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890B1 - 외벽 단열 마감재 - Google Patents

외벽 단열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890B1
KR101769890B1 KR1020150111364A KR20150111364A KR101769890B1 KR 101769890 B1 KR101769890 B1 KR 101769890B1 KR 1020150111364 A KR1020150111364 A KR 1020150111364A KR 20150111364 A KR20150111364 A KR 20150111364A KR 101769890 B1 KR101769890 B1 KR 10176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attern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450A (ko
Inventor
안병권
유영종
안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정양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정양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정양에스지
Priority to KR1020150111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890B1/ko
Priority to PCT/KR2015/013264 priority patent/WO2017026589A1/ko
Priority to US15/740,010 priority patent/US10145123B2/en
Publication of KR2017001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04F13/087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the covering layer comprising mutual alignment or inter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04F13/087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the basic insulating layer comprising mutual alignment or inter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격판으로 타일을 단열재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타일의 밑면, 상하좌우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며 단열재의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판의 형상 변화와 단열재 표면에 형성된 음각 패턴을 통해 간격판에 끼워져 단열재 표면에 부착된 타일이 다양한 외력에 대하여 변함없이 부착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오랫동안 부착 유지될 수 있는 외벽 단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고정되는 단열재와, 단열재에서 타일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타일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판과, 단열재의 표면에서 타일을 부착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게 음각으로 형성된 패턴부를 포함하여, 간격판의 이격부를 통해 타일을 간격판에 사이에 끼움 고정할 때 서로 이격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할 수 있고, 타일의 밑면은 물론, 서로 이격된 타일의 상하좌우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인접한 타일의 상하좌우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단열재의 전면에 부착됨으로써, 전면에 부착되는 타일이 부착력이 현저히 증대되며, 타일을 전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벽 단열 마감재{Exterior Insulation Finishing Material}
본 발명은 단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격판으로 타일을 단열재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타일의 밑면, 상하좌우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며 단열재의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판의 형상 변화와 단열재 표면에 형성된 음각 패턴을 통해 간격판에 끼워져 단열재 표면에 부착된 타일이 다양한 외력에 대하여 변함없이 부착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오랫동안 부착 유지될 수 있는 외벽 단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건축 시 외벽의 단열 효과를 얻기 위해 외벽을 단열재로 마감하는 공법이 적용된다. 아울러 단열재로 마감된 외벽의 강도를 높이고, 공법의 간소화를 위해 단열재의 표면을 마감재로 마감한다.
그러나 단열재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한 후 마감재를 부착하기 때문에 마감재의 배열이 안맞고, 부착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841호(단열재 일체형 벽돌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 시공방법)에는 단열재에 간격판을 두고, 간격판에 마감재를 끼워 단열재를 시공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간격판이 수평으로 이어져 있는 형태로 마감재가 모르타르에 의해 상하 좌우로 연결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다양한 외력에 대하여 마감재의 부착이 오랫동안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462841 B1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판으로 타일을 단열재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고, 간격판 사이에 타일을 끼워 모르타르를 타일의 밑면은 물론 상하좌우면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단열재의 표면에 부착력이 증대된 상태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외벽 단열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판을 모르타르와의 접착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형상의 변화를 주어, 타일이 간격판에 부착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타일의 부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외벽 단열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일이 부착되는 단열재의 표면에 수평, 수직, 경사진 형상의 음각 패턴 및 간격판의 상하부와 맞닿는 형사의 음각 패턴을 형성하여, 다양한 외력에 대하여 변함없이 부착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오랫동안 부착 유지할 수 있는 외벽 단열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각 패턴에 교차하는 교점에 음각 패턴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는 교차 노드를 형성하여 강한 외력에 대한 타일의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외벽 단열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10)에 고정되는 단열재(100); 상기 단열재(100)에서 타일(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타일(4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판(200); 및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서 상기 타일(400)을 부착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게 