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672B1 - 목재 욕조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욕조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672B1
KR102148672B1 KR1020190057514A KR20190057514A KR102148672B1 KR 102148672 B1 KR102148672 B1 KR 102148672B1 KR 1020190057514 A KR1020190057514 A KR 1020190057514A KR 20190057514 A KR20190057514 A KR 20190057514A KR 102148672 B1 KR102148672 B1 KR 102148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side
short side
vertical
groo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금채
Original Assignee
오한금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한금채 filed Critical 오한금채
Priority to KR102019005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HBENDING WOOD OR SIMILAR MATERIAL; COOPERAGE; MAKING WHEELS FROM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H5/00Manufacture of tubes, coops, or barrels
    • B27H5/02Building up with staves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판재의 홈-턱 맞물림 결합으로 조립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지속적인 사용에도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목재 욕조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바닥판 둘레에 좌·우면 장변측판 및 전·후면 단변측판이 결합된 목재 욕조로서, 상기 바닥판은 상면 테두리가 일정한 간격 및 깊이로 깎여 하면 테두리에 좌·우측 장변돌출단과 전·후측 단변돌출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에는, 내면의 양 단부에서 안쪽으로 설정된 여유장 간격으로 이격하여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지점에서 하단까지 평행하게 형성된 세로홈과, 내면의 하단에서 설정된 받침턱 높이 만큼 이격하여 상기 세로홈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된 장변가로홈이 구성되고,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에는, 외면의 양 단부가 일정 간격 및 깊이로 깎이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지점까지 절단된 세로변단부턱과, 내면의 하단에서 상기 받침턱 높이 만큼 이격하여 양 단부를 가로질러 상기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된 단변가로홈이 구성되고, 상기 단변가로홈의 양 단부가 상기 세로변단부턱 형성 간격만큼 인입하여 절단됨으로써 상기 세로변단부턱이 욕조부와 받침턱부로 분절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변돌출단과 장변가로홈, 상기 단변돌출단과 단변가로홈 및 상기 세로변단부턱과 세로홈이 각각 홈-턱 맞물림 결합되어 조립된 목재 욕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목재 욕조 조립 방법{Wooden bathtubs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목재 판재의 홈-턱 맞물림 결합으로 조립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지속적인 사용에도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목재 욕조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욕조는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담는 용기로서 가정이나 숙박업소의 욕실에 비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욕조는 주로 강화플라스틱(FRP)과 같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환경호르몬, 유해물질 등을 배출하지 않으며 향이 좋고 심리적 선호도가 높게 평가되는 목재 욕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종래의 목재 욕조는 바닥판 둘레를 따라 측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제작되는데, 바닥판과 측판의 결합시 못 등의 체결구나, 접착제를 사용하고, 별도의 씰링처리를 하더라도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이음 부분에 발생하는 누수를 차단하기 어렵다([참고도 1] 참조).
[참고도 1]
Figure 112019050209853-pat00001
이에, 플라스틱 기본틀에 목재판을 붙여 감싸는 방식에 의해 겉으로는 목재만이 드러나게 하거나, 목재판으로 이루어진 욕조틀 외부를 플라스틱 틀로 감싸는 방식으로 누수를 차단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목재와 플라스틱 재질 간 접하는 부위에서부터 곰팡이가 발생하여, 아래 [참고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곰팡이가 목재 외표면쪽으로 번지는 경우는 물론,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목재의 배면에서만 증식하는 단계에서도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참고도 2]
Figure 112019050209853-pat00002
사진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auna114&logNo=100195753855
이러한 문제에 따라 욕조틀에 목판을 착탈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목판의 배면을 수시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등록특허 10-0790931, "착탈식 히노끼 판재를 이용한 욕조")도 등장하였으나, 곰팡이 발생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었다.
