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454A -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3454A KR20230143454A KR1020220042363A KR20220042363A KR20230143454A KR 20230143454 A KR20230143454 A KR 20230143454A KR 1020220042363 A KR1020220042363 A KR 1020220042363A KR 20220042363 A KR20220042363 A KR 20220042363A KR 20230143454 A KR20230143454 A KR 20230143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body
- block
- road
- light emitting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20 waste ty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거나 사용된 폴리우레탄과 톱밥 배지가 혼합되어 형성되어 친환경적이며 야간에는 발광기능이 있는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은 탄성을 가진 폐기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폐합성수지 소재와, 버섯과 같은 작물 생장을 위해 사용된 폐 톱밥 배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므로, 폐 톱밥배지의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은 탄성을 가진 폐기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폐합성수지 소재와, 버섯과 같은 작물 생장을 위해 사용된 폐 톱밥 배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므로, 폐 톱밥배지의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거나 사용된 폴리우레탄과 톱밥 배지가 혼합되어 형성되어 친환경적이며 야간에는 발광기능이 있는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도로경계석과 각종 교통안전 시설물 및 안내표시물 등이 설치되어 차량과 행인을 안전하게 유도하고 통행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있다.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 상에 설치되어 도로와 보도가 구분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재료에 따라 사각형 단면의 석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석재 경계블록, 시멘트를 양생시킨 콘크리트 경계블록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석재로 경계석을 가공하는 경우 그 비용이 증가되고, 일반 골재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얼마 지나지 않아 금이 가거나 파손되어 도시미관을 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석재나 콘크리트제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석은 석재나 콘크리트제의 고유색인 회색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야간에 조명이 없는 곳에서는 눈에 띄지 않아 도로와 차도의 경계를 구분하기가 어려워 야간에는 차량이 보도로 진입하는 등 교통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석재나 콘크리트제 경계석에 빛 반사나 야광기능을 갖는 발광부재를 경계블록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 일부의 제품에 볼트 너트나 테이프,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방법, 경계석 또는 경계블록의 표면에 단순히 야광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 등이 개시된바 있었으나 경제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실용화되어 시행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또한, 석재로 경계석을 가공하는 경우 석재가 국내에서 생산되는 양이 부족하여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사용하므로 그 비용이 증가될 뿐 아니라 천연자원이 계속 소모되고 사용 후에는 계속 건설폐기물을 양산시키게 되며, 일반 골재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경계블록은 얼마 지나지 않아 마모 등 부식으로 파손되는 문제점 뿐 아니라 이 역시도 천연골재의 부족현상이 심각하여 모래를 수입하여 사용하는 현실일 뿐 아니라 골재 역시 자연을 파괴하여 생산하여야 하고 사용 후에는 건설폐기물을 계속 양산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로경계석이나 차량진입 방지 용도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석재 경계석은 충격흡수성이 거의 없는 소재이므로 이와 부딪치는 경우 차량의 손상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부딪혔을 때 그 충격으로 신체에 큰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조심성이 부족한 어린이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행하는 사람들에게는 위험을 가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63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이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로용 경계블럭은 일반적으로 내부가 비어있고 리브를 설치하여 보강하고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색체가 변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이역시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각종 플라스틱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분자구조가 같은 물성과 색상별로 분류하여 가능하므로 분류작업상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커 제대로 재생되지 못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버섯은 그 어떤 채소에 비해 영양가 높으면서도 고혈압, 당뇨를 비롯한 각종 성인병 예방에 탁월할 뿐 아니라 특히 현대인의 건강에 가장 중요시되는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관한 인공 재배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버섯 재배법에는, 활엽수 등의 원목을 이용하여 종균을 재배하는 원목재배법이 잘 알려져 있으나, 이는 관리의 용이성과 시설비가 적게 드는 장점만 있을 뿐 원목 투입의 규모에 비해 버섯의 수확량(회수율)이 저조할 뿐 아니라 원목을 조달하는 것 또한 만만치 않았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일정한 설비를 갖춘 시설에 톱밥을 주원료로 만들어진 배지를 설치한 다음, 미리 배양해둔 종균을 배지에 접종하여 대량으로 활착시키는 톱밥배지를 이용한 재배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톱밥배지를 이용한 재배는 원목재배에 비해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지만, 자원, 노동력 및 재배 공간의 절약이 가능하고 재배기간이 짧아 자본회수가 용이하며, 계획 생산 및 출하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많은 농가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톱밥 배지를 이용하여 여러 번의 주기(예, 3-6 주기)로 버섯을 재배할 수 