음각으로 형성된 패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서 상기 타일(400)을 부착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게 음각으로 형성된 패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판(200)에는 상하로 홈이 형성된 이격부(210)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타일(400)은 상기 간격판(200)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과, 상기 패턴부(300), 상기 이격부(210) 및 상기 간격판(200)의 끝단에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상기 타일(400)이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되며; 이격부(210)에 도포된 모르타르는 상기 이격부(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타일(400)과 타일(400)의 측면 사이에 도포된 모르타르와 연결되며;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서 상기 간격판(200)의 상하부와 각각 맞닿게 평행으로 형성되는 음각을 가지는 근접 패턴(31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근접 패턴(310)에는 상기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상기 타일(400)이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타일(400)의 상하부에 대한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격판(200)은, 상기 타일(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의 이격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타일(400)이 상기 이격부(210)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간격판(200)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이격부(210)에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상기 타일(400)이 상하좌우 인접한 상기 타일(40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간격판(200)의 끝단 상하부에는 경사진 모따기부(220)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모따기부(220)는 상기 모르타르(500)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타일(400)이 상기 간격판(200)과 부착되는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로 상기 타일(400)이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패턴부(300)는, 서로 교차하는 원형 또는 삼각형이 연속된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간격판(200)의 두께(a)와 상기 모따기부(200)의 길이(b) 및 간격판(200)의 끝단에서 돌출된 타일(400)의 두께(c) 비율은 2: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패턴부(300)는, 내측에 복수의 다각 패턴(36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다각 패턴(360)에 상기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상기 타일(400)을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패턴(320)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패턴(330)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패턴(340)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타일(400)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수직 방향, 경사 방향 외력에 대하여 상기 타일(40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근접 패턴(310), 상기 수평 패턴(320), 상기 수직 패턴(330) 및 상기 경사 패턴(340)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호 교차 지점에는 상기 근접 패턴(310), 상기 수평 패턴(320), 상기 수직 패턴(330) 및 상기 경사 패턴(340) 보다 깊은 깊이로 형성되는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일(400)에 작용하는 강한 외력에 대하여 상기 타일(40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 마감재.
본 발명은 간격판(200)의 이격부(210)를 통해 타일(400)을 간격판(200)에 사이에 끼움 고정할 때 서로 이격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할 수 있고, 타일(400)의 밑면은 물론, 서로 이격된 타일(400)의 상하좌우면에 모르타르(500)를 도포하여 인접한 타일(400)의 상하좌우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부착됨으로써, 전면(110)에 부착되는 타일(400)이 부착력이 현저히 증대되며, 타일(400)을 전면(110)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간격판(200)의 끝단 상하부에 경사진 모따기부(220)를 각각 형성하여, 타일(400)이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부착되었을 때, 타일(400)의 상하부가 모르타르(500)와의 접촉 면적이 극대화되어 타일(400)의 부착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패턴(320)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패턴(330)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패턴(340)을 포함하는 패턴부(300)를 음각으로 형성하여, 타일(400)이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부착된 상태로 수평, 수직, 경사진 힘에 대한 타일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간격판(200)의 상하부와 각각 맞닿게 평행으로 형성된 음각을 가지는 근접 패턴(310)을 형성하여, 타일(400)이 간격판(200)의 사이에 끼워졌을 때, 근접 패턴(310)에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타일(400)이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타일(400)의 상하부에 대한 부착력을 증대시켜, 타일(400)의 탈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근접 패턴(310), 수평 패턴(320), 수직 패턴(330) 및 경사 패턴(340)이 교차하는 교점에 근접 패턴(310), 수평 패턴(320), 수직 패턴(330) 및 경사 패턴(340)보다 깊은 깊이로 교차 노드(350)가 음각으로 형성되어, 타일(400)이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강한 외력에 대한 타일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 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의 간격판(200)에 이격부(21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에서 패턴부(300)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는, 벽면(10)에 고정되는 단열재(100)와, 단열재(100)에 형성되는 간격판(200)과, 단열재(100)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패턴부(300)를 포함한다.
벽면(10)은 건물의 외벽 또는 내벽으로, 벽면(10)에 단열재(100)를 부착하고, 단열재(100)의 외측에 타일(400)을 부착함으로써 건물의 단열 및 벽면(10)의 강도를 높여주며, 단열재(100)의 표면을 장식하게 된다.
