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60B1 -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 Google Patents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60B1
KR102342360B1 KR1020210114969A KR20210114969A KR102342360B1 KR 102342360 B1 KR102342360 B1 KR 102342360B1 KR 1020210114969 A KR1020210114969 A KR 1020210114969A KR 20210114969 A KR20210114969 A KR 20210114969A KR 102342360 B1 KR102342360 B1 KR 10234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ace
horizontal
ossuar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원
Original Assignee
채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상원 filed Critical 채상원
Priority to KR102021011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으로 프레임부재(100a)가 조립되어 격자형의 수용공간(101)을 형성한 프레임조립체(100)에 납골함(200)을 수용공간에 수납하며, 상기 프레임조립체(100)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100a)가 상호간의 대칭구조로 결합되어 제작비용이 감소되면서 조립이 용이하며, 유골함을 수납하는 납골함(200)의 수납공간(201)을 커버부재(200a)로 밀폐함으로서 외부와의 기밀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납골합(200)의 수납공간(201) 내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유골함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10)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부재(100a)가 조립되어 격자형의 수용공간(101)이 다층으로 형성된 프레임조립체(100);와, 상기 프레임조립체(100)의 수용공간(101)에 조립되면서 유골함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201)이 형성된 함체(200a)와 상기 함체(200a)의 전방을 밀폐하는 커버부재(200b)로 구성된 납골함(200); 및, 상기 납골함(200)이 조립된 프레임조립체(100)의 수용공간(101) 전방에 프레임부재(100a)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한 도어부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CHARNEL PLATE WITH CINERARY URN FOR SEALING AND KEEPING}
본 발명은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및 수평으로 프레임부재가 조립되어 격자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프레임조립체에 납골함을 수용공간에 수납하며, 상기 프레임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가 상호간의 대칭구조로 결합되어 제작비용이 감소되면서 조립이 용이하며, 유골함을 수납하는 납골함의 수납공간을 커버부재로 밀폐함으로서 외부와의 기밀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납골합의 수납공간 내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유골함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장묘문화는 화장을 기피하고 매장을 선호하는 매장 위주의 장묘관행이 뿌리깊게 박혀 있었으나, 최근에는 화장문화가 점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고인의 유골을 독립적으로 안치토록 한 다수의 봉안함이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봉안단(혹은, 납골함단, 안치단이라고도 함)을 갖춘 추모시설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봉안단은 통상 사각형상의 개폐판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유골함 수납공간(즉, 납골함 또는 봉안함)이 상하 및 좌우로 층과 열을 이루도록 연속 형성되어 각 수납공간의 내부 공간에 유골이 내장된 유골함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봉안함은 최근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소재, 열가소성 수지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등을 사용하여 성형 제작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강화시킨 제품이 개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봉안단은 실내형과 실외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바, 실내형은 전면이 개구된 봉안함(또는, 납골함)의 전면 개구부에 유리와 같은 도어로 덮어 내부를 들여들 볼 수 있도록 된 것이 보통이고, 실외형은 유리와 같은 도어를 다시 한번 뚜껑으로 최종 밀폐하여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상기 뚜껑은 통상적으로 천연석, 인조 대리석, 브론즈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안치단 외관의 미려함을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별도의 로젯이나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잠금장치(혹은 , 시건장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조립식 납골함단(혹은 봉안단, 안치단)의 경우, 주로 별도의 알루미늄이나 철제를 이용한 프로파일형 골조구조(혹은,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여 납골함(혹은 봉안함)을 삽입하여 조립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프로파일형 골조구조는 시공이 불편하고, 생산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봉안단의 규모를 자유자재로 조절하거나 이전 설치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형 골조구조를 갖는 조립식 봉안단의 경우, 각 프로파일 연결부(이음새)의 조립 부분이 볼트 체결이나 용접 등으로 결합함에 따라 봉안단의 장기간 사용시 하중재하에 의한 안정성에 종종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313호(내진구조를 갖는 납골안치단)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8613호(봉안함을 밀폐 고정시키는 봉암함 밀폐 고정장치)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구조를 가진 납골함을 수납하도록 마련된 납골안치단은 수직 및 수평으로 프레임부재가 조립되어 격자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프레임조립체에 납골함을 수용공간에 수납하며, 상기 프레임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가 상호간의 대칭구조로 결합되어 제작비용이 감소되면서 조립이 용이하며, 그리고 유골함을 수납하는 납골함의 수납공간을 커버부재로 밀폐함으로서 외부와의 기밀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납골합의 수납공간 내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유골함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납골안치단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부재가 조립되어 격자형의 수용공간이 다층으로 형성된 프레임조립체와, 상기 프레임조립체의 수용공간에 조립되면서 유골함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전방에 커버부재가 형성된 납골함 및, 상기 납골함이 조립된 프레임 조립체의 수용공간 전방에 