있으나, 많은 농가에서 톱밥 배지를 이용한 재배법을 이용하고 있고 각 농가마다 버섯 재배가 대량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폐기되는 톱밥배지의 활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비공기압 타이어나 공기압 타이어에 사용되는 탄성을 가진 폐합성수지 소재와, 버섯과 같은 작물 생장을 위해 사용된 톱밥 배지가 혼합하여 형성되어 친환경적이며, 충격완충효율이 높은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를 향하는 측면과 상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수단이 마련되어, 보행자 뿐만아니라, 차량 운전자가 도로 경계 확인이 용이한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은 일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블럭 본체와;상기 블럭본체의 상면과 도로를 향하는 측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상방과 도로를 향하는 측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 및 제2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소재와 폐 톱밥 배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본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와, 상기 폐 톱밥배지와, 왕겨가 상호 혼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은 도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블럭본체들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블럭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일정한 폭과 두께로 돌출형성되며 폭 중심측에 상하로 관통되되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블럭본체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상기 결합돌기 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보다 큰 폭으로 인입되되 인입된 단부의 폭이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작아지게 인입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 상면에서 상기 결합홈으로 관통되어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의 상기 제1결합공과 연통되는 제2결합공과,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본체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블록본체들을 결속하는 블록구속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은 탄성을 가진 폐기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폐합성수지 소재와, 버섯과 같은 작물 생장을 위해 사용된 폐 톱밥 배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므로, 폐 톱밥배지의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은 도로를 향하는 측면과 상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보행자 뿐만아니라 차량 운전자가 도로 경계 확인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이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이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이 커브형태로 연장된 도로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이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이 커브형태로 연장된 도로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0)은 일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사각 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블럭 본체(11)와, 블럭본체(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중으로 매립되어 블럭본체(11)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21)과, 블럭본체(11)의 상면과 도로를 향하는 측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상방과 도로를 향하는 측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 및 제2발광부(31,33)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0)은 블럭본체(11)의 일측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발전모듈(41)과, 블럭본체(11) 일측에 장착되는 조도센서(46)와, 태양광 발전모듈(41)을 통해서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는 축전지(49)와, 조도센서(49)와 연결되어 설정된 조도값 이하일 때 제1 및 제2발광부(31,33)가 발광되게 제어하는 제어부(52)를 더 구비한다.
블럭본체(11)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소재와, 폐 톱밥 배지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럭본체(11)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소재와, 버섯과 같은 재배작물 생장을 위해 사용된 후 버려지는 폐 톱밥배지와, 왕겨와, 열경화제가 상호 혼합된 혼합물이 프레스기에 열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는 비공기압 타이어나 공기압 타이어 제조시 발생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의 조각들이나, 사용후 버려진 폐타이어를 칩 형태로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혼합물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칩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폐 톱밥배지와 왕겨 각각 5 내지 25 중량부와, 열경화성 수지 접착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혼합물은 왕겨가 혼합된 폐 톱밥 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칩 20 내지 40중량부와, 열경화성 수지 접착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접착제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블럭본체(11)는 도로를 향하는 일측면에 제1발광부(31)가 설치되게 측방으로 인입형성되며 블럭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발광부장착홈(13)과, 상방을 향하는 상면에 제2발광부(33)가 설치되게 하방으로 인입형성되며 제1발광부장착홈(13)에 나란하게 연장된 제2발광부장착홈(14)과, 상면에 태양광발전모듈(41)과 조도센서(46)가 상방으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모듈장착홈(15)과, 센서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파일(21)은 블럭본체(11)와 동일 소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상부가 블럭본체(11)의 하부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태양광발전모듈(41)은 블럭본체(11)의 상부에 상면이 노출되게 매립장착된다.
