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595B1 -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595B1
KR101218595B1 KR1020100041371A KR20100041371A KR101218595B1 KR 101218595 B1 KR101218595 B1 KR 101218595B1 KR 1020100041371 A KR1020100041371 A KR 1020100041371A KR 20100041371 A KR20100041371 A KR 20100041371A KR 101218595 B1 KR101218595 B1 KR 10121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piece
wall
square plate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873A (ko
Inventor
홍현서
Original Assignee
홍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서 filed Critical 홍현서
Priority to KR102010004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5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벽체이며, 벽면과 평행한 끼움홈이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전체 또는 일부 형성된 복수의 사각판체와,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과 사각판체의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끼움편과 고정편과 끼움편을 지지하도록 고정편과 끼움편 사이에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한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결합부재는 벽면과 사각판체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각판체의 측면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결합부재를 개재해서 벽면과 이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끼움홈의 형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각판체와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키며, 사각판체의 파손없이 벽면에 사각판체를 이격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의 벽면에 복수개의 판체가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 외장재로서 토기, 금속 또는 도자기로 된 사각판체형 타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일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벽체에 부착되며, 타일과 타일 사이에는 마감재로서 시멘트나 실리콘이 충진된다.
이러한 접착제를 이용한 타일 부착방식의 경우 타일 크기가 커지는 경우 타일의 부착력이 충분하지 않게 되므로 타일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기술이 제시되어 왔다.
종래의 벽체타일은 타일과 타일 사이의 간극 발생으로 인하여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타일과 타일 사이에 발생된 간극에 반드시 시멘트 및 실리콘을 충진해야만 함에 따라 작업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조립식 벽체는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71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호간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사각판체와, 각각의 사각판체를 고정패널에 고정하는 선상결합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사각판체는 상부판체와 동일한 크기의 하부판체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하부판체는 상부판체의 저면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엇갈려 형성되고, 사각판체의 돌출된 상부판체 하부에 해당되는 하부판체의 일측면 상부에는 벽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천공된 한 쌍의 홀로 이루어진 결합홀이 1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벽체용 타일은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의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조립식 벽체를 구성하게 되나, 상부판체와 하부판체의 끼워맞춤시, 도자기재, 고무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타일의 경우 강도가 약해 서로 이웃하는 사각판체의 상부판체와 하부판체가 서로 끼워맞춤충격에 의해 손상되어 벽체의 조립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판체에 결합홀의 형성하는 경우에 타일의 강도가 약해 결합홀의 가공작업시 타일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결합홀의 형성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각판체에 끼움홈의 형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각판체와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되며, 사각판체의 파손없이 벽면에 사각판체를 이격설치할 수 있고, 사각판체와 결합부재를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사각판체의 위치조절이 용이하며, 결합부재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결합부재들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벽체로서, 상기 벽면과 평행한 끼움홈이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전체 또는 일부 형성된 복수의 사각판체; 및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사각판체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끼움편과, 상기 고정편과 상기 끼움편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편과 상기 끼움편 사이에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한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사각판체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는 인접한 지지편의 절곡부가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의 고정편은 상기 사각판체의 타방 측면의 고정편과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의 고정편과 상기 사각판체의 타방 측면의 고정편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도록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재는 띠형상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편은 일단이 상기 일방 측면의 고정편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타방 측면의 고정편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일방 측면의 고정편과 상기 타방 측면의 고정편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연결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일방 측면의 고정편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타방 측면의 고정편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각판체는 저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편의 단부에 절곡형성된 걸림편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각판체는 일방 측면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방 측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인접한 사각판체의 결합시 서로 끼워맞춤된다.
