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526Y1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중앙분리블럭 - Google Patents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중앙분리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4526Y1 KR200394526Y1 KR20-2005-0017893U KR20050017893U KR200394526Y1 KR 200394526 Y1 KR200394526 Y1 KR 200394526Y1 KR 20050017893 U KR20050017893 U KR 20050017893U KR 200394526 Y1 KR200394526 Y1 KR 2003945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ion block
- central separation
- block
- light emitting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plastic, rubber or synthetic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중앙분리블럭을 제공하되 왕복차선의
경계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사광 또는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블럭 내에 내삽시켜 발광부재가 발광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축광물질을 내장시켜 만든 중앙분리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중앙분리블럭은 폐수지 원료만을 이용하여 장방형 4각 마름모꼴 형상으로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도록 성형물을 얻되, 성형물은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음각홈부를 갖고, 중앙분리블럭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양단으로 암, 수 결합부를 이루도록 성형되며,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중앙분리블럭의 음각홈부에 내삽시켜, 왕복차선의 경계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의 발광부재가 내삽되는 음각홈부는 중앙분리블럭에 일정폭으로 경사구획선을 이루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의 중앙분리블럭 상부로 차광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중앙분리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양 방향의 차량 통행을 위하여 중앙선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중앙선이 표시된 도로에서는 자동차의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대형 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상, 하행선 경계부에 중앙분리대가 설치된다.
상기 중앙분리대는 차량이 반대편 차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중앙선 침범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방지하고, 야간운행시, 특히 눈,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는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선형을 인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도로에서는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대형 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도로 중앙으로 2개의 황색선을 그려놓은 것, 표지판을 박아 놓은 것 등이 대부분이어서, 일부 운전자들이 통행이 뜸하거나 야간 운행시에는 중앙선을 넘어 유턴하는 교통위반 사례, 이에 따라 발생하는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현재의 도로에서는 가급적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여 경계선을 운전자에게 분명히 인식시켜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중앙분리대를 설치 및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현재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재나 철재 등으로 설치되어 그 무게가 무거워 운반에 번거로움이 크고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 접촉되는 자동차에 오히려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재나 콘크리트제로 이루어지는 중앙분리대는 철재나 콘크리트
제의 고유색인 회색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야간에 조명이 없는 곳에서는 눈에 띄지
않아 차도의 경계를 알기가 어려워 교통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철재나 콘크리트제 중앙분리대에 빛 반사나 야광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분리대에 장착하기 위해 일부의 제품에 볼트 너트나 테이프, 접착제 등을 사용하거나 분리대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빛이 반사되는 반사경을 설치하는 방법, 분리대의 표면에 단순히 야광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 등이 개시된바 있었으나 경제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실용화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또한, 일반 골재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콘크리트제는 얼마 지나지 않아 금이 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 뿐 아니라 이 역시도 천연골재의 부족현상이 심각하여 모래를 수입하여 사용하는 오늘의 현실일 뿐 아니라 사용 후에는 계속 건설폐기물을 양산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근대 산업화 발전과 함께 발전한 플라스틱 산업은 석유화학공업의 발
전으로 더욱 눈부시게 발전하여 최근에는 플라스틱의 생산수준이 그 나라 경제규모
를 가늠하는 척도로 인식될 만큼 각종 분야에서 플라스틱제품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고 플라스틱의 우수한 재질 특성으로 인해 그 사용량이 매년 10%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 후 버려져 발생되는 폐플라스틱의 발생량
도 매년 증가추세에 놓여 있다.