이때 벽면(10)은 단열재(100)가 시공되는 면이라면, 어느 곳이든 적용 가능하다. 한편, 벽면(10)에는 화스너(2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공(12)이 복수 형성된다. 화스너(20)가 고정공(12)에 삽입 및 고정되어 단열재(100)를 벽면(10)에 고정하게 된다.
단열재(100)는 벽면(10)을 보온하거나 열을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단열재(100)는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을 사용한다. 아울러 단열재(100)는 그라스울, 압출법단열재, 비드법단열재, 고무발포단열재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단열재(100)는 벽면(10)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후면(120)이 벽면(10)에 부착된다. 단열재(100)에는 화스너(20)의 설치를 위한 삽입공(10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단열재(100)의 후면(120)이 벽면(10)을 향해 밀착된 상태에서 삽입공(102)에 화스너(20)를 삽입하고, 화스너(20)를 벽면(10)에 형성된 고정공(12)에 설치하여 단열재(100)를 벽면(1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단열재(100)의 전면(110) 즉 단열재(100)의 표면에는 타일(400)이 모르타르(500)에 의해 부착된다. 아울러 전면(110)에는 타일(400)의 높이만큼 이격된 복수의 간격판(200)이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간격판(200)은 타일(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 만큼 이격된 간격판(200)이 서로 평행하게 쌍을 이뤄 복수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간격판(200)의 간격은 타일(400)이 끼움 고정되되, 타일(400)을 간격판(200)의 사이에 원활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공차를 가진다.
또한 전면(110)에는 타일(400)의 견고한 부착을 위한 패턴부(300)가 음각의 홈으로 형성된다. 패턴부(300)에 모르타르(500)가 도포되고, 모르타르(500)로 전면(110)에 타일(400)이 견고하게 부착된다. 즉 단열재(100)의 전면(110) 전체에 모르타르(500)가 도포됨과 동시에, 패턴부(300)에도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타일(400)이 간격판(20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전면(110)에 타일(400)이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간격판(200)은 단열재(100)의 전면(110)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타일(40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된다. 간격판(200)은 타일(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가지도록 쌍으로 형성되며, 전면(110)에 타일(400)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복수가 형성된다.
아울러 간격판(200)의 사이에는 타일(400)이 끼움 고정된다. 이때 타일(400)의 바닥면은 전면(110)에 형성된 패턴부(300)와 교차 노드(350)에 도포된 모르타르(500)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타일(400)은 전면(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간격판(200)의 끝단보다 더 돌출된다.
한편, 간격판(200)의 끝단 상하부에는 모따기부(220)가 형성된다. 모따기부(220)는 간격판(200)의 상하부 끝단이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타일(400)이 간격판(200) 사이에 고정되었을 때, 모르타르(500)와 모따기부(220)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해준다.
즉 간격판(200)의 끝단에 모따기부(220)를 형성함으로써, 모르타르(500)와의 접촉 면적을 더 넓혀줌으로써, 간격판(200)의 끝단에 도포된 모르타르(500)가 타일(400)의 양측면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타일(400)과 간격판(200)이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타일(400)의 부착력을 강화시켜준다.
한편, 도 4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간격판(200)의 두께를 a라하고, 모따기부(220)의 길이를 b라하며, 간격판(200)의 두께보다 튀어나온 타일(400)의 두께를 c라한다면, 이를 토대로 타일(400)의 두께를 기준으로 간격판(200)의 두께와 모따기(220)의 길이를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a, b, c의 비율은 타일(400)에 대한 간격판(200)의 접착 면적을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하여 2:1:1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부(300)는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음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간격판(200)과 맞닿게 형성되는 근접 패턴(310)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패턴(320)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패턴(330)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패턴(340)을 포함한다.
근접 패턴(310)은 간격판(200)의 상하부와 일직선으로 맞닿게 형성되는 음각 홈으로 모르타르(500)가 근접 패턴(310)에 도포되어 타일(400)이 간격판(200)의 사이에 부착되었을 때, 타일(400)의 상하부를 견고하게 부착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타일(400)의 상하부에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 타일(400)이 견고하게 부착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타일(400)이 전면(110)에서 이탈되는 시발점은 타일(400)의 상하부 가장자리 부터인데, 근접 패턴(310)이 타일(400)의 상하부 가장자리를 강하게 잡아줌으로써, 타일(400)이 전면(11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즉 타일(400)의 상하부에 대한 부착력을 증대시켜, 타일(400)의 탈착을 원천적으로 차단해준다.
