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953A - 타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타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953A
KR20160015953A KR1020140098993A KR20140098993A KR20160015953A KR 20160015953 A KR20160015953 A KR 20160015953A KR 1020140098993 A KR1020140098993 A KR 1020140098993A KR 20140098993 A KR20140098993 A KR 20140098993A KR 20160015953 A KR20160015953 A KR 2016001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ixing
pair
vertica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엘에스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엘에스이앤씨 filed Critical (주)에스엘에스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09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5953A/ko
Publication of KR2016001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E04F13/23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adjustabl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용 마감 타일 시공용 타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는 석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량물로서 얇은 두께를 지니는 타일을 붙임 모르타르의 사용 없이 타일 배면에 형성한 삽지홈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건축물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간편하고도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내외장재에 대한 다양하고 미려한 패턴 및 색상의 선택이 가능하여 우수한 내외장 선택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상대적으로 경량물인 타일을 건축물 벽체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우수한 시공 경제성 및 시공 효율성과, 우수한 유지 보수성 및 시공 품질관리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타일 고정 장치{TIL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용 마감 타일 시공용 타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장용 또는 내장용 타일을 타일 붙임용 모르타르의 사용 없이 콘크리트, 목재, 또는 금속재로 된 벽면에 마감재로서 중량물로서 선택 자유도가 낮은 석판 대신 상대적으로 경량물이며 다양하고 미려한 패턴 및 색상의 선택이 가능하여 우수한 디자인 자유도를 가지는 타일을 간편하고도 효율적으로 견고하게 시공 가능하므로, 우수한 경제성, 시공 효율성, 유지 보수성 및, 품질관리 용이성을 담보할 수 있는 타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Tile)은 우수한 내화성, 내구성 및, 내오염성을 보유하며, 외관이 미려하고 높은 위생성을 지니므로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타일은 재료의 성질에 따라 투광성을 가지며 흡수성이 없고 우수한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마모성을 가지는 자기질 타일과, 약간의 흡수성을 지니며 투광성이 낮은 석기질 타일과, 다공질로서 흡수성을 가지며 치수 정밀도를 지니는 도기질 타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소성 온도와 타일을 구성하는 요업 재료의 종류에 의존적이다.
상기한 자기질 타일은 내외장타일 및 바닥타일, 모자이크타일에, 상기한 석기질 타일은 바닥타일 또는 크링커타일에, 그리고 상기한 도기질 타일은 위생 분야의 내장타일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유약의 처리 유무에 따라 주로 외장타일에 사용되며 표면에 유약을 바른 시유 타일과, 주로 바닥타일에 사용되며 표면에 유약을 바르지 않은 무유 타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또한 형태에 따라 정방형, 장방형, 다각형, 부정형, 모자이크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한 내외장용 타일은 통상적으로 붙임 모르타르를 이용한 압착 붙이기에 의해 시공되나, 시공상태에서 외벽과 타일 사이에 위치한 붙임 모르타르에 우수(雨水) 등이 침투하게 되면 쉽게 배출되지 않아 실내에 습도 증가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동절기에는 붙임 모르타르에 강우나 강설로 인한 물기가 침투하게 되면 동결 및 해빙을 반복하게 되고, 이때 동결 시의 체적 증가로 인한 동파 현상을 일으키므로 타일의 붙임 상태 변형이나 탈락 또는 부분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건축물의 외관 고급화 추세에 따라 석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석판은 상대적으로 중량이 크기 때문에 모르타르 붙임이 곤란하므로 건축물의 외벽에 앵커볼트를 설치한 다음, 상기한 앵커볼트에 브라켓을 장착하여 이웃한 석판의 하단부 및 상단부를 핀으로 동시에 지지 및 고정하는 건식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석판 지지 고정구로서는 본 발명자에 의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115호(2010.02.01.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028425호(2011.04.04.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028426호(2011.04.04.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0880649호(2009.01.20.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0880648호(2009.01.20. 등록)가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모두 중량물인 석판의 지지 고정을 위하여 석판의 하단부를 받침과 아울러 상기한 하단부에 인접한 석판의 상단부를 핀으로 함께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을 뿐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석판 지지 구조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큰 석판의 경우 그 상하단부에 슬롯을 형성하기 용이한 반면, 타일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으므로 타일의 상하단부에 석판의 경우에서와 같이 슬롯을 형성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슬롯을 형성할 경우 타일의 상하 단부의 지지 강도가 떨어지게 되어 파손의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석판 지지 구조를 타일에 적용하기는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0592554호(2006.06.15. 