본 발명의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 사이의 이격부위에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의 열을 상기 사각판체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벽체로서, 상기 벽면과 평행한 끼움홈이 측면의 하단에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사각판체; 및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사각판체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끼움편과, 상기 고정편과 상기 끼움편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편과 상기 끼움편 사이에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한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각판체는 대향 측면이 저면을 기준해서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벽체로서, 상기 벽면과 평행한 끼움홈이 측면의 하단에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사각판체; 상기 사각판체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편을 구비한 복수의 결합부재; 및 상기 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를 서로 이격시키며 이격거리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벽체의 시공방법으로서, 벽면에 결합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부재의 끼움편에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을 삽입시키는 단계; 및 다른 결합부재를 벽면 상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다른 결합부재의 끼움편을 상기 사각판체의 타방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각판체의 양쪽 측면에 결합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 사이의 이격부위에 발열부재와 열전달부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결합부재를 벽면 상에 고정시, 상기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에 삽입된 결합부재와 상기 사각판체의 타방 측면에 삽입된 결합부재를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판체의 측면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결합부재를 개재해서 벽면과 이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끼움홈의 형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각판체와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키며, 사각판체의 파손없이 벽면에 사각판체를 이격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사각판체의 측면에 끼움홈을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사각판체와 결합부재를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사각판체의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결합부재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사각판체의 저면을 지지하므로, 벽면과 사각판체 사이를 용이하게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의 결합부재와 타방 측면의 결합부재를 연결편이나 연결와이어로 연결하여 사각판체와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결합부재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각판체의 저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결합부재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사각판체와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타방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인접한 사각판체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결합부재의 하부에 이격거리 조절부를 설치하여 결합부재가 결합된 사각판체와 벽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벽면과 사각판체 사이의 이격부위에 발열부재와 열전달부재를 충전하여 열전달부재와 벽체에 의해 음이온, 원적외선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상태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상태의 또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 및 결합부재(30)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내부 벽면(1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벽체는 벽면(10)에 별도로 고정되는 고정패널을 개재해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사각판체(20)는 사각판재의 타일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21)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를 따라 4면의 측방에 측면(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노출면(21)에는 다양한 무늬 또는 형상을 성형하여 외관상 미감을 나타낼 수 있고, 측면(22)에는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끼움홈(22a)이 측면(2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간헐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각판체(20)의 재료로는 도자기재, 고무재, 플라스틱재, 합성수지재, 대리석, 황토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하여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결합부재(30)는 일단이 벽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사각판체(20)에 결합되어 벽면(10)과 사각판체(20)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며 끼움편(31), 고정편(32), 지지편(33) 및 체결부재(34)를 구비한다.
끼움편(31)은 결합부재(30)의 상부에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끼움홈(22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각판체(20)의 끼움홈(22a)과 인접한 사각판체(20)의 끼움홈(22a)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고정편(32)은 결합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되며 벽면(10)에 고정되도록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벽면(10)에 피스,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34)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결합홀(32a)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고정편(32)을 벽면(10)에 체결부재(34)로 결합고정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고정편(32)의 사이즈가 끼움편(31)의 사이즈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끼움편(31) 보다 크게 형성된 고정편(32)의 부위에 결합홀(3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편(33)은 끼움편(31)과 고정편(32) 사이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끼움편(31)과 고정편(32)을 서로 지지하게 된다. 즉,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끼움편(31)과 고정편(3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지지편(33)의 높이는 사각판체(20)의 저면으로부터 끼움홈(22a)까지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사각판체(20)와 벽면(10) 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10)에 고정결합된 결합부재(30)에 사각판체(20)가 끼워맞춤되어 벽면(10)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사각판체(20)에 의해 별도의 벽체를 형성하게 되므로, 벽면(10)과 사각판체(20)로 이루어진 벽체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격공간에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열부재(70)와 이 발열부재(70)의 열을 사각판체(20)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80)가 충전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열부재(70)로는 온수관 또는 열선 등과 같은 다양한 가열부재로 이루어지며, 열전달부재(80)로는 게르마늄(germanium), 토르말린(tourmaline), 맥섬석, 일라이트(illite), 숯, 소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발열부재(70)의 열을 사각판체(20)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사각판체(20)로 이루어진 벽체에 열전달부재에 의한 음이온, 원적외선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배출하여 본 실시예의 벽체로 이루어진 실내에 거주하는 경우에 인체의 노폐물 배출이나 피로회복에 상당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며, 끼움홈(22b)과 끼움편(31)의 형상만 상이하므로 이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끼움홈(22b)은 사각판체(20)의 측면(22)에 측면(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끼움홈(22b)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결합부재(30)의 끼움편(31)도 끼움홈(22b)의 형상과 동일하게 측면(2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자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끼움홈(22b)에 끼움편(31)을 끼워맞춤하여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을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끼움홈(22b)의 측면에서 끼움편(31)을 슬라이딩시켜 끼움홈(22b)에 끼움편(31)을 삽입하여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일방 측면에 돌기부(23)가 형성되고 타방 측면에 홈부(24)가 형성된 사각판체(20)와, 사각판체(20)의 홈부(24)에 끼워맞춤되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진다.
