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205B1 -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 Google Patents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205B1
KR100990205B1 KR1020100076002A KR20100076002A KR100990205B1 KR 100990205 B1 KR100990205 B1 KR 100990205B1 KR 1020100076002 A KR1020100076002 A KR 1020100076002A KR 20100076002 A KR20100076002 A KR 20100076002A KR 100990205 B1 KR100990205 B1 KR 10099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substrate
substrate case
braille
brail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10007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LED램프세트가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LED기판; 상기 LED기판이 하부로부터 삽입되고 상면에는 상기 각 LED램프세트가 수용되는 점자형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PC(폴리카보네이트)의 재질로 되어 있는 기판케이스; 상기 LED기판이 삽입된 기판케이스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에폭시로 채워넣어 상기 기판케이스의 하면을 이루는 에폭시층; 상기 기판케이스의 상면에 덮여지되 기판케이스의 각 점자형돌기와 같은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점자형돌기가 노출되며, PP(폴리프로필렌)의 재질로 되어 있는 탄성판; 및, 상기 LED기판과 에폭시층 및 탄성판이 설치된 기판케이스로 이루어진 LED 점자블록 조립체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식생재의 콘크리트판;으로 이루어져, 에폭시층에 의해 확실한 방수가 이루어져 LED기판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탄성판에 의해 기판케이스가 보호되면서 상기 기판케이스를 밟아 받게 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LUMINOUS BRAILLE BLOCK OF ECOLOGICAL TYPE}
본 발명은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리그닌,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섬유질 50∼100중량부, 유기성 비료 5∼10중량부 및 마사토 100∼200중량부로 이루어져 블록형태로 구성되는 식생재와 결합한 가로세로 30㎝ 크기의 콘크리트판과, LED기판이 삽입된 내부를 에폭시층으로 채워넣은 기판케이스로 구성된 LED 점자블록 조립체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한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산을 절개하여 도로를 개설하고 난 후의 도로변 양쪽은 흙이 그대로 노출되는 상태의 비탈면이 형성되고, 강가에 도로를 개설하는 경우 상기 도로 아래의 강변에도 흙이 그대로 노출되는 상태의 비탈면이 형성되어 이에 대한 보완을 위해 상기 비탈면에 종자를 뿌려 식물이 자라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녹화사업이다.
이와 같은 녹화사업에서 비탈면이 흙으로만 되어 있으면 우천시나 반복적인 진동 등에 의해 무너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종자를 뿌리는 녹화사업만으로는 상기 비탈면이 취약한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어, 녹화사업을 함과 동시에 비탈면에 대한 보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탈면을 콘크리트판으로 포장하여 보강을 함과 동시에 비탈면을 이루는 콘크리트판 위로 녹화사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판은 비탈면을 보강함과 동시에 녹화사업을 위해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콘크리트판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을 결합하여, 예컨대 상기 콘크리트판에 LED램프를 결합하여 발광형 점자블록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종래 발광형 점자블록은 콘크리트판을 이용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 발광형 점자블록은 발광을 위한 LED램프가 기판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지만, 노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로 인해 내장된 LED램프와 각종 전자부품에 물이나 습기가 침투하면 부식이 발생되어 상기 LED램프와 각종 전자부품의 고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발광형 점자블록의 수명이 매우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발광형 점자블록의 경우 투명함을 위해 기판케이스의 재질로 PC(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지만, 상기 PC의 경우 플라스틱 종류이므로 탄성(연질)이 있기 때문에 방수를 위해 테두리에 고무실링을 넣어도 사용 중에 상기 기판케이스가 계속해서 밟히면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밀릴 수밖에 없어 방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판을 이용하면 식생재와 결합하여 구성된 식생재블록을 녹화사업에 사용하거나 LED 점자블록 조립체와 결합하여 발광형 점자블록으로도 사용하는 다양성을 갖추면서 장기간의 사용을 위한 발광형 점자블록의 확실한 방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섬유질과 유기성 비료 및 마사토로 이루어져 블록형태로 구성된 식생재를 결합수단에 의해 콘크리트판과 결합하여, 식생재가 상부에 결합된 상기 콘크리트판을 도로변의 비탈면에 식생재블록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식생재에 의해 녹화사업이 간단히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판에 의해 비탈면을 보강하도록 한 생태복원용 식생재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LED기판이 하부로 삽입된 