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852A -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 Google Patents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852A
KR20100098852A KR1020090017531A KR20090017531A KR20100098852A KR 20100098852 A KR20100098852 A KR 20100098852A KR 1020090017531 A KR1020090017531 A KR 1020090017531A KR 20090017531 A KR20090017531 A KR 20090017531A KR 20100098852 A KR20100098852 A KR 2010009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groove
magnetic force
interior finishing
mov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완
Original Assignee
동화자연마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자연마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자연마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8852A/ko
Publication of KR2010009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6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각 블록들의 측면에 형성된 요철식 결합구조에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걸림구를 부가하여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각 블록을 체결시키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에 관한 것으로, 제 1블록의 측부에 형성된 철부가 이웃하는 제 2블록의 대향측부에 형성된 요부에 상호밀착결합하여 조립되는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에 있어서,
자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는 제 1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철부의 밀착면을 갖는 제 1블록;과 상기 철부의 밀착면에 밀착결합시, 상기 제 1슬라이딩 홈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구가 이동가능하도록 제 2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요부의 밀착면을 갖는 제 2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밀착면을 기준으로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2슬라이딩 홈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걸림구의 이동변위에 따라 상기 제 1,2블록을 체결,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는 각 블록의 상/하향 요철부 결합구조를 통해 밀착부위 면적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외부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걸림구를 통해 이웃하는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체결하여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블록간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성체를 통해 걸림구의 변위를 조정하여 수직방향으로 블록들을 간단 하게 체결/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블록을 조립하는 시공이 반복되더라도 각 블록의 밀착부위에 어떠한 훼손없이 블록들을 체결/해체를 반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걸림구, 결합구조

Description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Finising member interior decoration using magnetic substance fastener}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각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들의 측면에 형성된 요철식 결합구조에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걸림구를 부가하여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각 블록을 체결시키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중 상당수는 보통 일정한 두께와 직각의 모서리를 갖는 장방향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블록들이 조립되어 완성된다. 각 블록들의 결합을 위해서 보통 화학접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새집증후군 발생과 같은 환경문제로 인하여 각 블록의 측면에 다른 이웃하는 블록과의 조립을 위한 결합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로킹(Locking)구조를 통해 이웃하는 블록과 결합하는 종래의 인테리 어용 마감소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이러한 이웃하는 블록의 결합구조에 대한 종래의 제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0430315에 개시된 조립식 바닥재와 같은 인테리어용 마감소재가 있다.
도 1 에서 도시한 종래기술은 이웃하는 바닥재의 블록과 걸림턱(도 1의 A)을 갖는 로킹(Locking)구조를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특히 블록간 체결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결합시 밀착부위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온돌구조를 갖는 블록의 시공조건에서는 이웃하는 블록들간의 최소한의 밀착부위는 열과 수분에 의해 변형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발생된 변형에 의하여 밀착부위에 틈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블록간 결합력을 결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좁은 밀착부위(도 1의 A)가 난방에 의해 변형되면 블록간 결합력을 크게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의 체결과 해체가 반복될수록 블록을 구성하는 고밀도 섬유판(HDF)의 중층이 갈라지거나 밀착부위가 파손,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블록의 잦은 시공 또는 블록 시공후 지속되는 열이나 습기에 의하여 블록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결국에는 블록들 사이가 벌어지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도 2는 상/하향 요철부가 상호밀착결합하는 구성을 통해 이웃하는 블록과 결합하는 종래의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앞서 살펴본 종래의 제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또 다른 제안으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전형적인 블록 결합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도 2에서 제시한 블록은 이웃하는 블록의 밀착부위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이웃하는 블록(1,2)의 대응측면에 상/하향 요철부(1a, 2a)가 상호밀착결합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앞서 살펴본 열과 수분 및 잦은 블록 시공에 따른 밀착부위의 변형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지만 위와 같은 구성은 블록의 수직유동을 방지할 수 없는 구성이기 때문에 블록 시공후에 쉽게 블록이 수직방향으로 유동하여 빠져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속적인 열과 수분으로 