수평 패턴(320)은 간격판(200)의 사이에 수평으로 이격된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 형성된 것으로, 타일(400)이 전면(110)에 부착되었을 때 타일(400)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 타일(400)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수직 패턴(330)은 간격판(200)의 사이에 수직으로 이격된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 형성된 것으로 타일(400)이 전면(110)에 부착되었을 때 타일(400)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 타일(400)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경사 패턴(340)은 간격판(200)의 사이에 경사지게 복수 형성된 것으로 타일(400)이 전면(110)에 부착되었을 때 타일(400)에 경사지게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 타일(400)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타일(400)이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부착된 상태로 수평, 수직, 경사진 힘에 대한 타일의 부착력을 증대시켜준다.
아울러 패턴부(300)의 근접 패턴(310), 수평 패턴(320), 수직 패턴(330) 및 경사 패턴(340)이 교차되는 지점에 교차 노드(350)가 형성된다. 교차 노드(350)는 근접 패턴(310), 수평 패턴(320), 수직 패턴(330) 및 경사 패턴(340)의 깊이 보다 약 1 내지 5mm 깊게 형성된다. 교차 노드(350)는 타일(400)의 부착력을 증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교차 노드(350)는 타일(400)을 일정하면서 강하게 잡아주는 기능을 하며, 내진 등 외부 충격에 대한 타일(400)의 부착 강도를 증대시켜준다.
타일(400)은 얇고 작은 도자기 판으로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붙여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 타일(400)의 높이는 간격판(200)의 사이 간격에 대응된다. 타일(400)은 간격판(200)의 사이에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패턴부(300) 및 간격판(200)의 끝단에 도포된 모르타르(50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모르타르(500)는 회나 시멘트에 모래를 섞고 물로 갠 것으로, 단열재(100)의 후면에 형성된 패턴부(300)와 간격판(200)의 끝단에 도포되어 타일(400)을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모르타르(500)는 도포된 후 시간이 지나면 물기가 없어지고 단단하게 되어 타일(400)을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의 간격판(200)에 이격부(21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간격판(200)에는 복수의 이격부(210)가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이격부(210)의 간격은 타일(4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간격판(200)이 이격부(210)로 나뉘어 하나의 타일(400)의 길이를 기준으로 2개소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하나의 타일(400)의 길이는 2개소의 간격판(200)과 간격판(200)의 중앙에 위치한 이격부(210)로 대응된다. 이를 통해 타일(400)을 간격판(200)으로 상하 구분된 상태에서 서로 절반 면적이 겹쳐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이격부(210)에 도포된 모르타르는 상기 이격부(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타일(400)과 타일(400)의 측면 사이에 도포된 모르타르와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2개의 타일(400)이 배치되고, 하부의 타일(400)은 상부 2개의 타일(400)의 절반 면적을 각각 차지하도록 배치되고, 상부 타일(400)과 하부 타일(400) 사이에 모르타르(500)를 도포하여 타일(400)을 견고하게 부착해준다.
다시 말해서, 이격부(210)를 통해 복수의 타일(400)이 서로 인접하게 이격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간격판(200)에 끼움 고정되되, 상부 타일(400)과 하부 타일(400)이 서로 절반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교차하여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이격부(210)와, 타일(400)의 밑면과 패턴부(300)는 물론, 서로 이격된 타일(400)의 상하좌우면에 모르타르(500)를 도포하여 인접한 타일(400)의 상하좌우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전면(110)에 부착되는 타일(400)의 부착력이 현저히 증대되며, 타일(400)을 전면(110)에 견고하게 부착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열재(100)의 전면(110)에는 다각 패턴(360)이 음각의 홈으로 형성된다. 다각 패턴(360)은 앞서 설명한 근접 패턴(310), 수평 패턴(320), 수직 패턴(330), 경사 패턴(340)과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다각 패턴(360)은 근접 패턴(310), 수평 패턴(320), 수직 패턴(330), 경사 패턴(340)의 조합으로 형성된 무늬 또는 문양 내부에 형성된다.
