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747B1 - 납골안치단 - Google Patents

납골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747B1
KR102328747B1 KR1020210106033A KR20210106033A KR102328747B1 KR 102328747 B1 KR102328747 B1 KR 102328747B1 KR 1020210106033 A KR1020210106033 A KR 1020210106033A KR 20210106033 A KR20210106033 A KR 20210106033A KR 102328747 B1 KR102328747 B1 KR 102328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ossuary
vertical pla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원
Original Assignee
채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상원 filed Critical 채상원
Priority to KR102021010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함을 상하 좌우로 적층 및 배열하여 납골안치단을 구성할 때 조립성이 유용하면서 각각의 납골함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습기 및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납골함 내부에 안치된 유골함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납골안치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좌우로 적층 배열되는 다수 개의 납골함(100)으로 구성된 납골안치단(10)에 있어, 상기 납골함(100)은, 내부에 사면체의 수용공간(A)을 형성하도록 좌측 및 우측 각각을 커버하는 제1측면판부재(110A) 및 제2측면판부재(110B)와, 상기 수용공간(A)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을 커버하는 상측판부재(120a) 및 하측판부재(120b)와, 상기 수용공간(A)의 후측을 커버하는 후면판(130) 및, 상기 수용공간(A)의 전측을 커버하는 투명판(140)으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납골안치단{CHARNEL PLATE}
본 발명은 납골안치단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납골함을 상하 좌우로 적층 및 배열하여 납골안치단을 구성할 때 조립성이 유용하면서 각각의 납골함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습기 및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납골함 내부에 안치된 유골함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납골안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장묘문화는 화장을 기피하고 매장을 선호하는 매장 위주의 장묘관행이 뿌리깊게 박혀 있었으나, 최근에는 화장문화가 점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고인의 유골을 독립적으로 안치토록 한 다수의 봉안함이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봉안단을 갖춘 추모시설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봉안단은 통상 사각형상의 개폐판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유골함 수납공간이 상하 및 좌우로 층과 열을 이루도록 연속 형성되어 각 수납공간의 내부 공간에 유골이 내장된 유골함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봉안함은 최근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소재, 열가소성 수지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등을 사용하여 성형 제작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강화시킨 제품이 개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봉안단은 실내형과 실외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바, 실내형은 전면이 개구된 봉안함(또는, 납골함)의 전면 개구부에 유리와 같은 도어로 덮어 내부를 들여들 볼 수 있도록 된 것이 보통이고, 실외형은 유리와 같은 도어를 다시 한번 뚜껑으로 최종 밀폐하여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상기 뚜껑은 통상적으로 천연석, 인조 대리석, 브론즈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안치단 외관의 미려함을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별도의 로젯이나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잠금장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조립식 납골함단의 경우, 주로 별도의 알루미늄이나 철제를 이용한 프로파일형 골조구조를 형성하여 납골함을 삽입하여 조립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프로파일형 골조구조는 시공이 불편하고,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봉안단의 규모를 자유자재로 조절하거나 이전 설치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형 골조구조를 갖는 조립식 봉안단의 경우, 각 프로파일 연결부의 조립 부분이 볼트 체결이나 용접 등으로 결합함에 따라 봉안단의 장기간 사용시 하중재하에 의한 안정성에 종종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5895호(발명이 명칭 : 간편한 조립구조 및 이중 밀폐기능를 갖춘 납골안치단)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0234호(발명이 명칭 : 단열부재를 이용한 습기 및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봉안단)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납골함을 상하 좌우로 적층 및 배열하여 납골안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납골함을 지지하며 중량 및 제작비용이 낮은 납골안치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납골안치단에 설치된 항온 항습 제어시스템에 의해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납골함 내부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켜 납골함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습기 및 결로 현상의 방지 기능을 갖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납골안치단은 상하 좌우로 적층 배열되는 다수 개의 납골함으로 구성된 납골안치단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은, 내부에 사면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좌측 및 우측 각각을 커버하는 제1측면판부재 및 제2측면판부재와,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을 커버하는 상측판부재 및 하측판부재와,
상기 수용공간의 후측을 커버하는 후면판 및,
상기 수용공간의 전측을 커버하는 투명판으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측면판부재와 제2측면판부재는 각각 수용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수직판재형태로 배치되면서 제1측면판부재 및 제2측면판부재 각각이 제1수직판부와 제2수직판부로 상호 결합된 일체 결합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판부는, 전측단 및 후측단 각각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일측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일단이 연결 절곡된 제1수평판과 상기 제1수평판 타단에 연결되어 제1판과 제2판이 직각으로 연결된 제1결합판이 형성되되, 상기 제1수평판과 직교되는 제1판의 일측면에 제1수평판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결합판의 제1판 전단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제1판 전단 외측으로 돌출된 제1끼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판 일단이 위치한 제1수직판부의 단부에서 직선으로 더 연장된 제1받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판부는, 전측단 및 후측단 각각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타측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된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부는 제1수직판부의 제1결합부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일단이 연결 절곡된 제2수평판과 상기 제2수평판 타단이 일면에 직교되게 연결된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타면에 직교되게 연결된 제3수평판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 전단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제1수직판 전단 내측으로 돌출된 제2끼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판 일단이 위치한 제2수직판부의 단부에서 직선으로 더 연장된 제2받침턱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결합판은 제1판과 제2판이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바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수평판의 타단과 제1판은 직교되게 연결되되, 제1수평판의 타단을 기준으로 제1판을 제1전측형상부 및 제1후측형상부로 구분하여 제1판의 제1전측형상부가 제1후측형상부의 폭에 비해 더 큰 폭을 가지며, 이때 제1판을 기준으로 제1수평판과 제2판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평판을 기준으로 제1받침턱의 돌출 폭은 제1결합판의 제1판 돌출 폭에 비해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직판은 제2수평판 타단이 제1수직판의 일측면에 직교되게 연결되며, 이때 제1수직판 일측면에 연결된 제2수평판의 타단을 기준으로 전측의 제1수직판 일단을 제2전측형상부 그리고 후측의 제1수직판 타단을 제2후측형상부로 구분하며, 상기 제1수직판의 제2전측형상부가 제2후측형상부의 폭에 비해 더 큰 폭을 가지며, 이때 제1수직판을 기준으로 제2수평판과 제3수평판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수평판을 기준으로 제2받침턱의 돌출 폭은 제1수직판 돌출 폭에 비해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직판부와 제2수직판부가 결합할 때 제1수직판부의 제1결합부에 형성된 제2판이 후측 그리고 제2수직판부의 제2결합부에 형성된 제3수평판이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호 면접하게 되며, 이때 제1결합부의 제1판 전단과 제2결합부의 제1수직판 전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다수 개의 납골함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될 때 하나의 납골함에 있어, 상기 하나의 납골함의 수용공간 내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제1측면판부재의 제1수직판부 및 제2측면판부재의 제2수직판부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하나의 납골함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일측 납골함의 우측벽면에 하나의 납골함 제1측면판부재가 