인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간 밀착부위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밀착부위를 극대화시키고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 마감소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후 인테리어용 마감소재간 결합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소재간 해체/결합이 반복되더라도 밀착부위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블록의 측부에 형성된 철부가 이웃하는 제 2 블록의 대향측부에 형성된 요부에 상호밀착결합하여 조립되는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에 있어서, 자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는 제 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철부의 밀착면을 갖는 제 1 블록과 상기 철부의 밀착면에 밀착결합시, 상기 제 1슬라이딩 홈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구가 이동가능하도록 제 2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요부의 밀착면를 갖는 제 2 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밀착면을 기준으로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2슬라이딩 홈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걸림구의 이동변위에 따라 상기 제 1,2블록을 체결/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부는 상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하향으로 형성되 며,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는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및 제 2슬라이딩 홈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2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체결,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또는 제 2슬라이딩 홈의 길이중 어느 하나는 상기 걸림구의 폭보다 크고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구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또는 제 2슬라이딩 홈중 어느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구를 끌어당기는 내부 자성체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구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구가 상기 밀착면에 걸치도록 상기 걸림구의 이동변위를 제한하는 이동변위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또는 제 2슬라이딩 홈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변위제한부가 삽입되는 이동변위제한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변위제한부는 자성체, 플라스틱, 고무, 목재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변위제한부는 자성체, 플라스틱, 고무, 목재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변위제한부가 자성체인 경우, 상기 걸림구중 상기 이동변위제한부를 제외한 부분은 플라스틱, 고무, 목재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구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아치형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한다.
상기 걸림구의 평면 형상이 장방향인 경우, 폭방향으로 상기 걸림구의 일측면에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구의 단면의 일측은 상기 걸림구가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또는 제 2슬라이딩 홈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에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블록 시공시 폭맞춤을 위한 블록 재단에 따른 상기 걸림구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걸림구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는 바닥재 또는 벽장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는 각 블록의 상/하향 요철부 결합구조를 통해 밀착부위 면적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걸림구를 통해 이웃하는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체결하여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블록간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성체를 통해 걸림구의 변위를 조정하여 수직방향으로 블록들을 간단하게 체결/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블록을 조립하는 시공이 반복되더라도 각 블록의 밀착부위에 어떠한 훼손없이 블록들을 체결/해체를 반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밀착부위 면적을 극대화하는 각 블록의 상/하향 요철부 결합구조는 우리나라와 같은 난방구조를 갖는 시공조건에서도 열과 수분에 의해 각 블록 밀착부 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걸림구에는 일정한 형태의 공간을 형성시키거나 걸림구의 폭방향으로 홈을 형성시켜 열에 의해 걸림구가 변형되어 걸림구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블록 시공시 폭맞춤을 위한 블록 재단에 따른 상기 걸림구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양질의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시공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일 실시예는 도 3의(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걸림구(30)가 구비되고, 도 3의(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30)가 삽입되는 제 1슬라이딩 홈(11b)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향철부(11)의 밀착면(11a)을 갖는 제 1블록(10)와 상기 상향철부(11)의 밀착면(11a)에 밀착결합시,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1슬라이딩 홈(11b)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구가 이동가능하도록 제 2슬라이딩 홈(21b)이 형성된 하향요부(21)의 밀착면(21a)을 갖는 제 2블록(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일 실시예는 제 1,2블록(10,20)위에서 자성체를 움직여 상기 제 1,2슬라이딩 홈(11b,21b)에 삽입된 상기 걸림구(30)를 상기 밀착 면(11a,21a)에 걸치도록 하여 제 1,2블록(10,20)를 수직방향으로 체결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우선, 일 실시예는 블록들의 밀착부위 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 1블록(10)의 측면에 상향철부(11)를 형성시키고 제 2블록(20)의 대향측면에는 하향요부(21)를 형성시켜 상기 상향철부(11)와 하향요부(21)가 상호결합하게 함으로써 각 블록들을 결합시키는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다.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블록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수직방향으로 블록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는 아래와 같다.
