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353B1 - 장례용 관 - Google Patents

장례용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353B1
KR101471353B1 KR1020130005707A KR20130005707A KR101471353B1 KR 101471353 B1 KR101471353 B1 KR 101471353B1 KR 1020130005707 A KR1020130005707 A KR 1020130005707A KR 20130005707 A KR20130005707 A KR 20130005707A KR 101471353 B1 KR101471353 B1 KR 101471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plate
bottom plate
engaging p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417A (ko
Inventor
하재민
Original Assignee
하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민 filed Critical 하재민
Priority to KR102013000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3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05Joints, e.g.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장례용 관에 관한 것으로서,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바닥판부의 장변에 결합된 좌측판부 및 우측판부와 상기 좌측판부 및 상기 우측판부와 협조하여 미음자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바닥판부의 단변에 결합된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를 구비한 둘레벽부와, 상기 바닥판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판부를 갖는 장례용 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본드운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핀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본드운반공에 목공본드를 투입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 및 상기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좌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 상호간, 상기 좌측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상호간, 상기 우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 상호간, 상기 우측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상호간 및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바닥판부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둘레벽부와 바닥판부 사이의 결합력과 좌측판부, 우측판부,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작이 간단해 진다.

Description

장례용 관{Funeral Coffin}
본 발명은 장례용 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례의식시 시신을 안치하기 위해 목재로 만들어진 장례용 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죽으면 장례의식을 지낼 장소를 결정해야 하고, 장례의식장소에는 시신을 안치하기 위한 장례용 관이 운반되어 설치된다.
장례용 관으로는 석재, 합성수지재 이외 오동나무 등의 목재로 만들어진 목재관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 장례용 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9 및 도10은 각각 종래 장례용 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종래 장례용 관의 고정수단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장례용 관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판부(111)와, 바닥판부(111)에 결합된 좌측판부(121), 우측판부(122), 전면판부(123) 및 후면판부(124)를 구비한 둘레벽부(120)와, 둘레벽부(120)에 설치되는 4개의 보완판(114)과, 좌측판부(121), 우측판부(122), 전면판부(123) 및 후면판부(124) 상호간을 연결하는 고정수단(130)과, 바닥판부(111)에 나란하도록 둘레벽부(120)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판부(113)를 갖고 있다.
좌측판부(121)는 내표면 하단 인접영역에 좌측판슬롯(12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좌측판고정홈(1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측판부(121)는 좌측판슬롯(121a)에 바닥판부(111)의 장변(長邊)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바닥판부(111)에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장변(長邊)은 바닥판부(111)의 긴 변을 의미하고 단변(短邊)은 바닥판부(111)의 짧은 변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우측판부(122)는 내표면 하단 인접영역에 우측판슬롯(12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우측판고정홈(1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측판부(122)는 우측판슬롯(122a)에 바닥판부(111)의 장변(長邊)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바닥판부(111)에 결합된다.
좌측판부(121)와 우측판부(122)가 바닥판부(1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좌측판부(121)와 우측판부(122)는 바닥판부(111)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전면판부(123)는 내표면 하단 인접영역에 전면판슬롯(123a)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면판부(123)는 전면판슬롯(123a)에 바닥판부(111)의 단변(短邊)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바닥판부(111)에 결합된다.
후면판부(124)는 내표면 하단 인접영역에 후면판슬롯(124a)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후면판부(124)는 전면판슬롯(123a)에 바닥판부(111)의 단변(短邊)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바닥판부(111)에 결합된다.
전면판부(123)와 후면판부(124)가 바닥판부(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판부(123)와 후면판부(124)는 좌측판부(121) 및 우측판부(122)와 협조하여 미음자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전면판부(123)와 좌측판부(121) 상호간, 전면판부(123)와 우측판부(122) 상호간, 후면판부(124)와 좌측판부(121) 상호간 및 후면판부(124)와 우측판부(122) 상호간은 고정수단(13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각 보완판(114)으로는 졸대가 사용된다.
고정수단(130)으로는 나무못이 사용된다.