1. 등록실용신안 20-0224116 "조립식 욕조" 2. 등록실용신안 20-0243043 "조립식 원목욕조" 3. 공개실용신안 20-2015-0003456 "조립식의 이동식 편백나무 욕조" 4. 등록실용 20-0352060 "반신욕에 적합한 조립식 욕조" 5. 등록특허 10-1501040 "원목 욕조 및 그 제조방법" 6. 공개특허 10-2012-0000749 "편백나무 욕조" 7. 등록특허 10-0790931 "착탈식 히노끼 판재를 이용한 욕조"
본 발명은 목재 판재의 홈-턱 맞물림 결합으로 간편하게 조립하되, 누수와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목재 욕조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바닥판 둘레에 좌·우면 장변측판 및 전·후면 단변측판이 결합된 목재 욕조로서, 상기 바닥판은 상면 테두리가 일정한 간격 및 깊이로 깎여 하면 테두리에 좌·우측 장변돌출단과 전·후측 단변돌출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에는, 내면의 양 단부에서 안쪽으로 설정된 여유장 간격으로 이격하여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지점에서 하단까지 평행하게 형성된 세로홈과, 내면의 하단에서 설정된 받침턱 높이 만큼 이격하여 상기 세로홈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된 장변가로홈이 구성되고,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에는, 외면의 양 단부가 일정 간격 및 깊이로 깎이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지점까지 절단된 세로변단부턱과, 내면의 하단에서 상기 받침턱 높이 만큼 이격하여 양 단부를 가로질러 상기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된 단변가로홈이 구성되고, 상기 단변가로홈의 양 단부가 상기 세로변단부턱 형성 간격만큼 인입하여 절단됨으로써 상기 세로변단부턱이 욕조부와 받침턱부로 분절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변돌출단과 장변가로홈, 상기 단변돌출단과 단변가로홈 및 상기 세로변단부턱과 세로홈이 각각 홈-턱 맞물림 결합되어 조립된 목재 욕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재 욕조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을 내면이 상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바닥판의 좌측(또는 우측) 장변돌출단을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의 장변가로홈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바닥판의 전·후측 단변돌출단을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의 단변가로홈에 각각 삽입하면서,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의 일측 세로변단부턱을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의 세로홈에 삽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의 내면이 하향하도록 하여, 상기 바닥판의 우측(또는 좌측) 장변돌출단을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의 장변가로홈에 삽입하면서,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의 타측 세로변단부턱을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의 세로홈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목재 욕조 조립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 판재의 홈-턱 맞물림 결합만으로 목재 욕조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립된 목재 욕조에 누수와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목재 욕조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 목재 욕조의 각 구성요소를 펼쳐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목재 욕조의 바닥판이다.
[도 4]는 본 발명 목재 욕조의 장변측판이다.
[도 5]는 본 발명 목재 욕조의 단변측판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목재 욕조의 조립과정((a)단계 내지 (d)단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 목재 욕조(100)를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 목재 욕조(100)를 뒤집어 바닥판(110)을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목재 욕조(100)의 각 구성요소를 펼쳐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목재 욕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바닥판(110) 둘레에 좌·우면 장변측판(120) 및 전·후면 단변측판(130)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목재 욕조(100)는 플라스틱 등 다른 소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목재만으로 제작된 것이다. 곰팡이는 외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습기가 차면서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 목재 욕조(100)는 공기가 통하는 목재의 특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으므로 곰팡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목재 욕조(100)는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120)의 양 측단에 여유장(101)이 형성되며, 상기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120) 및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하단부는 받침턱(102)이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턱(102)이 욕실 등의 바닥면에 닿게 되고, 상기 바닥판(110)은 상기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떠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면(110) 하부에서의 곰팡이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목재 욕조(100)를 구성하는 바닥판(110), 좌·우면 장변측판(120) 및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외면과 내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닥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테두리가 일정한 간격 및 깊이로 깎여 하면 테두리에 좌·우측 장변돌출단(111)과 전·후측 단변돌출단(1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1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홈(121)과 장변가로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홈(121)은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120) 내면의 양 단부에서 안쪽으로 설정된 여유장(101)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지점에서 하단까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변가로홈(122)은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120) 내면의 하단에서 설정된 받침턱(102) 높이 만큼 이격하여 상기 세로홈(121)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변단부턱(131)과 단변가로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변단부턱(131)은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 외면의 양 단부가 일정 간격 및 깊이로 깎이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지점까지 절단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상기 단변가로홈(132)은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 내면의 하단에서 상기 받침턱(102) 높이 만큼 이격하여 양 단부를 가로질러 상기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변가로홈(132)은 양 단부가 상기 세로변단부턱(131) 형성 간격만큼 인입하여 절단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세로변단부턱(131)은 욕조부(131-1)와 받침턱부(131-2)로 분절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목재 욕조(100)는 접착제나 체결구 사용 없이, 상기 장변돌출단(111)과 장변가로홈(122), 상기 단변돌출단(112)과 단변가로홈(132) 및 상기 세로변단부턱(131)과 세로홈(121)이 각각 홈-턱 맞물림 결합되어 조립된다.
