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346A - 단부 콘크리트 블록 - Google Patents

단부 콘크리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346A
KR20100109346A KR1020090096406A KR20090096406A KR20100109346A KR 20100109346 A KR20100109346 A KR 20100109346A KR 1020090096406 A KR1020090096406 A KR 1020090096406A KR 20090096406 A KR20090096406 A KR 20090096406A KR 20100109346 A KR20100109346 A KR 2010010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protrusion
end concrete
block accor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233B1 (ko
Inventor
야스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주식회사 지오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관공학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0010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형 블록을 연결설치하여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한 복수의 블록의 최종단에 설치되어, 최종단 내측에 설치되는 지주, 가드레일 등을 보호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연결형 블록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와, 방어부를 구비한다. 연결단부와 방어부는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되며, 지주설치부는 연결단부와 방어부 사이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단부 콘크리트 블록{End portion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하는 연결형 블록의 최단부(最端部)에 설치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양단의 일측 단부에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와, 반대측의 타측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측돌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결합하였을 때, 그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측돌출부의 상면에는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와, 상기 상측돌출부의 하면에는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제안하였다(일본 특허공보 제3814682호 참조).
이러한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은, 도로의 곡률에 관계없이 직선구간, 곡선구간을 불문하고 설치할 수 있으며,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기초구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가드레일을 설치한 경우, 상방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끝단이 연결된 콘크리트 블록의 끝단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의 단부는, 자동차 등에 의한 충돌에 의해 파손될 기회가 비교적 많으며, 가드레일의 단부가 파손되면, 앞쪽 단부가 말리게 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되어 버리거나 하여, 오히려 위험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결형 블록을 연결설치하여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한 복수의 블록의 최종단에 설치되어, 최종단 내측에 설치되는 지주(支柱), 가드레일 등을 보호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구성하는 연결형 블록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지주를 세워 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와, 인접하는 상기 연결형 블록에 연결 가능한 연결단부와, 상기 연결단부에 대하여 상기 지주설치부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상기 지주설치부의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가지는 방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길이방향으로 늘어서서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하는 연결형 블록의 종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방어부가 연결형 블록을 연결한 구획 또는 경계의 최종단부에 배치되게 된다. 그 방어부는 연결단부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방어부에 의해, 연결단부 및 지주설치부를 보호하고, 지주설치부에 설치되는 지주, 이 지주에 부착되는 표지, 가드레일 등의 지주에 부착되는 부재의 손상, 파괴를 적극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지주설치부는, 지주를 삽입하는 구멍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멍에 지주를 삽입하면, 상기 지주를 세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방어부는, 차량의 충돌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방어부에 완충부재를 부착시켜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방어부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부 콘크리트 블록 전체에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단부는, 하측 또는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형성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자가 이미 개발한 블록 즉, 블록 본체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단부의 일측 단부에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상측돌출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에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하측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형 블록과 용이하게 연결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하측돌출부와 연결형 블록의 제1상측돌출부를 겹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상측돌출부와 연결형 블록의 제1하측돌출부를 겹침으로써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단부는, 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부의 일측 단부에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상측돌출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에 하측이 측 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하측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형 블록에 있어서, 제1상측돌출부 또는 제1하측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가지는 연결형 블록과 조합하여 바람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형 블록의 제1결합홈부를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된 후에도, 결합돌출부(제1결합홈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단부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상기 결합돌출부 대신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부의 일측 단부에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상측돌출부와, 반대쪽의 타측 단부에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하측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의 결합표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돌출부를 가지는 연결형 블록과 조합하여 바람직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형 블록의 제1결합홈부를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연결된 후에도, 결합돌출부(제1결합홈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돌출부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그 양단의 일측 단부는,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측돌출부를, 반대쪽의 타측 단부는,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측돌출부를 구비한 연결형 블록과 연결한 경 우에, 회동 범위를 90°이상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홈부는, 연결단부에 2개 이상 마련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연결형 블록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방어부가 받으므로, 지주설치부 및 연결단부에 직접 차량이 충돌하여, 지주설치부에 세워져설치되는 지주, 그 지주에 부착되는 부재, 예컨대 도로표지, 가드레일 등이 손상, 파괴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도로나 부지를 구획 또는 경계하는 연결형 블록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블록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은, 연결형 블록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와, 방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하는 연결형 블록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단부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인접되는 연결형 블록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자가 이미 개발한 연결형 블록(이하, "제1연결형 블록"이라 함)과 조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래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과 조합하여 사용되기에 적합한 제1연결형 