등록)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500)의 상하단부에 긴 슬롯 형상의 결속홈(510)을 형성하고, 앵커 볼트(200)에 고정되고 한 쌍의 조정볼트(320)을 가지는 플레이트(300)를 콘크리트 벽체(100)에 고정시킨 다음, 원형 결속부(420)가 형성된 연결구(400)를 상기한 조정볼트(320)에 고정시키되, 상기한 결속부(420)가 타일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결속홈(510) 내에 끼워 고정하는 건축물 외벽의 타일 고정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10은 볼트부, 310은 장공, 330은 너트, 410은 너트공, 600은 씨일, 700은 단열재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타일 고정 구조는 종래의 석판 고정 구조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서, 타일(500)의 상하단부에 결속홈(510)을 형성함과 아울러, 여기에 연결구(400)의 결속부(420)를 끼움으로써 타일(500)의 상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방식이므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타일(500)의 상하단부에 결속홈(51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타일의 상하 단부의 지지 강도가 떨어지게 되어 파손의 위험성이 있음과 아울러, 콘크리트 벽체(100)에 대한 타일(500)의 고정 거리 조절을 연결구(400)의 나사 회전에 의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구(400)의 결속부(420)가 2장의 타일(5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결속홈(510)에 동시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타일(500)을 조립하여 건축물 외장을 형성한 다음에는 어느 한 타일(500)이 깨지거나 금이 가는 등 손상될 경우 손상된 타일(500)의 제거가 곤란하므로 손상된 타일(500)을 깨트려 제거하여야 하며 새로운 교체 타일(500)을 끼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연결구(400)의 결속부(420)에 교체 타일(500)의 결속홈(510)을 외부로부터 끼울 수가 없으므로 결속홈(510)의 내측 단턱을 제거한 다음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켜야만 하므로 교체 타일(500)의 고정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탈락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92554호(2006.06.15.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건축물의 외장용 또는 내장용 타일을 타일 붙임용 모르타르의 사용 없이 벽체에 간편하고도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는 타일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다양하고 미려한 패턴 및 색상의 선택이 가능하여 높은 선택 자유도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경량물인 타일에 대한 효과적인 타일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우수한 시공 경제성과 시공 효율성, 그리고 우수한 유지 보수성을 담보할 수 있는 타일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타일 시공 품질관리 내지 제어가 용이한 타일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 aspect)에 따르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앵글과; 일단부에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수평 지지부와, 상기한 가이드 슬롯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지지부와, 상기한 제1 수직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 간격을 벌려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임 수단을 가지며, 상기한 앵글에 고정되는 하부 브래킷과; 상기한 가이드 슬롯 내에 접착제에 의해 하단부가 위치 고정되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2 수직 지지부와, 상기한 제2 수직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 간격을 벌려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임 수단을 가지는 상부 브래킷으로 구성되며: 내광외협(內廣外狹)의 삽지(揷止)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타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 내에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가 상기한 제1 조임 수단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고, 다른 타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 내에 상기한 상부 브래킷의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가 상기한 제2 조임 수단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는 타일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일단부에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한 가이드 슬롯의 내측벽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 연장 고정부와, 상기한 가이드 슬롯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지지부와, 상기한 제1 수직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와, 상기한 제1 수직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한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 간격을 벌려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임 수단을 가지는 하부 브래킷과; 상기한 가이드 슬롯 내에 접착제에 의해 하단부가 위치 고정되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2 수직 지지부와, 상기한 제2 수직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 간격을 벌려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임 수단을 가지는 상부 브래킷으로 구성되며: 내광외협(內廣外狹)의 삽지(揷止)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타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 내에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가 상기한 제1 조임 수단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고, 다른 타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 내에 상기한 상부 브래킷의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가 상기한 제2 조임 수단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는 타일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의 단부에는 각각 외향경사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 사이 각각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텐셔너(tensioner)가 위치하며, 상기한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를 각각 관통하는 제1 및 제2 조임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텐셔너가 눌려져 폭이 확장됨으로써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 각각을 벌려진 상태로 유지 고정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 조임수단은 각각 한 쌍의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 중 어느 한쪽을 관통하여 다른 한쪽을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 각각을 벌려진 상태로 유지 고정하게 될 수 있다.