위치하면서 일측 납골함의 수용공간 내의 우측면에 제1측면판부재의 제2수직판부가 위치하고, 상기 하나의 납골함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타측 납골함의 우측벽면에 하나의 납골함 제2측면판부재가 위치하면서 타측 납골함의 수용공간 내의 좌측면에 제2측면판부재의 제1수직판부가 위치하도록 하는 납골함들의 가로배열단위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2측면판부재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1, 2수직판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각 면(面)에 대향하는 각 면(面)에 수직길이로 오목형의 공기유로홈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면서 수평 단면이 반구형을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2측면판부재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1, 2수직판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각 면(面) 중앙에 수직길이로 수평 돌출된 제4수평판과 상기 제4수평판의 끝단과 일면 중앙이 직교되게 연결된 제2수직판으로 구성된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부와 제2수직판부가 상호 결합시 각각의 제2수직판 타면이 서로 면접되는 구조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납골함의 수용공간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을 커버하는 상측판부재 및 하측판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상측판부재는 상측면에 수평판재형의 상판 및 하측면에 수평판재형의 하판으로 구성되어 상판과 하판 사이의 내부에 다수 개의 수직형 격벽이 등간격의 가로길이로 형성되어 구획된 다수 개의 가로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전측면을 커버하는 전판과 후측면을 커버하는 후판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판의 하단과 하판의 전단 사이에 상측으로 요입된 가로길이의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판의 상단과 상판의 전단 사이에 하측으로 요입된 가로길이의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이때 제1결합홈의 수직깊이는 제2결합홈의 수직깊이에 비해 더 큰 수직깊이를 가지게 형성되면서 제1, 2결합홈의 폭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측판부재는 상측판부재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상측판부재와 상하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이때 납골함의 수용공간 내에서 상측판부재의 제1결합홈과 하측판부재의 제2결합홈이 상호 상하로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의 전측을 커버하는 투명판의 상단은 상측판부재의 제1결합홈에 끼움 결속되면서 투명판의 하단은 하측판부재의 제2결합홈에 끼움 결속하게 되며, 이때 투명판의 양측단이 제1수직판부의 제1받침턱 내측 전단 및 제2수직판부의 제2받침턱 내측 전단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측면판부재 및 제2측면판부재 각각의 전면에 탈부착되도록 세로바가 결합되며, 상기 세로바는 후면 중앙에 수직길이로 수평 연결되면서 끝단에 결합턱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와 상기 후면 양단에 수직길이로 수평 연결된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로바의 후면에 연결된 연결부의 결합턱 각각은 제1, 2수직판부의 제1, 2끼움턱에 걸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세로바 후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지지부의 단부는 지지부의 단부 위치에 대응된 제1, 2수직판부의 제1, 2받침턱 전단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납골함의 수용공간 후방을 커버하도록 후면판이 배치되며, 상기 후면판은 수직판재형으로 양단이 제1, 2측면판부재의 제1, 2수직판부의 제1, 2끼움턱에 단속되도록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납골함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양측벽면에 동일구조를 가지면서 상하대칭형의 제1, 2측면판부재와 상하측벽면에 동일구조를 가지면서 동일방향성을 가진 상/하측판부재가 서로 쉽고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다수의 납골함 전체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항온 항습 제어시스템을 마련함으로서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여 항온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며, 납골함 내부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켜 납골함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습기 및 결로 현상을 방지해 줌은 물론,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유리도어의 파손 및 납골함 내부의 유골 부패와 관련된 온도 상승과 같은 변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결합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제2측면판부재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제2측면판부재 결합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제2측면판부재에 후면판 및 투명판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제2측면판부재의 제2수직판부의 단면도(A)와 제1수직판부 단면도(B).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제1수직판부 전단 일부 단면도(A)와 제2수직판부 전단 일부 단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상측판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상측판 부재 전단 일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에서 항온항습장치가 설치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에서 제1후판과 제2후판으로 구성된 후면판이 결합되는 분리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에서 제1후판과 제2후판으로 구성된 후면이 결합된 납골함 후측 일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에서 제3후판과 제4후판으로 구성된 후면이 결합된 납골함 후측 일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에서 후면판에 공기출입부가 형성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에서 공기출입부-연결관부-가이드날개-발열부가 구비된 후면판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골안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골안치단(1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좌우로 적층 배열되는 다수 개의 납골함(100)으로 구성된 납골안치단(10)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100)은, 내부에 사면체의 수용공간(A)을 형성하도록 좌측 및 우측 각각을 커버하는 제1측면판부재(110A) 및 제2측면판부재(110B)와,
상기 수용공간(A)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을 커버하는 상측판부재(120a) 및 하측판부재(120b)와,
상기 수용공간(A)의 후측을 커버하는 후면판(130) 및,
상기 수용공간(A)의 전측을 커버하는 투명판(140)으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납골함(100)은 사면체 구조를 가지면서 내부의 수용공간(A)도 사면체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A)의 좌우측에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 상하측에 상/하측판부재(120a)(120b), 후측에 후면판(130) 및, 전측에 투명판(14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는 수용공간(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이 수직판재형의 제1수직판부(110a) 및 제2수직판부(110b)로 구분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판부재(110A)와 제2측면판부재(110B)는 각각 수용공간(A)의 좌측 및 우측에 수직판재형태로 배치되면서 각각이 제1, 2수직판부(110a)(110b)로 상호 결합된 일체 결합구조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수용공간(A)의 양측면 중 일측면의 제1측면판부재(110A)의 제1수직판부(110a)와 타측면의 제2측면판부재(110B)의 제2수직판부(110b)가 서로 마주하도록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가 배치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제1측면판부재(110A)와 제2측면판부재(110B)는 각각 제1수직판부(110a)와 제2수직판부(110b)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직판부(110a)는 전측단 및 후측단 각각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일측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된 제1결합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12a)는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일단이 연결 절곡된 제1수평판(112-1)과 상기 제1수평판(112-1) 타단에 연결되어 제1판(112-2a)과 제2판(112-2b)이 직각으로 연결된 제1결합판(112-2)이 형성되되, 상기 제1수평판(112-1)과 직교되는 제1판(112-2a)의 일측면에 제1수평판(112-1)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결합판(112-2)의 제1판(112-2a) 전단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제1판(112-2a) 전단 외측으로 돌출된 제1끼움턱(112-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판(112-1) 일단이 위치한 제1수직판부(110a)의 단부에서 직선으로 더 연장된 제1받침턱(112-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7의 (b)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판부(110a)의 일측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수직길이로 수평 돌출된 제1결합부(112a)는 상호 전후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즉 제1수직판부(110a)의 전단에 형성된 제1결합부(112a)의 제1끼움턱(112-3)이 형성된 제1판(112-2a) 끝단이 제1수직판부(110a)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이때 제1수직판부(110a)의 후단에 형성된 제1결합부(112a)의 제1끼움턱(112-3)이 형성된 제1판(112-2a) 끝단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후 대칭형상의 방향성을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112a)는 제1수평판(112-1), 제1결합판(112-2), 제1끼움턱(112-3) 및 