위와 같은 목재 욕조(100)는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120)에 바닥판(110)을 결합시키고,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을 결합시킨 후, 나머지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120)을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조립과정은 다음의 (a)단계 내지 (d)단계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1. (a)단계
본 (a)단계에서는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120)을 내면이 상향하도록 배치한다([도 6] 참조).
전술한, 바닥판(110) 좌·우면 장변측판(120) 및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120)을 기준으로 이하의 설명과 같이 바닥판(110), 전·후면 단변측판(130) 및 나머지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120)을 순차적으로 조립해야만 본 발명 목재 욕조(100)가 조립된다.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바닥판을 기준으로 나머지 판재들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판재가 조립되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2. (b)단계
본 (b)단계에서는 상기 바닥판(110)의 좌측(또는 우측) 장변돌출단(111)을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120)의 장변가로홈(122)에 삽입한다([도 7] 참조).
3. (c)단계
본 (c)단계에서는 상기 바닥판(110)의 전·후측 단변돌출단(112)을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단변가로홈(132)에 각각 삽입하면서,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일측 세로변단부턱(131)을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120)의 세로홈(121)에 삽입한다([도 8] 참조).
4. (d)단계
본 (d)단계에서는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120)의 내면이 하향하도록 하여, 상기 바닥판(110)의 우측(또는 좌측) 장변돌출단(111)을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120)의 장변가로홈(122)에 삽입하면서,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타측 세로변단부턱(131)을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120)의 세로홈(121)에 삽입한다([도 9] 참조).
이러한 목재 욕조를 구성하는 각 판재는 내수성이 우수한 목재를 선별 가공해야 하는데, 수령 80년 이상의 곧은결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판재의 홈-턱 결합부위에 물이 흡수되더라도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욕조의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결합부위의 팽창으로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각 판재의 홈-턱 결합부위에는 접착수지를 바르고, 각 판재가 맞물려 결합되는 부위에 삽입공을 뚫고 상기 삽입공에 목재 체결구를 끼워 박음으로써 각 판재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판(110)에는 배수구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각 판재의 이음면에 추가적인 씰링처리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목재 욕조
101 : 여유장 102 : 받침턱
110 : 바닥판 111 : 좌·우측 장변돌출단
112 : 전·후측 단변돌출단
120 : 좌·우면 장변측판 121 : 세로홈
122 : 장변가로홈
130 : 전·후면 단변측판 131 : 세로변단부턱
131-1 : 욕조부 131-2 : 받침턱부
132 : 단변가로홈

Claims (2)

  1. 직사각형의 바닥판(110) 둘레에 좌·우면 장변측판(120) 및 전·후면 단변측판(130)이 결합된 목재 욕조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바닥판(110)은 상면 테두리가 일정한 간격 및 깊이로 깎여 하면 테두리에 좌·우측 장변돌출단(111)과 전·후측 단변돌출단(1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120)은 상기 바닥판(110)의 장변보다 긴 가로변을 갖으며, 상기 가로변을 기준으로 내면의 양 단부에서 안쪽으로 설정된 여유장 간격으로 이격하여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지점에서 하단까지 평행하게 형성된 세로홈(121)과, 내면의 하단에서 설정된 받침턱 높이 만큼 이격하여 상기 세로홈(121)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된 장변가로홈(122)이 구성되고,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에는, 상기 바닥판(110)의 단변과 동일한 길이의 가로변을 갖으며, 상기 가로변을 기준으로 외면의 양 단부가 일정 간격 및 깊이로 깎이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지점까지 절단된 세로변단부턱(131)과, 내면의 하단에서 상기 받침턱 높이 만큼 이격하여 양 단부를 가로질러 상기 하단과 평행하게 형성된 단변가로홈(132)이 구성되고, 상기 단변가로홈(132)의 양 단부가 상기 세로변단부턱(131) 형성 간격만큼 인입하여 절단됨으로써 상기 세로변단부턱(131)이 욕조부(131-1)와 받침턱부(131-2)로 분절되도록 구성된 것이고,
    (a)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120)을 내면이 상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바닥판(110)의 좌측(또는 우측) 장변돌출단(111)을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120)의 장변가로홈(122)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바닥판(110)의 전·후측 단변돌출단(112)을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단변가로홈(132)에 각각 삽입하면서,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일측 세로변단부턱(131)을 상기 좌면(또는 우면) 장변측판(120)의 세로홈(121)에 삽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120)의 내면이 하향하도록 하여, 상기 바닥판(110)의 우측(또는 좌측) 장변돌출단(111)을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120)의 장변가로홈(122)에 삽입하면서, 상기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타측 세로변단부턱(131)을 상기 우면(또는 좌면) 장변측판(120)의 세로홈(121)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장변돌출단(111)과 장변가로홈(122), 상기 단변돌출단(112)과 단변가로홈(132) 및 상기 세로변단부턱(131)과 세로홈(121)이 각각 홈-턱 맞물림 결합되어, 좌·우면 장변측판(120)의 양 측단에 여유장(101)이 형성되고, 상기 상기 좌·우면 장변측판(120) 및 전·후면 단변측판(130)의 하단부는 받침턱(102)이 되도록 구성된 목재 욕조 조립 방법.