위에서, 상기한 다른 한쪽의 버팀 다리에는 탄성력 강화형 내향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조임 수단은 조임나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의 측벽 내면과 상기한 상부 브래킷의 제2 수직 지지부의 하단부 외표면이 접착 강화형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위에서, 상기한 앵글은 건축물 벽체에 대한 고정수단에 대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직방향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세로방향 장공을 가지며 타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수평 지지부의 타단부에는 가로방향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한 앵글의 지지부에 형성된 세로방향 장공과 상기한 하부 하부 브래킷의 수평 지지부의 가로방향 장공을 관통하는 고정수단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세로방향 연장 길이 조절 및 가로방향 위치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앵글에 대한 하부 브래킷의 고정수단은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이고, 건축물 벽체에 대한 상기한 앵글의 고정수단이 매립식 앵커볼트 또는 고정볼트일 수 있다.
상기한 수직 연장 고정부는 고정볼트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는 건축물의 외장용 또는 내장용 타일을 타일 붙임용 모르타르의 사용 없이 벽체에 간편하고도 효율적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고, 내외장재에 대한 다양하고 미려한 패턴 및 색상의 선택이 가능하여 높은 내외장 선택 자유도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경량물인 타일을 건축물 벽체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를 이용하면 우수한 시공 경제성 및 시공 효율성, 그리고 우수한 유지 보수성과 시공 품질관리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를 이용한 타일 시공 상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의 타일 고정 장치의 하부 브래킷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타일 고정 장치의 상부 브래킷에 대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1의 타일 고정 장치의 앵글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타일 시공 방법에 적용되는 타일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타일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유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를 이용한 타일 시공 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른 시공 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타일 시공 장치의 시공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1)를 이용한 타일 시공 상태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의 타일 고정 장치(1)의 하부 브래킷(3)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타일 고정 장치(1)의 상부 브래킷(4)에 대한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1의 타일 고정 장치(1)의 앵글(2)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1)를 이용한 타일 시공 방법에 적용되는 타일(10)의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1)는 기본적으로 앵글(2)과 하부 브래킷(3)과 상부 브래킷(4)으로 구성되며, 각 구성부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임의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서의 앵글(2)은 건축물 벽체(100)에 고정되는 구성부로서, 콘크리트 벽체와 같은 건축물 벽체(100)에 대한 앵커볼트(5)와 같은 고정수단에 대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직방향 장공(2b)이 형성된 고정부(2a)와, 세로방향 장공(2d)을 가지며 타일(도 5 참조)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건축물 벽체(100)에 대한 상기한 앵글(2)의 고정수단이 매립식 앵커볼트(5)와 고정너트(5a)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볼트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앵글(2)에 고정되는 하부 브래킷(3)은 일단부에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3b)이 형성된 수평 지지부(3a)와, 상기한 가이드 슬롯(3b)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지지부(3d)와, 상기한 제1 수직 지지부(3d)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3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3e) 사이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텐셔너(tensioner)(7)가 위치하며, 상기한 제1 수직 지지부(3d)의 조임공(3g)을 관통하는 제1 조임수단(6)에 의하여 상기한 제1 텐셔너(7)가 눌려져 폭이 확장됨으로써 상기한 제1 버팀 다리(3e) 각각을 벌려진 상태로 유지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1 버팀 다리(3e)의 단부에는 타일(10)의 삽지홈(11)에 매칭되는 외향경사 끼움부(3f)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한 하부 브래킷(3)의 수평 지지부(3a)의 타단부에는 가로방향 