블록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연결형 블록은,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양단부의 일측 단부의 상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상측돌출부와, 반대측의 타측 단부의 하측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하측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에 인접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결합하였을 때, 결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하측돌출부의 상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상측돌출부의 하면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홈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 제1연결형 블록을 양단에 연속하여 배치함으로써, 직선구간, 곡선구간을 불문하고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형 블록은, 제1결합돌출부와 제1결합홈부가 서로 교환하여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제1연결형 블록에 바람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단부로서,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길이방향 단부의 하방 또는 상측을 돌출시켜 형성한 돌출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1연결형 블록의 제1상측돌출부와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하측돌출부, 또는 제1연결형 블록의 제1하측돌출부와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돌출부를 겹침으로써 연결시킬 수 있다. 제1연결형 블록의 돌출부 또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의 선단이 원호형이면, 서로 수평방향으로 각도를 마련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래서,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돌출부 선단은, 원호형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원호형으로 마련하면, 제1연결블록에 대해 90°이상의 회동을 확보할 수 있다. 물 론, 반드시 원호형으로 형성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설치하는 않는 경우는, 직사각형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연결부재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설치하는 경우에도, 돌출부의 선단이 접촉되는 연결블록측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직사각형상이어도 각도를 확보하면서 연결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결합 표면에는,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1상측돌출부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제1결합홈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연결형 블록에 대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를 제1결합홈부에 결합시켜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돌출부 및 제1결합홈부 모두 원형이므로, 원의 중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연결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벗어남을 방지하면서 제1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회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결합돌출부의 돌출량, 원형의 직경은 한정되지 않으며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의 결합 표면에는,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1상측돌출부에 원형의 복록한 형상의 제1결합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연결형 블록에 대하여, 결합홈부와 제1결합돌출부를 결합시켜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홈부 및 제1결합돌출부 모두 원형이므로, 원의 중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상측돌출부와 하측돌출부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회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측돌출부를 원형으로 설계하면, 90°이상의 회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결합돌출부의 돌출량, 원형의 직경은 한정되지 않으며 자유 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측돌출부에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홈부를 2개 이상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1개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2방향 이상으로 연결형 블록을 배치할 수 있으며, 도로의 분기점에서 사용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용에 바람직하게 된다.
지주설치부는, 도로표지나 가드레일을 부착시키는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와 동등 또는 지주보다 큰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지주설치부는, 연결단부와 이하에 설명하는 방어부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구멍은,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하면까지 관통되어도 좋고 중간까지만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방어부는, 연결단부와 반대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주설치부의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지주설치부에 대하여 단부측의 방어벽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방어벽의 두께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나, 너무 얇으면 차량의 충돌에 의해 방어부 자체가 파괴되어, 지주를 보호할 수 없으므로, 어느 정도의 차량의 충돌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 정도의 두께는 필요하다. 또한, 지주에 가드레일을 부착한 경우에는, 방어부는, 가드레일의 상단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그와 같이 하면, 보다 확실하게 가드레일을 충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방어부의 단부에는, 차량의 충돌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완충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완충부재로서는, 예컨대, 모래나 물이 수용된 통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완충부재를 설치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완충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를 방 어부에 마련하여도 좋다. 예컨대, 구체적으로는, 방어부의 단부를 통 형상의 완충부재의 형상에 맞추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방어부의 단부를 완충부재의 형상에 적합화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완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완충부재 고정수단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으로 한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1에는, 실시예1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은, 후술하는 연결형 블록(1; 도 10 참조)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와, 방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단부(10)에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하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측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돌출부(11)는, 돌출선단이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면에는 원형의 볼록한 형상의 결합돌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돌출부(12)의 중심에는, 볼트를 삽입하는 볼트구멍(13)이 마련되어 있다.
지주설치부(20)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중앙부근에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1)은 삽입 예정의 지주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다.
방어부(30)는, 연결단부(10)의 반대쪽 단부에 마련되며, 지주설치부(20)의 상표면보다 높은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방어부(30)는, 방어측으로부터 충돌되는 차량 등으로부터 지주설치부(20)에 세워설치되는 지주, 지주에 부착되는 도로표지, 가드레일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차량측에서 보면, 일반적으로 차량은, 충돌시에 앞쪽부분이 눌려파괴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에 전달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데, 가드레일의 단부측으로부터 차량이 충돌하면 철판상의 가드레일에 찔려 베이는 형태로 충돌되게 되어 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어부(30)에 충돌함으로써, 직접 차량이 가드레일에 격돌하지 않고, 방어부(30)에 의해 적정하게 차량의 눌림파괴가 촉진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도모된다. 단부 블록에 충돌할 때는, 정면충돌측이 되는 경우도 많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방어부(30)의 선단은, 예각으로 마련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방어부(30)와 지주설치부(20) 사이에는, 지주설치부(20)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 가드레일의 단부의 하방으로의 돌출을 피하기 위하여, 가드레일 회피부(42)를 마련하여도 좋다.
