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542B1 - 조립형침대 - Google Patents

조립형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542B1
KR100875542B1 KR1020070021574A KR20070021574A KR100875542B1 KR 100875542 B1 KR100875542 B1 KR 100875542B1 KR 1020070021574 A KR1020070021574 A KR 1020070021574A KR 20070021574 A KR20070021574 A KR 20070021574A KR 100875542 B1 KR100875542 B1 KR 100875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eam
horizontal
pillar
pillars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502A (ko
Inventor
최기주
Original Assignee
최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주 filed Critical 최기주
Priority to KR102007002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5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1Foot or l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수평보와; 상기 수평보가 이루는 사각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넓이의 수평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에 대한 수평보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기둥의 외주에는 수평보의 단부를 수용하여 수평보를 지지하는 홀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평보의 단부에는 상기 홀딩홈에 끼움 결합하는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립형침대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해하여 좁은 장소에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이 간편하고, 특히 부품별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습도가 높을 때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 때는 습기를 내보내어 습도조절 기능까지 갖는다.

Description

조립형침대{Assembling 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조립형침대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수납함을 별도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조립형침대에서의 기둥에 대한 수평보 및 간격유지보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기둥에 대해 수평보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에서 기둥에 대한 수평보의 결합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조립형침대 12:기둥 16,18:수평보
16a,18a:홈 20:프레임 22,24:간격유지보
26:상판 28:판넬 28a:삽입지지부
28b:홈부 28c:돌출부 29:쿠션부재
30:다용도수납함 30a:본체 30b:도어
30c:격벽 30d:개방통로 30e:내부통로
32:조명기구수납함 32a:본체 32b:도어
32c:투광판 32d:격자 34:캡
36:판넬지지막대 38:홀딩홈 38a:턱부
38b:평면부 40:결합구멍 42:삽입봉
44:볼트구멍 46:볼트 48:걸림턱
52:간격유지보 54:지지기둥 56:장식판
58:사이기둥 60:장식철물 62:홀딩슬릿
64:고정플레이트 64a:관통공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호환성을 갖는 조립형침대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이 보편화됨에 따라 침대가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침대는 대표적인 침실가구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장치가 적용된다.
이러한 침대에는 침대 메이커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것이 있지만, 공통적으로 상판과, 상기 상판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상판에 놓여지는 매트리스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매트리스는 상판에 올려지는 것으로서 상판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대부분의 경우 사용하지만) 사용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예컨대 허리가 아파서 딱딱한 바닥에 누워야 편하다거나 아니면 기타의 이유로 매트리스가 불편한 경우에는 매트리스를 분리하여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여하튼, 상기 종래의 침대는 상판 자체는 물론 상판과 다리 등이 정확히 맞도록 설계되며 공장에서 완벽히 (사용자 개인이 거의 분해할 수 없게) 고정된 상태로 납품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침대는 공장에서부터 조립되어 개인이 분해 또는 재조립 할 수 가 없기 때문에, 가령 침대의 한쪽부위가 파손되었을 경우 침대 사용자가 그 부분만 쉽게 교체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의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경우, 강제로 밀착시 킨 부위가 터져 파손되기도 한다. 예컨대 침대의 상판을 이루는 판넬과 상기 판넬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수축 및 팽창율이 달라 판넬과 프레임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침대는 미감을 강조하기 위하여 각종 페인트가 도포되어 있는데, 상기한 페인트는 침대를 구성하는 나무를 완전히 감싸 나무가 숨쉬는 것을 방해하고 각종 유해물질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분해 조립이 용이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해하여 좁은 장소에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이 간편하고, 특히 부품별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습도가 높을 때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 때는 습기를 내보내어 습도조절 기능까지 갖는 조립형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각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그 내향면에 홈을 갖는 