덮개판부(113)는 저면에 고정돌기(113a)가 좌측판고정홈(121b)과 우측판고정홈(122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덮개판부(113)는 고정돌기(113a)를 좌측판고정홈(121b)과 우측판고정홈(122b)에 억지끼움하는 방법으로 둘레벽부(120)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장례용 관은 2008년 특허출원 제3140호(발명의 명칭 : 장례용 관)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장례용 관에 따르면, 좌측판부(121), 우측판부(122), 전면판부(123) 및 후면판부(124)에 각각 형성된 좌측판슬롯(121a), 우측판슬롯(122a), 전면판슬롯(123a) 및 후면판슬롯(124a)에 바닥판부(111)의 연부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둘레벽부(120)가 바닥판부(11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둘레벽부(120)와 바닥판부(111)의 결합력이 약하고(좌측판부, 우측판부,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어려워 슬롯의 깊이가 충분히 크지 못함) 제작이 복잡하다(슬롯을 형성하고 보완판을 추가로 마련해야 함)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나무못을 사용하여 좌측판부(121), 우측판부(122), 전면판부(123) 및 후면판부(124) 상호간이 결합되기 때문에 좌측판부(121), 우측판부(122), 전면판부(123) 및 후면판부(124) 상호간의 결합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둘레벽부와 바닥판부 사이의 결합력과 좌측판부, 우측판부,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작이 간단한 장례용 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바닥판부의 장변에 결합된 좌측판부 및 우측판부와 상기 좌측판부 및 상기 우측판부와 협조하여 미음자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바닥판부의 단변에 결합된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를 구비한 둘레벽부와, 상기 바닥판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판부를 갖는 장례용 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본드운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핀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본드운반공에 목공본드를 투입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 및 상기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좌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 상호간, 상기 좌측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상호간, 상기 우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 상호간, 상기 우측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상호간 및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바닥판부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고정핀에 의한 둘레벽부와 바닥판부 사이의 결합력과 좌측판부, 우측판부,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 상호간의 결합력을 더욱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은 상단을 타격할 때 상기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 및 상기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에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둘레벽부와 바닥판부 사이의 결합력과 좌측판부, 우측판부,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 상호간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핀바디부의 외표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결합보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핀에 본드운반공을 형성하고 본드운반공에 목공본드를 투입한 후 투입된 목공본드를 확산시키는 방법으로 좌측판부와 전면판부 상호간, 좌측판부와 후면판부 상호간, 우측판부와 전면판부 상호간, 우측판부와 후면판부 상호간 및 둘레벽부와 바닥판부 상호간을 결합시킴으로써, 둘레벽부와 바닥판부 사이의 결합력과 좌측판부, 우측판부,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작이 간단해진다(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좌측판부, 우측판부,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에 슬롯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보완판을 생략할 수 있음).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의 결합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고정핀의 확대사시도,
도5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의 결합사시도,
도8은 종래 장례용 관의 결합사시도,
도9 및 도10은 각각 종래 장례용 관의 분해사시도,
도11은 종래 장례용 관의 고정수단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고정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5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례용 관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0)과, 고정핀(30)에 의해 상호 결합된 바닥판부(11), 둘레벽부(20) 및 덮개판부(13)를 갖고 있다.
고정핀(30)은 직선상으로 형성된 핀바디부(31)와, 핀바디부(31)의 일단에 결합된 핀헤드부(32)와, 핀바디부(31)의 외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보강돌기(33)를 갖고 있다.
핀바디부(31)에는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본드운반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핀헤드부(32)는 핀바디부(31)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결합보강돌기(33)는 상단 즉, 핀헤드부(32)를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핀(30)은 상단 즉, 핀헤드부(32)를 타격할 때 후술하는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15c),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15d),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e),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15f),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g) 및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15h)에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바닥판부(11)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20)는 상호 협조하여 미음자형태를 이루도록 바닥판부(11)에 결합된 좌측판부(21), 우측판부(22), 전면판부(23) 및 후면판부(24)를 갖고 있다.