제1받침턱(112-4)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판(112-2)은 제1판(112-2a)과 제2판(112-2b)이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바형태를 가지며,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판(112-1)의 타단과 제1판(112-2a)은 직교되게 연결되되, 제1수평판(112-1)의 타단을 기준으로 제1판(112-2a)을 제1전측형상부(112-2a1) 및 제1후측형상부(112-2a2)로 구분하여 제1판(112-2a)의 제1전측형상부(112-2a1)가 제1후측형상부(112-2a2)의 폭에 비해 더 큰 폭을 가지며, 이때 제1판(112-2a)을 기준으로 제1수평판(112-1)과 제2판(112-2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끼움턱(112-3)은 제1결합판(112-2)의 제1판(112-2a) 전단의 수직길이로 형성되면서 외측으로 형성되며, 즉 제2판(112-2b)의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전면 수직길이인 세로길이에 대응되면서 상기 전면을 커버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세로바(150)의 후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턱(151-1) 중 일측 결합턱(151-1)과 제1끼움턱(112-3)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받침턱(112-4)은 제1수평판(112-1)의 일단의 위치에서 제1수직판부(110a) 전단이 소정의 직선길이로 더 연장되며, 즉 평면 단면구조에서 제1수평판(112-1)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전방으로 더 연장되면서 제1수직판부(110a)의 직선길이와 동일선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1수평판(112-1)을 기준으로 제1받침턱(112-4)의 돌출 폭은 제1결합판(112-2)의 제1판(112-2a) 돌출 폭에 비해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 7의 (a)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수직판부(110b)의 타측 전측단 및 후측단 각각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수평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된 제2결합부(112b)가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부(112b)는 제1수직판부(110a)의 제1결합부(112a)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결합부(112b)는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일단이 연결 절곡된 제2수평판(112-5)과 상기 제2수평판(112-5) 타단이 일면에 직교되게 연결된 제1수직판(112-6)과 상기 제1수직판(112-6)의 타면에 직교되게 연결된 제3수평판(112-7)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112-6) 전단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제1수직판(112-6) 전단 내측으로 돌출된 제2끼움턱(112-8)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판(112-5) 일단이 위치한 제2수직판부(110b)의 단부에서 직선으로 더 연장된 제2받침턱(112-9)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 각각은 제1, 2수직판부(110a)(110b)가 상호 결합된 수직판재형태로서 제1수직판부(110b)의 일측 수평 돌출형태의 제1결합부(112a)와 제2수직판부(110b)의 타측 수평 돌출형태의 제2결합부(112b)가 상호 마주하여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수직판부(110b)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수직길이로 수평 돌출된 제2결합부(112b)는 상호 전후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즉 제2수직판부(110b)의 전단에 형성된 제2결합부(112b)의 제2끼움턱(112-8)이 형성된 제1수직판(112-6) 끝단이 제2수직판부(110b)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이때 제2수직판부(110b)의 후단에 형성된 제2결합부(112b)의 제2끼움턱(112-8)이 형성된 제1수직판(112-6) 끝단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후 대칭형상의 방향성을 가지며, 상기 제2결합부(112b)는 제2수직판부(110b)의 전단 및 후단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수직길이로 형성되어 제2수평판(112-5), 제1수직판(112-6), 제3수평판(112-7), 제2끼움턱(112-8) 및 제2받침턱(112-9)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수평판(112-5)은 제2수직판부(110b)의 전단에 일단이 연결 절곡되어 수평 연장된 형태이며, 이때 제2수평판(112-5)의 일단이 연결된 제2수직판부(110b)의 전단에서 일직선으로 소정 길이로 전방 돌출된 제2받침턱(112-9)이 형성되며,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판(112-6)은 제2수평판(112-5) 타단이 제1수직판(112-6)의 일측면에 직교되게 연결되며, 이때 제1수직판(112-6) 일측면에 연결된 제2수평판(112-5)의 타단을 기준으로 전측의 제1수직판(112-6) 일단을 제2전측형상부(112-6a) 그리고 후측의 제1수직판(112-6) 타단을 제2후측형상부(112-6b)로 구분하여 명명할 때 제1수직판(112-6)의 제2전측형상부(112-6a)가 제2후측형상부(112-6b)의 폭에 비해 더 큰 폭을 가지며, 이때 제1수직판(112-6)을 기준으로 제2수평판(112-5)과 제3수평판(112-7)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끼움턱(112-8)은 제1수직판(112-6) 전단의 수직길이로 형성되면서 외측으로 형성되며, 외측은 수용공간(A) 바깥쪽방향으로서 즉, 제3수평판(112-7)의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전면 수직길이인 세로길이에 대응되면서 상기 전면을 커버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세로바(150)의 후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턱(151-1) 중 타측 결합턱(151-1)과 제2끼움턱(112-8)이 상호 끼움 결합됨으로서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전방면에 세로바(150)가 끼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받침턱(112-9)은 제2수평판(112-5)의 일단의 위치에서 제2수직판부(110b) 전단이 소정의 일직선길이로 더 연장되며, 즉 평면 단면구조에서 제2수평판(112-5)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전방으로 더 연장되면서 제2수직판부(110b)의 직선길이와 동일선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2수평판(112-5)을 기준으로 제2받침턱(112-9)의 돌출 폭은 제1수직판(112-6) 돌출 폭에 비해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상기 제1수직판부(110a)와 제2수직판부(110b)가 결합시 제1수직판부(110a)의 제1결합부(112a)에 형성된 제2판(112-2a)이 후측 그리고 제2수직판부(110b)의 제2결합부(112b)에 형성된 제3수평판(112-7)이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호 면접하게 되며, 이때 제1결합부(112a)의 제1판(112-2a) 전단과 제2결합부(112b)의 제1수직판(112-6) 전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납골함(100)에 있어서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제1측면판부재(110A)의 제1수직판부(110a) 및 제2측면판부재(110B)의 제2수직판부(110b)가 위치하게 되며, 다수 개의 납골함(100)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될 때 상술한 수용공간(A)을 기준으로 일측벽면에 제1수직판부(110a)가 위치 그리고 타측벽면에 제2수직판부(110b)가 위치하도록 하는 납골함(100)들의 가로배열단위를 가진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1, 2수직판부(110a)(110b)에서 서로 마주하는 각 면(面)에 대향하는 각 면(面)에 수직길이로 오목형의 공기유로홈(113)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면서 수평 단면이 반구형을 가지며, 상기 공기유로홈(113)은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수직길이로 형성되며, 일예로 납골함(100)의 좌측벽면인 제1측면판부재(110A)를 구성하는 제1, 2수직판부(110a)(110b)에서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측면에 위치한 제1수직판부(110a) 그리고 상기 제1수직판부(110a)에 결합된 제2수직판부(110b)는 납골함(100)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납골함(100)의 좌측에 다른 납골함(100)을 배열할 때 납골함(100)의 제1측면판부재(110A)가 다른 납골함(100)의 우측벽면을 형성하며, 이때 다른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측면에 상기 제1측면판부재(110A)의 제2수직판부(110b)가 위치하면서 외측면에 제1수직판부(110a)가 위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오목형의 공기유로홈(113)은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의 공기가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로역할로서, 상기 오목형의 공기유로홈(113)이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이때 수용공간(A) 내의 제1수직판부(110a) 내측면에 공기유로홈(113)이 오목형이라면 상기 공기유로홈(113)의 위치에 대응된 제1수직판부(110a)의 외측면으로는 볼록형의 공기유로홈(113)이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측면판부재(110A)의 제2수직판부(110b)도 마찬가지로 제1수직판부(110a)의 공기유로홈(113)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1, 2수직판부(110a)(110b)에서 서로 마주하는 각 면(面) 중앙에 수직길이로 수평 돌출된 제4수평판(114-1)과 상기 제4수평판(114-1)의 끝단과 일면 중앙이 직교되게 연결된 제2수직판(114-2)으로 구성된 보강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부(110a)와 제2수직판부(110b)가 상호 결합시 각각의 제2수직판(114-2) 타면이 서로 면접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수직판부(110a)의 제1결합부(112a)가 수평 돌출된 면(面) 중앙에 제1수직판부(110a)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보강부(114)가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수직판부(110b)의 제2결합부(112b)가 수평 돌출된 면(面) 중앙에 제2수직판부(110b)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보강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14)는 제4수평판(114-1)과 상기 제4수평판(114-1)에 직교되게 연결 배치된 제2수직판(11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수직판(114-2)의 일면 중앙에 제4수평판(114-1)의 끝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2수직판부(110a)(110b)가 상호 결합시 상호 마주한 보강부(114)의 제2수직판(114-2) 타면이 서로 면접되게 된다.