다각 패턴(360)은 타일(400)이 전면(110)에 부착되었을 때, 타일(400)의 부착력을 증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벽 단열 마감재에서 패턴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패턴부(300)는 도 6과 같이 서로 교차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삼각형이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열재(100)의 전면(110)에 형성되는 패턴부(300)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패턴부(300)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교차 노드(350)를 형성해준다.
한편, 패턴부(300)는 타일(400)을 견고하게 부착 유지할 수 있다면, 다각형의 조합, 기하학 무늬 또는 문양의 조합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10 : 벽면 12 : 고정공
20 : 화스너
100 : 단열재
102 : 삽입공
110 : 전면 120 : 후면
200 : 간격판
210 : 이격부 220 : 모따기부
300 : 패턴부
310 : 근접 패턴 320 : 수평 패턴 330 : 수직 패턴
340 : 경사 패턴 350 : 교차 노드 360 : 다각 패턴
400 : 타일
500 : 모르타르

Claims (9)

  1. 벽면(10)에 고정되는 단열재(100);
    상기 단열재(100)에서 타일(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타일(4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판(200); 및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서 상기 타일(400)을 부착력이 극대화된 상태로 부착할 수 있게 음각으로 형성된 패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판(200)에는 상하로 홈이 형성된 이격부(210)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타일(400)은 상기 간격판(200)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과, 상기 패턴부(300), 상기 이격부(210) 및 상기 간격판(200)의 끝단에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상기 타일(400)이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이격부(210)에 도포된 모르타르는 상기 이격부(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타일(400)과 타일(400)의 측면 사이에 도포된 모르타르와 연결되며;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서 상기 간격판(200)의 상하부와 각각 맞닿게 평행으로 형성되는 음각을 가지는 근접 패턴(31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근접 패턴(310)에는 상기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상기 타일(400)이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타일(400)의 상하부에 대한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외벽 단열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판(200)은,
    상기 타일(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의 이격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타일(400)이 상기 이격부(210)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간격판(200)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이격부(210)에 모르타르(500)가 도포되어 상기 타일(400)이 상하좌우 인접한 상기 타일(40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판(200)의 끝단 상하부에는 경사진 모따기부(220)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모따기부(220)는 상기 모르타르(500)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타일(400)이 상기 간격판(200)과 부착되는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로 상기 타일(400)이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 마감재.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판(200)의 두께(a)와 상기 모따기부(220)의 길이(b) 및 간격판(200)의 끝단에서 돌출된 타일(400)의 두께(c) 비율은 2: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 마감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단열재(100)의 표면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패턴(320)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패턴(330)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패턴(3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타일(400)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 수직 방향, 경사 방향 외력에 대하여 상기 타일(40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 마감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300)는,
    상기 근접 패턴(310), 상기 수평 패턴(320), 상기 수직 패턴(330) 및 상기 경사 패턴(340)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호 교차 지점에는 상기 근접 패턴(310), 상기 수평 패턴(320), 상기 수직 패턴(330) 및 상기 경사 패턴(340) 보다 깊은 깊이로 형성되는 교차 노드(3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일(400)에 작용하는 강한 외력에 대하여 상기 타일(400)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단열 마감재.