바닥판부(11)와 좌측판부(21)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바닥판부(11)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깊이구간이 바닥판부(11)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은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이 바닥판부(11)를 통과하여 좌측판부(21)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은 드릴 등의 방법으로 바닥판부(11)의 장변(長邊) 영역에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장변(長邊)은 바닥판부(11)의 긴 변을 의미하고 단변(短邊)은 바닥판부(11)의 짧은 변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덮개판부(13)와 좌측판부(21)의 결합영역에는 덮개판좌측판결합핀홈(15i)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덮개판부(13)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깊이구간이 덮개판부(13)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은 덮개판좌측판결합핀홈(15i)이 덮개판부(13)를 통과하여 좌측판부(21)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덮개판좌측판결합핀홈(15i)은 바닥판부(11)의 장변(長邊) 영역에 형성된다.
좌측판부(21)를 바닥판부(11)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핀(30)의 본드운반공(31a)에 목공본드(19)를 투입한다(도6 참조).
다음에 핀헤드부(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핀(30)을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에 설치한다.
고정핀(30)이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드운반공(31a)에 투입된 목공본드는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 주위의 바닥판부(11)와 좌측판부(21)로 확산된다.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의 주위로 확산된 목공본드의 결합력이 고정핀(30) 자체의 결합력에 더해져서 좌측판부(21)는 바닥판부(11)에 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바닥판부(11)와 우측판부(22)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바닥판부(11)와 우측판부(22)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깊이구간이 바닥판부(11)와 우측판부(22)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은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이 바닥판부(11)를 통과하여 우측판부(22)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은 바닥판부(11)의 장변(長邊)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판부(13)와 우측판부(22)의 결합영역에는 덮개판우측판결합핀홈(15j)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덮개판부(13)와 우측판부(22)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깊이구간이 덮개판부(13)와 우측판부(22)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은 덮개판우측판결합핀홈(15j)이 덮개판부(13)를 통과하여 우측판부(22)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덮개판우측판결합핀홈(15j)은 바닥판부(11)의 장변(長邊) 영역에 형성된다.
우측판부(22)를 바닥판부(11)에 결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핀(30)의 본드운반공(31a)에 목공본드를 투입한다.
다음에 핀헤드부(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핀(30)을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에 설치한다.
고정핀(30)이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드운반공(31a)에 투입된 목공본드는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 주위의 바닥판부(11)와 우측판부(22)로 확산된다.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의 주위로 확산된 목공본드의 결합력이 고정핀(30) 자체의 결합력에 더해져서 우측판부(22)는 바닥판부(11)에 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좌측판부(21)와 우측판부(22)는 바닥판부(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닥판부(11)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바닥판부(11)와 전면판부(23)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15c)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바닥판부(11)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깊이구간이 바닥판부(11)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은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이 바닥판부(11)를 통과하여 좌측판부(21)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15c)은 바닥판부(11)의 단변(短邊)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판부(23)와 좌측판부(21)의 결합영역에는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e)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전면판부(23)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부(23)와 우측판부(22)의 결합영역에는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15f)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전면판부(23)와 우측판부(22)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부(23)를 바닥판부(11)에 결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핀(30)의 본드운반공(31a)에 목공본드를 투입한다.
다음에 핀헤드부(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핀(30)을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15c)에 설치한다.
고정핀(30)이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15c)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드운반공(31a)에 투입된 목공본드는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15c) 주위의 바닥판부(11)와 전면판부(23)로 확산된다.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15c)의 주위로 확산된 목공본드의 결합력이 고정핀(30) 자체의 결합력에 더해져서 전면판부(23)는 바닥판부(11)에 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전면판부(23)를 좌측판부(21)에 결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핀(30)의 본드운반공(31a)에 목공본드를 투입한다.
다음에 핀헤드부(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핀(30)을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e)에 설치한다. 여기서 고정핀(30)의 설치는 고무망치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고정핀(30)이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e)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드운반공(31a)에 투입된 목공본드는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e) 주위의 좌측판부(21)와 전면판부(23)로 확산된다.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e)의 주위로 확산된 목공본드의 결합력이 고정핀(30) 자체의 결합력에 더해져서 전면판부(23)는 좌측판부(21)에 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전면판부(23)는 좌측판부(21)에 결합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우측판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판부(11)와 후면판부(24)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15d)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바닥판부(11)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깊이구간이 바닥판부(11)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은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이 바닥판부(11)를 통과하여 좌측판부(21)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15d)은 바닥판부(11)의 단변(短邊) 영역에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판부(24)와 좌측판부(21)의 결합영역에는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g)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후면판부(24)와 좌측판부(21)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면판부(24)와 우측판부(22)의 결합영역에는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15h)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후면판부(24)와 우측판부(22)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면판부(24)를 바닥판부(11)에 결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핀(30)의 본드운반공(31a)에 목공본드를 투입한다.