다수의 수평보와; 상기 수평보가 이루는 사각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넓이의 수평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에 대한 수평보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기둥의 외주에는 수평보의 단부를 수용하여 수평보를 지지하는 홀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판넬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동일 형상의 띠형 부재로서,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수평보의 홈에 끼워지는 삽입지지부가 마련되고, 폭방향 일측단부에 홈부가 형성되며 폭방향 반대측 단부에는 이웃하는 판넬의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끼워져 상기 수평면을 제공하며, 각 홈부와 돌출부의 사이에는 쿠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딩홈에는 기둥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평보의 단부에는 수평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봉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딩홈은, 그 단부가 상호 이웃하며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두 수평보의 단부를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두 개가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홀딩홈 중 하나의 홀딩홈에는 기둥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홀딩홈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직교하는 홀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상호 직교하는 두 개의 수평보 중 일측 수평보의 단부에는 수평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봉형부재가 구비되고, 타측 수평보의 단부에는 상기 홀딩슬릿에 삽입되되 홀딩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봉형부재에 의해 관통되어 홀딩슬릿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된 봉형부재는 기둥을 사이에 두고 수평보의 반대측에서 삽입된 볼트와 나사결합 됨으로써 수평보를 기둥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은 네 개가 구비되고, 상기 네 개의 기둥 중 이웃하는 두 개의 기둥은 상기 판넬이 제공하는 수평면의 상부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보가 위치한 기둥의 사이에는 그 내부에 원하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납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간격유지보가 그 사이에 구비된 두 개의 기둥 반대측에 위치한 다른 두 개의 기둥도 상기 판넬이 제공하는 수평면의 상부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10)는, 네 개의 기둥(12)과, 상기 각 기둥의 외주에 그 단부가 삽입 지지되며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보(16,18)와, 상기 수평보(16,18)가 제공하는 사각의 틀에 채워지며 사용자가 그 위에 누울 수 있는 넓이를 제공하는 다수의 판넬(28)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보(16,18)와 다수의 판넬(28)은 전체적으로 평평하며 하나의 상판(26)을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상판(26)의 일측에는 다용도수납함(30)과 조명기구수납함(32)이 더 설치된다.
먼저, 상기 기둥(12)은 채취한 원목을 그대로 기계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원형 단면을 갖는다. 특히 상기 기둥(12)의 내부에는 나무의 동심원이 포함되지 않는다.
여하튼 상기 네 개의 기둥(12) 중 두 개는 짧고 두 개는 상대적으로 길다. 짧은 쪽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발이 위치하는 쪽이고 긴 쪽은 머리가 위치하는 방향이다. 아울러 상기 다용도수납함(30)과 조명기구수납함(32)은 머리맡에 위치한다.
상기 수평보(16,18)는 그 양단부가 상기 기둥(1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홀딩홈(도 4의 38)에 삽입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과 마찬가지로 원목을 그대로 기계 가공하여 제작된다. 상기 각 수평보(16,18)는 그 양단이 기둥(12)에 고정된 상태로 이웃하는 수평보에 대해 직각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사각의 프레임(20)을 이룬다. 상기 기둥(12)에 대한 수평보(16,18) 및 간격유지보(22,24)의 결합 방식은 후술된다.
또한 상기 각 수평보(16,18)의 내향면에는 홈(16a,18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16a,18a)은 일정폭을 가지며 수평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판넬(28) 양단의 삽입지지부(28a)와 돌출부(28c)와 판넬지지막대(도 2의 36)를 수용함으로써 판넬(28)이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네 개의 홈(16a,18a)은 지면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단차지지 않고 일직선을 이룬다.
상기 판넬(28)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직사각 판자로서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홈(18a)에 끼워지는 삽입지지부(28a)가 마련되어 있고, 폭방향 일측단부에는 홈부(28b)가, 반대측 측단부에는 돌출부(28c)가 형성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다수의 판넬(28)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판넬(28)은 원목을 가공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양측의 수평보(18) 사이에 판넬(28)을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끼우면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 판넬의 홈부(28b)에 이웃판넬의 돌출부(28c)가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28c)가 홈부(28b)에 끼워지므로 각 판넬(28)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고 판넬(28)은 서로에 지지되며 견고히 위치한다.