제1 및 제2발광부(31,33)는 제1 및 제2발광부장착홈(13,14)에 대응되게 길이연장되며 다수의 LED가 마련된 일반적인 LED 모듈이 적용되어 각 블럭본체(11)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블럭본체(11)는 도로 측을 향하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제1발광부장착홈(13)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제1연통공(미도시)과, 인도 측을 향하는 상부 양단에서 제2발광부장착홈(14)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제2연통공(미도시)이 더 형성되고, 제1 및 제2발광부(31,33)는 도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블럭본체(11)들을 따라 연장된 선재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이엘 와이어(el wire)가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이엘와이어가 적용된 제1발광부(31)는 하나의 블럭본체(11)에 형성된 제1발광부장착홈(13)에 수용되며 하나의 블럭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제1연통공을 통해, 하나의 블럭본체(11)에 대해 도로의 연장방향 전후로 배치된 다른 블럭본체(11)들의 제1연통공과 제1발광부장착홈(13)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엘와이어가 적용된 제2발광부(33)는 하나의 블럭본체(11)에 형성된 제2발광부장착홈(14)에 수용되며 하나의 블럭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제2연통공을 통해, 하나의 블럭본체(11)에 대해 도로의 연장방향 전후로 배치된 다른 블럭본체(11)들의 제2연통공과 제2발광부장착홈(14)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0)은 탄성을 가진 폐기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폐합성수지 소재와, 버섯과 같은 작물 생장을 위해 사용된 톱밥 배지가 혼합 형성되므로, 폐 톱밥배지의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0)은 도로를 향하는 측면과 상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보행자 뿐만아니라 차량 운전자가 도로 경계 확인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10)은 도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블럭본체(11)들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60)을 더 구비한다.
연결수단은 블럭본체(11)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일정한 폭과 두께로 돌출형성되며 폭 중심측에 상하로 관통되되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제1결합공(62)이 형성되는 결합돌기(61)과, 블럭본체(11)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결합돌기(61) 방향으로 결합돌기(61)보다 큰 폭으로 인입되되 인입된 단부의 폭이 결합돌의 폭과 동일하게 블록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61)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작아지게 인입형성되는 결합홈(63)과, 블록본체(11)의 타측 상면에서 결합홈(63)으로 관통되어 결합홈(63)으로 삽입된 결합돌기(61)의 제1결합공(62)과 연통되는 제2결합공(64)과, 제1 및 제2결합공(62,64)을 관통하여 블록본체(11)의 내측 하부에 나사결합되거나 끼움결합되어 마주하는 상호 결합되는 블록본체(11)을 결속하는 블록구속핀(66)을 구비한다.
블록구속핀(66)은 하나의 블록본체(11)에 대해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블록본체(11)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거나 회동을 지지한다.
결합홈(63)의 입구 측이 결합돌기(6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것은 커브형태로 연장된 도로에 설치 시 길이방향이 상호 교차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록본체(11)들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결합공(62)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블록본체(11)들 간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고, 커브형태로 연장된 도로에서 블록본체(11)들이 길이방향이 교차되게 배치 시에도 블록구속핀(66)의 관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10)은 블록본체(11)들 간 결속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해 블록본체(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10)은 결합홈(63)의 입구 측이 결합돌기(6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결합공(62)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커브형태로 연장된 도로에서도 블럭본체(11)들간의 결속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록유닛(21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210)은 연결수단(26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1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연결수단(260)은 정원형 판상으로 형성된 회동지지부(262)와, 회동지지부의 직경보다 적은 폭으로 일정한 폭으로 회동지지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되며 양측면에 더브테일 돌기(265)가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이동부(263)를 포함하는 결속부재(261)와; 블록본체(11)의 길이방향 일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인입되고 블록본체(1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개방되어 회동지지부(262)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되, 블록본체(11)의 측 방향으로 결속부재(261)와 연결된 회동지지부(262)의 일측이 돌출되는 회동가이드홈(267)과; 블록본체(11)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인입되고 블록본체(1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개방되며 회동가이드홈(267)과 형합 시 정원형상의 인입부(266)를 이루는 인입홈(268)과; 블록본체(11)의 길이방향 일단을 향하는 인입홈(268)의 내주면에서 더브테일 돌기(264)가 형성된 슬라이딩이동부(263)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블록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연장되게 인입되며 상방을 개방된 슬라이딩가이드홈(270)을 구비한다.
회동가이드홈(267)은 블록본체(11)의 일단으로 갈수록 블록본체(11) 폭 방향의 폭이 회동지지부(262)의 직경에 대응되게 점점 커지다가 다시 감소하되 슬라이딩이동부(263)의 폭보다 크게 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이동부(263)는 일정폭으로 길이연장된 이동본체부(264)와, 이동본체(264)의 양측면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동본체부(26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더브테일돌기(265)를 구비한다.