도 3의(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2블록(10,20)는 블록간 결합시 상기 상향철부(11)와 하향요부(21)가 밀착하는 각각의 밀착면(11a, 21a)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블록(10)의 상향철부(11)의 밀착면(11a)에는 상기 걸림구(30)가 삽입되는 제 1슬라이딩 홈(11b)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블록(20)의 하향요부(21)의 밀착면(21a)에는 상기 상향철부(11)와 밀착결합시 제 1슬라이딩 홈(11b)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구(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슬라이딩 홈(21b)이 역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3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슬라이딩 홈(11b) 또는 제 2슬라이딩 홈(21b)의 길이(L1,L2)중 어느 하나는 상기 걸림구(30)의 폭(L3)보다 크고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구(30)의 폭(L3)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블록 위에서 자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2 슬라이딩 홈(11b,21b)중 상기 걸림구(30)의 폭(L3)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상기 슬라이딩 홈으로 상기 걸림구를 이동시켜 상기 걸림구(30)가 밀착면(11a,21a)에 걸치게 하여 제 1,2블록(10,20)를 수직방향으로 체결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4는 이동변위제한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이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4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30)의 하면에 상기 걸림구(30)가 일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밀착면(11a,21a)에 걸치도록 상기 걸림구(30)의 이동변위를 제한하는 이동변위제한부(31)가 부합되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 1슬라이딩 홈(11b) 또는 제 2슬라이딩 홈(21b)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변위 제한부(31)가 삽입되는 이동변위제한홈(11c)이 형성되는데, 도 4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동변위제한홈(11c)이 제 1슬라이딩 홈(11b)에 형성된 것이다.
도 4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의 위의 자성체(M)에 의해 상기 걸림구(30)가 제 2슬라이딩 홈(21b)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변위제한부(31)가 밀착면(21a)에 걸리면서 상기 걸림구(30)가 밀착면(11a,21a)에 걸치게 되어 제 1,2블록(10,20)를 수직방향으로 체결시킨다.
일 실시예를 통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시공과정을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5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제 1블록(10)의 밀착면(11a)에 형성된 제 1슬라이딩 홈(11b)에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걸림구(30)가 삽입된다.
이후 도 5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블록(20)의 하향요부가 제 1블록의 상향철부에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시킨다. 제 1블록(10)와 제 2블록(20)가 완전히 상호 밀착되어 결합되면 제 1슬라이딩 홈(11b)과 제 2슬라이딩 홈(21b)이 상기 걸림구(30)가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후 도 5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30)가 위치하는 블록(10.20)위에서 자성체(M)을 근접시키고 도 5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M)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자력에 의해 상기 걸림구(30)는 상기 걸림구(30)의 폭(L3)보다 길이(L2)가 작게 형성된 제 2슬라이딩 홈(21b)으로 이동하여 밀착면(11a,21a)에 상기 걸림구(30)가 수평방향으로 걸치는 상태가 되어 상기 제 1,2블록(10,20)를 상하방향으로 체결시킨다.
체결된 상기 제 1,2블록(10,20)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꾸로 수행하면 도 1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블록 밀착부위의 훼손없이 간단하게 블록을 해체할 수 있다.
자성체를 통해 상기 걸림구(30)를 이동시켜 블록들을 상하방향으로 체결/ 해체시키는 작업은 대형자성체를 통해 모든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를 수평방향으로 조립한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시공작업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과 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그리고,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블록(10,20)의 하방에 형성된 밀착면(11a, 21a)을 기준으로 제1,2슬라이딩홈(11b, 21b)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대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시공과정은 상술한 도 5에서 도시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시공과정과 동일하다.
