 ~ 10㎜의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발광부재는 야간에 인도를 통행하는 사람들이 차도와 경계를 이루는 도로경계판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계석의 상부 쪽으로 반사광 또는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가 일직선으로 균일하게 적어도 3 ~ 5 ㎝의 폭으로 형성되어 통행인뿐 아니라,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행하는 사람들에게도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발광부재는 태양, 수은등, 형광등, 전조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광원의 에너지원을 흡수 축적해서 어두운 곳에서 형광 빛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진 축광안료에 황색안료와 자외선방지제, UV안정제 등을 합성수지원료와 배합시켜 시트형상으로 제작되어 중앙분리블럭의 음각 홈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중앙분리블럭 및 발광부재는 대기 중에 노출되어 산화되어 변색될 우려도 있으므로 첨가제로서 산화방지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산화방지제는 구연산모노이소푸로필, 테트라아미노디페닐메탄, 디살칠리덴-1, 2-푸로피렌디아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되어 첨가 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의 구체적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도로경계블럭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일 실시로 만든 도로경계블럭 사시도를, 도 1b는 상기도의 측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바, 본원의 도로경계블럭은 폐수지를 이용하여 도로경계블럭용 압축성형품(50)을 얻고, 여기에 발광부재판(10, 20)이 내장시켜 도로경계블럭(100)을 이루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된 도로경계블럭용 압축성형품(50)은 성형품 상면과 측면에 상면발광부재판(10)을 내장하기 위한 상면음각홈(51) 및 측면발광부재판(20)을 내장하기 위한 측면음각홈(53)가 각각 형성하고, 압축성형품(50)의 양 측부로 한쪽은 요(凹) 결합부(55)를 이루고 다른 한쪽은 철(凸) 결합부(56)를 이루어서 압축성형품(50)을 조립식으로 연이어 설치하도록 하는 구조를 이루고, 압축성형품(50)의 인도쪽으로는 보도블록지지턱(57)이 형성되도록 음각부를 형성하고 압축성형품(50)의 차도쪽으로는 원만한 라운드부(58)를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며, 상면음각홈(51) 및 측면음각홈(53)에는 각각 2~3개소에 음각 홀(52, 54)구멍이 형성되는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압축성형되어 도로경계판용 압축성형품(50)을 얻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압축성형품(50)의 상면음각홈(51) 및 측면음각홈(53)에는 별도로 제작된 발광부재판이 내삽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바, 상면발광부재판(10) 및 측면발광부재판(20)에는 성형품에 삽입되는 쪽으로 상면결합돌기부(11) 및 측면결합돌기부(21)를 형성하여 이들 돌기부가 각각 상면음각홈(51)에 마련된 음각 홀(52) 및 측면음각홈(53)에 마련된 음각 홀(54)에 내삽되어 일실시예로서 족쇄연결 이음부를 만들어 결합시키는 구조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원의 도로경계판(100)을 이용하여 설치현장에서 적용되는 예시도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도 2a는 도로경계판 설치 사시도를, 도 2b는 상기도의 측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바, 본원의 도로경계판(100)은 폐수지를 이용하여 도 1에 표시된 도로경계판용 압축성형품(50)을 얻고, 여기에 발광부재판(10, 20)이 내장시켜 도로경계판(100)을 이루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로포장 및 도로경계판 설치공사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로면에서는 토석층(600) 위에 자갈층(500)을 형성하고 아스팔트포장재(200)를 타설하는 등의 공법이 취하여지고, 도로경계판 설치를 위해서는 자갈층(500) 상부로 기초콘크리트(400)를 포설하고 그 상부로 본원의 도로경계판(100)이 설치되고 보도블록(300)하부로는 약간의 모래가 포설되고 그 상부에 보도블록(300)이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바, 본원의 도로경계판(100)에는 보도블록지지턱(57)이 형성되어 있어 보도블록지지턱(57)에 보도블럭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도 3은는 본원의 도로경계판(100)의 또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는바, 3a는 차도쪽만 발광부재를 갖는 실시양태이고, 3b는 도로 통행인, 어린아이이 차도로 진입하지 않도록 약간의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일정높이로 올려진 도로경계표시부(59)를 갖는 구조의 실시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도면 설명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의 한 실시 양태를 예시 열거한 것일 뿐 본원의 기술사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고, 폐플라스틱수지만을 이용하여 4각기둥 장방형상으로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이루도록 성형물을 얻되, 성형물은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음각홈부를 갖고, 경계석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양단으로 암, 수 결합부를 이루도록 성형되며,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도로경계블럭의 음각홈부에 내삽시켜, 보도와 차도의 경계식별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은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며, 또한 본원의 도로경계블럭은 블럭에 플라스틱 특성을 살려 블럭의 표면을 그린의 초록색이나 블루의 하늘색 등을 나타내기를 원하는 경우 안료를 사용하여 도시미관을 살리며 밝고 깨끗하고 활기찬 도시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본원의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블럭은 종래의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도로경계석이 국토의 유용한 천연자원을 계속 훼손하거나 자재를 수입하여 사용해야 하고 사용 후에는 부피가 큰 건설폐기물로 계속 배출시키는 요인으로 국토를 계속 오염시키는 근원임에 비하여 본원은 산업사회 발전을 위하여 필요불가결하게 사용해야 하고 매년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폐플라스틱 자원을 유효하게 리사이클 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고유색인 회색을 회피하고 플라스틱의 우수한 물성을 살리고 안료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판을 그린의 초록색이나 블루의 하늘색 등으로 제작하여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어 밝고 깨끗하고 활기찬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부가적 효과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본원의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블럭은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딱딱한 강도, 충격흡수성이 거의 없는 소재이므로 차량이나 사람이 부딪치는 경우 차량의 손상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신체에 큰 손상을 입는 경우에 비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충격흡수성으로 인하여 그 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어, 특히 조심성이 부족한 어린이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행하는 분들에게도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 본원 도로경계판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2 : 도로경계판 음각홈부에 내삽되는 발광부재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 3 : 본원의 도로경계판이 실제 도로현장에 적용되는 상태 예시도.
도 4 : 본원 도로경계판의 다른 실시예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면발광부재 11 : 상면발광부재돌기
20 : 측면발광부재 21 : 측면발광부재돌기
50 : 도로경계판성형품 51 : 상면음각홈
52 : 상면음각 홀 53 : 측면음각홈
54 : 측면음각 홀 55 : 측부 암 결합부
56 : 측부 숫 결합부 57 : 보도블록지지턱
100 : 도로경계판 200 : 아스팔트포장재
300 : 보도블록 400 : 기초콘크리트
500 : 자갈층 600 : 토석층