기판케이스의 내부를 에폭시층으로 채워 밀폐하고 상기 기판케이스의 상면에는 탄성판이 덮여진 LED 점자블록 조립체를 상기 콘크리트판에 결합하여 발광형 점자블록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에폭시층에 의해 LED기판을 보호할 수 있는 기판케이스의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게 되는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판케이스와 탄성판의 색상을 노란색으로 하여 시각장애인의 눈에 더욱 잘 띄도록 하는 시인성의 향상이 이루어지는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바람직한 사용재료의 선택을 위해 상기 기판케이스와 탄성판의 재질이 각각 PC(폴리카보네이트)와 PP(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며, LED기판에 공급되는 전원은 태양열로 충전되는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받거나 가로등으로부터 공급되도록 한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생태복원용 식생재는, 생태복원을 위한 식생재에 있어서, 리그닌,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섬유질 50∼100중량부, 유기성 비료 5∼10중량부 및 마사토 100∼200중량부로 이루어져 블록형태로 구성되는 식생재를 결합수단에 의해 콘크리트판과 결합하여 고정하여 식생재블록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은, 다수개의 LED램프세트가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LED기판; 상기 LED기판이 하부로부터 삽입되고 상면에는 상기 각 LED램프세트가 수용되는 점자형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기판케이스; 상기 LED기판이 삽입된 기판케이스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에폭시로 채워넣어 상기 기판케이스의 하면을 이루는 에폭시층; 상기 기판케이스의 상면에 덮여지되 기판케이스의 각 점자형돌기와 같은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점자형돌기가 노출되는 탄성판; 및 상기 LED기판과 에폭시층 및 탄성판이 설치된 기판케이스로 이루어진 LED 점자블록 조립체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기판케이스와 탄성판의 색상은 노란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판케이스의 재질은 PC(폴리카보네이트)이고, 상기 탄성판의 재질은 PP(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LED기판의 전원은 태양열에 의해 충전되는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받거나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태복원용 식생재에 의하면, 녹화사업을 위해 도로변의 비탈면에 콘크리트판에 결합된 식생재로 이루어진 식생재블록이 설치되면 상기 식생재에 의해 원활한 녹화사업이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콘크리트판에 의해 비탈면을 보강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에 의하면, 에폭시층에 의해 확실한 방수가 이루어져 LED기판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탄성판에 의해 기판케이스가 보호되면서 상기 기판케이스를 밟아 받게 되는 충격이 완화되며, 기판케이스의 표면이 미끄럽지 않게 되고, 밑에서 받치고 있는 콘크리트판에 의해 발광형 점자블록의 기판케이스가 더욱 견고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으로 사용되는 LED 점자블록 조립체와 콘크리트판이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상기 LED 점자블록 조립체에 대한 수리 등이 아주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복원용 식생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복원용 식생재를 강변의 비탈면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상기 5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을 도로의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복원용 식생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복원용 식생재는, 콘크리트판(10a)과 식생재(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판(10a)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배합물을 사각형의 블록으로 양생하여 만든 것으로서, 콘크리트판(10a)의 면상에는 상기 식생재(10b)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H)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대략 가로세로 30㎝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식생재(10b)는 리그닌,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섬유질 50∼100중량부, 유기성 비료 5∼10중량부 및 마사토 100∼200중량부를 서로 혼합하여 상기 콘크리트판(10a)과 같은 크기의 사각형이지만 두께는 더 두꺼운 블록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섬유질와 유기성 비료 및 마사토의 적정한 배합비율에 따른 혼합에 의해 식물이 생장하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판(10a)과 식생재(10b)의 결합은 상기 콘크리트판(10a) 위에 블록형태의 식생재(10a)를 올려놓고 결합수단으로써 볼트머리가 넓적한 형태로 된 결합볼트(51)가 상기 식생재(10b)를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판(10a)에 형성된 결합공(H)에 체결됨으로써 식생재블록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복원용 식생재를 강변의 비탈면에 설치한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형태의 식생재(10b)가 결합수단인 결합볼트(51)에 의해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된 콘크리트판(10a)으로 이루어진 식생재블록은 예컨대 강변의 경사진 비탈면 등에 설치하게 된다.