KR1020150111364A 2015-08-07 2015-08-07 외벽 단열 마감재 KR10176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364A KR101769890B1 (ko) 2015-08-07 2015-08-07 외벽 단열 마감재
PCT/KR2015/013264 WO2017026589A1 (ko) 2015-08-07 2015-12-04 외벽 단열 마감재
US15/740,010 US10145123B2 (en) 2015-08-07 2015-12-04 Outer-wall heat-insulating finish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364A KR101769890B1 (ko) 2015-08-07 2015-08-07 외벽 단열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50A KR20170017450A (ko) 2017-02-15
KR101769890B1 true KR101769890B1 (ko) 2017-08-30

Family

ID=5798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364A KR101769890B1 (ko) 2015-08-07 2015-08-07 외벽 단열 마감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45123B2 (ko)
KR (1) KR101769890B1 (ko)
WO (1) WO20170265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647A (ko) * 2020-04-17 2021-10-27 아프로단디 주식회사 건축물 벽체의 외부 단열 후도막 평탄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7040A1 (en) * 2017-12-20 2019-09-12 Mark Arcarisi Masonary Panel Assembly
CN112663890A (zh) * 2020-12-10 2021-04-16 百合盛华建筑科技有限公司 室内大尺寸陶瓷墙砖粘结式施工工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7124A (ja) * 2000-10-25 2002-05-08 Asahi Glass Co Ltd タイルパネルの製法
KR100632270B1 (ko) * 2005-09-13 2006-10-16 김동수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시공방법 및 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1702A (en) * 1975-04-18 1977-03-15 Matyas Andrew M Building wall constructions
US4809470A (en) * 1986-12-23 1989-03-07 U.S. Brick, Inc. Panel system and method
US5590500A (en) * 1993-10-20 1997-01-07 Mccue; David L. Tile system
AUPN925396A0 (en) * 1996-04-12 1996-05-09 Boral Bricks (Nsw) Pty Ltd Brick support
JP2000336890A (ja) 1999-06-01 2000-12-05 Nippon Todannetsu Kensetsu Kk 乾式タイル用下地パネルと乾式タイル用下地パネルの施工方法
US7121051B2 (en) * 2001-02-12 2006-10-17 Garrick Hunsaker Panel for thin brick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2002339468A (ja) 2001-05-17 2002-11-27 Inax Corp 外壁構造
WO2010085894A1 (en) * 2009-01-30 2010-08-05 Oldcastle Building Products Canada Inc. A masonry wall panel for retaining bricks
KR20110009307A (ko) 2009-07-22 2011-01-28 대림산업 주식회사 단열재 패널의 설치를 위한 상,하 연결형 가드 트랙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구조
KR101461545B1 (ko) 2013-12-27 2014-11-13 주식회사 조운건설 외벽마감구조
KR101462841B1 (ko) 2014-06-27 2014-11-17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단열재 일체형 벽돌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7124A (ja) * 2000-10-25 2002-05-08 Asahi Glass Co Ltd タイルパネルの製法
KR100632270B1 (ko) * 2005-09-13 2006-10-16 김동수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시공방법 및 그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647A (ko) * 2020-04-17 2021-10-27 아프로단디 주식회사 건축물 벽체의 외부 단열 후도막 평탄 공법
KR102361053B1 (ko) * 2020-04-17 2022-02-09 아프로단디 주식회사 건축물 벽체의 외부 단열 후도막 평탄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450A (ko) 2017-02-15
WO2017026589A1 (ko) 2017-02-16
US20180163409A1 (en) 2018-06-14
US10145123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866B1 (ko) 건물외단열 시공구조
US9744697B2 (en) Adjustable locator retaining wall block and mold apparatus
US9003736B2 (en) System for a floor covering
KR101769890B1 (ko) 외벽 단열 마감재
WO2013065916A1 (ko) 신형 온돌바닥재
KR101239383B1 (ko)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US20160010341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floor and wall tile installation
CN104264952B (zh) 一种外墙砖铺砖工艺及铺砖模板
KR101434805B1 (ko) 건축물의 벽체구조
CN205421866U (zh) 一种铺砖装置和饰面总成
KR200486360Y1 (ko) 갱폼용 줄눈 형성 부재
CN217631063U (zh) 装饰模框以及构造物
KR101874201B1 (ko) 건축물 내 외벽 습식 몰탈 부착용 마감패널
CN215166847U (zh) 外墙系统
KR20090124644A (ko) 조립식 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JP2008127984A (ja) 床タイル張り工法
US8015768B2 (en) Insulation panel
KR200231644Y1 (ko) 금속타일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010351A (ko) 욕실용 타일부착 패널
KR101629107B1 (ko) 건축용 장식 패널
KR200496953Y1 (ko) 건축용 줄눈의 성형부재
JP6153333B2 (ja) キャスト体の製法及びブロック状部材保持体
KR20140123791A (ko) 대리석 가공타일을 부착한 콘크리트 블록
KR20200058886A (ko) 단열층이 형성된 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