또한 상기 홈부(28b)의 내부에는 다수의 쿠션부재(29)가 구비된다. 상기 쿠션부재(29)는 친환경 실리콘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홈부(28b)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쿠션을 제공한다. 상기 쿠션부재(29)는 임의의 판넬과 이에 이웃하는 판넬의 사이에 위치하며 판넬(28)이 상호간에 부드럽게 접하도록 한다. 상기 쿠션부재(29)의 또 다른 역할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네 개의 기둥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두 개의 기둥(12) 사이에는 간격유지보(22,24)가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보(22,24)는 수평보(16)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서 기둥(12) 사이에 나란하게 고정된다. 상기 간격유지보(22,24)는 기둥(12)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 이외에 상기 다용도수납함(30)과 조명기구수납함(32)을 설치하기 위한 장착대의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다용도수납함(30)은 일측 수평보(16)와 아래쪽 간격유지보(24) 사이에 위치하고, 조명기구수납함(32)은 위 아래 간격유지보(22,24)의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다용도수납함(30)은, 사각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공간(30e)을 갖는 본체(30a)와, 상기 내부공간(30e)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0b)와, 상기 도어(30b)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내부공간(30e)을 상판(26)측으로 개방하는 다수의 개방통로(30d)를 제공하는 격벽(3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용도수납함(30)의 내부공간(30e)은 개방통로(39d)를 통해 상판(26)측으로 열려있다. 상기 다용도수납함(30)의 내부에는 이를테면 수면에 도움이 되는 각종 방향제나 산소발생기 또는 숯 등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기구수납함(32)은 그 내부에 조명기구(미도시)를 수용하며 조명기구로 하여금 상판(26)측으로 은은한 빛을 조사하게 한다. 상기 조명기구수납함(32)은 사각의 박스형태를 취하는 본체(32a)와, 상기 본체(32a)를 개폐하는 도어(도 3의 32b)와 상기 도어(32b)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판(32c)과, 상기 투광판(32c)의 전면에 구비되는 격자(32d)를 포함한다. 상기 투광판(32c)은 반투명 유리나 플라스틱 판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격자(32d)는 미감을 고려하여 적용한 것으로서 한옥 문의 창살과 같은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기둥(12)의 사이에 수평보(18)가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평보(18)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판넬(28)이 폭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각 판넬(28)의 돌출부(28c)는 이웃 판넬의 홈부(28b)에 삽입되어 있다.
아울러 도면상 우측단부에 위치한 판넬(28)의 돌출부는 수평보(16)의 내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16a)에 삽입되어 있고, 가장 좌측에 있는 판넬(28)의 홈 부(28b)에는 판넬지지막대(36)가 끼워져 있다. 상기 판넬지지막대(36)는 수평보(16)에 마련되어 있는 홈(16a)과 판넬(28)의 홈부(28b)에 동시에 삽입되어, 수평보(15)에 대한 판넬(28)의 위치를 지지하는 직사각 단면을 갖는 띠형 부재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28c)와 홈부(28b)의 바닥면 사이에 쿠션부재(29)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29)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평상시 돌출부(28c)의 선단면에 접한다. 그러나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의해 판넬(28)이 팽창할 경우 즉 판넬(28)과 판넬의 사이가 좁아질 경우 눌려 압착되며 판넬의 변형을 감당한다. 결국 상기 쿠션부재(29)는 판넬(28)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평상시는 물론 판넬의 변형이 발생할 때에도 판넬(28)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보(24)의 상부와 하부에는 조명기구수납함(32)과 다용도수납함(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명기구수납함(32)은 도어(32b)에 의해 개폐되고 다용도수납함(30)도 도어(30b)에 의해 개폐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수납함을 별도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조명기구사납함(32)은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본체(32a)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32b)와, 상기 도어(32b)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투광판(32c) 및 격자(3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조립형침대에서의 기둥에 대한 수평보 및 간격유지보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기둥에 대해 수평보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기둥은 도 1에 설명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기둥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각의 기둥(12)에 네 개씩의 홀딩홈(38)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홀딩홈(38) 중 상측 두 개의 홀딩홈(38)은 간격유지보(22,24)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아래쪽 두 개의 홀딩홈(38)은 상호 직교하는 두 개의 수평보(16,18)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간격유지보(22,24)를 위한 홀딩홈(38)은 위 아래로 이격되어 있으며 아래쪽 홀딩홈(38)은 직각을 이룬다. 상기 각 홀딩홈(38)의 형상은 약간씩 다를 수 있으나 기능은 모두 동일하다.