  2. 삭제
KR1020190057514A 2019-05-16 2019-05-16 목재 욕조 조립 방법 KR10214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14A KR102148672B1 (ko) 2019-05-16 2019-05-16 목재 욕조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14A KR102148672B1 (ko) 2019-05-16 2019-05-16 목재 욕조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672B1 true KR102148672B1 (ko) 2020-08-27

Family

ID=7223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514A KR102148672B1 (ko) 2019-05-16 2019-05-16 목재 욕조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67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86U (ja) * 1984-07-10 1986-02-04 アミノ鉄工株式会社 浴槽
KR200224116Y1 (ko) 1998-07-27 2001-06-01 이정균 조립식 욕조
US20020043043A1 (en) 1999-10-28 2002-04-18 Richard Danny J. Mobile home foundation
KR200352060Y1 (ko) 2004-03-19 2004-06-04 김태수 반신욕에 적합한 조립식 욕조
KR20070011884A (ko) * 2005-07-22 2007-01-25 (주) 한림베스카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KR100790931B1 (ko) 2007-02-14 2008-01-04 주식회사 하나로바스 착탈식 히노끼 판재를 이용한 욕조
KR20120000749A (ko) 2010-06-28 2012-01-04 류태수 편백나무 욕조
KR101501040B1 (ko) 2013-09-02 2015-03-10 (주)인터쿠아 원목 욕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3456U (ko) 2014-03-10 2015-09-18 이규수 조립식의 이동식 편백나무 욕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86U (ja) * 1984-07-10 1986-02-04 アミノ鉄工株式会社 浴槽
KR200224116Y1 (ko) 1998-07-27 2001-06-01 이정균 조립식 욕조
US20020043043A1 (en) 1999-10-28 2002-04-18 Richard Danny J. Mobile home foundation
KR200352060Y1 (ko) 2004-03-19 2004-06-04 김태수 반신욕에 적합한 조립식 욕조
KR20070011884A (ko) * 2005-07-22 2007-01-25 (주) 한림베스카 포도주 보관용 조립식 상자
KR100790931B1 (ko) 2007-02-14 2008-01-04 주식회사 하나로바스 착탈식 히노끼 판재를 이용한 욕조
KR20120000749A (ko) 2010-06-28 2012-01-04 류태수 편백나무 욕조
KR101501040B1 (ko) 2013-09-02 2015-03-10 (주)인터쿠아 원목 욕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3456U (ko) 2014-03-10 2015-09-18 이규수 조립식의 이동식 편백나무 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672B1 (ko) 목재 욕조 조립 방법
CA2887745C (en) Floor covering with replaceable floorboards
EP1388317A3 (de) Bodenebene Duschtasse
EP1331348A3 (de) Wärmegedämmtes Kunststoff-Fenster
CN205357191U (zh) 一种防霉透气踏粮板
KR101471353B1 (ko) 장례용 관
KR101317821B1 (ko) 스탠딩 조립식 삽
CN209694726U (zh) 铝合金画框
JP3682441B2 (ja) 床材およびその接合構造
JPH0327498Y2 (ko)
CN216587431U (zh) 多功能无缝拼接板
CN203782966U (zh) 一种整体浴室墙板
KR200461578Y1 (ko)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Gardini Il Tempio Malatestiano tra il sacro e il profano: lo sguardo di Joséphin Péladan e Henry de Montherlant
TWM532239U (zh) 塔位裝飾模組
JP4064560B2 (ja) 床材の端仕舞構造及び端仕舞部材
JP2017071917A (ja)
JPH0633101Y2 (ja) 壁面板支持構造
JP3736501B2 (ja)
JP2523019Y2 (ja) 木製ブロックの敷設枠
CN206005258U (zh) 一种防潮透气踏粮板
KR200258421Y1 (ko) 지적도 보관용 케이스
JPS6227625Y2 (ko)
TWM572253U (zh) Combined mat
CN201121396Y (zh) 木质地板的组装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