그러나 현재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율은 국가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략
15%에서 40%이내에 그치고 있어 그 나머지 많은량이 매립이나 소각에 의해 처리되
고 있는 실정이나 플라스틱은 매립 시 부피가 커서 매립 효율을 저하시키고 또한
난분해성으로 인해 매립지 조기 안정화를 저해하며, 소각에 의한 처리 시는 일부
열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또한
다이옥신 등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폐프라스틱의 재활용은 국가의 산업발전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
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재활용제품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고 또한 국
가에서도 재활용을 장려하여 여러 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고려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의 중앙경계선을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인지시키기 위한 중앙분리블럭을 폐프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제공하되 차도경계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앙분리블럭 내에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내삽시켜 발광부재가 발광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축광물질을 내장시켜 줌으로서 운전자에게 도로의 경계선을 명확하게 인지시키도록 만든 중앙분리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원의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는 압축성형품은 상기의 폐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장방형 4각 마름모 형상으로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되, 블럭과 블럭 사
이의 이음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블럭의 양단부에 일측으로는 돌출凸부를, 또 다른 일측으로는 음각凹부를 형성시켜 블럭 설치 작업 시 조립식으로 연결을 위한 작업성을 높이고, 또한 중앙분리블럭의 양 옆으로 일정 폭으로 반사광이나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내장시키는 구조를 이루되 발광부재의 보호를 위해 경계블럭 내부로 음각부가 형성된 압축성형품을 얻고 상기 음각부에 발광부재를 삽입시킨 구조의 중앙분리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의 중앙분리블럭 상부로 차광판이 설치되는 구조를 이룰수 있는 중앙분리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중앙분리블럭은 폐플라스틱 수지를 사용하여 장방형 4각 마름모 형상으로 폐프라스틱재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되, 중앙분리블럭의 양 옆으로 차도의 경계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사광이나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불럭내에 내삽시킨 구조의 중앙분리블럭을 제공하여 발광부재의 축광물질이 발광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만든 야광 중앙분리블럭을 제공하게 되므로, 천연자원인 철재나 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국가 산업발전에 불가 불 사용해야 하고 사용 후에는 폐기물이 발생하는 폐프라스틱을 다시 용융시켜 재활용 사용케 됨으로 인하여 얻는 장점은 다 열거할 수가 없을 정도이다.
우선 본원에서는 종래의 중앙분리블럭이 차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왕복차선을 구분시키는 용도로 주로 철재와 콘크리트제로 사용됨에 따라 국토의 유용한 천연자원인 골재를 계속 사용해야 하는 현실이고 사용 후에는 부피가 많은 건설폐기물로 계속 배출시키는 원인이 되어 국토를 계속 오염시키는 근원임에 비하여 본원은 산업사회 발전을 위하여 필요불가결하게 사용해야 하고 매년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폐플라스틱 자원을 유효하게 리사이클 시켜 재사용하는 2중효과를 갖게 된다.
본원의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중앙분리블럭은 철재나 콘크리트제의 고유색인 회색을 탈피하고 필요한 경우 플라스틱의 우수한 물성을 살리고 신제원료와 안료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블럭 외피를 그린의 초록색이나 블루의 하늘색 등 환경친화적 색상으로 제작하여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도록 하여 밝고 깨끗하고 활기찬 도시환경 조성에 앞장설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원의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중앙분리블럭은 철재나 콘크리트제의 딱딱한 강도, 충격흡수성이 거의 없는 소재에 비해 차량이 부딪치는 경우 플라스틱 소재의 충격흡수성으로 인하여 그 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폐플라스틱재 원료수지를 이용하여 장방형 4각 마름모 형상으로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되, 중앙분리블럭의 양쪽으로 차도의 경계식별이 용
이하도록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블럭 내에 내삽시킨 구조의 중앙분리블럭을 얻고자 하는바, 이하에서 본원의 플라스틱재 중앙분리블럭을 얻기 위한 구체적 구현방법을 실시예를 겸하여 기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폐플라스틱 원료를 수집하여 이로부터 다시 재생수지 원료를 만드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다.
그 내용을 간단히 언급하여 보면, 일반적으로 폐플라스틱 발생경로는 석유화
학 유화원료 제조업체 및 합성수지 성형제품 제조업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규격 외품이나 로스제품이 발생하게 되며 이들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종류별 색상별
로 분류하여 압출기에서 용융압출작업을 실시하여 냉각조를 경유하며 냉각되고 절
단기를 통하여 입상형으로 절단되어 25㎏ 정도로 단위포장되어 재생수지원료로 리
싸이클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일반 가정용기 및 포장용기 등 기타 플라스틱 폐기물은 이물질 제거공
정을 거쳐 종류별 색상별로 분류되고 부피가 큰 덩어리의 경우는 절단되어지고 압
출이 용이하도록 분쇄되고 세척처리조에서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탈
수기를 경유하여 수분을 제거시키고 열풍으로 건조시킨 후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압
출작업을 실시하여 냉각조를 경유하여 냉각시키고 절단기를 통하여 입상형으로 절
단되어 25㎏ 정도로 단위포장 되어 재생수지원료로 사용되어지는 과정을 거쳐 폐플
라스틱이 재활용되는 공정이 사용되어 진다.