사각판체(20)는 일방의 측면(22)에 측방으로 돌출된 일자형상의 돌기부(23)가 형성되고, 타방의 측면(22)에는 측방으로 함몰된 일자형상의 홈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사각판체(20)의 돌기부(23)는 인접한 사각판체(20)의 홈부(24)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므로, 사각판체(20)와 이에 인접한 사각판체(2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합부재(30)는 제 1 실시예의 결합부재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편(31)의 형상만 상이하므로, 끼움편(31)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끼움편(31)은 지지편(33)의 일단에서 일 측방으로만 절곡되어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사각판체(20)의 홈부(24) 내의 저면에만 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이 끼움편(31)이 끼워맞춤된 홈부(24)에 인접한 사각판체(20)의 돌기부(23)가 끼워맞춤되므로,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 사이의 결합과 사각판체(20)와 인접한 사각판체(20) 사이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가 결합부재(30)를 개재해서 벽면(10)에 고정되는 동시에 사각판체(20)와 인접한 사각판체(20)가 서로 결합되므로, 사각판체(20)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이 향상되어 벽체의 지지강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와,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과 타방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결합부재(30, 40)로 이루어져 있다.
사각판체(20)는 제 1 실시예의 사각판체(2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2개의 결합부재(30, 40)는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0)와, 사각판체(20)의 타방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로 이루어진다.
일방 측면의 결합부재(30)는 일단이 벽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사각판체(20)에 결합되어 벽면(10)과 사각판체(20)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며 끼움편(31), 고정편(32), 지지편(33), 체결부재(34) 및 절곡부(35)를 구비한다.
끼움편(31)은 결합부재(30)의 상부에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2a)에만 삽입되도록 끼움홈(22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32)은 결합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되며 벽면(10)에 고정되도록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벽면(10)에 피스,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34)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결합홀(32a)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고정편(32)을 벽면(10)에 체결부재(34)으로 결합고정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고정편(32)의 사이즈가 끼움편(31)의 사이즈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끼움편(31) 보다 크게 형성된 고정편(32)의 부위에 결합홀(3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편(33)은 끼움편(31)과 고정편(32) 사이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끼움편(31)과 고정편(32)을 서로 지지하게 된다. 즉,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끼움편(31)과 고정편(3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절곡부(35)는 지지편(33)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사각판체(20)의 내향으로 절곡되며 그 절곡부위의 단부가 사각판체(20)의 하방으로 절곡되어 고정편(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특히, 지지편(33)의 높이는 사각판체(20)의 저면으로부터 끼움홈(22a)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절곡부(35)의 상부가 사각판체(20)의 저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편(33)과 평행한 절곡부(35)의 하방 절곡부위가 사각판체(20)의 저면에서 하방 수직으로 절곡되어 고정편(32)에 연결되므로, 이러한 절곡부(35)의 하방 절곡부위에 의해 사각판체(20)와 벽면(10) 사이를 소정거리 이격시키게 된다.
타방 측면의 결합부재(40)는 일단이 벽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사각판체(20)에 결합되어 벽면(10)과 사각판체(20)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며, 끼움편(41), 고정편(42), 지지편(43) 및 절곡부(45)를 구비한다.