도 7은 제1 또는 제2슬라이딩홈에 걸림구를 끌어당기는 내부 자성체가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한편, 도 7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슬라이딩 홈(21b)의 폐쇄단측에 걸림구(30)를 끌어당기는 내부 자성체(M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제 1블록(10)과 제 2블록(20)이 결합시 외부자력없이 자동으로 상기 걸림구(30)를 이동시켜 밀착면(11a, 21a)에 걸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도 7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블록(20)의 하향요부가 제 1블록의 상향철부에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되면, 상기 걸림구(30)는 상기 내부 자성체(M1)의 자력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도 7의(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30)는 상기 내부 자성체(M1)의 자력에 의해 도 7의 (C)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구(30)는 밀착면(11a,21a)에 수평방향으로 걸치는 상태가 되어 자동적으로 상기 제 1,2블록(10,20)를 상하방향으로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구(30)가 상기 내부 자성체(M1)의 자력에 의해 충분히 움직 일 수 있도록 상기 제1,2슬라이딩 홈의 길이, 상기 걸림구(30)및 내부 자성체(M1)의 크기, 재질, 형상등을 고려한다.
상기 제 1블록(10)과 제 2블록(20)을 해체시에는 도 7의(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자성체(M2)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구(30)를 제 1슬라이딩 홈(11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 자성체(M2)는 상기 걸림구(3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내부 자성체(M1)보다 큰 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의 다양한 평면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한편, 상기 걸림구(30)의 평면형상은 도 8의 (a),(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 평면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 8의 (b),(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형 형상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제 1블록(10)와 제 2블록(20)가 밀착결합할 때 일 실시예의 제조공정상 오차나 바닥의 열에 기인한 변형 때문에 제 1슬라이딩 홈(11b)과 제 2슬라이딩 홈(21b)이 완벽하게 연결되지 못할 때에도, 도 8의 (a),(c)에서 도시한 장방형 평면형상을 갖는 걸림구와 달리 도 8의 (c),(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아치형 평면형상을 갖는 걸림구는 걸림구의 중앙에 위치한 볼록한 곡선부분이 밀착면(11a,21a)에 걸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제 1,2블록(10,20)를 상하방향으로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온돌구조를 갖는 우리나라의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시공조건상 바닥에 서 열이 발생하는 환경으로 인하여 쉽게 상기 걸림구(30)가 열변형될 수 있는 위험이 큰 편이다.
또한, 블록 시공시 폭을 맞추기 위하여 블록의 재단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재단위치에 상기 걸림구(30)가 있는 경우 블록의 재단작업에 큰 불편을 줄 수 있다.
이에 도 8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블록 시공시 폭맞춤을 위한 블록 재단에 따른 상기 걸림구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걸림구(30)에 일정한 형태의 공간을 형성시키거나, 도 8의 (c),(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30)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홈을 형성시킨다.
블록 재단시 상기 걸림구(30)중 홈이 형성된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의 (a)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장방형 평면형상을 갖는 걸림구의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장방형 평면형상을 갖는 걸림구의 정면도이고, 도 9의 (c)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장방형 평면형상을 갖는 걸림구의 평면도이다.