즉, 위에는 도로(3)와 가로등(2) 및 보도블록(5)이 있고 아래에는 자전거도로(4)가 있는 강변의 비탈면(7)에 식생재(10b)와 콘크리트판(10a)이 결합된 식생재블록을 상하좌우로 서로 이어붙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비탈면(7)이 콘크리트판(10a)에 의해 견고해지면서 식생재(10b)에 의해 다양한 식물이 생장하는 녹화사업을 완성하게 된다.
다음은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점자블록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5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점자블록은 콘크리트판(10), LED기판(20), 기판케이스(30), 에폭시층(23) 및, 탄성판(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판(10)은 상기 일실시예의 콘크리트판(10a)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콘크리트 배합물을 사각형의 블록으로 양생하여 만든 것으로서, 콘크리트판(10)의 면상에는 기판케이스(30) 등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H)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양쪽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의 중간에는 안쪽으로 이어진 배선홈(52)이 형성된다.
상기 LED기판(20)은 상기 콘크리트판(10)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중간에 회로기판(21)이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21)의 양쪽 끝단부로 전선(22)이 각각 연결되어 바깥으로 이어지며, 상기 회로기판(21)의 주변에는 전기적으로 상기 회로기판(21)과 접속되어 작동하는 LED램프세트(63)가 설치되는데, 상기 LED램프세트(63)는 LED램프(60)와 저항기(61)로 구성되어 상기 LED기판(20) 상에서 상하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 설치된다.
상기 기판케이스(30)는 콘크리트판(10)과 같은 크기의 사각형의 덮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래쪽을 통해 상기 LED기판(20)을 안쪽으로 삽입하게 되며, 상면에는 상기 LED기판(20)의 LED램프세트(63)와 같은 위치에서 같은 배열형태로 다수개의 점자형돌기(31)가 형성되어 상기 LED기판(20)이 삽입되면 점자형돌기(31) 내에 LED램프세트(63)가 각각 위치하면서 수용된다.
상기 기판케이스(30)의 재질은 광원투과를 위해 투명한 PC(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층(23)은 에폭시주제 jm 179-1 120%, 경화제 jm 179-2 100%를 혼합하여 물기나 습기를 제거하도록 진공탈포시킨 후 상면에 상기 LED기판(20)를 조립하고, 이를 상기 기판케이스(30)의 아래쪽으로 넣고 나머지 비어있는 공간은 에폭시로 채워 넣은 후 건조기에서 4시간 동안 상기 에폭시를 경화시켜 구성하고, 이렇게 경화된 상기 에폭시를 포함하는 에폭시층(23)은 기판케이스(30)의 하면을 이루게 되며, 이때 상기 LED기판(20)의 전선(22)은 에폭시층(23)의 작업 전에 미리 바깥으로 빼놓는다.
이와 같이 LED기판(20)이 삽입된 기판케이스(30) 내를 에폭시가 경화된 에폭시층(23)으로 채워짐으로써 물기나 습기가 상기 LED기판(20)으로 침투하지 못하는 방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탄성판(40)은 기판케이스(30)와 같은 크기의 사각형으로 상기 기판케이스(3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점자형돌기(31)와 같은 배열형태로 다수개의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판(40)이 상기 기판케이스(30)의 상면에 덮여져 접착되면 상기 점자형돌기(31)가 관통공(41)을 통해 돌출되며, 이와 같이 기판케이스(30)의 상면에 덮여지는 탄성판(40)의 탄성력에 의해 기판케이스(30)를 보호하고, 보행자가 받는 충격을 완화해주며, 빗물이나 눈에 의해 상기 기판케이스(30)의 상면이 미끄러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탄성판(40)의 재질로는 빗물이나 눈에도 미끄럽지 않도록 PP(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판케이스(30)와 탄성판(40)의 색상은 점자블록이 법적으로도 명시되어 있지만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해 노란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ED기판(20)의 LED램프세트(63)를 작동시키기 위해 LED기판(20)에 공급되는 전원은 1차적으로 LED기판(20)에 설치되어 기판케이스(30)에 내장되는 태양전지(미도시)의 전기로 공급하며, 상기 태양전지는 태양열을 통해 주간에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야간에 상기 LED기판(20)에 충전된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LED램프세트(63)의 저항기(61)는 3V의 전압을 사용함에 따라서 우천시에 누전이 생겨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이 낮기 때문에 날씨가 좋지 않아 상기 태양전지가 충전되지 않는 경우에도 20시간 이상 계속 LED램프(6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기가 계속해서 충전되지 못하여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2차적으로 가로등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LED기판(20)의 LED램프세트(63)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LED기판(20)과 탄성판(40)이 설치되고 아래쪽은 에폭시층(23)으로 채워진 기판케이스(30)로 이루어진 LED 점자블록 조립체(1)를 콘크리트판(10) 위에 올려놓고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발광형 점자블록을 완성하게 된다.