상기 홀딩홈(38)은 기둥(12) 외주면의 소정 부위를, 간격유지보(22,24)나 수평보(16,18)의 단면 형상으로 절제 가공한 것으로서, 평평한 수직면인 평면부(38b)와 턱부(38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평면부(38b)는 간격유지보(22,24)나 수평보(16,18)의 단면에 면접하는 밀착면이다. 또한 상기 턱부(38a)는 홀딩홈(38)에 끼워진 수평보나 간격유지보를 받쳐 올리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각 평면부(38b)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멍(40)은 수평보(16,18)나 간격유지보(22,24)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삽입봉(42)을 수용하는 구멍으로서 기둥(12)의 내부로 연장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대편의 볼트구멍(44)에 연통한다. 상기 결합구멍(40)의 개수는 삽입봉(42)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볼트구멍(44)은 결합구멍(4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구멍으로서 그 내부로 볼트(46)를 통과시켜 볼트(46)가 상기 삽입봉(42)에 나사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볼트구멍(44)과 결합구멍(40)의 사이에는 걸림턱(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8)은 상기 삽입봉(42)이 더 이상 기둥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함과 아울러 (삽입봉(42)에 나사결합하고 있는) 볼트(46)의 헤드를 지지하여 기둥(12)에 대한 삽입봉(42)의 고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보(16,18)를 지지하는 아래쪽 홀딩홈(38)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40) 및 볼트구멍(44)은 상호 직교하되 기둥(12)의 내부에서 만나지 않는다.
도면부호 34는 캡이다. 상기 캡(34)은 볼트(46)가 들어간 후의 볼트구멍(44) 입구를 막는 것으로서 기둥(12)과 같은 목재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보(22,24)와 수평보(16,18)의 양단부에는 삽입봉(4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삽입봉(42)은 원형단면을 갖는 환봉으로서 별도로 가공하여 간격유지보(22,24)와 수평보(16,18)의 양단면에 박아 고정하는 것이 좋다. 물론 삽입봉(42)을 간격유지보나 수평보와 일체로 제작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보(18)의 양단부에는 삽입봉(42)이 두 개씩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에서 기둥에 대한 수평보의 결합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평보(18)를 지지하기 위한 홀딩홈(38)에 상기 결합구멍(40)을 대신하는 홀딩슬릿(62)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홀딩슬릿(62)은 일정폭을 가지며 수직한 홈으로서 그 내부에 고정플레이트(64)를 수용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64)는 수평보(18)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일정두께의 판 상부재로서 상기 홀딩슬릿(62)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상기 고정플레이트(64)에는 두 개의 관통공(6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64a)은 고정플레이트(64)를 홀딩슬릿(62)에 삽입했을 때 (수평보(16)를 지지하는 홀딩홈(38)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40)과 일직선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홀딩슬릿(62)에 고정플레이트(64)를 완전히 삽입하여 수평보(18)를 지지시킨 상태로, 이에 직교하는 다른 수평보(16)를 홀딩홈(38)에 장착한 후 볼트(46)로 고정시킴으로써 두 수평보(16,18)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형침대(10)의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단부에 간격유지보(52)가 더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보(52)는 수평보(16)의 상부에 위치하며 수평보(16)와의 사이에 지지기둥(54)으로 연결된다. 상기 간격유지보(52)는 상판(26)에 비해 높게 위치하므로 예컨대 사용자의 발을 올려 피로를 풀 수 있게 한다. 상기 간격유지보(52)를 설치하기 위하여 기둥(12)의 높이가 길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조립형침대(10)는 상기 도 1의 조명기구수납함(32)을 대신하 여 장식판(56)을 갖는다. 상기 장식판(56)은 위 아래로 나란한 간격유지보(22,24)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판자로서 경우에 따라 그 전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그림을 넣을 수 있다. 도면부호 58은 사이기둥이다. 상기 사이기둥(58)은 미감을 고려한 것으로서 간격유지보(22,24)를 지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간격유지보(22,24)의 사이에 장식철물(60)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장식철물(60)은 금속을 구부려 형성한 것으로서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침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 8의 장식판(56)과 도 7의 간격유지보(52)를 적용한 조립형침대(10)이다. 또한 도 11은 상기 도 9의 장식철물(60)과 도 7의 간격유지보(52)를 적용한 조립형침대(10)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립형침대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해하여 좁은 장소에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이 간편하고, 특히 부품별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습도가 높을 때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 때는 습기를 내보내어 습도조절 기능까지 갖는다.