장공(3c)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앵글(2)의 지지부(2c)에 형성된 세로방향 장공(2d)과 상기한 하부 브래킷(3)의 수평 지지부부(3a)의 가로방향 장공(3c)을 관통하는 고정볼트(8) 및 고정너트(8a)와 같은 고정수단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상기한 하부 브래킷(3)의 세로방향 연장 길이 조절 및 가로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부 브래킷(4)은 상기한 하부 브래킷(3)의 가이드 슬롯(3b) 내에 접착제에 의해 하단부(4e)가 위치 고정되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2 수직 지지부(4a)와, 상기한 제2 수직 지지부(4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4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한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4c) 사이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 텐셔너(tensioner)(7a)가 위치하며, 상기한 제2 수직 지지부(4a)의 조임공(4b)을 관통하는 제2 조임수단(6a)에 의하여 상기한 제2 텐셔너(7a)가 눌려져 폭이 확장됨으로써 상기한 제2 버팀 다리(4c) 각각을 벌려진 상태로 유지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2 버팀 다리(4c)의 단부에는 타일(10)의 삽지홈(11)에 매칭되는 외향경사 끼움부(4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도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타일(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광외협(內廣外狹)의 삽지(揷止)홈(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일(10)의 치수 및 상기한 삽입홈(11)의 깊이, 너비, 또는 간격 등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으며 임의 선택적인 사항이기는 하지만, 개략적으로 언급하면 상기한 타일(10)에 형성되는 삽지홈(11)은 깊이 2~4mm, 바닥폭 22~26mm, 개구폭 18~22mm이며, 상기한 바닥폭이 개구폭 보다 1~3mm 크게 형성되고, 상기한 삽지홈 사이의 간격이 20~50mm일 수 있으며, 특정하게는 깊이 2mm, 바닥폭 24mm, 개구폭 20mm, 간격 24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1)에 의한 타일(10)의 고정은, 기본적으로 타일(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11) 내에 상기한 하부 브래킷(3)의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3e)가 상기한 제1 조임 수단(6) 및 제1 텐셔너(7)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고, 다른 타일(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11) 내에 상기한 상부 브래킷(4)의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4c)가 상기한 제2 조임 수단(6a) 및 제2 텐셔너(7a)에 의해 벌려져 고정된다.
상기한 제1 및 제2 조임 수단(6,6a)은 조임나사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하부 브래킷(3)의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3b)의 측벽 내면과 상기한 상부 브래킷(4)의 제2 수직 지지부(4a)의 하단부(4e)의 외표면은 접착력 증대를 위한 접착 강화형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도 1의 타일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유사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건축물 벽체(100)의 외곽 테두리 부분에 알루미늄이나 수지재 몰딩(20)을 설치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꾸민 경우를 나타내며, 상기한 몰딩(20) 내부에 내측 프레임(30)을 끼워 넣은 다음, 상기한 하부 브래킷(도 1의 도면부호 3 참조)으로 고정하고, 상기한 하부 브래킷은 앵커볼트(도 1의 도면부호 5 참조)로 고정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1b)를 이용한 타일 시공 상태 단면도로서, 도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1 및 제2 버팀 다리(3e,4c) 구조와 제1 및 제2 조임수단(6,6a)의 방향이 다르며 제1 및 제2 텐셔너(7,7a)를 사용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조임수단(6,6a)이 각각 제1 및 제2 수직 지지부(3d,4a)를 관통하여 조이는 것이 아니라, 각각 한 쌍의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3e,4c) 중 어느 한쪽을 관통하여 다른 한쪽을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3e,4c) 각각을 벌려진 상태로 유지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다른 한쪽의 버팀 다리(3e,4c)에는 탄성력 강화형 내향 만곡부(3h,4f)가 각각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조임 수단(6,6a)이 조임나사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최종적으로, 도 8은 도 7의 다른 시공 상태 단면도로서, 도시된 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1b)는 도 7의 경우와 비교하여, 하부 브래킷(3)에 수평 지지부(3a)를 형성하는 대신에, 가이드 슬롯(3b)의 내측벽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연장 고정부(3i)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 수직 지지부(도 7에서의 도면부호 3d 참조)를 중심으로 상기한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도 7에서의 도면부호 