끼움편(41)은 결합부재(30)의 상부에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사각판체(20)의 타방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2a)에만 삽입되도록 끼움홈(22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42)은 결합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되며 인접한 사각판체(20)의 고정편(3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고정편(32)과 동일한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43)은 끼움편(41)과 고정편(42) 사이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끼움편(41)과 고정편(42)을 서로 지지하게 된다. 즉,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끼움편(41)과 고정편(4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절곡부(45)는 지지편(43)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사각판체(20)의 외향으로 절곡되며 그 절곡부위의 단부가 사각판체(20)의 하방으로 절곡되어 고정편(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부(45)는 인접한 결합부재(30)의 절곡부(35)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맞춤되므로, 결합부재(40)와 그에 인접한 결합부재(30)와의 결합이 이루어져, 이러한 결합부재(30) 및 결합부재(40)에 결합된 사각판체(20)들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판체(20)의 저면에 결합부재(30)의 절곡부(35)를 접촉시켜 벽면(1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게 되어 결합부재(30)의 이격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결합부재(30)의 절곡부(35)와 인접한 결합부재(40)의 절곡부(45)를 서로 끼워맞춤하여 결합함으로써, 여기에 결합된 사각판재(20)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와,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과 타방 측면에 결합되는 2개의 결합부재(30, 40)로 이루어져 있고, 사각판체(20)의 끼움홈(22b)의 형상만 상이하고 다른 부분은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 있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사각판체(20)의 끼움홈(22b)은 사각판체(20)의 측면(22)에 측면(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끼움홈(22b)의 측면에서 끼움편(31)을 슬라이딩시켜 끼움홈(22b)에 끼움편(31)을 삽입하여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을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사각판체(20)를 결합부재(30, 40)들에 고정결합시 결합위치가 미소하게 어긋나더라도 사각판체(20)의 길이방향 끼움홈(22b)를 개재해서 사각판체(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단차부(25)가 일방 측면에 형성된 사각판체(20)와, 사각판체(20)에 결합되는 판체용 결합부재(40)와, 판체용 결합부재(40)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진다.
사각판체(20)는 사각판재의 타일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21)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를 따라 4면의 측방에 측면(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노출면(21)에는 다양한 무늬 또는 형상을 성형하여 외관상 미감을 나타낼 수 있고, 측면(22)에는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끼움홈(22a)이 측면(2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에는 계단형상의 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판체용 결합부재(40)는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22)과 타방 측면(22)에 형성된 끼움홈(22b)에 동시에 끼워맞춤 결합되며 사각판체(20)의 타방 측면(22)에 형성된 단차부(25)의 끼움홈(22b)에 삽입되는 결합수단으로서, 끼움편(41), 고정편(42), 지지편(43), 절곡부(45), 연장편(46), 대향 지지편(47) 및 대향 끼움편(48)으로 이루어져 있다.
끼움편(41)은 결합부재(40)의 일단 상부에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22)에 형성된 길이방향 끼움홈(22b)에 끼워맞춤 결합된다. 지지편(43)은 끼움편(41)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사각판체(20)의 측면(22)과 접촉하도록 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45)는 지지편(43)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사각판체(20)의 외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곡부(45)는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 단차부(25)에 삽입되어 끼워맞춤된다. 고정편(42)은 절곡부(45)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장편(46)은 고정편(42)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사각판체(20)의 저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일단부위에는 고정용 결합부재(30)가 슬라이딩되어 끼워맞춤되도록 일부위가 하방으로 절취되어 절곡형성된 절취편(46b)이 2열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2열로 형성된 절취편(46b)은 대향하는 절취편(46b) 사이의 이격거리가 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되어 있다.
대향 지지편(47)은 연장편(46)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며, 사각판체(20)의 대향 측면(2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사각판체(20)의 대향 측면(22)에 접촉하게 된다.
대향 끼움편(48)은 대향 지지편(47)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며,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사각판체(20)의 대향 측면(22)에 형성된 길이방향 끼움홈(22b)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고정용 결합부재(30)는 판체용 결합부재(40)의 연장편(46)의 하부에 절취편(46b)를 개재해서 결합되도록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사다리꼴 평판형상의 고정판(36)의 일단부에는 벽면(10)에 피스,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34)에 의해 고정판(36)이 벽면(10)에 고정되도록 결합홀(36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각판체(20)의 저면부위를 결합부재(40)가 둘러싸도록 형성되면서 끼움홈(22b)의 측면에서 슬라이딩되어 결합됨으로써, 사각판체(20)의 위치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 사이의 결합지지력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와, 이 사각판체(20)의 대향 측면에 결합되는 2개의 결합부재(30, 40)로 이루어진다.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결합부재(40)의 고정편(42)에 연장편(46)이 연장된 구성만 상이하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결합부재(40)의 연장편(46)은 고정편(42)의 일단에 연장형성되며, 사각판체(20)의 저면을 거쳐서 타방 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0)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편(46)은 타방 측면의 결합부재(30)의 고정편(32)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고, 연장편(46)의 일단부위에는 벽면(10)에 피스,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44)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결합홀(4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홀(46a)은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의 결합시 고정편(32)의 결합홀(32a)과 연통형성되어 체결부재(44)에 의해 벽면(10)에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가 함께 고정된다.
