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48Y1 -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48Y1
KR200451548Y1 KR2020100009935U KR20100009935U KR200451548Y1 KR 200451548 Y1 KR200451548 Y1 KR 200451548Y1 KR 2020100009935 U KR2020100009935 U KR 2020100009935U KR 20100009935 U KR20100009935 U KR 20100009935U KR 200451548 Y1 KR200451548 Y1 KR 200451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ding member
coupling groove
door fram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신
Original Assignee
선창아이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창아이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창아이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9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48Y1/ko
Priority to CN2011203665691U priority patent/CN202348012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45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with separate wing abutment strips, e.g. adjustable; Door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을 이루는 각 부재들이 홀딩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못이나 태커핀(tacker pin)과 같은 인서트부재의 노출을 방지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결합홈을 갖고, 벽체의 출입공간부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텀부재;
상기 바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홈 상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바텀부재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와 측부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미들부재;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결합부를 갖되,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바텀부재의 제1결합홈에 끼워지는 홀딩부재; 및
상기 각 미들부재 중 도어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 상부에 도어 안착공간부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 단부(端部)를 가리게 되는 양 덮개부, 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끼움부, 그리고 상기 끼움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재의 제2결합부에 끼워지는 제2결합홈을 포함하는 탑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결합홈에 홀딩부재를 장착 시, 상기 홀딩부재가 두 탄성연결부와, 이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결합홈과 상기 홀딩부재 상호 간에 허용 오차 범위가 크게 증대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ASSEMBLY TYPE DOORFRAME}
본 고안은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을 이루는 각 부재들이 홀딩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못이나 태커핀(tacker pin)과 같은 인서트부재의 노출을 방지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76417호(2007.01.24.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한다.)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클립』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합판과;
상기 고정합판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며 문틀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과;
상기 가틀의 상기 고정합판에 대향되는 면에 결합되며 문의 연부가 안착되는 판상의 안착판과;
상기 가틀의 상기 안착판이 결합되는 면의 이웃하는 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틀을 마감하는 트림과;
상기 가틀과, 상기 트림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막대상의 클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태커(tacker, 일명 "타카"라고 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조립 후 태커핀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환경친화적 소재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제작함으로써, 시공작업이 간편해지고 외관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문틀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안착판 및 트림이 클립에 의해 가틀에 결합됨으로써, 외부로 못의 머리나 태커핀이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클립과, 상기 안착판 및 상기 트림에 형성되는 클립홈 상호 간에 허용 오차의 범위가 극히 좁아 제작이 난해한 문제가 있다.
부연하면, 상기 클립이 연결부와, 이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톱니부 및 돔부로 이루어져,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홈에 비해 조금이라도 작게 제작되면, 이들의 상호 결합력이 크게 저하되고,
상기 클립이 상기 클립홈에 비해 조금이라도 크게 제작되면, 이들의 결합이 곤란하여 심지어 상기 가틀, 안착판 및 트림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은,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결합홈을 갖고, 벽체의 출입공간부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텀부재;
상기 바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홈 상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바텀부재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와 측부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미들부재;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결합부를 갖되,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바텀부재의 제1결합홈에 끼워지는 홀딩부재; 및
상기 각 미들부재 중 도어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 상부에 도어 안착공간부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 단부(端部)를 가리게 되는 양 덮개부, 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끼움부, 그리고 상기 끼움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재의 제2결합부에 끼워지는 제2결합홈을 포함하는 탑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딩부재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 상하로 상호 대칭되게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중계부에서 각각 분기(分岐) 된 두 탄성연결부와, 이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서브결합부를 갖고, 상기 각 미들부재의 측부커버부와 상기 바텀부재에 개재(介在)되는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텀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의 측부커버부에 인접한 양 측면에 상기 각 서브홀딩부재의 제1서브결합부에 끼워지는 제1서브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의 측부커버부에는 상기 각 서브홀딩부재의 제2서브결합부에 끼워지는 제2서브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미들부재의 측부커버부 외측에는 제1서포트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서포트결합부를 갖되, 상기 제1서포트결합부가 상기 제1미들부재의 제1서포트결합홈에 억지끼움 되는 서포트홀딩부재, 그리고
상기 서포트홀딩부재에 의해 상기 제1미들부재의 측부커버부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서포트홀딩부재의 제2서포트결합부에 억지끼움 되는 제2서포트결합홈과, 벽체의 출입공간부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을 가리기 위한 연장덮개부를 갖는 마감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재의 연장덮개부에는 외측면에 장판 단부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은,