그리고, 도 3,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을 커버하는 상측판부재(120a) 및 하측판부재(120b)가 상호 동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측판부재(120a)의 양단은 수용공간(A)의 좌측에 위치한 제1측면판부재(110A)의 제1수직판부(110a) 상부 그리고 수용공간(A) 우측에 위치한 제2측면판부재(110B)의 제1수직판부(110a) 상부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되며, 이때 상측판부재(120)의 내측에 위치한 다수 개의 체결홈부(128) 위치에 대응되게 제1수직판부(110a)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구(111)가 형성되어 체결홈부(128) 및 체결구(111) 상호 피스로 체결 고정하여 제1수직판부(110a)의 상부에 상측판부재(120a)를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판부재(120b)의 양단은 수용공간(A)의 좌측에 위치한 제1측면판부재(110A)의 제1수직판부(110a) 하부 그리고 수용공간(A) 우측에 위치한 제2측면판부재(110B)의 제2수직판부(110b) 하부에 위치하여 결합 고정되며, 이때 하측판부재(120b)의 내측에 위치한 다수 개의 체결홈부(128) 위치에 대응되게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구(111)가 형성되어 체결홈부(128) 및 체결구(111) 상호 피스로 체결 고정하여 제1수직판부(110a)와 제2수직판부(110b) 사이의 하부에 하측판부재(120b)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상측판부재(120a)는 상측면에 수평판재형의 상판(121a) 및 하측면에 수평판재형의 하판(121b)으로 구성되어 상판(121a)과 하판(121b) 사이의 내부에 다수 개의 수직형 격벽(122)이 등간격의 가로길이로 형성되어 구획된 다수 개의 가로공간(125)을 형성하며, 상기 상판(121a)과 하판(121b) 사이의 전측면을 커버하는 전판(123)과 후측면을 커버하는 후판(124)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판(123)의 하단과 하판(121b)의 전단 사이에 상측으로 요입된 가로길이의 제1결합홈(126)이 형성되며, 상기 전판(123)의 상단과 상판(121a)의 전단 사이에 하측으로 요입된 가로길이의 제2결합홈(127)이 형성되며, 이때 제1결합홈(126)의 수직깊이는 제2결합홈(127)의 수직깊이에 비해 더 큰 수직깊이를 가지게 형성되면서 제1, 2결합홈(126)(127)의 폭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판부재(120a)의 가로공간(125)에 위치한 상판(121a)의 하면 중앙 및 하판(121b)의 상면 중앙에 가로길이로 돌출된 체결홈부(128)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부(128)는 수직단면이 원형이면서 중앙에 가로길이로 관통된 통공(128-1)이 형성되면서 상판(121a) 또는 하판(121b)에 연결된 체결홈부(128) 외주면 일면에 대향하는 체결홈부(128) 외주면 타면에 가로길이로 절개된 절개라인(128-2)이 통공(128-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체결홈부(128)는 상술한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제1, 2수직판부(110a)(110b)에 형성된 체결구(111)에 면접하여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상측판부재(120a)를 제1수직판부(110a)와 제2수직판부(110b) 사이의 상부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판부재(120b)는 상측판부재(120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상측판부재(120a)와 동일한 방향성으로 배치되며, 이때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에서 상측판부재(120a)의 제1결합홈(126)과 하측판부재(120b)의 제2결합홈(127)이 상호 상하로 마주하도록 위치하며, 즉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전방 상측에 상측판부재(120a)의 제1결함홈(126)이 위치 그리고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전방 하측에 하측판부재(120b)의 제2결합홈(127)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판부재(120a)(120b)의 전판 전면에 수평길이로 돌출된 가로돌기가 다수 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A)의 전측을 커버하는 투명판(140)은 수용공간(A) 내에 안치된 유골함을 보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투명판(140)의 상단은 상측판부재(120a)의 제1결합홈(126)에 끼움 결속되면서 투명판(140)의 하단은 하측판부재(120b)의 제2결합홈(127)에 끼움 결속하게 되며, 이때 투명판(140)의 양측단이 제1수직판부(110a)의 제1받침턱(112-4) 내측 전단 및 및 제2수직판부(110b)의 제2받침턱(112-9) 내측 전단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판부재(110A) 및 제2측면판부재(110B) 각각의 전면에 탈부착되도록 세로바(150)가 결합되며, 상기 세로바(150)는 후면 중앙에 수직길이로 수평 연결되면서 끝단에 결합턱(151-1)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151)와 상기 후면 양단에 수직길이로 수평 연결된 지지부(152)가 형성되며, 상기 세로바(150)의 후면에 연결된 연결부(151)의 결합턱(151-1) 각각은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제1, 2끼움턱(112-3)(112-8)에 걸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세로바(150) 후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지지부(152)의 단부는 지지부(152)의 단부 위치에 대응된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제1, 2받침턱(112-4)(112-9) 전단에 면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바(150)의 전면은 수직길이로 돌출된 세로돌기가 다수 개로 배열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도 3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후방을 커버하도록 후면판(130)이 배치되며, 상기 후면판(130)은 수직판재형으로 양단이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제1, 2끼움턱(112-3)(112-8)에 단속되도록 밀착되며, 일예로 후면판(130)의 양단 중 일단이 제1수직판부(110a)의 제1판(112-2a)에 형성된 제1끼움턱(112-3)에 단속 밀착 그리고 후면판(130) 양단 중 타단이 제2수직판부(110b)의 제1수직판(112-6)의 제2끼움턱(112-8)에 단속 밀착되어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후면판(130) 단부와 제1수직판부(110a)의 제1결합부(112a) 제1수평판(112-1) 그리고 제2수직판부(110b)의 제2결합부(112b) 제2수평판(112-5)을 통과하여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납골함(100)의 전면 모서리에 각각 마감부(160)가 설치되며, 상기 마감부(160)의 중앙에 형성된 제1볼트공(161)과 상기 제1볼트공(161)의 위치에 대응되게 세로바(150)의 일면에 형성된 제2볼트공(153) 그리고 상기 제2볼트공(153)의 위치에 대응되게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제2판(112-2b) 일면 및 제3수평판(112-7) 일면에 연통된 제3볼트공(11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결합에서 제1수직판부(110a)의 제2판(112-2b)과 제2수직판부(110b)의 제3수평판(112-7)이 