따라서, 사각판체(20)의 양쪽 측면에 서로 결합된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가 끼워맞춤된 상태로 사각판체(20)가 벽면(10)에 고정되므로, 사각판체(20)에 대한 고정지지력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와, 이 사각판체(20)의 대향 측면에 결합되는 2개의 결합부재(30, 40)와, 결합부재(30, 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 40)는 제 4 실시예와 일부만 동일하게 형성되며,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50)의 구성만 상이하므로,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결부재(50)는 일방 측면의 고정편(42)과 타방 측면의 고정편(32)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금속편재로서,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의 하부에 결합된 띠형상의 연결편(51)과 절곡편(52)으로 이루어진다.
연결편(51)의 일단부에는 일방의 고정편(42) 및 타방의 고정편(32)과 함께 벽면(10)에 피스,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44)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결합홀(51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타방의 결합부재(30)와 걸어맞춤 결합하기 위한 절곡편(52)이 측벽(22)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다. 또한 절곡편(52)에는 일방의 절곡부(45) 및 타방의 절곡부(35)와 함께 피스,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44a)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결합홀(5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방의 절곡부(45) 및 타방의 절곡부(35)에는 절곡편(52)이 함께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도록 끼움슬롯(45a, 35a)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홀(52a)과 연통되는 결합홀(45a, 3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각판체(20)의 양쪽 측면에 서로 결합된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가 끼워맞춤된 상태로 연결부재(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사각판체(20)가 벽면(10)에 고정되므로, 사각판체(20)에 대한 고정지지력 뿐만 아니라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 사이의 결합력도 향상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와, 이 사각판체(20)의 대향 측면에 결합되는 2개의 결합부재(30, 40)와, 결합부재(30, 40)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60)로 이루어진다.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 40)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와이어(60)의 구성만 상이하므로,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각판체(20)의 저면(26)의 일단부위에는 노출면(21)을 향해 측면(22)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일자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26a)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 측면의 고정편(42)의 단부에는 걸림홈(26a)에 끼워맞춤되도록 걸림편(49)이 노출면(21)을 향해 절곡형성되어 있다.
연결와이어(60)는 일방 측면의 고정편(42)와 타방 측면의 고정편(32)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금속와이어로서, 일방 측면의 고정편(42)에 결합된 제 1 와이어(61)와, 타방 측면의 고정편(32)에 결합된 제 2 와이어(62)와, 제 1 와이어(61)와 제 2 와이어(62)를 연결하며 연결와이어(60)의 전체길이를 조절하는 꼬임부(6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제 1 와이어(61)와 제 2 와이어(62)를 연결하는 꼬임부(63)에 의해 단축시키거나 확장시켜 사각판체(20) 대한 일방의 결합부재(40)와 타방의 결합부재(30)에 의한 사이의 압축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와, 이 사각판체(20)의 대향 측면에 결합되는 2개의 결합부재(30, 40)로 이루어진다.
사각판체(20)와 2개의 결합부재(30, 40)는 제 4 실시예와 일부만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 4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각판체(20)는 일방 측면(22)의 하단에 벽면(10)과 평행한 끼움홈(22c)이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타방 측면(22)의 하단에 벽면(10)과 평행한 끼움홈(22d)이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끼움홈(22c, 22d)은 단면에서 볼때 하단에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여기에 끼워맞춤된 끼움편이 하방으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일방 측면의 끼움홈(22c)은 사각판체(20)의 내향으로 갈수록 홈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방 측면의 끼움홈(22d)은 사각판체(20)의 내향으로 갈수록 홈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끼움홈(22c, 22d)은 여기에 결합된 끼움편이 측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홈폭이 좁아지므로 쇄기효과와 같이 서로 마찰접촉에 의해 끼워맞춤되므로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항상시키게 된다.