벽체의 출입공간부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텀부재;
상기 바텀부재의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바텀부재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와 측부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미들부재;
상기 수용공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하부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 상측에 분기 형성된 두 탄성연결부와, 상기 두 탄성연결부 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의 중계부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에 박히게 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각 미들부재 중 도어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 상부에 도어 안착공간부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 단부(端部)를 가리게 되는 양 덮개부, 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끼움부, 그리고 상기 끼움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재의 두 돌기에 억지끼움 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탑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중계부에 고정부재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에 끼워진 상기 고정부재의 헤드가 상기 두 돌기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헤드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은,
결합홈에 홀딩부재를 장착 시, 상기 홀딩부재가 두 탄성연결부와, 이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결합홈과 상기 홀딩부재 상호 간에 허용 오차 범위가 크게 증대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탑부재 및 홀딩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서 제1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에서 탑부재 및 홀딩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서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에서 제2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가 혼용된 상태를 나타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이하, '문틀'이라고 한다)은 크게 바텀부재(100),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 홀딩부재(300) 및 탑부재(40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바텀부재(100)는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110)을 갖고,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바텀부재(10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앵커볼트나 콘크리트 못(미도시) 등에 의해 벽체(10)에 고정되며, 후술될 다른 구성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이므로, 그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벽체(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상기 바텀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바텀부재(100)의 제1결합홈(110) 상부에 수용공간부(S1, 도 3 및 도 4 참조)가 형성되도록 상호 대향(對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210)와 측부커버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각각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부재(100)의 상부 양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인서트부재(T)에 의해 상기 바텀부재(100)에 고정되는데,
상기 인서트부재(T)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단부(端部)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되,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박히게 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인서트부재(T)는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게 되는 두 삽입부(T2)와, 상기 두 삽입부(T2)를 상호 연결하는 헤드(T1)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서트부재(T)는 태커핀(tacker pin)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인서트부재(T)는 못 또는 나사못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헤드(T1)는 못대가리가 될 것이다.
상기 홀딩부재(300)는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결합부(310, 320)를 갖되, 상기 제1결합부(310)가 상기 바텀부재(100)의 제1결합홈(110)에 끼워지고, 상기 제2결합부(320)가 후술될 탑부재(400)의 제2결합홈(430)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중계부(330), 그리고
상기 중계부(330) 상하로 상호 대칭되게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10, 3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10, 320)는 이격공간부(S2)를 두고 상기 중계부(330)에서 각각 분기(分岐) 된 두 탄성연결부(311, 321)와, 이의 단부에 형성된 삼각형의 돌기(312, 3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각 결합부(310, 320)는 "U"자 또는 "V"자 형상을 갖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300)는 "X"자 형상을 갖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10, 32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110, 430)과의 결합 시, 상기 두 탄성연결부(311, 321) 및 이의 돌기(312, 322)가 상기 이격공간부(S2) 측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상기 홀딩부재(30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며,
결합 후, 상기 두 탄성연결부(311, 321)의 복귀력(復歸力) 및 삼각형의 상기 돌기(312, 322)로 인하여 상기 홀딩부재(300)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홀딩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 또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단일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부(S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분체(分體, 301)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연하게도, 상기 홀딩부재(300)가 다수의 분체(301)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110, 430)은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 및 탑부재(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홈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탑부재(400)는
도어(door, 30)의 닫힘 시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 중 도어(30)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200A)의 상부커버부(210) 상부에 도어(30) 안착공간부(S3)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단부를 가리게 되는 양 덮개부(410),
상기 양 덮개부(410)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수용공간부(S1)에 삽입되는 끼움부(420), 그리고
상기 끼움부(420)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재(300)의 제2결합부(320)에 끼워지는 제2결합홈(4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 덮개부(410)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단부를 가림으로써, 결국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고정을 위해 박힌 상기 인서트부재(T)의 노출된 헤드(T1)를 가리게 된다.