겹쳐 밀착되며, 이때 세로바(150)의 제2볼트공(153)에 위치에 대응되게 제2판(112-2b)과 제수평판(112-7)의 겹쳐진 일면으로 제3볼트공(112-1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마감부(160)의 제1볼트공(161)을 통해 세로바(150)의 제2볼트공(153)을 관통하여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제3볼트공(112-10)으로 피스를 결합하여 마감부(160)를 납골함(100)의 전면 모서리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납골함(100)으로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된 납골안치단(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납골함(100) 수용공간(A)의 항온항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납골안치단(10)의 항온항습 관리시스템은 납골안치단(10)이 개별적인 납골함(100)으로 구획된 영역을 가지면서 납골안치단(10)의 후방에 공기 이동공간이 형성되므로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여서 항온항습장치(20)를 통하여 내부 온도 및 습도 관리가 용이하다.
상기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에 수용된 공기가 외부로 이동되면서 납골함(100)의 후면판(130) 자체에 수용공간(A)의 공기를 순환할 있도록 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포함된다.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납골함(100)의 후면판(130)은, 양단이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제1, 2수직판부(110a)(110b) 제1, 2끼움턱(112-3)(112-8)에 단속되도록 밀착되면서 저면에 다수 개의 제1구멍(131-1)이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제1후판(131)과 상기 제1후판(131)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후판(132) 및 상기 제1후판(131)과 제2후판(132) 사이를 상호 가로질러 연결하여 다수 개의 수직공간로(R1)를 형성하도록 다수 개의 수직격벽(13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후면판(130)은 전방의 제1후판(131)과 후방의 제2후판(132) 그리고 제1후판(131)과 제2후판(132) 사이를 상호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수직격벽(13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후판(131) 전면에는 다수 개의 제1구멍(131-1)이 형성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2후판(132)은 다수 개의 수직격벽(133)에 의해 형성된 다수 개의 수직공간로(R1) 후면을 밀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1후판(131)의 양단 체결 고정은 상술한 후면판(130)과 제1, 2끼움턱(112-3)(112-8) 간의 체결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납골함(100)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납골안치단(10)일 경우 개별 납골함(100)의 후면 전체에 제1후판(131)이 단독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후판(132)과 수직격벽(133)은 납골안치단(10)의 후면 전체에 이음없는 일체의 수직판재형이면서 수직격벽(133)도 상향 및 하향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항온항습장치(20)의 작동으로 상기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의 공기가 후면판의 제1후판(131) 제1구멍(131-1)을 통해 수직공간로(R1)로 이동되며, 이때 납골안치단(10)의 상부에 설치된 항온항습장치(20)에 연계된 공기이동관(21)이 후면판(130)의 수직공간로(R1)에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납골함(100)의 후면판(130)은 수용공간(A) 내의 후측에 결합되어 양단이 각각 제1수직판부(110a) 및 제2수직판부(110b) 사이로 수직공간(134-2)이 형성되면서 중앙에 수평 돌출된 제1탭(134-1a)과 상기 제1탭(134-1a)의 단부에 전면 중앙이 직교되게 연결된 제2탭(134-1b)으로 구성된 밀착부(134-1)가 수직길이로 형성된 제3후판(134)과 상기 제3후판(134)의 후방에 배치되어 밀착부(134-1)의 제2탭(134-1b) 후면에 전면 중앙이 면접되며, 양단이 각각 전방으로 절곡된 차단판(135-1)을 형성하면서 차단판(135-1) 단부와 제3후판(134) 후면 사이가 이격된 들뜬상태로 형성되며, 양단이 소정 길이로 더 연장된 연장탭(135-2)이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제1, 2끼움턱(112-3)(112-8)에 단속되도록 밀착되는 제4후판(135)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판(130)은 제3후판(134)과 제4후판(135)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3후판(134)은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의 후측에 수직으로 커버하되, 상단은 수용공간(A)에 위치한 상측판부재(120a)의 하판(121b)에 고정 그리고 하단은 수용공간(A)에 위치한 하측판부재(120b)의 상판(121a)에 고정되며, 상기 제3후판(134)의 양단은 수용공간(A) 내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수직판부(110a)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3후판(134)의 양단과 제1수직판부(110a) 및 제2수직판부(110b) 사이로 수직공간(134-2)이 형성되어 수용공간(A)의 공기가 이동하도록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제3후판(134)은 양단 중 제3후판(134)의 일단과 제1수직판부(110a) 내측 일면 사이 및 제3후판(134)의 타단과 제2수직판부(110b) 내측 일면 사이에 각각 이격된 수직길이의 수직공간(134-2)이 형성되며, 이때 제3후판(134)의 상/하단은 대응되는 위치의 상/하측판부재(120a)(120b)에 결합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3후판(134)의 후면 중앙에 밀착부(134-1)가 수직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134-1)는 제3후판(134)의 후면 중앙에 수직 돌출되게 형성된 제1탭(134-1a)과 상기 제1탭(134-1a)의 단부에 전면 중앙이 연결되어 상호 직교되게 형성된 제2탭(134-1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후판(135)은 제3후판(134)의 후방에 설치되어 제3후판(134)의 밀착부(134-1) 제2탭(134-1b)의 후면에 제4후판(135) 전면 중앙이 밀착되며, 이때 제3후판(134)과 제4후판(135) 사이에 이격된 공기의 이동공간로(R2)가 형성되며, 상기 제4후판(135)의 양단에서 내향으로 절곡 연결된 차단판(135-1)이 형성되면서 차단판(135-1) 단부와 제3후판(134) 후면 사이가 이격된 들뜬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135-1)과 제3후판(134) 후면 사이의 들뜬상태로 인해 수용공간(A)의 공기가 수직공간을 통해 이동되면서 제3후판(134)과 제4후판(135) 사이의 이동공간로(R2)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4후판(135)의 양단이 소정 길이로 더 연장된 연장탭(135-2)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탭(135-2)이 제1, 2측면판부재(110A)(110B)의 제1, 2수직판부(110a)(110b)의 제1, 2끼움턱(112-3)(112-8)에 단속되도록 밀착된다.