타방 측면의 결합부재(30)는 일단이 벽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사각판체(20)에 결합되어 벽면(10)과 사각판체(20)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며 끼움편(31), 고정편(32), 지지편(33)을 구비한다.
끼움편(31)은 결합부재(30)의 상부에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끼움홈(22d)의 형상과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사각판체(20)의 끼움홈(22d) 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끼워맞춤 결합된다.
고정편(32)은 결합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되며 벽면(10)에 고정되도록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벽면(10)에 피스,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44)에 의해 일방 측면의 결합부재(40)와 함께 고정되도록 결합홀(3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33)은 끼움편(31)의 일단에 절곡형성되고 고정편(32)의 타단에 절곡형성되어 끼움편(31)과 고정편(32) 사이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끼움편(31)과 고정편(32)을 서로 지지하게 된다. 즉,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끼움편(31)과 고정편(3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지지편(33)의 높이는 사각판체(20)의 저면에 끼움편(31)이 결합되므로, 사각판체(20)와 벽면(10) 사이의 이격거리를 형성하게 된다.
일방 측면의 결합부재(40)는 일단이 벽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사각판체(20)에 결합되어 벽면(10)과 사각판체(20)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며 끼움편(41), 고정편(42), 지지편(43) 및 체결부재(44)를 구비한다.
끼움편(41)은 결합부재(40)의 상부에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끼움홈(22c)의 형상과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사각판체(20)의 끼움홈(22c)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고정편(42)은 결합부재(40)의 하부에 형성되며 벽면(10)에 고정되도록 벽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서, 벽면(10)에 피스,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44)에 의해 타방 측면의 결합부재(30)와 함께 고정되도록 결합홀(4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43)은 끼움편(41)의 일단에 절곡형성되고 고정편(42)의 타단에 절곡형성되고 끼움편(41)과 고정편(42) 사이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끼움편(41)과 고정편(42)을 서로 지지하게 된다. 즉,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끼움편(41)과 고정편(4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지지편(43)의 높이는 사각판체(20)의 저면에 끼움편(41)이 결합되므로, 사각판체(20)와 벽면(10) 사이의 이격거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각판체(20)에 결합부재(30, 40)를 슬라이딩에 의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므로, 이들 사이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지지력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 결합부재(30) 및 이격거리 조절부(90)로 이루어져 있다.
사각판체(20)는 제 10 실시예의 사각판체(2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결합부재(30)와 이격거리 조절부(9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결합부재(30)는 사각판체(20)의 끼움홈(22d) 및 인접한 사각판체(20)의 끼움홈(22c)에 함께 결합되는 끼움편(31)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끼움편(31)은 끼움홈(22d)과 끼움홈(22c)의 형상과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그 절반부위는 끼움홈(22d)과 결합되고 나머지 절반부위는 끼움홈(22c)과 결합된다. 또한, 끼움편(31)의 일단부위에는 이격거리 조절부(9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격거리 조절부(90)는 일단이 벽면(10)에 형성된 고정홀(1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끼움편(31)의 결합홀(31a)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거리 조절부(90)는 나선이 형성된 지지대(91)와, 여기에 나합되는 제 1 체결편(92)과 제 2 체결편(93)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대(91)는 여기에 결합되는 제 1 체결편(92)과 제 2 체결편(93)의 체결위치가 조절가능하도록 나선부위가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체결편(92)과 제 2 체결편(93) 사이의 지지대(91)에는 끼움편(31)이 결합되어 제 1 체결편(92)과 제 2 체결편(93) 사이의 체결고정력에 의해 지지대(9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체결편(92)과 제 2 체결편(93)의 체결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끼움편(31)의 결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결합부재(30)가 결합된 사각판체(20)와 벽면(10) 사이의 이격거리가 이격거리 조절부(90)에 의해 조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거리 조절부(90)에 의해 사각판체(20)와 벽면(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는 사각판체(20)와, 이 사각판체(20)의 측면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결합부재(30)는 제 10 실시예의 결합부재(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사각판체(20)는 일방 측면(22)의 하단에 벽면(10)과 평행한 끼움홈(22d)이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홈(22d)은 단면에서 볼때 하단에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여기에 끼워맞춤된 끼움편(31)이 하방으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끼움홈(22d)은 사각판체(20)의 내향으로 갈수록 홈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홈(22d)은 여기에 결합된 끼움편(31)이 측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홈폭이 좁아지므로 쇄기효과와 같이 서로 마찰접촉에 의해 끼워맞춤되므로 이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항상시키게 된다.