상기 탑부재(400)는 이의 제2결합홈(430)과 상기 홀딩부재(300)의 제2결합부(320)에 의해 상기 끼움부(420)를 상기 수용공간부(S1)에 대고 가압하는 것만으로 상기 바텀부재(1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끼움부(420)를 상기 수용공간부(S1) 내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420)가 상기 수용공간부(S1)에 삽입되면, 상기 제2결합부(320)의 두 탄성연결부(321) 및 이의 돌기(322)에 의해 상기 탑부재(4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때에 상기 홀딩부재(300)는 조립이 완료된 문틀에 내장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작이 가능해지게 된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들은 목재와 같은 친환경적인 재질로 제작하되, 상기 홀딩부재(300)는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각 결합부(310, 320)의 돌기(312, 322)가 마모되어 상기 각 결합홈(110, 430)에 대한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틀은
양측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서브결합부(510, 520)를 갖고,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측부커버부(220)와 상기 바텀부재(100)에 개재(介在)되는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를 상기 바텀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바텀부재(100)에는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의 측부커버부(220)에 인접한 양 측면에 상기 각 서브홀딩부재(500A, 500B)의 제1서브결합부(510)에 끼워지는 제1서브결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의 측부커버부(220)에는 상기 각 서브홀딩부재(500A, 500B)의 제2서브결합부(520)에 끼워지는 제2서브결합홈(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는 그 제작 및 조립의 편의를 위해, 각각 상기 홀딩부재(3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못이나 태커핀과 같은 인서트부재(T)의 사용 없이도 상기 바텀부재(100)에 고정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틀은 인서트부재(T)가 필요치 않게 되어 시공이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틀은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외측에 제1서포트결합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서포트결합부(610, 620)를 갖되, 상기 제1서포트결합부(610)가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제1서포트결합홈(222)에 억지끼움 되는 서포트홀딩부재(600), 그리고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에 의해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의 제2서포트결합부(620)에 억지끼움 되는 제2서포트결합홈(710)과,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12)을 가리기 위한 연장덮개부(720)를 갖는 마감부재(7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와 마찬가지로 상기 홀딩부재(3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마감부재(700)의 연장덮개부(720)에는 외측면에 장판(40) 단부(41) 안착홈(72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721)은 시공 바닥면(20)에 깔리게 되는 장판(40)에서 바닥면(20)과 벽체(10)의 인접 수직면까지 올라오는 가장자리 단부(41)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 기능을 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안착홈(721)의 요입 깊이는 장판(40)의 두께와 상응하거나 이를 포함할 정도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장판(40)이 밀리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시공된 장판(40)의 단부(41)가 상기 마감부재(7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지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틀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틀은 크게 바텀부재(100'),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 홀딩부재(300'), 고정부재(800) 및 탑부재(40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바텀부재(100')는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앵커볼트나 콘크리트 못(미도시) 등에 의해 벽체(10)에 고정된다.
상기 바텀부재(100')는 후술될 다른 구성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이므로, 그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벽체(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상기 바텀부재(100')의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공간부(S1, 도 9 참조)가 형성되도록 상호 대향(對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210)와 측부커버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각각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부재(100')의 상부 양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인서트부재(T)에 의해 상기 바텀부재(100')에 고정되는데,
상기 인서트부재(T)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단부(端部)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되,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박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인서트부재(T)는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게 되는 두 삽입부(T2)와, 상기 두 삽입부(T2)를 상호 연결하는 헤드(T1)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서트부재(T)는 태커핀(tacker pin)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인서트부재(T)는 못 또는 나사못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헤드(T1)는 못대가리가 될 것이다.