다음에 핀헤드부(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핀(30)을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15d)에 설치한다.
고정핀(30)이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15d)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드운반공(31a)에 투입된 목공본드는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15d) 주위의 바닥판부(11)와 후면판부(24)로 확산된다.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15d)의 주위로 확산된 목공본드의 결합력이 고정핀(30) 자체의 결합력에 더해져서 후면판부(24)는 바닥판부(11)에 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후면판부(24)를 좌측판부(21)에 결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핀(30)의 본드운반공(31a)에 목공본드를 투입한다.
다음에 핀헤드부(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핀(30)을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g)에 설치한다.
고정핀(30)이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g)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드운반공(31a)에 투입된 목공본드는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g) 주위의 좌측판부(21)와 후면판부(24)로 확산 흡수된다.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g)의 주위로 확산된 목공본드의 결합력이 고정핀(30) 자체의 결합력에 더해져서 후면판부(24)는 좌측판부(21)에 단단히 결합되게 된다.
후면판부(24)는 좌측판부(21)에 결합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우측판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판부(23)와 후면판부(24)는 바닥판부(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측판부(21)와 우측판부(22)와 협조하여 미음자형태를 이루게 된다.
덮개판부(13)는 덮개판좌측판결합핀홈(15i)과 덮개판우측판결합핀홈(15j)에 고정핀(30)을 억지끼움하는 방법으로(본드운반공에 목공본드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로) 좌측판부(21)와 우측판부(22)에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둘레벽부(20)를 바닥판부(11)의 상면에 기립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벽부(20)가 바닥판부(11)를 둘러싸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좌측판부(21)와 우측판부(22) 사이에 전면판부(23)와 후면판부(24)를 끼워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전면판부(23)와 후면판부(24) 사이에 좌측판부(21)와 우측판부(22)가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핀(30)을 사용하여 덮개판부(13)를 좌측판부(21)와 우측판부(22)에 결합하고 있으나, 종래기술과 같은 방법 등 다른 방법으로 덮개판부(13)를 좌측판부(21)와 우측판부(22)에 결합시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무재질로 고정핀을 제작하고 있으나, 목재, 강성의 합성수지(PVC 등)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핀(30)에 본드운반공(31a)을 형성하고 본드운반공(31a)에 목공본드를 투입한 후 투입된 목공본드를 확산시키는 방법으로 좌측판부(21)와 전면판부(23) 상호간, 좌측판부(21)와 후면판부(24) 상호간, 우측판부(22)와 전면판부(23) 상호간, 우측판부(22)와 후면판부(24) 상호간 및 둘레벽부(20)와 바닥판부(11) 상호간을 결합시킴으로써, 둘레벽부(20)와 바닥판부(11) 사이의 결합력과 좌측판부(21), 우측판부(22), 전면판부(23) 및 후면판부(24)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작이 간단해진다(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좌측판부, 우측판부,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에 슬롯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보완판을 생략할 수 있음).
그리고 상단을 타격할 때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15a),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15b),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15c),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15d),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e),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15f),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15g) 및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15h)에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고무재질로 고정핀을 제작함으로써, 고정핀(300에 의한 둘레벽부(20)와 바닥판부(11) 사이의 결합력과 좌측판부(21), 우측판부(22), 전면판부(23) 및 후면판부(24) 상호간의 결합력을 더욱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본드와 고정핀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함).