<실시예2>
도 2에는 실시예2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a)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a)이 연결형 블록(1)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단부(10a)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a)와, 방어부(30a)를 구비하는 점을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1과 다른 점은, 실시예1에 형성된 하방돌츨부(11)에 형성된 결합돌출부(12) 대신에, 하방돌출부(11a)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부(12a)로 한 점이 다르다. 그밖의 점에 대해서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3>
도 3에는, 실시예3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b)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200b)은, 연결형 블록(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b)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b)와, 방어부(30b)를 구비하는 점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1과 다른 점은, 실시예1에 형성된 지주설치부(20)의 연결단부측의 단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실시예3에 형성된 지주설치부(20b)의 연결단부측의 단부(22b)가 직사각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4>
도 4에는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c)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c)이 연결형 블록(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c)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c)와, 방어부(30c)를 구비하는 점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c)은 방어부(30c)의 단부에, 물이 수납된 통형상의 완충부재(40; 도 5 참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1c)를 가지는 점이 실시예1과는 다르다. 부착부(31c)는, 통형상의 완충부재(40)에 적합화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가 링형상으로 된 볼트(50)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너트(51)가 방어부(30c) 양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어부(30c)의 부착부(31c)에 설치된 완충부재(40)를 와이어(52)로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5>
도 6에 실시예5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은, 후술하는 연결형 블록(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d)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20d)와, 방어부(30d)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단부(10d)와 방어부(30d)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지주설치부(20d)는 연결단부(10d)와 방어부(30d) 사이에 설치된다.
연결단부(10d)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의 상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측돌출부(11d)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측돌출부(11d)는, 돌출선단이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하면에는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부(14d)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홈부(14d)의 중심에는,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구멍(15d)이 마련되어 있다.
지주설치부(20d)는, 연결단부(10d)의 반대쪽 단부에 마련되며, 지주설치부(20d)의 상표면보다 높은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방어부(30d)는, 방어측으로부터 충돌되는 차량 등으로부터 지주설치부(20d)에 세워설치되는 지주, 지주에 부착되는 도로표지, 가드레일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차량측에서 보면, 일반적으로 차량은, 충돌시에 앞쪽부분이 눌려파괴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에 전달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데, 가드레일의 단부측으로부터 차량이 충돌하면 철판상의 가드레일에 찔려 베이는 형태로 충돌되게 되어 이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어부(30d)에 충돌함으로써, 직접 차량이 가드레일에 격돌하지 않고, 방어부(30d)에 의해 적정하게 차량의 눌림파괴가 촉진되어 탑승자의 안 전이 도모된다. 따라서, 방어부(30d)의 선단은, 예각으로 마련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방어부(30d)와 지주설치부(20d)의 사이에는, 지주설치부(20d)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 가드레일의 단부의 하방으로의 돌출을 피하기 위하여, 가드레일 회피부(42d)를 마련하여도 좋다.
한편, 실시예5의 변형예로서, 결합홈부(14d)를 원형의 볼록한 형상의 결합돌출부로 변형하여도 좋다. 또한, 방어부(30d)에 완충부재(40)의 부착부를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6>
도 7에 실시예6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은, 후술하는 연결형 블록(1)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부(10e)와, 지주를 세워설치하기 위한 2개의 지주설치부(20e)와, 방어부(30e)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단부(10e)와 방어부(30e)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지주설치부(20e)는 연결단부(10e)와 방어부(30e) 사이에 설치된다.
연결단부(10e)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하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측돌출부(11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하측돌출부(11e)는, 모서리부(16e)가 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측돌출부(11e)의 상면에는 원형의 볼록한 형상의 2개의 결합돌출부(14e)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어부(30e)의 단부(32e)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가 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각각의 결합돌출부(14e)의 중심에는,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볼트구멍(15e) 이 마련되어 있다.