본원은 상기와 같이 준비된 폐플라스틱 재생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농촌의 농산물용 온실하우스의 폐비닐, 산업용, 공업용 각종 폐수지, 각종 포장재 폐수지 등을 수거하여 세척이나 분쇄, 건조 등의 선별과정 없이 단순히 폐수지를 용융압출기에 투입될 정도로 적당한 크기로 절단시켜 용융압출기에 투입하여 2, 3차 용융과정을 거치며 완전 용융된 폐플라스틱을 장방 형상으로 4각 기둥모양으로 압축성형시켜 도로경계블럭 몸체를 얻게 되는바, 압축성형 조건은 180℃∼280℃로 예열된 유압프레스기내에 원료 혼합물을 넣고 40㎏/㎠ 내지 80㎏/㎠의 압력으로 5∼10분간 압축성형시켜 중앙분리블럭을 얻게되며, 폐수지원료 90 ~ 95 중량부에 돌가루 5 ~ 10 중량부의 비율로 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성형품에 도시미관을 위해 안료를 추가하여 원하는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압축성형 원료에 자외선안정제 또는 자외선차단제를 첨가시켜 오래도록 색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원의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는 압착성형품은 상기의 폐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장방형 4각 마름모꼴 모양으로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되, 블록과 블럭 사이의 이음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블럭 양단부에 일측으로는 돌출凸부를, 또 다른 일측으로는 음각凹부를 형성시켜 현장 설치작업시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작업성을 높이고, 또한 중앙분리블럭의 양 차도쪽 면으로 일정 폭으로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구비한 발광부재를 내장시키는 구조를 이루되 발광부재의 보호를 위해 블럭내부로 음각부가 형성된 압착성형품을 얻고 상기 음각홈부에 발광부재를 삽입시킨 구조의 중앙분리블럭을 제공하게 된다.
음각홈부는 중앙분리블럭 본체의 양측으로 일정폭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즉 주행하는 차량이 주행 중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진행 방향으로 반사광 또는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가 약간의 경사선을 이루며 균일하게 50~ 150㎜ 정도의 폭으로, 중앙분리블럭 내부 안쪽으로 약 2 ~ 10㎜의 깊이로 음각홈부가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발광부재는 태양, 수은등, 형광등, 전조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광원의 에너지원을 흡수 축적해서 어두운 곳에서 형광 빛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진 축광안료에 황색안료와 자외선방지제, UV안정제 등을 합성수지원료와 배합시켜 시트형상으로 제작되어 중앙분리블럭의 음각 홈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중앙분리블럭 및 발광부재는 대기 중에 노출되어 산화되어 변색될 우려도 있으므로 첨가제로서 산화방지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산화방지제는 구연산모노이소푸로필, 테트라아미노디페닐메탄, 디살칠리덴-1, 2-푸로피렌디아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되어 첨가 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의 구체적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
고자 한다.
도 1은 본원의 중앙분리블럭(100)의 일 실시 상태도이다.
본원의 중앙분리블럭은 재생수지를 이용하여 중앙분리블럭용 압축성형품(50)을 얻고, 여기에 발광부재판(60)을 내장시켜 중앙분리블럭(100)을 이루게 된다.
도 1에 제시된 중앙분리블럭용 압축성형품(50)은 성형품 상면과 측면에 발광부재판(60)을 내장하기 위한 상면음각홈부(10)와 경사진 측면음각홈부(20)가 형성되고, 압축성형품(50)의 양 끝단부로 한쪽은 요(凹)결합부(30)를 이루고 다른 한쪽은 철(凸)결합부(40)를 이루어서 압축성형품(50)을 조립식으로 연이어 설치하도록 하는 구조를 이루고, 하나의 압축성형품(50)에는 다수 개소에 경사 음각홈부(10)를 만들수 있으며, 각 음각홈부(10)에는 발광부재판(60)의 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11)이 형성되고, 또한 본원의 압축성형품(50)은 아스팔트부나 콘크리트부에 결합 및 부착시키기 위해 앵커볼트를 사용하게 되는바, 장축볼트(70)를 내삽하기 위한 볼트삽입구멍(1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도록 압축성형되는 일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압축성형품(50)의 음각홈부(10)에는 별도로 제작된 발광부재판(60)이 내삽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바,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발광부재판(60)이 압축성형품(50)의 음각홈부(10,20)에 삽입되는 쪽으로 결합돌기부(61)를 형성시켜 이 돌기부가 음각홈부(10)에 만들어진 삽입구멍(11)에 내삽되어 족쇄연결 이음부를 만들어 결합시키는 일 실시예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원의 중앙분리블럭(100)이 실제 도로현장에 적용돠어 열을 이루면서 조립 및 설치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바, 본원의 중앙분리블럭(100)은 왕복차도의 경계선 상에 일렬로 배열되고 블럭의 암수 결합 凹凸부에 