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578Y1 -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 Google Patents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578Y1
KR200461578Y1 KR2020110000389U KR20110000389U KR200461578Y1 KR 200461578 Y1 KR200461578 Y1 KR 200461578Y1 KR 2020110000389 U KR2020110000389 U KR 2020110000389U KR 20110000389 U KR20110000389 U KR 20110000389U KR 200461578 Y1 KR200461578 Y1 KR 200461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lock
wood
front portion
b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훈
Original Assignee
전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훈 filed Critical 전경훈
Priority to KR2020110000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5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4각형의 하면부(52)에 대해 직각으로 서로 연통되어 목재가 각각 삽입되는 제1입구(76) 및 제2입구(77)로 구성되며, 상기 제1입구(76)와 제2입구(77)는 전면부(54)와 직각 형태의 후면부(68과 82)로 연결되며, 전면부(54)와 후면부(68과 82) 사이의 상면은 상면부(78)로 일체적으로 카바되고, 상기 전면부(54)는 제1입구(76)측의 제1면(66)과 제2입구(77)측의 제2면(84)으로 직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면(66)에는 폭방향으로 제1LOCK(40)이 채워지면서 고정력을 가지게 되며 제1LOCK핸들(42)은 채결과 해체를 손쉽게 하게 한다.
제2LOCK(41)이 채워지면서 고정력을 가지게 되며 제2LOCK핸들(43)은 채결과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목재94는 제1LOCK(40)과 제2LOCK(41)의 채결 부위에 밀어넣었을시 동일한 위치에 목재 홈이 맞닿게 되어 고정구 제1LOCK(40)과 제2LOCK(41)이 채결되어 고정되고 해체또한 제1LOCK(40)과 제2LOCK(41)을 분리와 동시에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CORNER CONNECTING APPARATUS FOR BED FRAME}
본 고안은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침대의 직교하는 프레임을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실용신안등록제 20-0339160 호로서, 사이드 프레임(SF)과 풋 프레임(FF)으로 구성되는 침대 프레임(F)의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
구(10)는 양 단부에 사이드 프레임(SF)과 풋 프레임(FF)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일정 깊이의 삽지홈(21)을 구비하여 직각으로 절곡 구성되는 삽지부(20)와; 상기 삽지부(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다리부(30)를 각각 포합한다. 모서리 연결구(10)의 삽지홈(21)에 사이드 프레임(SF)와 풋 프레임(FF)의 단부를 끝까지 밀어 결합시킨 상태에서 삽지부(20)의 내측면에서 피스(P)를 이용하여 사이드 프레임(SF)과 풋 프레임(FF)을 삽지부(20)와 일체로 체결하여 프레임의 모서리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같은 형태의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는 삽지홈(21)에 사이드 프레임(SF)과 풋 프레임(FF)을 삽입한 후 삽지부(20)의 내측면에서 피스(P)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프레임의 흔들림으로 피스의 고정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피스의 고정 방식은 외관을 좋지 않게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 프레임을 연결구에 삽입하여 고정구 홈에 밀어넣어 LOCK(고정장치)을 채움으로 고정이 되며 탈착시 LOCK(고정장치)부분을 밀어 올려 해체 시킴이 용이한 모서리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관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의 일예로서,
하면부에 대해 직각으로 서로 연통되어 목재가 각각 삽입되는 제1입구 및 제2입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입구와 제 2입구는 전면부와 직각 형태의 후면부로 연결되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상면은 상면부로 일체적으로 카바되고, 상기 전면부는 제1입구측의 제1면과 제2입구측의 제2면으로 직각 형태로 이루어지며,상기1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2면에 1면과 동일한 홈이 형성되 목재에 일자형 홈이 상기 1면과 2면에 맞닿은 홈이 고정구 입구에 밀어넣은 후 고정구 안쪽에 파여진 홈에 부분품인 LOCK를 채결함으로 고정이 완성되며 해체또한 LOCK를 해재함과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는 목재를 제1입구 및 제 2입구로 삽입하면, 안쪽에 파여진 홈으로 LOCK을 채결함으로 별도에 피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해체 또한 홈에 끼워진 LOCK만 뽑아내면 용이하게 해체가 이루어 짐으로 LOCK은 목재의 홈과 고정구의 홈에 동시 체결하게 되므로 고의적으로 LOCK을 해체시키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으며 조립과정이 간단하고 누구나 손쉽게 침대 프레임의 조립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종래의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 모서리 연결구의 LOCK체결전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의 체결 평단면도 도 5는 LOCK체결 저면 사시도
도 3과 4를 참조하면 4각형의 하면부(52)에 대해 제1입구(76)와 제2입구(77)가 직각으로 서로 연통된다.
제1입구(76)와 제2입구(77)는 전면부(54)와 직각 형태의 후면부(68과 82)로 연결되며, 전면부(54)와 후면부(68과 82) 사이의 상면은 상면부(78)로 일체적으로 카바되고, 하면은 개방된다.
전면부 (54)는 제1입구(76)측의 제1면(66)과 제2입구(77)측의 제2면(84)으로 직각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1면(66)과 마주보는 후면부(68)에는 입구측에 제 1전방지지부(72)가 약간의 높이를 가지면서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후면에 제 1후방지지부(74)가 제 1전방지지부(72)와 동일한 높이로 폭방향에 돌출된다. 제 1전방지지부(72)와 제 1후방지지부(74)는 삽입되는 목재(94)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목재의 대응면이 후면부(68)과 직접 맞닿아도 되므로 없어도 무방하다.
제2면(84)과 마주보는 후면부(82)에는 입구측에 제 2전방지지부(86)가 약간의 높이를 가지면서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후면에 제 2후방지지부(88)가 제 2후방지지부와 동일한 높이로 폭방향으로 돌출된다. 제 2전방지지부(86)와 제 2후방지지부(88)는 삽입되는 목재(94)를 지지하는 것으로 목재의 대응면에 후면부(82)와 직접 맞닿아도 무방하다.
제 1면의 삽입면 목재(94)는 체결홈이 이미 형서되어 있는채로 제 1입구(76)에 제 1LOCK(40)이 제1면 체결홈에 동일 위치까지 밀어넣은 후 제 1LOCK(40)을 상에서 하의 방향으로 LOCK핸들(42) 부분을 잡고 끼워 맞추면서 내리면 제 1LOCK(40)의 돌출부분이 제 1면(66)의 바깥부분에 노출되면서 고정 장치의 역할을 해낸다.
제 2면의 삽입면 목재(94)는 체결홈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채로 제 2입구(84)에 제 2LOCK(41)이 제 2면 체결홈에 동일 위치까지 밀어넣은 후 제 2LOCK(41)DMF 상에서 하의 방향으로 LOCK핸들(43) 부분을 잡고 끼워 맞추면서 내리면 제 2LOCK(41)의 돌출 부분이 제 2면(84)의 바깥부분에 노출되면서 걸리어 고정 장치의 역할을 해낸다.
이와 같이 목재(94)를 제 1입구(76) 및 제 2입구(84)로 삽입하면 제 1LOCK(40) 및 제 2LOCK(41)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걸림이 고정되어 별도의 피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목재(94)를 제 1입구(76)및 제 2입구(77)로 삽입만 하면 되므로, 조립 과정이 간단해 진다.
52 : 하면부 54 : 전면부
66 : 제1면 84 : 제2면
68 : 후면부 72 : 제1전방지지부
74 : 제1후방지지부 76 : 제1입구
77 : 제2입구 78 : 상면부
82 : 후면부 94 : 목재
86 : 제2전방지지부 88 : 제2후방지지부
95 : 홈 40 : 제1LOCK
41 : 제2LOCK 42 : 제1LOCK핸들
43 : 제2LOCK핸들