지주설치부(20e)에는, 지주를 세워설치할 수 있는 구멍(21e)이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연결단부(10e)와 방어부(30e)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21e)은, 삽입 예정의 지주보다도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방어부(30e)는 연결단부(10e)와 반대쪽의 단부에 마련되며, 지주설치부(20e)의 상표면보다 높은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세워설치되는 지주, 지주에 부착되는 도로표지, 가드레일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직접 차량이 가드레일에 격돌하지 않고, 방어부(30e)에 의해 적정하게 차량의 눌림파괴가 촉진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도모된다.
방어부(30e)와 지주설치부(20e)의 사이에는, 지주설치부(20e)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 가드레일의 단부의 하방으로의 돌출을 피하기 위하여, 가드레일 회피부(42e)를 마련하여도 좋다.
한편, 실시예6의 변형예로서, 결합돌출부(14e)를 원형의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부로 변형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어부(30e)에 완충부재(40)의 부착부(31e)를 마련하여도 좋다.
<실시예A>
이어서,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은, 연결형 블록(1)과 함께 사용되므로, 우선, 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연결형 블록(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본 실시예1과 함께 사용되는 연결형 블록(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형 블록(1)은, 복수개 연결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하는 블록으로서, 주로 연결의 중앙부분에 이용되는 것이다. 연결형 블록(1)은, 상면의 임의의 장소에 가드레일의 지주를 부착하기 위한 지주부착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형 블록(1)의 양단(2, 3)은 반원형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일측 단부(2)는 상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제1상측돌출부(2a)를 구비하고 있다. 타측 단부(3)는, 하측 절반부분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제1하측돌출부(3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1돌출부(2a, 3a)는, 인접배치된 연결형 블록(1)들이 겹쳐지게 되는 부분이다. 제1하측돌출부(3a)는 그 상면에 호형의 중심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1볼트구멍(3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볼트구멍(3b)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돌출부(3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1결합돌출부(3c)는, 실시예1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결합돌출부(1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진다. 한편, 반대쪽의 제1상측돌출부(2a)에는, 원호형의 중심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된 볼트구멍(2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상측돌출부(2a)의 하면에는, 상기 제1결합돌출부(3c)와 대략 반전된 형상의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홈부(2c)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연결형 블록(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돌출부(3c)와 제1결합홈부(2c)를 결합하여 서로 겹쳐지도록 복수개 연결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한다. 이 때, 인접하는 연결형 블록은 도로의 곡률에 따라 각도를 가지고 설치된다(도 1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 100a, 100b, 100c)은, 연결된 연결형 블록(1)의 가장 끝단에 설치된다. 실시예1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과 실시예5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형 블록(1)의 제1상측돌출부(2a)에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하측돌출부(10)를 겹치고, 각각 제1결합홈부(2c)와 결합돌출부(12)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은 연결형 블록(1)에 연결된다. 이처럼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후에도 제1결합홈부(2c)와 결합돌출부(12)가 회동하도록 이동됨으로써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을 도로의 곡률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위치를 결정한 후에, 볼트에 의해, 연결형 블록의 볼트구멍(2b)과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볼트구멍(13)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한편, 연결된 연결형 블록의 반대쪽은, 연결형 블록(1)의 하측이 돌출되어 있는 제1하측돌출부(3a)와 연결되므로, 실시예5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d)이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형 블록(1)의 제1하측돌출부(3a)에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측돌출부(10d)를 겹치고, 각각 제1결합돌출부(2c)와 결합홈부(12d)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은 연결형 블록(1)에 연결된다. 이처럼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후에도 제1결합홈부(2c)와 결합돌출부(12)가 회동하도록 이동됨으로써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을 도로의 곡률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위치를 결정한 후에, 볼트에 의해, 연결형 블록의 볼트구멍(2b)과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볼트구멍(15d) 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 100d)의 지주설치부에 지주(60)를 세워설치하고, 연결형 블록(1)의 지주부착구멍(5)에 지주를 세워설치한 후, 지주에 가드레일을 부착하여 경계로서 부설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 100d) 및 연결형 블록(1)을 지중에 매설하여, 가드레일과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의 방어부(30)의 일부만이 노둘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B>
이어서, 실시예6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과 함께 사용되는 연결형 블록(1)은, 실시예A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연결형 블록(1)은, 실시예6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부에 2개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연결형 블록(1)의 제1상측돌출부(2a)에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의 하측돌출부(10e)를 겹치고, 각각 제1결합홈부(2c)와 하나의 결합돌출부(14e)를 결합시킨다. 마찬가지로, 다른 하나의 결합돌출부(14e)에 다른 연결형 블록(1)의 제1결합홈부(2c)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연결되는 연결형 블록(1)은, 2방향으로 연장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6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100e)을 사용하면, 예컨대, 도로의 분기부분 등에 설치하는 경우 등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완충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과 함께 사용되는 연결형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부설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부설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부설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부 콘크리트 블록의 부설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단부 콘크리트 블록
10...연결단부
11...하측돌출부
12...결합돌출부
13...볼트구멍
20...지주설치부
21...구멍
30...방어부

Claims (24)

  1.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구획 또는 경계를 구성하는 연결형 블록의 최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지주를 세워 설치하기 위한 지주설치부와,
    인접하는 상기 연결형 블록에 연결 가능한 연결단부와,
    상기 연결단부에 대하여 상기 지주설치부와 반대측에 마련되며, 상기 지주설치부의 상면보다 높은 상면을 가지는 방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설치부는, 지주를 삽입하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어부는, 차량의 충돌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부착시킨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어부는, 차량의 충돌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부착시킨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부는, 하측 또는 상 측이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부는, 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부는, 돌출부의 결합측 표면에, 원형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부는, 돌출부의 결합표면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부는, 돌출부의 결합표면에, 원형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2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2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가 돌출부에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단부 콘크리트 블록.