만약, 상기 걸림구(30)의 평면형상이 장방형인 경우, 도 8의 (a),(b),(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의 폭방향(X방향)으로 상기 걸림구의 일측면에 걸림 돌출부(32)를 형성시켜 제 1슬라이딩 홈(11b)과 제 2슬라이딩 홈(21b)이 완벽하게 연결되지 못할 때에도 상기 걸림 돌출부(32)가 밀착면(11a,21a)에 걸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0은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의 다양한 단면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한편, 상기 걸림구(30)의 단면형상도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 10의 (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30)의 단면의 일측은 상기 걸림구가 상기 제 1슬라이딩 홈(도 3의 11b) 또는 제 2슬라이딩 홈(도 3의 21b)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도 10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구(30)는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철과 같은 소재로 한다. 상기 걸림구(30)전체를 철과 같은 자력에 의해 움직이는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제 1,2슬라이딩 홈(11b,21b)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거나 습도의 변화에 의해 블록이 수축/팽창함에 따라 상기 제 1,2슬라이딩 홈(11b,21b)에서 상기 걸림구(30)가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 및 특성을 갖는 소재를 상기 걸림구(30)에 부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구(30)는 철과 같은 자성체 단일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철과 같은 자성체이외에 플라스틱,고무,목재등과 같은 다른 소재와 함께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층을 이루는 등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결합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구(30)의 유동성 및 체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위와 동일한 취지로 앞서 언급한 상기 걸림구(30)의 하면에 형성된 이동변위제한부(31)도 철과 같은 자성체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플라스틱, 고무, 목재등, 그 소재를 다양화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변위제한부(31)가 철과 같은 자성체인 경우, 상기 걸림구(30)중 상기 이동변위제한부(31)를 제외한 부분은 플라스틱, 고무, 목재와 같은 소재로 구성하여 상기 걸림구(30)의 유동성 및 체결력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바닥재, 벽장재와 같은 다양한 마감소재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로킹(Locking)구조를 통해 이웃하는 블록과 결합하는 종래의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상/하향 요철부가 상호밀착결합하는 구성을 통해 이웃하는 블록과 결합하는 종래의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이동변위제한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제1 또는 제2슬라이딩홈에 걸림구를 끌어당기는 자성체가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의 다양한 평면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의 (a)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장방형 평면형상을 갖는 걸림구의 사시도이다.
도 9의 (b)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장방형 평면형상을 갖는 걸림구의 정면도이다.
도 9의 (c)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장방형 평면형상을 갖는 걸림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의 다양한 단면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블록 11b : 제 1슬라이딩 홈
20 : 제 2블록 21b : 제 2슬라이딩 홈
11a, 21a: 밀착면 30 : 걸림구

Claims (13)

  1. 제 1블록의 측부에 형성된 철부가 이웃하는 제 2블록의 대향측부에 형성된 요부에 상호밀착결합하여 조립되는 인테리어용 마감소재에 있어서,
    자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는 제 1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철부의 밀착면을 갖는 제 1블록;과
    상기 철부의 밀착면에 밀착결합시, 상기 제 1슬라이딩 홈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구가 이동가능하도록 제 2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요부의 밀착면를 갖는 제 2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밀착면을 기준으로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2슬라이딩 홈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걸림구의 이동변위에 따라 상기 제 1,2블록을 체결,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부는 상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하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는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및 제 2슬라이딩 홈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2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체결,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또는 제 2슬라이딩 홈의 길이중 어느 하나는 상기 걸림구의 폭보다 크고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구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또는 제 2슬라이딩 홈중 어느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구를 끌어당기는 내부 자성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구가 일방향으로 이동시 밀착면에 걸치도록 상기 걸림구의 이동변위를 제한하는 이동변위제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또는 제 2슬라이딩 홈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변위 제한부가 삽입되는 이동변위제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변위제한부는 자성체, 플라스틱, 고무, 목재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변위제한부가 자성체인 경우, 상기 걸림구중 상기 이동변위제한부를 제외한 부분은 플라스틱, 고무, 목재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의 평면 형상은 장방형, 아치형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의 평면 형상이 장방향인 경우, 폭방향으로 상기 걸림구의 일측면에는 걸림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의 단면의 일측은 상기 걸림구가 상기 제 1슬라이딩 홈 또는 제 2슬라이딩 홈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에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블록 시공시 폭맞춤을 위한 블록 재단에 따른 상기 걸림구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상기 걸림구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12. 