Claims (1)

  1. 하면부에 대해 직각으로 서로 연통되어 목재가 각각 삽입되는 제1입구 및 제 2입구로 구성되며,
    상기 제1입구와 제2입구는 전면부와 직각 형태로 후면부로 연결되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의 상면은 상면부로 일체적으로 카바되고,
    상기 전면부는 제1입구측의 제1면과 제2입구측의 제 2면으로 직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1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2면에 1면과 동일한 홈이 형성되어 목재의 일자형 홈이 상기 1면과 2면에 맞닿아 목재가 고정구에 밀어넣은 후 고정구 안쪽에 파여진 홈에 부분품인 LOCK을 채결함으로 고정이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2020110000389U 2011-01-14 2011-01-14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200461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89U KR200461578Y1 (ko) 2011-01-14 2011-01-14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389U KR200461578Y1 (ko) 2011-01-14 2011-01-14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578Y1 true KR200461578Y1 (ko) 2012-07-23

Family

ID=4713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389U KR200461578Y1 (ko) 2011-01-14 2011-01-14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5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6922A (zh) * 2017-11-13 2020-06-05 平衡体公司 用于支撑性框架组件的角部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160Y1 (ko) 2003-11-03 2004-01-24 최신식 일체형 다리를 갖는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조
KR100875542B1 (ko) 2007-03-05 2008-12-24 최기주 조립형침대
KR101123209B1 (ko) 2011-10-20 2012-03-20 이경환 침대 프레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160Y1 (ko) 2003-11-03 2004-01-24 최신식 일체형 다리를 갖는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조
KR100875542B1 (ko) 2007-03-05 2008-12-24 최기주 조립형침대
KR101123209B1 (ko) 2011-10-20 2012-03-20 이경환 침대 프레임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6922A (zh) * 2017-11-13 2020-06-05 平衡体公司 用于支撑性框架组件的角部构件
CN111246922B (zh) * 2017-11-13 2022-06-24 平衡体公司 用于支撑性框架组件的角部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RU2008123058A (ru) Переносная панель пола
KR200461578Y1 (ko)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CN103255863A (zh) 一种幕墙
CN103216505A (zh) 实木柜类家具部件的连接结构
KR100803673B1 (ko) 액자도화지첩
KR101430366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KR200460994Y1 (ko)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CN204861788U (zh) 一种拼接桌
KR101412299B1 (ko) 개선된 액자 프레임
KR200477061Y1 (ko) 원지가 낭비되지 않는 피자박스
CN206817061U (zh) 落地式支架立柱于底板的连接结构
KR101334740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240671B1 (ko) 거울 고정장치
CN206737351U (zh) 一种实木地暖地板
CN203802026U (zh) 一种组合式扣板电视柜
CN205338283U (zh) 多功能便携式瓦楞纸折叠凳
CN219794497U (zh) 一种插接式叠级收边构件以及装饰墙面结构
CN208278519U (zh) 一种组合式料架
CN103317944A (zh) 一种木雕画框
KR102200054B1 (ko) 텐트 및 램프 구조물 겸용 가구
KR102148672B1 (ko) 목재 욕조 조립 방법
CN209771354U (zh) 一种新型板式榫卯插接成型的房屋玩具
CN210002790U (zh) 一种便于拆装的踢脚线系统
CN201367708Y (zh) 一种地板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