슬라이딩가이드홈(270)은 이동본체부(262)에 대응되게 연장된 가이드본체부(271)와, 가이드본체부(271)를 이루는 블록본체(11)의 폭 방향의 양측면에서 일정한 폭으로 상호 멀어지게 인입되며 인입홈(268)과 각각 연통되어 더브테일돌기(265)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의 더브테일홈(272)으로 구분된다.
결속부재(261)는 회동지지부(262)가 회동가이드홈(267)에 구속되고, 슬라이딩이동부(263)가 슬라이딩가이드홈(270)에 진퇴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블록본체(11)는 도 6을 참고하면, 가이드본체부(271)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관통되어, 결속부재(261)가 블록본체(11)에 대해 인출되게 이동 시 상방으로 노출되는 슬라이딩가이드홈(270)으로 유입된 우수를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우수배출공(27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210)은 블록본체(11)들 간 결속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해 블록본체(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커브형태로 연장된 도로에 설치 시 상호 마주하는 블럭본체(11)들과 결속부재(261)가 상호 결속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어 설치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10 :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11 : 블럭본체부
31 : 제1발광부 33 : 제2발광부
41 : 태양광발전모듈
60 : 연결수단
31 : 제1발광부 33 : 제2발광부
41 : 태양광발전모듈
60 : 연결수단
Claims (6)
- 일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블럭 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상면과 도로를 향하는 측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상방과 도로를 향하는 측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제1 및 제2발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소재와 폐 톱밥 배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와, 상기 폐 톱밥배지와, 왕겨가 상호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광발전모듈과
상기 블록본체는 일측에 장착되는 조도센서와,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을 통해서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는 축전지와,
상기 조도센서와 연결되어 설정된 조도값 이하일 때, 상기 제1 및 제2발광부가 발광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제 2항에 있어서,
도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블럭본체들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블럭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일정한 폭과 두께로 돌출형성되며 폭 중심측에 상하로 관통되되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블럭본체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상기 결합돌기 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보다 큰 폭으로 인입되되 인입된 단부의 폭이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작아지게 인입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타측 상면에서 상기 결합홈으로 관통되어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의 상기 제1결합공과 연통되는 제2결합공과,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본체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기 블록본체들을 결속하는 블록구속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제 2항에 있어서,
도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블럭본체들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정원형 판상으로 형성된 회동지지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의 직경보다 적은 폭으로 일정한 폭으로 상기 회동지지부의 일측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되며 양측면에 더브테일 돌기가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이동부를 포함하는 결속부재와;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 일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인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회동지지부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되, 상기 블록본체의 측 방향으로 상기 결속부재와 연결된 상기 회동지지부의 일측이 돌출되는 회동가이드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인입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회동가이드홈과 형합 시 정원형상의 인입부를 이루는 인입홈과;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을 향하는 상기 인입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더브테일 돌기가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이동부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연장되게 인입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슬라이딩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가이드홈은 상기 블록본체의 일단으로 갈수록 상기 블록본체 폭 방향의 폭이 상기 회동지지부의 직경에 대응될 때 까지 점점 커지다가 다시 감소하되 상기 슬라이딩이동부의 폭보다 크게 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지지부를 측방향으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도로를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1발광부가 설치되게 측방으로 인입형성되며 상기 블럭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발광부장착홈과, 상방을 향하는 상면에 상기 제2발광부가 설치되게 하방으로 인입형성되며 상기 제1발광부장착홈에 나란하게 연장된 제2발광부장착홈과, 도로 측을 향하는 길이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1발광부장착홈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제1연통공과, 인도 측을 향하는 길이방향 상부 양단에서 상기 제2발광부장착홈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제2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발광부는