KR1020090096406A 2009-03-31 2009-10-09 단부 콘크리트 블록 KR100990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5756A JP2010236278A (ja) 2009-03-31 2009-03-31 端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JP-P-2009-085756 200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46A true KR20100109346A (ko) 2010-10-08
KR100990233B1 KR100990233B1 (ko) 2010-10-29

Family

ID=4309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406A KR100990233B1 (ko) 2009-03-31 2009-10-09 단부 콘크리트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236278A (ko)
KR (1) KR100990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454A (ko) * 2022-04-05 2023-10-12 대동이브이 주식회사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940B1 (ko) * 2019-11-22 2021-05-03 (주)다나엠 경계석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324B2 (ja) * 1992-10-27 1995-08-23 株式会社新弘 防護ブロック
JPH0671515U (ja) * 1993-03-17 1994-10-07 丸高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バリケードブロック
JP2002294645A (ja) 2001-04-02 2002-10-09 Japan Highway Public Corp 衝突緩衝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84184A (ja) * 2002-08-23 2004-03-18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防護柵用プレキャスト連続基礎
JP3814682B2 (ja) * 2003-12-17 2006-08-30 揖斐川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基礎構築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EP1798341A1 (en) * 2004-04-01 2007-06-20 Hiroshi Aoki Traffic lane separation unit, component member thereof, and mobile traffic lane separation device
JP4370472B2 (ja) * 2005-02-17 2009-11-25 揖斐川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壁面形成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454A (ko) * 2022-04-05 2023-10-12 대동이브이 주식회사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233B1 (ko) 2010-10-29
JP2010236278A (ja)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6232B2 (ja) 雪崩・落石等防護体
KR101451555B1 (ko) 회동방지기능을 갖는 가드레일포스트
ES1060699U (es) Sistema metalico continuo para barreras de seguridad aplicable como proteccion para motociclistas compuesto por una pantalla metalica horizontal continua inferior sustentada en la barrera por medio de brazos metalicos dispuestos a intervalos regulares.
JP5962991B2 (ja) 防護柵および防護柵の設置方法
KR100990232B1 (ko) 벽면 블록
TW200724752A (en) Cable barrier guardrail system with steel yielding support posts
KR100990233B1 (ko) 단부 콘크리트 블록
JP6777250B1 (ja) 防衝施設
KR20190122110A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KR101334279B1 (ko) 보강브라켓이 구비된 차량 방호책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JP4949530B1 (ja) 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及び当該連結構造を備えた基礎ブロック
KR101626255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20050021421A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1854818B1 (ko) 고장력방형망과 완충범퍼를 이용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714282B2 (ja) 分岐用端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ES2337627T3 (es) Disposicion de barreras de seguridad.
KR200347937Y1 (ko) 델리네이터를 갖는 가드레일 포스트
JP2019070242A (ja) コンクリート製重量構造物、防護柵付コンクリート製重量構造物及び防護柵構造物
KR102673763B1 (ko) 가드레일 조립체
JP2007113266A (ja) 防護柵用支柱のベース金具
KR101351635B1 (ko) 안전 가드레일 기초부
JP2020133160A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支柱、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支柱の施工方法、及び、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
JP4170800B2 (ja) 防護柵設置対応型擁壁ブロック
ES2653838T3 (es) Sistema de retención de vehículos con esteras de colisi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