즉, 상기 LED 점자블록 조립체(1)를 콘크리트판(10) 위에 올려놓고 양쪽 끝단부의 전선(22)은 배선홈(52)을 통해 미리 빼놓은 상태에서, 결합수단인 여러 개의 결합볼트(50)가 탄성판(4)과 기판케이스(30) 및 LED기판(20) 등을 차례로 관통한 후 상기 콘크리트판(10)에 형성된 결합공(H)에 체결됨으로써 콘크리트판(10) 위에 탄성판(40)과 LED기판(20) 및 기판케이스(30)로 이루어진 LED 점자블록 조립체(1)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발광형 점자블록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결합볼트(50)가 기판케이스(30) 상에서 각각 관통하여 삽입될 때, 상기 기판케이스(30)의 하면에는 결합볼트(50)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파이프돌기(70)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기판케이스(30)와 콘크리트판(1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판으로 작용하는 콘크리트판(1)과 하판으로 작용하는 LED 점자블록 조립체(1)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상기 LED 점자블록 조립체(1)에 대한 유지보수 및 관리가 아주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점자블록을 도로의 보도에 설치한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3)의 양옆으로 가로등(2)이 설치되는 인도에 보도블록(5)이 설치될 때, 상기 도로(3)를 가로지르는 횡단보도(6) 양끝단의 도로에 설치되는 보도블록이 본 발명의 발광형 점자블록으로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과 같은 보행자 중 약간의 빛이라도 인식할 수 있는 보행자는 일단 멀리서 발광형 점자블록의 LED 점자블록 조립체(1)에서 빛을 발산하는 LED램프(60)에 의해 횡단보도(6) 앞임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이를 인식한 후 가까이 가서는 LED 점자블록 조립체(1)의 탄성판(4)과 기판케이스(30)의 색상에 의해 간접적으로 그리고 완전한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상기 기판케이스(30)에 형성된 점자형돌기(31)를 밟고나서는 직접적으로 횡단보도(6) 앞임을 확실하게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은 하나의 예로써 횡단보도에 설치한 것일 뿐 시각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모든 장소의 보도 일부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LED 점자블록 조립체 2 : 가로등
3 : 도로 4 : 자전거도로
5 : 보도블록 6 : 횡단보도
7 : 비탈면 10,10a : 콘크리트판
10b : 식생재 20 : LED기판
21 : 회로기판 22 : 전선
23 : 에폭시층 30 : 기판케이스
31 : 점자형돌기 40 : 탄성판
41 : 관통공 50,51 : 결합볼트
52 : 배선홈 60 : LED램프
61 : 저항기 63 : LED램프세트
70 : 파이프돌기 H : 결합공

Claims (5)

  1. 삭제
  2. 다수개의 LED램프세트가 상면에 노출되어 있는 LED기판;
    상기 LED기판이 하부로부터 삽입되고 상면에는 상기 각 LED램프세트가 수용되는 점자형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PC(폴리카보네이트)의 재질로 되어 있는 기판케이스;
    상기 LED기판이 삽입된 기판케이스의 내부를 밀폐하도록 에폭시로 채워넣어 상기 기판케이스의 하면을 이루는 에폭시층;
    상기 기판케이스의 상면에 덮여지되 기판케이스의 각 점자형돌기와 같은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점자형돌기가 노출되며, PP(폴리프로필렌)의 재질로 되어 있는 탄성판; 및,
    상기 LED기판과 에폭시층 및 탄성판이 설치된 기판케이스로 이루어진 LED 점자블록 조립체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판;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케이스와 탄성판의 색상은 노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4. 삭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ED기판의 전원은 태양열에 의해 충전되는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받거나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로등으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KR1020100076002A 2010-08-06 2010-08-06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KR10099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002A KR100990205B1 (ko) 2010-08-06 2010-08-06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002A KR100990205B1 (ko) 2010-08-06 2010-08-06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205B1 true KR100990205B1 (ko) 2010-10-29

Family