3e 참조)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 지지부(3j)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7과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도 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수직 연장 고정부(3i)는 납작머리 고정볼트(5b)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목재, 수지재, 또는 금속재 벽체(100) 또는 콘크리트 벽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타일(100) 사이에는 적절한 씨일재로 코킹할 수 있으나, 이러한 코킹 없이 오픈형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1,1a)는 내광외협(內廣外狹)의 삽지(揷止)홈(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타일(10) 상부의 어느 하나의 삽지홈(11) 내에 상기한 하부 브래킷(2)의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3e)를 상기한 제1 조임 수단(6)에 의해 벌려 미리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타일(10) 하부의 어느 하나의 삽지홈(11) 내에 상기한 상부 브래킷(4)의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4c)를 상기한 제2 조임 수단(6a)에 의해 벌려 미리 고정시킨 시킨 다수의 타일을 준비하고,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100)에 앵커볼트(5) 또는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한 타일 고정 장치(1,1a)의 앵글(2)을 수직방향 장공(2b)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하여 고정한 다음, 상부 및 하부 브래킷(4,3)이 각각 고정된 어느 하나의 타일(10)의 상기한 하부 브래킷(3)의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3b) 내에 다른 타일(10)의 상기한 상부 브래킷(4)의 제2 수직 지지부(4a)의 하단부(4e)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한 하부 브래킷(3)을 상기한 앵글(2)에 세로방향 장공(2d) 및 가로방향 장공(3c) 과 고정볼트(8) 및 고정너트(8a)를 이용하여 위치 조정하여 고정시키고, 상기한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3b) 내에 접착제를 충진하여 상기한 상부 브래킷(4)의 제2 수직 지지부(4a)의 하단부(4e)를 위치 고정시키는 절차를 반복하여 벽체(100)에 대한 타일 시공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1b)의 경우에는 앵글(2) 없이 하부 브래킷(3)의 수직 연장 고정부(3i)를 바로 고정볼트(5b)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타일 시공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타일 고정 장치(1,1a,1b)를 이용한 타일 시공에 있어서는, 필요한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몰딩(20) 및 내측 프레임(30)과 하부 브래킷(3)을 이용하여 타일 시공면의 외곽에 몰딩(20)을 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1a,1b: 본 발명에 따른 타일 고정 장치
2: 앵글
2a: 고정부 2b: 수직방향 장공
2c: 지지부 2d: 세로방향 장공
3: 하부 브래킷
3a: 수평 지지부 3b: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
3c: 가로방향 장공 3d: 제1 수직 지지부
3e: 제1 버팀 다리 3f: 외향경사 끼움부
3g: 조임공 3h: 내향 만곡부
3i: 수직 연장 고정부 3j: 벽체 지지부
4: 상부 브래킷
4a: 제2 수직 지지부 4b: 조임공
4c: 제2 버팀 다리 4d: 외향경사 끼움부
4e: 하단부
5: 앵커볼트 5a: 너트
5b: 고정볼트
6: 제1 조임나사 6a: 제2 조임나사
7: 제1 텐셔너(tensioner) 7a: 제2 텐셔너
8: 고정볼트 8a: 고정너트
10: 타일 11: 삽지홈
20: 몰딩 30: 내측 프레임
100: 벽체(콘크리트,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Claims (12)

  1.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앵글과;
    일단부에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수평 지지부와, 상기한 가이드 슬롯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지지부와, 상기한 제1 수직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 간격을 벌려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임 수단을 가지며, 상기한 앵글에 고정되는 하부 브래킷과;
    상기한 가이드 슬롯 내에 접착제에 의해 하단부가 위치 고정되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2 수직 지지부와, 상기한 제2 수직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 간격을 벌려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임 수단을 가지는 상부 브래킷으로 구성되며:
    내광외협(內廣外狹)의 삽지(揷止)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타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 내에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가 상기한 제1 조임 수단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고, 다른 타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 내에 상기한 상부 브래킷의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가 상기한 제2 조임 수단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는
    타일 고정 장치.