또한 다수의 결합보강돌기(33)를 포함하도록 고정핀(30)을 형성함으로써, 둘레벽부(20)와 바닥판부(11) 사이의 결합력과 좌측판부(21), 우측판부(22), 전면판부(23) 및 후면판부(24) 상호간의 결합력을 더욱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1, 111 : 바닥판부 13, 113 : 덮개판부
20, 120 : 둘레벽부 21, 121 : 좌측판부
22, 122 : 우측판부 23, 123 : 전면판부
24, 124 : 후면판부 30 : 고정핀
31 : 핀바디부 32 : 핀헤드부
33 : 결합보강돌기 114 : 보완판

Claims (3)

  1.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와 협조하여 디귿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바닥판부의 장변에 결합된 좌측판부 및 우측판부와 상기 좌측판부 및 상기 우측판부와 협조하여 미음자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바닥판부의 단변에 결합된 전면판부 및 후면판부를 구비한 둘레벽부와, 상기 바닥판부에 나란하도록 상기 둘레벽부의 상단에 결합된 덮개판부를 갖는 장례용 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둘레벽부는 각각 나무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의 결합영역에는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바닥판부와 상기 후면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좌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의 결합영역에는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이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홈깊이구간이 상기 후면판부와 상기 우측판부에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본드운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핀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본드운반공에 목공본드를 투입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 및 상기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좌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 상호간, 상기 좌측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상호간, 상기 우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 상호간, 상기 우측판부와 상기 후면판부 상호간 및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바닥판부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단을 타격할 때 상기 바닥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전면판결합핀홈, 상기 바닥판후면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좌측판결합핀홈, 상기 전면판우측판결합핀홈, 상기 후면판좌측판결합핀홈 및 상기 후면판우측판결합핀홈에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핀바디부의 외표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결합보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용 관.

KR1020130005707A 2013-01-18 2013-01-18 장례용 관 KR101471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707A KR101471353B1 (ko) 2013-01-18 2013-01-18 장례용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707A KR101471353B1 (ko) 2013-01-18 2013-01-18 장례용 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17A KR20140093417A (ko) 2014-07-28
KR101471353B1 true KR101471353B1 (ko) 2014-12-10

Family

ID=5173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707A KR101471353B1 (ko) 2013-01-18 2013-01-18 장례용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80A1 (ko) * 2015-07-30 2017-02-02 심광선 조립식 관 및 이의 조립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83Y1 (ko) * 2000-02-08 2000-07-15 홍재성 화장용 종이관
JP2003184849A (ja) * 2001-12-12 2003-07-03 Shinano Kenshi Co Ltd ネジおよびこのネジ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83Y1 (ko) * 2000-02-08 2000-07-15 홍재성 화장용 종이관
JP2003184849A (ja) * 2001-12-12 2003-07-03 Shinano Kenshi Co Ltd ネジおよびこのネジ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780A1 (ko) * 2015-07-30 2017-02-02 심광선 조립식 관 및 이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17A (ko)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4778B2 (ja) 機械式係止装置を備えたパネル及びこれらのパネルを含む組立製品
CN105324544B (zh) 带有机械锁定系统的建筑镶板
CN107529889A (zh) 具有紧固装置的镶板
US20160177576A1 (en) Interlocking floor panels and floor system
US20110255915A1 (en) Furniture bracket
RU2008123058A (ru) Переносная панель пола
CN107044199B (zh) 拼接地板及其基座
KR101471353B1 (ko) 장례용 관
KR20180108308A (ko) 주방 가구용 도어
JP2015031090A (ja) 階段構造および階段の施工方法
JP5877340B2 (ja) 見切具
JP6716388B2 (ja) 置敷き畳用枠部材
JP6831028B1 (ja) 組立玩具
JP5796224B2 (ja) 見切接続具
KR200465635Y1 (ko) 가구용 도어의 몰딩 취부 구조
KR102148672B1 (ko) 목재 욕조 조립 방법
KR101736658B1 (ko) 조립식가구의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가구
KR200312850Y1 (ko) 플로어링 보드
KR102260634B1 (ko) 연결 못
JP5595937B2 (ja) 錠前用受け部材の構造
CN211396435U (zh) 基板及地板总成
JP7186553B2 (ja) 流し台用の被覆部材、被覆構造、施工方法
CN211229337U (zh) 地板及地板总成
JP5272586B2 (ja) 出入枠の仕口構造と接合方法
KR20180055972A (ko) 장식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