의해 조립되어지고 중앙분리블럭(100)의 음각홈부(10)에 형성된 볼트삽입구멍(12)으로 장축볼트(70)를 내삽시켜 앵커볼트(80)가 지면에 박혀 고정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본원의 중앙분리블럭(100)의 상부로는 차광판(110)을 설치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는바, 차광판은 반대편 차로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도록 얇은 합성섬유사로 그물망을 이루거나, 또는 일정폭을 갖는 커텐직물지나 합성수지 등으로 일정높이를 갖고 반대편 차량의 전면 라이트의 직광을 차단하는 구조로 만들어 제공될 수 있으며, 차광판(110)에 연결바(120)를 형성하고 연결바(120)가 중앙분리블럭(100) 상부에 형성된 연결바 삽입구멍(90)에 내삽되는 구조로 만들어 제공될 수 있으며 차광판은 중간 중간에 풍압을 받지 않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일정각도로 경사져서 라이트불빛을 차단하는 지지축을 세우는 구조 등으로 얼마든지 변형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는 본원의 중앙분리블럭(100)을 아스팔트 상부로 접착시키는 단면도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는바, 일반적으로 도로는 토석부(400) 상부로 골재부(300)가 다져지고, 그 상부로 아스팔트포장재(200)가 덮이는 구조이고 그 상부로 본원의 중앙분리블럭(100)이 도로 중앙부에 위치하여 설치되기 위하여 먼저 드릴 등의 공구로 바닥부에 구멍을 뚫고 앵커볼트(80)및 너트(81)를 삽입해 놓고 상부에서 장축볼트(70)를 조여오면 너트(81)부가 올라오면서 간격을 벌려 바닥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원의 중앙분리블럭(100)의 또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는바, 중앙분리블럭의 높이를 높게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른 기술사상은 도1과 유사하나 중앙분리블럭(100)을 차도의 아스팔트부에 결합 및 고정시키기 위한 장축볼트(70, 70') 고정조임부를 블록의 중앙부가 아닌 중앙분리블럭의 양 옆면으로 갖는 실시 양태도이다.
차광판은 중간 중간에 풍압을 받지 않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일정각도로 경사져서 라이트불빛을 차단하는 지지축을 세우는 구조 등으로 변형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도면 설명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의 한 실시형태를 예시 열거한 것일
뿐 본원의 기술사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고, 폐플라스틱수지 원료만을 이
용하여 4각기둥 마름모 형상으로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도록 성형물을 얻되, 성형물은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음각홈부를 갖고, 중앙분리블럭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양단으로 암, 수 결합부를 이루도록 성형되며,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중앙분리블럭의 음각홈부에 내삽시켜, 왕복차선의 경계식별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기술사상과 상기 중앙분리블럭 몸체에 차광판과 연결바를 연결시켜 라이트 불빛을 차단하고자 하는 기술은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며, 또한 본원의 중앙분리블럭은 플라스틱제로 제공됨으로 필요한 경우 중앙분리블럭의 외피를 신제수지를 이용하여 그린의 초록색이나 블루의 하늘색 등으로 환경친화적 색상을 갖는 기본바탕을 이루고 황색이나 적황색의 발광부재가 사용되도록 제작되어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어 밝고 깨끗하고 활기찬 도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기술사상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원의 폐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중앙분리블럭은 종래의 철재나 콘크리트제의 중앙분리블럭이 국토의 유용한 천연자원을 계속 훼손하거나 자재를 수입하여 사용해야 하고 사용 후에는 부피가 큰 건설폐기물로 계속 배출시키는 요인으로 국토를 계속 오염시키는 근원임에 비하여 본원은 산업사회 발전을 위하여 필요불가결하게 사용해야 하고 매년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폐플라스틱 자원을 유효하게 리사이클 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원은 종래의 중앙분리블럭재인 철재나 콘크리트제의 고유색인 회색을 회피하고 철재나 콘크리트제의 딱딱한 강도, 충격흡수성이 거의 없는 소재를 피하고 플라스틱 소재의 충격흡수성으로 인하여 그 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중앙분리블럭재는 안전표시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황색페인트를 사용하고 있는바, 추후 도색이 베껴지면 도시미관을 해치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시로 도색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 예산낭비가 뒤따르게 되는 것이었으나,본원의 중앙분리블럭은 바탕색을 그린의 초록색이나 블루의 하늘색 등으로 하고 황색이나 적황색의 발광부재가 사용되도록 제작되어 도시미관을 살릴 수 있어 밝고 깨끗하고 활기 찬 도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될 것이다.