상기 항온항습장치(20)의 작동으로 납골함(100)의 공기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일예로 하측 납골함(100)과 상측 납골함(100)이 상하로 배열되었을 경우 하측 납골함(100)의 제3후판(134)과 제4후판(135) 사이의 이동공간(R2) 위치에 대응된 상측 납골함(100)의 제3후판(134)과 제4후판(135) 사이의 이동공간(R2)에 위치하면서 하측 납골함(100)과 상측 납골함(100)의 상하 경계면이 되는 상측 납골함(100)의 하측판부재(120b)로 하나 이상의 제2구멍(미도시)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측 납골함(100)의 하측판부재(120b)는 하측 납골함(100)에서는 상측판부재(120a)이며, 상기 하측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에 수용된 공기가 하측 납골함(100)의 제3후판(134)과 제4후판(135) 사이의 이동공간(R2)을 통해 하측판부재(120b)의 제2구멍을 통과하여 상측 납골함(100)의 제3후판(134)과 제4후판(135) 사이의 이동공간(R2)으로 이동되는 과정으로 습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면판(130) 또는 후면판(130)의 제3후판(134) 전면 중앙 및 후면 중앙에 각각 원반형으로 돌출되면서 내부에 원통형의 제1공간(136-3)이 형성된 공기출입부(136)와, 상기 제1공간(136-3)의 전측 공기출입부(136) 내측 중앙과 후측 공기출입부(136) 내측 중앙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된 원통형의 연결관부(137)와 상기 연결관부의 외주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날개(138a)(138b)와 상기 연결관부(137)의 내부에 발열부(139)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부(137)의 외주면과 제1공간(136-3)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링형의 제1공간(136-3)으로 연통되도록 전측 및 후측 각각의 공기출입부(136) 일면에 방사형의 일자형 제1직선통공(136-1)이 다수 개의 원호형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1직선통공(136-1)과 상기 제1직선통공(136-1)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 제2직선통공(136-2)이 교차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공기출입부(136)는 원반형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어 단독의 후면판(130) 또는 후면판(130)의 제3후판(134) 전면 중앙 및 후면 중앙에 돌출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원통형의 제1공간(136-3)을 형성한다.
상기 단독의 후면판(130)은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의 후방을 밀폐하는 수직판재형의 후면판(130)이 단독으로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제3후판에 공기출입부가 형성될 경우 제3후판(134)의 양단은 수용공간(A) 내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수직판부(110a) 및 제2수직판부(110b)와 각각 이격되게 배치거나 제3후판(134)의 양단은 수용공간(A) 내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수직판부(110a) 및 제2수직판부(110b) 일면에 결합 연결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관부(137)는 수평의 원통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공간(136-3)의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전단이 전측 공기출입부(136)의 내측 중앙에 연결 그리고 후단이 후측 공기출입부(136)의 내측 중앙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는 그래파이트 또는 발열필름으로 구성되어 연결관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일정 온도로 제어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발열부(139)에 의해 연결관부(137)의 내부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가이드날개(138a)(138b) 또는 외부로 열이 전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부(137)의 외주면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외주면에 서로 대칭형의 나선형 가이드날개(138a)(138b)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날개(138a)(138b)의 외주단은 제1공간(136-3)의 내주면에 면접 또는 제1공간(136-3)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날개(138a)(138b)는 일회전형의 1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후판(134) 전/후측에 형성된 공기출입부(136) 일면에 원호형의 방사형태로 형성된 다수 개의 제1, 2직선통공(136-1)(136-2)은 연결관부(137) 외주면과 제1공간(136-3)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한 제1공간(136-3)으로 연통되며, 상기 제1직선통공(136-1)의 직선길이보다 더 작은 직선길이를 가진 제2직선통공(136-2)이 서로 교차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외부의 공기가 납골함(100)으로 유입시 제3후판(134) 후측에 형성된 공기출입부(136)의 제1, 2직선통공(136-1)(136-2)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제1공간(136-3)에 형성된 일측 가이드날개(138b)에 의해 정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어 다시 타측 가이드날개(138a)에 의해 역방향으로 공기가 이동되며, 이때 가이드날개(138a)(138b)가 위치한 제1공간(136-3) 내에는 일정온도의 가열공간을 가지어 외부의 습한공기를 건조시켜 제3후판(134) 전측에 형성된 공기출입부(136)의 제1, 2직선통공(136-1)(136-2)을 통해 납골함(100)으로 유입하게 되며, 이러한 납골함(100) 내의 공기 순환을 통해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이 건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납골함(100)의 상측판부재(120a) 및 하측판부재(120a)의 가로공간(125) 내부에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제습제가 채워지며, 이때 상측판부재(120a)의 상판(121a) 및 하판(121b)에 미세구멍이 다수 개가 형성되어 수용공간(A)의 습한공기가 미세구멍을 통해 제습제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납골안치단(10)의 저면부에 제습제를 채우기 위한 제습구가 형성된 함체가 형성되며, 상기 함체는 납골함(100) 각각의 세로배열 단위 하부에 제습제를 수용한 서랍형 제습함이 복수 개로 구비되면서 함체 상부에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에 연통된 제습구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날골안치단 10 납골함 100 제1측면판부재 110A
제2측면판부재 110B 제1수직판부 110a 제2수직판부 110b
제1결합부 112a 제2결합부 112b 제1수평판 112-1
제1결합판 112-2 제1판 112-2a 제2판 112-2b
제1끼움턱 112-3 제1받침턱 112-4 제2수평판 112-5
제1수직판 112-6 제3수평판 112-7 제2끼움턱 112-8
제2받침턱 112-9 공기유로홈 113 보강부 114
상측판부재 120a 하측판부재 120b 상판 121a
하판 121b 격벽 122 전판 123
후판 124 가로공간 125 제1결합홈 126
제2결합홈 127 후면판 130 제1후판 131
제2후판 132 수직격벽 133 제3후판 134
밀착부 134-1 제1탭 134-1a 제2탭 134-1b
제4후판 135 차단판 135-1 연장탭 135-2
공기출입부 136 연결관부 137 가이드날개 138a, 138b
발열부 139 투명판 140 세로바 150
연결부 151 지지부 152 마감부 160

Claims (16)