Claims (8)

  1.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각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그 내향면에 홈을 갖는 다수의 수평보와;
    상기 수평보가 이루는 사각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넓이의 수평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에 대한 수평보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기둥의 외주에는 수평보의 단부를 수용하여 수평보를 지지하는 홀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판넬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동일 형상의 띠형 부재로서,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수평보의 홈에 끼워지는 삽입지지부가 마련되고, 폭방향 일측단부에 홈부가 형성되며 폭방향 반대측 단부에는 이웃하는 판넬의 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끼워져 상기 수평면을 제공하며, 각 홈부와 돌출부의 사이에는 쿠션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홈에는 기둥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평보의 단부에는 수평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봉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홈은, 그 단부가 상호 이웃하며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두 수평보의 단부를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두 개가 마련되고,
    상기 두 개의 홀딩홈 중 하나의 홀딩홈에는 기둥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홀딩홈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직교하는 홀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상호 직교하는 두 개의 수평보 중 일측 수평보의 단부에는 수평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봉형부재가 구비되고, 타측 수평보의 단부에는 상기 홀딩슬릿에 삽입되되 홀딩슬릿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봉형부재에 의해 관통되어 홀딩슬릿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침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된 봉형부재는 기둥을 사이에 두고 수평보의 반대측에서 삽입된 볼트와 나사결합 됨으로써 수평보를 기둥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네 개가 구비되고,
    상기 네 개의 기둥 중 이웃하는 두 개의 기둥은 상기 판넬이 제공하는 수평면의 상부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보가 위치한 기둥의 사이에는 그 내부에 원하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납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침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보가 그 사이에 구비된 두 개의 기둥 반대측에 위치한 다른 두 개의 기둥도 상기 판넬이 제공하는 수평면의 상부로 연장되고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침대.
  8. 삭제
KR1020070021574A 2007-03-05 2007-03-05 조립형침대 KR100875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574A KR100875542B1 (ko) 2007-03-05 2007-03-05 조립형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574A KR100875542B1 (ko) 2007-03-05 2007-03-05 조립형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502A KR20080081502A (ko) 2008-09-10
KR100875542B1 true KR100875542B1 (ko) 2008-12-24

Family

ID=4002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574A KR100875542B1 (ko) 2007-03-05 2007-03-05 조립형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5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61Y1 (ko) 2009-01-29 2011-10-21 원욱성 조립식 목재침대
KR200461578Y1 (ko) 2011-01-14 2012-07-23 전경훈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20230064814A (ko)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가보건강침대 다기능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48Y1 (ko) * 2010-05-10 2012-01-12 노규상 심재커버가 구비된 원목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4908U (ko) 1977-05-31 1978-12-23
JPS543U (ko) 1977-06-02 1979-01-05
JPS58181257U (ja) 1982-05-28 1983-12-03 株式会社泉製作所 小さく梱包できるベツト
KR200409984Y1 (ko) * 2005-12-14 2006-03-03 서옥화 침대용 받침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64908U (ko) 1977-05-31 1978-12-23
JPS543U (ko) 1977-06-02 1979-01-05
JPS58181257U (ja) 1982-05-28 1983-12-03 株式会社泉製作所 小さく梱包できるベツト
KR200409984Y1 (ko) * 2005-12-14 2006-03-03 서옥화 침대용 받침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61Y1 (ko) 2009-01-29 2011-10-21 원욱성 조립식 목재침대
KR200461578Y1 (ko) 2011-01-14 2012-07-23 전경훈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20230064814A (ko)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가보건강침대 다기능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502A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275B1 (ko)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KR100875542B1 (ko) 조립형침대
US20060225206A1 (en) Crib having movable and stationary sides, multiple bases, and a base connector
KR101530433B1 (ko)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
KR101024600B1 (ko) 독서실용 책상
JP2007068673A (ja) システムファニチャー
JP6048775B1 (ja) 組立式室内用個室
KR101371039B1 (ko) 가구 조립모듈
KR102317024B1 (ko) 납골함 보관 구조체
JP4437115B2 (ja) 防災シェルター
JP3151500U (ja) 組立式ペット籠
JP3131266U (ja) 岩盤浴用ボックス
KR102527914B1 (ko) 모듈형 캣 타워
KR102120020B1 (ko) 조립식 납골당
KR101426167B1 (ko) 공간 활용 수납장
KR102328747B1 (ko) 납골안치단
KR200467569Y1 (ko) 천장용 조명등커버의 측면판 고정구조
KR102289294B1 (ko) 조립식 가구
JP5805449B2 (ja) 間仕切り家具装置
KR200340568Y1 (ko) 가구용 기둥체
TWM594339U (zh) 寵物籠
JP2017101426A (ja) 枠構造、及び空間構造体
JP3218854U (ja) 複合機能性桐板材からなる構造体。
WO2011108949A1 (en) Illuminated shelf system
JP3954358B2 (ja) 共有空間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