도 1 : 본원 중앙분리블럭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2 : 중앙분리블럭 음각홈부에 내삽되는 발광부재 및 차광판의 조립구조 및 결합상태 예시도.
도 3 : 본원의 중앙분리블럭이 실제 도로현장에 적용되는 상태 예시도.
도 4 : 본원 중앙분리블럭의 다른 실시예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면음각홈부 20 : 측면음각홈부
30 : 요(凹) 결합부 40 : 철(凸) 결합부
50 : 중앙분리블럭용 압축성형품 60 : 발광부재판
61 : 결합돌기부 70 : 장축볼트
80 : 앵글볼트 90 : 차광판 연결바삽입 홀
100 : 중앙분리블럭 110 : 차광판
120 : 연결바 200 : 아스팔트포장재
300 : 골재부 400 : 토석부
Claims (3)
- 폐플라스틱 원료를 이용하여 얻는 중앙분리블럭의 결합구조에 있어서,폐수지원료 90 ~ 95 중량부에 돌가루 5 ~ 10 중량부의 비율로 원료를 혼합하여 4각기둥의 장축 마름모형상으로 중앙분리블럭 몸체를 이루도록 성형물을 얻되, 성형물은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음각홈부를 갖고, 중앙분리블럭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양단으로 암, 수 결합부를 이루도록 성형되며, 반사광 및 축광 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중앙분리블럭의 음각홈부에 내삽시켜, 왕복차도의 경계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블럭.
- 제1항에 있어서,상기의 발광부재가 내삽되는 음각홈부가 중앙분리블럭의 양측부 및 상부면으로 50 ~ 150 ㎜의 폭으로, 음각 깊이가 2~5 ㎜ 가 되도록 음각홈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블럭.
- 제1항에 있어서,상기의 중앙분리블럭 상부로 차광판의 연결바가 삽입되는 홀을 갖고 이 홀에 차단판이 조립 및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7893U KR200394526Y1 (ko) | 2005-06-21 | 2005-06-21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중앙분리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7893U KR200394526Y1 (ko) | 2005-06-21 | 2005-06-21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중앙분리블럭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4778A Division KR20060133899A (ko) | 2006-06-19 | 2006-06-19 |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4526Y1 true KR200394526Y1 (ko) | 2005-09-02 |
Family
ID=4369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7893U KR200394526Y1 (ko) | 2005-06-21 | 2005-06-21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중앙분리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4526Y1 (ko) |
-
2005
- 2005-06-21 KR KR20-2005-0017893U patent/KR2003945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96358Y1 (ko)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 |
CN109653050A (zh) | 一种发光地砖 | |
KR20060133898A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도로경계블록 | |
CN204940049U (zh) | 一种自发光抗滑路面结构 | |
KR200394526Y1 (ko)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중앙분리블럭 | |
KR20060133895A (ko) |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 |
KR102475902B1 (ko) |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 |
CN209052963U (zh) | 一种发光地砖 | |
KR200387387Y1 (ko) | 도로 경계석 | |
CN216891824U (zh) | 钢复合装配式混凝土临时路面 | |
KR20060133899A (ko) |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 |
KR980008264U (ko) | 도로용 경계블럭 | |
CN206189219U (zh) | 能够增加隧道内光照反射强度的路面结构 | |
KR102272793B1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
KR100586876B1 (ko) | 경계석 이음부에 설치되는 도로표시구 | |
KR200401214Y1 (ko) | 도로 경계석 | |
KR101253593B1 (ko) | 경계석 | |
KR200362068Y1 (ko) |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경계블록 | |
KR20060056925A (ko) | 조립식 과속방지턱 및 이를 구성하는 간판체와 단판체의제조방법 | |
CN214882699U (zh) | 一种自发光路沿石 | |
KR0126376Y1 (ko) | 차선경계블럭 | |
CN220394201U (zh) | 绿色环保节能高分子聚合高强pp聚丙烯本体反光马路牙子 | |
CN213507904U (zh) | 一种可拼装集成式路沿石 | |
KR101406295B1 (ko) | 경계석 | |
CN216924228U (zh) | 一种太阳能灯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