상기 홀딩부재(300')는
상기 수용공간부(S1)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서,
하부 중계부(330),
상기 중계부(330) 상측에 분기 형성된 두 탄성연결부(321), 그리고
상기 두 탄성연결부(321) 단부에 형성된 돌기(3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두 탄성연결부(321)는 이격공간부(S2)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배열되며, 이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322)는 삼각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홀딩부재(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 또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단일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부(S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분체(分體, 3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800)는
상기 홀딩부재(300')를 상기 바텀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홀딩부재(300')의 중계부(330)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800)는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인서트부재(T)와 같이 태커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못 또는 나사못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800)가 못 또는 나사못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홀딩부재(300')는
상기 중계부(330)를 관통하게 되는 상기 고정부재(800)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300')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중계부(330)에 고정부재(800) 삽입홀(33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홀(331)에 끼워진 상기 고정부재(800)의 헤드(810)가 상기 두 돌기(312)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헤드(810) 안착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340)는 상기 삽입홀(331) 주위로 상기 두 탄성연결부(321) 및 상기 돌기(322)가 미형성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탑부재(400')는
도어(door, 30)의 닫힘 시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 중 도어(30)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200A')의 상부커버부(210) 상부에 도어(30) 안착공간부(S3)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단부를 가리게 되는 양 덮개부(410),
상기 양 덮개부(410)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수용공간부(S1)에 삽입되는 끼움부(420), 그리고
상기 끼움부(420)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재(300')의 두 돌기(312)에 끼워지는 결합홈(4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 덮개부(410)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단부를 가림으로써, 결국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고정을 위해 박힌 상기 인서트부재(T)의 노출된 헤드(T1)를 가리게 된다.
상기 탑부재(400')는 이의 결합홈(440)과 상기 홀딩부재(300')에 의해 상기 끼움부(420)를 상기 수용공간부(S1)에 대고 가압하는 것만으로 상기 바텀부재(1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탑부재(400')의 결합 시, 상기 끼움부(420)에 의해 상기 두 탄성연결부(321) 및 상기 돌기(322)가 상기 이격공간부(S2) 측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상기 탑부재(40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결합 후, 상기 두 탄성연결부(321)의 복귀력(復歸力) 및 삼각형의 상기 돌기(322)로 인하여 상기 홀딩부재(300')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에 상기 홀딩부재(300')는 조립이 완료된 문틀에 내장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작이 가능해지게 된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들은 목재와 같은 친환경적인 재질로 제작하되, 상기 홀딩부재(300')는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돌기(322)가 마모되어 상기 결합홈(440)에 대한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틀은
하부 서브중계부(530)와, 상기 서브중계부(530) 일측에 분기 형성된 두 서브탄성연결부(540)와, 상기 두 서브탄성연결부(540) 단부에 형성된 서브돌기(550)를 포함하되,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측부커버부(220)와 상기 바텀부재(100')에 개재되는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 그리고
상기 각 서브홀딩부재(500A', 500B')의 서브중계부(530)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게 되는 서브고정부재(80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를 상기 바텀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의 측부커버부(220)에는 상기 각 서브홀딩부재(500A', 500B')가 끼워질 수 있도록 서브결합홈(2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 및 상기 서브고정부재(801)는 그 제작 및 조립의 편의를 위해, 각각 상기 홀딩부재(300') 및 상기 고정부재(8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문틀은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외측에 배치되되, 서포트중계부(630)와, 상기 서포트중계부(630) 일측에 분기 형성된 두 서포트탄성연결부(640)와, 상기 두 서포트탄성연결부(640) 단부에 형성된 서포트돌기(650)를 포함하는 서포트홀딩부재(600'),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의 서포트중계부(630)를 지나 상기 제1미들부재(200A')에 박히게 되는 서포트고정부재(802), 