  2. 일단부에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한 가이드 슬롯의 내측벽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 연장 고정부와, 상기한 가이드 슬롯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지지부와, 상기한 제1 수직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와, 상기한 제1 수직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한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 간격을 벌려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조임 수단을 가지는 하부 브래킷과;
    상기한 가이드 슬롯 내에 접착제에 의해 하단부가 위치 고정되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2 수직 지지부와, 상기한 제2 수직 지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한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 간격을 벌려 타일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조임 수단을 가지는 상부 브래킷으로 구성되며:
    내광외협(內廣外狹)의 삽지(揷止)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타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 내에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한 쌍의 제1 버팀 다리가 상기한 제1 조임 수단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고, 다른 타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삽지홈 내에 상기한 상부 브래킷의 한 쌍의 제2 버팀 다리가 상기한 제2 조임 수단에 의해 벌려져 고정되는
    타일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의 단부에는 각각 외향경사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타일 고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 사이 각각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 텐셔너(tensioner)가 위치하며, 상기한 제1 및 제2 수직 연장부를 각각 관통하는 제1 및 제2 조임수단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텐셔너가 눌려져 폭이 확장됨으로써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 각각을 벌려진 상태로 유지 고정하게 되는 타일 고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조임수단이 각각 한 쌍의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 중 어느 한쪽을 관통하여 다른 한쪽을 밀어내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버팀 다리 각각을 벌려진 상태로 유지 고정하게 되는 타일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른 한쪽의 버팀 다리에는 탄성력 강화형 내향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타일 고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조임 수단이 조임나사인 타일 고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가로방향 가이드 슬롯의 측벽 내면과 상기한 상부 브래킷의 제2 수직 지지부의 하단부 외표면이 접착 강화형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타일 고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앵글이 건축물 벽체에 대한 고정수단에 대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직방향 장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세로방향 장공을 가지며 타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타일 고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수평 지지부의 타단부에는 가로방향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한 앵글의 지지부에 형성된 세로방향 장공과 상기한 하부 하부 브래킷의 수평 지지부의 가로방향 장공을 관통하는 고정수단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상기한 하부 브래킷의 세로방향 연장 길이 조절 및 가로방향 위치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타일 고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앵글에 대한 하부 브래킷의 고정수단이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이고, 건축물 벽체에 대한 상기한 앵글의 고정수단이 매립식 앵커볼트 또는 고정볼트인 타일 고정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직 연장 고정부가 고정볼트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타일 고정 장치.

KR1020140098993A 2014-08-01 2014-08-01 타일 고정 장치 KR20160015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93A KR20160015953A (ko) 2014-08-01 2014-08-01 타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93A KR20160015953A (ko) 2014-08-01 2014-08-01 타일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953A true KR20160015953A (ko) 2016-02-15

Family

ID=5535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993A KR20160015953A (ko) 2014-08-01 2014-08-01 타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59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7629A (zh) * 2020-11-04 2021-01-15 陈鹤英 一种真石材保温装饰一体化板
KR20210026540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동건 건축물의 단열벽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540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동건 건축물의 단열벽 구조
CN112227629A (zh) * 2020-11-04 2021-01-15 陈鹤英 一种真石材保温装饰一体化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9433B2 (en) Suspension rails for panel veneer systems
ES2259544B1 (es) Suelo desmontable.
CN108301528B (zh) 一种墙体系统及装修方法
KR101410499B1 (ko) 벽체 마감장치
KR100825009B1 (ko)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KR200414098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20002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2016102361A (ja) 外装材の施工構造
KR20160015953A (ko) 타일 고정 장치
KR20090090845A (ko) 건축물벽면의 외장판넬 고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120000275A (ko) 석재액자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CN204311616U (zh) 一种带自适应踢脚线的新型隔墙
KR20160050276A (ko) 단열재 조적용 브라켓
KR10079545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40057028A (ko) 천정마감용 몰딩 및 이를 구비한 천정마감장치
KR2009000381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190124896A (ko) 벽체패널 고정장치
RU2613221C1 (ru) Крепление пазогребневой фасадной плитки к несущей стене
KR200381607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93547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