하나의 상기 블록본체의 상기 제1 또는 제2발광부장착홈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연통공을 통해 도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른 상기 블럭본체들의 상기 제1 또는 제2연통공과 상기 제1 또는 제2발광부장착홈으로 연장된 선재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이엘 와이어가 각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용 블록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2363A KR102601824B1 (ko) | 2022-04-05 | 2022-04-05 |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2363A KR102601824B1 (ko) | 2022-04-05 | 2022-04-05 |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3454A true KR20230143454A (ko) | 2023-10-12 |
KR102601824B1 KR102601824B1 (ko) | 2023-11-14 |
Family
ID=8829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2363A KR102601824B1 (ko) | 2022-04-05 | 2022-04-05 |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1824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9008A (ja) * | 1996-11-29 | 1998-06-16 | Tomio Nakamura | 車歩道境界ブロツク接続装置 |
KR200346155Y1 (ko) * | 2004-01-12 | 2004-03-31 | 김귀식 | 경계블럭 조립체 |
KR200396358Y1 (ko) | 2005-06-21 | 2005-09-21 | 이혜옥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
KR20100109346A (ko) * | 2009-03-31 | 2010-10-08 |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 단부 콘크리트 블록 |
KR20120063029A (ko) * | 2010-12-07 | 2012-06-15 | 이충훈 | 시인성이 향상된 태양전지 충전형 차선 분리대 |
JP2013002175A (ja) * | 2011-06-17 | 2013-01-07 | Yamagata Shinko Kk | 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及び当該連結構造を備えた基礎ブロック |
KR20130010631A (ko) * | 2011-07-19 | 2013-01-29 | 박양관 | 직선 및 곡선 설치가 가능한 경계석 |
KR20140010806A (ko) * | 2012-07-17 | 2014-01-27 | 주완규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석 |
KR101406782B1 (ko) * | 2013-11-01 | 2014-07-16 | 김영환 | 도로경계석 |
KR101857925B1 (ko) * | 2017-12-04 | 2018-05-14 | 김현주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램프구비 도로경계블록 |
-
2022
- 2022-04-05 KR KR1020220042363A patent/KR1026018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9008A (ja) * | 1996-11-29 | 1998-06-16 | Tomio Nakamura | 車歩道境界ブロツク接続装置 |
KR200346155Y1 (ko) * | 2004-01-12 | 2004-03-31 | 김귀식 | 경계블럭 조립체 |
KR200396358Y1 (ko) | 2005-06-21 | 2005-09-21 | 이혜옥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
KR20100109346A (ko) * | 2009-03-31 | 2010-10-08 |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 단부 콘크리트 블록 |
KR20120063029A (ko) * | 2010-12-07 | 2012-06-15 | 이충훈 | 시인성이 향상된 태양전지 충전형 차선 분리대 |
JP2013002175A (ja) * | 2011-06-17 | 2013-01-07 | Yamagata Shinko Kk | 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及び当該連結構造を備えた基礎ブロック |
KR20130010631A (ko) * | 2011-07-19 | 2013-01-29 | 박양관 | 직선 및 곡선 설치가 가능한 경계석 |
KR20140010806A (ko) * | 2012-07-17 | 2014-01-27 | 주완규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석 |
KR101406782B1 (ko) * | 2013-11-01 | 2014-07-16 | 김영환 | 도로경계석 |
KR101857925B1 (ko) * | 2017-12-04 | 2018-05-14 | 김현주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램프구비 도로경계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1824B1 (ko) | 2023-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98188C (en) | A wholly wrapped railroad crossti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204940049U (zh) | 一种自发光抗滑路面结构 | |
KR101124407B1 (ko) | 배수로용 그레이팅 | |
KR102601824B1 (ko) |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 |
KR100990205B1 (ko) |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 |
KR200396358Y1 (ko) | 폐프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럭 | |
KR200416773Y1 (ko) |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 |
KR101079306B1 (ko) | 미끄럼 방지용 인조 목재와 그 제조방법 | |
KR20060133898A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도로경계블록 | |
KR101439264B1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석 | |
CN209010970U (zh) | 一种便于安装的木塑栏杆 | |
KR102475902B1 (ko) |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 |
CN202416202U (zh) | 公路施工标志牌 | |
KR102272793B1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
KR101252539B1 (ko) |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
CN203034406U (zh) | 一种可移动道路绿化隔离栏 | |
KR101387054B1 (ko) | 합성수지 경계석 | |
KR20060133895A (ko) |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 |
CN213449785U (zh) | 一种土建施工用围挡装置 | |
CN201024392Y (zh) | 反光减速拱 | |
CN214737492U (zh) | 一种基于太阳能的二次过街安全岛 | |
CN2714608Y (zh) | 预应力钢筋橡胶构件 | |
CN219586629U (zh) | 一种绿色生态型交通隔离装置 | |
KR20030035732A (ko) | 자동차의 안전주행을 위한 도로 차선 분리봉 | |
CN210288220U (zh) | 一种可种植花木的旧轮胎防撞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