또한, 사각판체(20)의 대향 측면은 저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벽체의 조립시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인접하는 사각판체(20)의 타방 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접촉하게 되며, 인접부위의 일방 사각판체(20)의 경사진 측면(22)과 벽면(10) 사이에 오목한 홈부위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홈부위에 인접한 사각판체(20)의 경사진 측면(22)이 끼워맞춤되어 사각판체(20)들 사이의 끼워맞춤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판체(20)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부위에 의해 이들 사이에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서로 끼워맞춤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체의 시공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상태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상태의 또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시공방법은 결합부재 고정단계와, 사각판체 삽입단계, 다른 결합부재 고정 및 사각판체와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합부재 고정단계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벽면(10)의 하단에 복수개의 결합부재(30)를 먼저 고정하여 설치하게 된다.
사각판체 삽입단계는, 상기와 같이 고정설치된 결합부재(30)의 끼움편(31)에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2a)을 삽입시켜 결합하게 된다.
다른 결합부재 고정 및 사각판체와 결합단계는, 다른 결합부재(30)를 벽면 상에 고정시키고, 다른 결합부재(30)의 끼움편(31)을 사각판체(20)의 타방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2a)에 삽입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본 실시예의 벽체를 완성하게 된다.
또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판체(20)의 양쪽 측면에 결합부재(30, 40)를 삽입한 후, 벽면(10)과 사각판체(20) 사이의 이격부위에 발열부재(70)와 열전달부재(80)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재(70)는 온수관 또는 열선 등과 같은 다양한 가열부재로 이루어지며, 열전달부재(80)는 게르마늄(germanium), 토르말린(tourmaline), 맥섬석, 일라이트(illite), 숯, 소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져 발열부재(70)의 열을 사각판체(20)에 전달하게 된다.
특히, 발열부재(70)는 벽면(10)과 사각판체(20) 사이의 이격공간 뿐만 아니라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7은 사각판체(20)의 저면에도 걸림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결합부재(40)를 걸어맞춤하여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각판체(20)와 결합부재(30, 40)와의 결합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결합부재(30, 40)를 벽면(10) 상에 고정시, 제 8 실시예와 제 9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각판체(20)의 일방 측면에 삽입된 결합부재(30)와 사각판체(20)의 타방 측면에 삽입된 결합부재(40)를 띠형상의 연결편(51) 또는 연결와이어(60)와 같은 연결부재(50)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판체의 측면에 끼움홈의 형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각판체와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키며, 사각판체의 파손없이 벽면에 사각판체를 이격설치할 수 있고, 사각판체와 결합부재를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사각판체의 위치조절이 용이하며, 결합부재들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결합부재들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벽면 20: 사각판체
30, 40: 결합부재 50: 연결부재
60: 연결와이어 70: 발열부재
80: 열전달부재 90: 이격거리 조절부

Claims (15)

  1.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벽체로서,
    상기 벽면과 평행한 끼움홈이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전체 또는 일부 형성된 복수의 사각판체; 및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사각판체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끼움편과, 상기 고정편과 상기 끼움편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편과 상기 끼움편 사이에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한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사각판체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는 인접한 지지편의 절곡부가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의 고정편은 상기 사각판체의 타방 측면의 고정편과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의 고정편과 상기 사각판체의 타방 측면의 고정편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도록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띠형상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편은 일단이 상기 일방 측면의 고정편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타방 측면의 고정편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일방 측면의 고정편과 상기 타방 측면의 고정편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연결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일방 측면의 고정편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타방 측면의 고정편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판체는 저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편의 단부에 절곡형성된 걸림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판체는 일방 측면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방 측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인접한 사각판체의 결합시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 사이의 이격부위에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의 열을 상기 사각판체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10.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벽체로서,