그리고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에 의해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의 두 서포트돌기(650)에 억지끼움 되는 서포트결합홈(730)과,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12)을 가리기 위한 연장덮개부(720)를 갖는 마감부재(7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 및 상기 서포트고정부재(802)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 및 상기 서브고정부재(801)와 마찬가지로 상기 홀딩부재(300') 및 상기 고정부재(8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마감부재(700')의 연장덮개부(720)에는 외측면에 장판(40) 단부(41) 안착홈(72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721)은 시공 바닥면(20)에 깔리게 되는 장판(40)에서 바닥면(20)과 벽체(10)의 인접 수직면까지 올라오는 가장자리 단부(41)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 기능을 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안착홈(721)의 요입 깊이는 장판(40)의 두께와 상응하거나 이를 포함할 정도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장판(40)이 밀리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시공된 장판(40)의 단부(41)가 상기 마감부재(7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지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그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혼용(倂用) 하여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벽체
11 ; 출입공간부 12 ; 단턱
20 ; 바닥면
30 ; 도어
40 ; 장판 41 ; 단부
100 ; 바텀부재
110 ; 제1결합홈
200A, 200B ; 제1 및 제2 미들부재
210 ; 상부커버부 220 ; 측부커버부
300 ; 홀딩부재
301 ; 분체(分體) 310 ; 제1결합부
320 ; 제2결합부 330 ; 중계부
400 ; 탑부재
410 ; 덮개부 420 ; 끼움부
430 ; 제2결합홈
500A, 500B ;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
510 ; 제1서브결합부 520 ; 제2서브결합부
600 ; 서포트홀딩부재
610 ; 제1서포트결합부 620 ; 제2서포트결합부
700 ; 마감부재
710 ; 제2서포트결합홈 720 ; 연장덮개부
S1 ; 수용공간부
S2 ; 이격공간부
S3 ; 안착공간부
T ; 인서트부재
T1 ; 헤드 T2 ; 삽입부

Claims (7)

  1.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결합홈(110)을 갖고,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텀부재(100);
    상기 바텀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홈(110) 상부에 수용공간부(S1)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210)와 측부커버부(220)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결합부(310, 320)를 갖되, 상기 제1결합부(310)가 상기 바텀부재(100)의 제1결합홈(110)에 끼워지는 홀딩부재(300); 및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 중 도어(30)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200A)의 상부커버부(210) 상부에 도어(30) 안착공간부(S3)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단부(端部)를 가리게 되는 양 덮개부(410), 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수용공간부(S1)에 삽입되는 끼움부(420), 그리고 상기 끼움부(420)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재(300)의 제2결합부(320)에 끼워지는 제2결합홈(430)을 포함하는 탑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300)는 중계부(330)와, 상기 중계부(330) 상하로 상호 대칭되게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10, 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310, 320)는 상기 중계부(330)에서 각각 분기(分岐) 된 두 탄성연결부(311, 321)와, 이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312, 3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3. 제1항에 있어서,
    양측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서브결합부(510, 520)를 갖고,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측부커버부(220)와 상기 바텀부재(100)에 개재(介在)되는 제1 및 제2 서브홀딩부재(500A, 500B)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텀부재(100)에는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의 측부커버부(220)에 인접한 양 측면에 상기 각 서브홀딩부재(500A, 500B)의 제1서브결합부(510)에 끼워지는 제1서브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의 측부커버부(220)에는 상기 각 서브홀딩부재(500A, 500B)의 제2서브결합부(520)에 끼워지는 제2서브결합홈(2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외측에는 제1서포트결합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각각 억지끼움형 제1 및 제2 서포트결합부(610, 620)를 갖되, 상기 제1서포트결합부(610)가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제1서포트결합홈(222)에 억지끼움 되는 서포트홀딩부재(600), 그리고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에 의해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서포트홀딩부재(600)의 제2서포트결합부(620)에 억지끼움 되는 제2서포트결합홈(710)과,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12)을 가리기 위한 연장덮개부(720)를 갖는 마감부재(70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700)의 연장덮개부(720)에는 외측면에 장판(40) 단부(41) 안착홈(7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6.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텀부재(100');