  1. 상하 좌우로 적층 배열되는 다수 개의 납골함(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납골함(100)은, 내부에 사면체의 수용공간(A)을 형성하도록 좌측 및 우측 각각을 커버하는 제1측면판부재(110A) 및 제2측면판부재(110B)와, 상기 수용공간(A)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을 커버하는 상측판부재(120a) 및 하측판부재(120b)와, 상기 수용공간(A)의 후측을 커버하는 후면판(130) 및, 상기 수용공간(A)의 전측을 커버하는 투명판(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판부재(110A)와 제2측면판부재(110B)는 각각 수용공간(A)의 좌측 및 우측에 수직판재형태로 배치되면서 제1측면판부재(110A) 및 제2측면판부재(110B) 각각이 제1수직판부(110a)와 제2수직판부(110b)로 상호 결합된 일체 결합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제1수직판부(110a)는, 전측단 및 후측단 각각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일측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된 제1결합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12a)는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일단이 연결 절곡된 제1수평판(112-1)과 상기 제1수평판(112-1) 타단에 연결되어 제1판(112-2a)과 제2판(112-2b)이 직각으로 연결된 제1결합판(112-2)이 형성되되, 상기 제1수평판(112-1)과 직교되는 제1판(112-2a)의 일측면에 제1수평판(112-1)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결합판(112-2)의 제1판(112-2a) 전단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제1판(112-2a) 전단 외측으로 돌출된 제1끼움턱(112-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판(112-1) 일단이 위치한 제1수직판부(110a)의 단부에서 직선으로 더 연장된 제1받침턱(112-4)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판부(110b)는, 전측단 및 후측단 각각의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타측으로 수평 돌출되면서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된 제2결합부(112b)가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부(112b)는 제1수직판부(110a)의 제1결합부(112a)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결합부(112b)는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일단이 연결 절곡된 제2수평판(112-5)과 상기 제2수평판(112-5) 타단이 일면에 직교되게 연결된 제1수직판(112-6)과 상기 제1수직판(112-6)의 타면에 직교되게 연결된 제3수평판(112-7)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112-6) 전단 수직길이에 대응되게 제1수직판(112-6) 전단 내측으로 돌출된 제2끼움턱(112-8)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평판(112-5) 일단이 위치한 제2수직판부(110b)의 단부에서 직선으로 더 연장된 제2받침턱(112-9)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판(112-2)은, 제1판(112-2a)과 제2판(112-2b)이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수직바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수평판(112-1)의 타단과 제1판(112-2a)은 직교되게 연결되되, 제1수평판(112-1)의 타단을 기준으로 제1판(112-2a)을 제1전측형상부(112-2a1) 및 제1후측형상부(112-2a2)로 구분하여 제1판(112-2a)의 제1전측형상부(112-2a1)가 제1후측형상부(112-2a2)의 폭에 비해 더 큰 폭을 가지며, 이때 제1판(112-2a)을 기준으로 제1수평판(112-1)과 제2판(112-2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판(112-1)을 기준으로 제1받침턱(112-4)의 돌출 폭은 제1결합판(112a)의 제1판(112-2a) 돌출 폭에 비해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판(112-6)은 제2수평판(112-5) 타단이 제1수직판(112-6)의 일측면에 직교되게 연결되며, 이때 제1수직판(112-6) 일측면에 연결된 제2수평판(112-5)의 타단을 기준으로 전측의 제1수직판(112-6) 일단을 제2전측형상부(112-6a) 그리고 후측의 제1수직판(112-6) 타단을 제2후측형상부(112-6b)로 구분하며, 상기 제1수직판(112-6)의 제2전측형상부(112-6a)가 제2후측형상부(112-6b)의 폭에 비해 더 큰 폭을 가지며, 이때 제1수직판(112-6)을 기준으로 제2수평판(112-5)과 제3수평판(112-7)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판(112-5)을 기준으로 제2받침턱(112-9)의 돌출 폭은 제1수직판(112-6) 돌출 폭에 비해 작은 폭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판부(110a)와 제2수직판부(110b)가 결합할 때 제1수직판부(110a)의 제1결합부(112a)에 형성된 제2판(112-2b)이 후측 그리고 제2수직판부(110b)의 제2결합부(112b)에 형성된 제3수평판(112-7)이 전측에 위치하도록 상호 면접하게 되며, 이때 제1결합부(112a)의 제1판(112-2a) 전단과 제2결합부(112b)의 제1수직판(112-6) 전단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부재(110A)와 제2측면판부재(110B)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1수직판부(110a) 및 제2수직판부(110b)에서 서로 마주하는 각 면(面)에 대향하는 각 면(面)에 수직길이로 오목형의 공기유로홈(113)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면서 수평 단면이 반구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부재(110A)와 제2측면판부재(110B)의 각각을 구성하는 제1수직판부(110a) 및 제2수직판부(110b)에서 서로 마주하는 각 면(面) 중앙에 수직길이로 수평 돌출된 제4수평판(114-1)과 상기 제4수평판(114-1)의 끝단과 일면 중앙이 직교되게 연결된 제2수직판(114-2)으로 구성된 보강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부(110a)와 제2수직판부(110b)가 상호 결합시 각각의 제2수직판(114-2) 타면이 서로 면접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의 상측 및 하측 각각을 커버하는 상측판부재(120a) 및 하측판부재(120b)가 상호 동일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측판부재(120a)는 상측면에 수평판재형의 상판(121a) 및 하측면에 수평판재형의 하판(121b)으로 구성되어 상판(121a)과 하판(121b) 사이의 내부에 다수 개의 수직형 격벽(122)이 등간격의 가로길이로 형성되어 구획된 다수 개의 가로공간(125)을 형성하며, 상기 상판(121a)과 하판(121b) 사이의 전측면을 커버하는 전판(123)과 후측면을 커버하는 후판(124)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판(123)의 하단과 하판(121b)의 전단 사이에 상측으로 요입된 가로길이의 제1결합홈(126)이 형성되며, 상기 전판(123)의 상단과 상판(121a)의 전단 사이에 하측으로 요입된 가로길이의 제2결합홈(127)이 형성되며, 이때 제1결합홈(126)의 수직깊이는 제2결합홈(127)의 수직깊이에 비해 더 큰 수직깊이를 가지게 형성되면서 제1결합홈(126) 및 제2결합홈(127) 각각의 폭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측판부재(120b)는 상측판부재(120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상측판부재(120a)와 상하 동일한 방향성으로 배치되며, 이때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내에서 상측판부재(120a)의 제1결합홈(126)과 하측판부재(120b)의 제2결합홈(127)이 상호 상하로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A)의 전측을 커버하는 투명판(140)의 상단은 상측판부재(120a)의 제1결합홈(126)에 끼움 결속되면서 투명판(140)의 하단은 하측판부재(120b)의 제2결합홈(127)에 끼움 결속하게 되며, 이때 투명판(140)의 양측단이 제1수직판부(110a)의 제1받침턱(112-4) 내측 전단 및 제2수직판부(110b)의 제2받침턱(112-9) 내측 전단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부재(110A) 및 제2측면판부재(110B) 각각의 전면에 탈부착되도록 세로바(150)가 결합되며, 상기 세로바(150)는 후면 중앙에 수직길이로 수평 연결되면서 끝단에 결합턱(151-1)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151)와 후면 양단에 수직길이로 수평 연결된 지지부(152)가 형성되며, 상기 세로바(150)의 