ID=4313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002A KR100990205B1 (ko) 2010-08-06 2010-08-06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20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57B1 (ko) 2011-05-23 2012-05-02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584B1 (ko) * 2011-03-31 2013-05-06 손천근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60108881A (ko) 2015-03-09 2016-09-21 김준수 발광 가능한 생태블럭
KR101865706B1 (ko) * 2017-09-21 2018-06-11 안창옥 발광형 보도블럭
KR101995961B1 (ko) * 2018-11-19 2019-07-0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태양광 발전을 위한 보도 및 자전거로 겸용 복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995962B1 (ko) * 2018-11-19 2019-07-0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태양광 발전을 위한 보도 및 자전거로 겸용 고강도 복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210067428A (ko) * 2019-11-29 2021-06-08 최규철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8959B2 (ja) * 1998-03-10 2002-02-18 株式会社興和 緑化方法
JP2003003434A (ja) 2001-06-22 2003-01-08 Tanabe:Kk 点字ブロック
KR100849664B1 (ko) * 2007-11-20 2008-08-01 (주) 대동산업 작물 육묘용 압축 판형 상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8959B2 (ja) * 1998-03-10 2002-02-18 株式会社興和 緑化方法
JP2003003434A (ja) 2001-06-22 2003-01-08 Tanabe:Kk 点字ブロック
KR100849664B1 (ko) * 2007-11-20 2008-08-01 (주) 대동산업 작물 육묘용 압축 판형 상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584B1 (ko) * 2011-03-31 2013-05-06 손천근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39857B1 (ko) 2011-05-23 2012-05-02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8881A (ko) 2015-03-09 2016-09-21 김준수 발광 가능한 생태블럭
KR101691027B1 (ko) * 2015-03-09 2016-12-29 김준수 발광 가능한 생태블럭
KR101865706B1 (ko) * 2017-09-21 2018-06-11 안창옥 발광형 보도블럭
KR101995961B1 (ko) * 2018-11-19 2019-07-0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태양광 발전을 위한 보도 및 자전거로 겸용 복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1995962B1 (ko) * 2018-11-19 2019-07-04 동산콘크리트산업(주) 태양광 발전을 위한 보도 및 자전거로 겸용 고강도 복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210067428A (ko) * 2019-11-29 2021-06-08 최규철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KR102291900B1 (ko) 2019-11-29 2021-08-19 최규철 횡단보도신호등 연동형 바닥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205B1 (ko) 생태형 발광 점자블록
KR100888887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CN100494577C (zh) 利用太阳能电池的照明路缘石
KR100879447B1 (ko) 경계석 부착용 안전유도 표지판
US20060257205A1 (en) Long life intelligent illuminated road markers
KR101160119B1 (ko) 태양전지 표지병
JP2016520739A (ja) 路面標識
KR200416773Y1 (ko)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KR200403150Y1 (ko) 도로의 법면보호공 설치구조
CN203325348U (zh) 一种入地高压电缆走径指示装置
KR20050095754A (ko) 반사겸용 led 도로 표지병 시스템
KR101272709B1 (ko) 발광형 노면표시 겸용 케이블관로
KR20220163557A (ko)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KR20120002152U (ko) 합성수지 경계석
KR20140094944A (ko) 태양전지식 led 도로 표지병
KR20100051003A (ko) 가드레일용 도로 표지병
KR101243583B1 (ko) 투수 도로판석
KR100616916B1 (ko) 실체 수목 투명 몰드 야광 조경 경관 베이스 커버 및 그제조방법
JPH07292626A (ja) 自発光型道路鋲
KR101027648B1 (ko)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CN205666014U (zh) 一种电缆标示桩
KR101080567B1 (ko) 발광 기능이 구비된 태양열 충전방식 가로수 보호대
CN215051749U (zh) 一种仿石材无机自发光路侧石
CN211897952U (zh) 一种新型路面信号灯及设有该信号灯的道路
CN207260182U (zh) 一种旅游公路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