제 1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는 바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 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13. 제 1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용 마감소재는 벽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KR1020090017531A 2009-03-02 2009-03-02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KR20100098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531A KR20100098852A (ko) 2009-03-02 2009-03-02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531A KR20100098852A (ko) 2009-03-02 2009-03-02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852A true KR20100098852A (ko) 2010-09-10

Family

ID=4300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531A KR20100098852A (ko) 2009-03-02 2009-03-02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885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746A2 (en) * 2011-05-31 2012-12-20 Hunter Douglas Industries Switzerland Gmbh Magnetic-lock panel mount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1280073B1 (ko) * 2012-11-06 2013-06-28 김영민 조립식 바닥재
WO2015133768A1 (ko) * 2014-03-03 2015-09-11 오광석 끼움결합부재를 이용한 바닥재
WO2017010717A1 (ko) * 2015-07-10 2017-01-19 유학성 가구 연결 고정 장치
WO2017131340A1 (ko) * 2016-01-27 2017-08-03 유학성 매립형 연결 고정구
CN110629969A (zh) * 2018-06-21 2019-12-31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室外用防水拼接塑木地板
CN110629966A (zh) * 2018-06-21 2019-12-31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室外用抗紫外线拼接塑木地板
CN110629968A (zh) * 2018-06-21 2019-12-31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简易室外拼接塑木地板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746A2 (en) * 2011-05-31 2012-12-20 Hunter Douglas Industries Switzerland Gmbh Magnetic-lock panel mount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WO2012173746A3 (en) * 2011-05-31 2013-04-25 Hunter Douglas Industries Switzerland Gmbh Magnetic-lock panel mount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1280073B1 (ko) * 2012-11-06 2013-06-28 김영민 조립식 바닥재
WO2015133768A1 (ko) * 2014-03-03 2015-09-11 오광석 끼움결합부재를 이용한 바닥재
WO2017010717A1 (ko) * 2015-07-10 2017-01-19 유학성 가구 연결 고정 장치
WO2017131340A1 (ko) * 2016-01-27 2017-08-03 유학성 매립형 연결 고정구
CN110629969A (zh) * 2018-06-21 2019-12-31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室外用防水拼接塑木地板
CN110629966A (zh) * 2018-06-21 2019-12-31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室外用抗紫外线拼接塑木地板
CN110629968A (zh) * 2018-06-21 2019-12-31 安徽昊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简易室外拼接塑木地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8852A (ko)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CN103403279B (zh) 用于地板覆盖物的系统
KR102069909B1 (ko) 플로어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한 플로어 패널, 그러한 플로어 패널들로부터 형성된 플로어 커버링 및 그러한 플로어 패널들의 제작 방법
JP5420650B2 (ja) パネル、特にフロアパネル
KR101422445B1 (ko) 벽돌 건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9513853A (ja) タイルを敷設する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で使用するタイルアセンブリ及び連結要素、タイルを敷設する方法、並びにタイル床の修繕方法
SK287961B6 (sk) Floorboard and locking system
WO2007053983A1 (fr) Plaques fixées et raccordées ensemble par une pince
KR101251700B1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EP2351897A1 (en) New type of plastic ground mat
JP2014522929A (ja) 床上張り及び/又は壁上張り層を形成するための上張り素子
KR102104749B1 (ko) 창호 보강블럭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조립 방법
KR101614937B1 (ko) 마감패널 시공용 조립체
KR101551457B1 (ko) 끼움 결합구조를 갖는 금속기와 및 금속기와의 시공방법
KR10118062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트랙구조
KR20041875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0647544B1 (ko) 조립식 바닥패널의 마감구조
KR200451548Y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200406670Y1 (ko) 이중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고무 바닥재유닛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SK50092014U1 (sk) Montovaná podlaha a spôsob jej výroby
KR20110011623U (ko) 끼움결합식 조립벽돌
US20060185306A1 (en) Roofing panel
KR200386263Y1 (ko) 바닥재 패널
CN106437077B (zh) 缓冲式复合地板弹性连接件及防翘曲变形的复合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