후면에 연결된 연결부(151)의 결합턱(151-1) 각각은 제1수직판부(110a)의 제1끼움턱(112-3) 및 제2수직판부(110b)의 제2끼움턱(112-8)에 걸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세로바(150) 후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지지부(152)의 단부는 지지부(152)의 단부 위치에 대응된 제1수직판부(110a)의 제1받침턱(112-4) 및 제2수직판부(110b)의 제2받침턱(112-9) 전단에 면접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100)의 수용공간(A) 후방을 커버하도록 후면판(130)이 배치되며, 상기 후면판(130)은 수직판재형으로 양단이 제1수직판부(110a)의 제1끼움턱(112-3) 및 제2수직판부(110b)의 제2끼움턱(112-8)에 단속되도록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100) 내부의 항온항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납골함의 후면판(130) 자체에 수용공간(A)의 공기를 순환할 수 있는 이동공간을 형성한 상기 납골안치단(10)에 설치되는 항온항습장치(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납골함(100)의 후면판(130)은, 양단이 제1수직판부(110a)의 제1받침턱(112-4) 및 제2수직판부(110b)의 제2받침턱(112-9)에 단속되도록 밀착되면서 저면에 다수 개의 제1구멍(131-1)이 형성된 수직판재형의 제1후판(131)과 상기 제1후판(131)의 후방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후판(132) 및 상기 제1후판(131)과 제2후판(132) 사이를 상호 가로질러 연결하여 다수 개의 수직공간로(R1)를 형성하도록 다수 개의 수직격벽(13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100)의 후면판(130)은, 수용공간(A) 내의 후측에 결합되어 양단이 각각 제1수직판부(110a) 사이로 수직공간(A)이 형성되면서 중앙에 수평 돌출된 제1탭(134-1a)과 상기 제1탭(134-1a)의 단부에 전면 중앙이 직교되게 연결된 제2탭(134-1b)으로 구성된 밀착부(134-1)가 수직길이로 형성된 제3후판(134)과 상기 제3후판(134)의 후방에 배치되어 밀착부(134-1)의 제2탭(134-1b) 후면에 전면 중앙이 면접되며, 양단이 각각 전방으로 절곡된 차단판(135-1)을 형성하면서 차단판(135-1) 단부와 제3후판(134) 후면 사이가 이격된 들뜬상태로 형성되며, 양단이 소정 길이로 더 연장된 연장탭(135-2)이 제1수직판부(110a)의 제1받침턱(112-4) 및 제2수직판부(110b)의 제2받침턱(112-9)에 단속되도록 밀착되는 제4후판(13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130) 또는 후면판(130)의 제3후판(134) 전면 중앙 및 후면 중앙에 각각 원반형으로 돌출되면서 내부에 원통형의 제1공간(136-3)이 형성된 공기출입부(136)와, 상기 제1공간(136-3)의 전측 공기출입부(136) 내측 중앙과 후측 공기출입부(136) 내측 중앙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된 원통형의 연결관부(137)와 상기 연결관부의 외주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날개(138a)(138b)와 상기 연결관부(137)의 내부에 발열부(139)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부(137)의 외주면과 제1공간(136-3)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링형의 제1공간(136-3)으로 연통되도록 전측 및 후측 각각의 공기출입부(136) 일면에 방사형의 일자형 제1직선통공(136-1)이 다수 개의 원호형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1직선통공(136-1)과 상기 제1직선통공(136-1)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진 제2직선통공(136-2)이 교차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안치단.
KR1020210106033A 2021-08-11 2021-08-11 납골안치단 KR102328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33A KR102328747B1 (ko) 2021-08-11 2021-08-11 납골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033A KR102328747B1 (ko) 2021-08-11 2021-08-11 납골안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747B1 true KR102328747B1 (ko) 2021-11-18

Family

ID=7871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033A KR102328747B1 (ko) 2021-08-11 2021-08-11 납골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7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63Y1 (ko) * 2006-02-20 2006-05-10 주식회사 두호메모리얼 조립식 안치단
KR20120019824A (ko) * 2010-08-27 2012-03-07 (주) 금성산업 납골안치단
KR101670234B1 (ko) 2016-08-09 2016-10-28 차재진 단열부재를 이용한 습기 및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봉안단
KR101875895B1 (ko) 2018-02-26 2018-07-06 김경열 간편한 조립구조 및 이중 밀폐기능을 갖춘 납골안치단
KR101896067B1 (ko) * 2017-08-22 2018-09-06 우리샤링 (주) 유골함 안치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63Y1 (ko) * 2006-02-20 2006-05-10 주식회사 두호메모리얼 조립식 안치단
KR20120019824A (ko) * 2010-08-27 2012-03-07 (주) 금성산업 납골안치단
KR101670234B1 (ko) 2016-08-09 2016-10-28 차재진 단열부재를 이용한 습기 및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봉안단
KR101896067B1 (ko) * 2017-08-22 2018-09-06 우리샤링 (주) 유골함 안치단
KR101875895B1 (ko) 2018-02-26 2018-07-06 김경열 간편한 조립구조 및 이중 밀폐기능을 갖춘 납골안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414B1 (en) Modular panel construction system
CA2738553C (en) Wood and resin deck box
US6499260B2 (en) Portable greenhouse struc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same
US10889984B2 (en) Building assembly
US3001613A (en) Interlocking metal building panel
KR102342360B1 (ko)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US5115762A (en) Gable style prefabricated doghouse
KR101711620B1 (ko) 확장바를 이용한 다기능 가변형 조립식 봉안단
KR102328747B1 (ko) 납골안치단
KR101677155B1 (ko) 체결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봉안단
US4066370A (en) Assembling piece
NZ522774A (en) Accessory for modular elements for the support and ventilation of crawl spaces, floor structures, floors or similar articles in the building field
KR101670234B1 (ko) 단열부재를 이용한 습기 및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봉안단
US3968531A (en) Molded plastic beehive
KR100875542B1 (ko) 조립형침대
US4525964A (en) Structural element for the manufacture of casings, wall disks, boxes and such articles
KR200278491Y1 (ko) 납골안치단
JPH0670329B2 (ja) エアサイクルシステム用三角形パネルを用いたドームハウスの建築方法
KR950008777Y1 (ko) 조립식 돔(Dome)형 구조물
JP3231208U (ja) 養蜂箱
BR102018011313A2 (pt) invólucro empilhável e autoportante
CN217488017U (zh) 隔断架
JPS5918315Y2 (ja) 乾燥用かご
JPH0723628B2 (ja) アルミニウム中空押出型材製の箱形構造物
JPS5822953Y2 (ja) 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