    상기 벽면과 평행한 끼움홈이 측면의 하단에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사각판체; 및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사각판체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끼움편과, 상기 고정편과 상기 끼움편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편과 상기 끼움편 사이에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한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판체는 대향 측면이 저면을 기준해서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12.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벽체로서,
    상기 벽면과 평행한 끼움홈이 측면의 하단에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사각판체;
    상기 사각판체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편을 구비한 복수의 결합부재; 및
    상기 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를 서로 이격시키며 이격거리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13. 제 1 항에 기재된 벽체의 시공방법으로서,
    벽면에 결합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부재의 끼움편에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을 삽입시키는 단계; 및
    다른 결합부재를 벽면 상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다른 결합부재의 끼움편을 상기 사각판체의 타방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결합부재를 벽면 상에 고정시, 상기 사각판체의 일방 측면에 삽입된 결합부재와 상기 사각판체의 타방 측면에 삽입된 결합부재를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판체의 양쪽 측면에 결합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벽면과 상기 사각판체 사이의 이격부위에 발열부재와 열전달부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시공방법.
  15. 삭제
KR1020100041371A 2010-05-03 2010-05-03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1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371A KR101218595B1 (ko) 2010-05-03 2010-05-03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371A KR101218595B1 (ko) 2010-05-03 2010-05-03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873A KR20110121873A (ko) 2011-11-09
KR101218595B1 true KR101218595B1 (ko) 2013-01-09

Family

ID=4539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371A KR101218595B1 (ko) 2010-05-03 2010-05-03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65B1 (ko) * 2012-09-25 2014-04-23 주식회사 한도스페이스 건축물용 외장패널
US11459768B2 (en) * 2019-10-31 2022-10-04 Certainteed Llc Attachment clip for building surface panels and building surface panel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728A (ja) * 2000-06-02 2001-12-14 Sugawara Kikuko 外装パネルの取付金具及び壁面構造
KR200294604Y1 (ko) * 2002-08-21 2002-11-08 보 영 허 전자파 차폐효과를 갖는 온돌판
KR100782144B1 (ko) * 2006-06-08 2007-12-06 정용준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36239A (ko) * 2009-10-01 2011-04-07 정용준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728A (ja) * 2000-06-02 2001-12-14 Sugawara Kikuko 外装パネルの取付金具及び壁面構造
KR200294604Y1 (ko) * 2002-08-21 2002-11-08 보 영 허 전자파 차폐효과를 갖는 온돌판
KR100782144B1 (ko) * 2006-06-08 2007-12-06 정용준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36239A (ko) * 2009-10-01 2011-04-07 정용준 보강 벽체타일 및 이를 구비한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873A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2416A1 (en) System for floor covering
JP5624104B2 (ja) プレハブ建築物の壁体用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US8640418B2 (en) Surface covering system
US9540800B2 (en) Set of profile sec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panels and angle sections in thermoplastic
KR101664359B1 (ko)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KR100917866B1 (ko) 건물외단열 시공구조
WO2017013501A1 (en) Prefabricated element for flooring
KR20100098852A (ko)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064350A (ko) 석재 접합식 타일
KR101425624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KR101769890B1 (ko) 외벽 단열 마감재
KR20080040075A (ko) 벽돌 조적공법
EA006003B1 (ru) Стенной элемент для облицовки фасадов и тому подобного
KR101612376B1 (ko) 중간 연결재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18414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200439812Y1 (ko) 조립식 바닥재
KR200375683Y1 (ko) 타일 베이스
KR101010353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KR20090106200A (ko) 콘크리트패널 정착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패널구조물
KR20160015953A (ko) 타일 고정 장치
SK7023Y1 (sk) Montovaná podlaha a spôsob jej výroby
KR101459209B1 (ko) 조립식 바닥재
KR101705774B1 (ko)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RU56428U1 (ru) Фасадная плита "ра-д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