Claims (3)

  1. 폐플라스틱 원료를 이용하여 얻는 도로경계블럭 구조에 있어서,
    폐수지원료 90 ~ 95 중량부에 돌가루 5 ~ 10 중량부의 비율로 원료를 혼합하여 4각기둥 장방형상으로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이루도록 압축성형물을 얻되, 압축성형물은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음각홈부를 갖고, 경계블럭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양단으로 암, 수 결합부를 갖도록 압축성형되며, 별도로 제작된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상기 압축성형물의 음각홈부에 내삽시켜, 보도와 차도의 경계식별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경계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발광부재가 내삽되는 음각홈부가 도로경계블럭의 차도 쪽면으로 30 ~ 60 ㎜의 폭으로, 음각 깊이가 2~5 ㎜ 가 되도록 음각홈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경계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발광부재가 내삽되는 음각홈부가 차도 쪽면 이외에, 도로경계블럭 상부면에도 10㎜ 이상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경계블럭.
KR20-2005-0017892U 2005-06-21 2005-06-21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KR200396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92U KR200396358Y1 (ko) 2005-06-21 2005-06-21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92U KR200396358Y1 (ko) 2005-06-21 2005-06-21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777A Division KR20060133898A (ko) 2006-06-19 2006-06-19 폐플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도로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358Y1 true KR200396358Y1 (ko) 2005-09-21

Family

ID=4369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892U KR200396358Y1 (ko) 2005-06-21 2005-06-21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35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064B1 (ko) 2006-04-10 2006-12-06 (주)동방리테크 폐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도로경계석
KR100896521B1 (ko) * 2008-09-29 2009-05-08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상감기법을 이용한 캐릭터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446327Y1 (ko) * 2009-04-15 2009-10-20 선진기업(주)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KR100998238B1 (ko) 2009-09-17 2010-12-03 강순진 경계석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71661B1 (ko) 2012-05-18 2013-06-05 성하환경그룹 주식회사 조경용 엘이디 조명기구
KR200492536Y1 (ko) * 2020-04-22 2020-11-02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도로 경계석 커버
KR20230143454A (ko) 2022-04-05 2023-10-12 대동이브이 주식회사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064B1 (ko) 2006-04-10 2006-12-06 (주)동방리테크 폐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도로경계석
KR100896521B1 (ko) * 2008-09-29 2009-05-08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상감기법을 이용한 캐릭터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446327Y1 (ko) * 2009-04-15 2009-10-20 선진기업(주)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KR100998238B1 (ko) 2009-09-17 2010-12-03 강순진 경계석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71661B1 (ko) 2012-05-18 2013-06-05 성하환경그룹 주식회사 조경용 엘이디 조명기구
KR200492536Y1 (ko) * 2020-04-22 2020-11-02 주식회사 안전한도로 도로 경계석 커버
KR20230143454A (ko) 2022-04-05 2023-10-12 대동이브이 주식회사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KR102601824B1 (ko) 2022-04-05 2023-11-14 대동이브이 주식회사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358Y1 (ko)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KR20060133898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도로경계블록
KR100947888B1 (ko) 보행도로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20060133895A (ko)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KR101310333B1 (ko) 투수성 및 식별성을 갖는 분리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980008264U (ko) 도로용 경계블럭
KR200394526Y1 (ko)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중앙분리블럭
KR200387387Y1 (ko) 도로 경계석
KR20060133899A (ko)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KR200401214Y1 (ko) 도로 경계석
KR10227279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KR100491480B1 (ko) 폐자재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점자 유도블럭의 제조방법
KR102475902B1 (ko)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252539B1 (ko)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KR100997233B1 (ko) 도로경계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97764Y1 (ko) 폐타이어 이용한 경계블록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200362068Y1 (ko)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경계블록
KR200311143Y1 (ko) 합성수지 보, 차도 경계블록
CN202705946U (zh) 非金属复合材料被动反光路边石
KR200178967Y1 (ko)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및 각종 인도용블록
CN202705842U (zh) 非金属复合材料路边石及路边护栏
KR200423505Y1 (ko) 합성수지 재활용 반사 보/차도 경계블록
KR100636024B1 (ko) 명색 야광 우레탄을 이용한 포장재의 포장구조 및 그포장방법.
KR200346065Y1 (ko) 도로의 보도, 자전거 도로 및 공원광장 등에 조립설치할수 있는 환경친화적 다공성 폴리머 콘크리트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