    상기 바텀부재(100')의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공간부(S1)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210)와 측부커버부(220)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
    상기 수용공간부(S1)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하부 중계부(330)와, 상기 중계부(330) 상측에 분기 형성된 두 탄성연결부(321)와, 상기 두 탄성연결부(321) 단부에 형성된 돌기(322)를 포함하는 홀딩부재(300');
    상기 홀딩부재(300')의 중계부(330)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게 되는 고정부재(800); 및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 중 도어(30)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200A')의 상부커버부(210) 상부에 도어(30) 안착공간부(S3)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단부(端部)를 가리게 되는 양 덮개부(410), 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수용공간부(S1)에 삽입되는 끼움부(420), 그리고 상기 끼움부(420)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홀딩부재(300')의 두 돌기(322)에 억지끼움 되는 결합홈(440)을 포함하는 탑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300')는 상기 중계부(330)에 고정부재(800) 삽입홀(3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331)에 끼워진 상기 고정부재(800)의 헤드(810)가 상기 두 돌기(322)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헤드(810) 안착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2020100009935U 2010-09-27 2010-09-27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200451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935U KR200451548Y1 (ko) 2010-09-27 2010-09-27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CN2011203665691U CN202348012U (zh) 2010-09-27 2011-09-26 施工容易的组装式门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935U KR200451548Y1 (ko) 2010-09-27 2010-09-27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548Y1 true KR200451548Y1 (ko) 2010-12-21

Family

ID=4447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935U KR200451548Y1 (ko) 2010-09-27 2010-09-27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1548Y1 (ko)
CN (1) CN20234801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915A (zh) * 2015-07-30 2015-12-02 濮阳市达森门业有限公司 一种新型门框
GB2565291A (en) * 2017-08-07 2019-02-13 Dorplan Contracts Ltd A door fram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4802B (zh) * 2018-12-04 2020-07-17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式无框门套安装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922U (ja) 1997-03-17 1997-11-04 株式会社ブィテックス 敷居材および鴨居材の組立構造
KR200246701Y1 (ko) 2001-06-27 2001-10-17 신현기 문틀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922U (ja) 1997-03-17 1997-11-04 株式会社ブィテックス 敷居材および鴨居材の組立構造
KR200246701Y1 (ko) 2001-06-27 2001-10-17 신현기 문틀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915A (zh) * 2015-07-30 2015-12-02 濮阳市达森门业有限公司 一种新型门框
GB2565291A (en) * 2017-08-07 2019-02-13 Dorplan Contracts Ltd A door frame assembly
GB2565291B (en) * 2017-08-07 2022-08-24 Dorplan Contracts Ltd A door fram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348012U (zh)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083B1 (ko) 조립식 바닥재
CN103403279B (zh) 用于地板覆盖物的系统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EP2351897A1 (en) New type of plastic ground mat
KR200451548Y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20100098852A (ko)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US10219588B2 (en) Belt lock housing
KR101862662B1 (ko) 조립식 알루미늄 타일
PL226647B1 (pl) Zestaw konstrukcyjny do pokrycia podłoża, zwłaszcza podłogowego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101203961B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CN115467431A (zh) 防水面板组件
KR200439812Y1 (ko) 조립식 바닥재
KR100572338B1 (ko) 조립식 바닥재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02996U (ko) 조립식 바닥재
KR100415273B1 (ko)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KR101010353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JPH1054128A (ja) ユニット式床材の連結構造
KR101241802B1 (ko) 조립식 판재의 보강판
KR20060112556A (ko) 문틀
KR101471353B1 (ko) 장례용 관
KR101252793B1 (ko) 건축용 판재
KR100676409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200246701Y1 (ko) 문틀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