프레임부재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한 도어부재로 구성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재는 수용공간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각 면(面)의 전방에 수직길이의 제1수직프레임부와 각 면(面)의 후방에 수직길이의 제2수직프레임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각 면(面)의 전방인 양측 제1수직프레임부 간을 수평길이로 연결되는 제1수평프레임부와 각 면(面)의 후방인 양측의 제2수평프레임부 간을 수평길이로 연결되는 제2수평프레임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와 제1수평프레임부 그리고 제2수직프레임부와 제2수평프레임부가 교차되는 위치에서 제1수직프레임부와 제2수직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수평바로 구성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는 전측의 제1프레임과 후측의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면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은,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향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2면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전단이 연결된 제2면의 후단에 대향된 전단에 수직 절곡된 제3면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2면과 후측 제2면 사이로 제1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은,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향한 제4면과 상기 제4면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5면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5면과 후측 제5면 사이로 제2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는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향한 제6면과 상기 제6면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7면과 상기 제6면의 후측에 위치한 제7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절곡된 결합면 그리고 상기 제6면의 후측단에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차단면이 형성되면서 전측 제7면과 후측 제7면 사이로 제3공간이 형성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후단이 연결된 제2프레임의 전단에 대향하는 후단 및 제2수직프레임의 제6면의 전측에 위치한 제7면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면서 서로 마주하여 전후 대칭형태로 형성된 공간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공간프레임은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향한 제8면과 상기 제8면의 양단에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9면 그리고 각각의 제9면 단부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수직 절곡된 제10면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9면과 후측 제9면 사이로 제4공간이 형성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평프레임부는 전측의 제3프레임과 후측의 제4프레임으로 구성되면서 제1프레임 후측면 중앙과 제2프레임의 전측면 중앙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은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1프레임의 제1면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1수평공간이 형성되어 제1수평공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4프레임은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2프레임의 제4면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2수평공간이 형성되어 제2수평공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면서 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평길이로 연결된 제1결합판이 형성되되, 상하측 제1결합판 간의 수직폭이 제2수평공간의 수직폭에 비해 더 큰 수직폭을 가지며,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는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2수직프레임부의 제6면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3수평공간이 형성되어 제3수평공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면서 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평길이로 연결된 제2결합판이 형성되되, 상하측 제2결합판 간의 수직폭이 제3수평공간의 수직폭에 비해 더 큰 수직폭을 가지며,
상기 제2수평공간이 위치한 제4프레임의 단면적과 제3수평공간이 위치한 제2수평프레임부의 단면적이 동일하면서 상기 제4프레임의 제1결합판과 제2수평프레임부의 제2결합판이 상호 대응되는 수평 위치에 형성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수평공간이 위치한 제3프레임의 단면적은 제2수평공간이 위치한 제4프레임의 단면적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형성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평바는 수평길이로 일측 제1형상부와 타측 제2형상부로 균등하게 분할 구분되며, 상기 제1형상부의 전면은 제2프레임의 후측 제5면에 면접 그리고 상기 제1형상부의 후면은 제2수직프레임부의 후측 제7면에 면접되며,
상기 제2형상부의 전단은 제4프레임의 제1결합판 사이로 끼움 결합 그리고 상기 제2형상부의 후단은 제2수평프레임부의 제2결합판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다른 수용공간을 형성할 때 상기 다른 수용공간에서는 기준이 되는 수용공간의 제1수직프레임부 및 제2수직프레임부에 각각 대응되는 제1수직프레임부 및 2수직프레임부와 대칭형태로 상호 결합되면서 기준이 되는 수용공간의 제1수평프레임부와 제2수평프레임부가 동일한 방향성으로 배치되는 결합단위로 배열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 전방을 개폐 가능하도록 제1수평프레임부의 제3프레임에 결합된 경첩부재에 연결된 도어부재가 포함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납골함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방을 밀폐하는 커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함체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성형되면서 사방면에 세로길이로 돌출된 제1돌출탭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후면에 격자배열의 제2돌출탭이 형성되며, 전방 개방구의 테두리를 따라 접면부가 형성되면서 접면부를 따라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면서 체결공의 외주방향으로 동심원 일부가 접면부 단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접면부 중앙을 따라 다수 개의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이 형성된 접면부 내측을 따라 단차진 형태의 차단탭이 이음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접면부의 차단탭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제1실링부가 형성된 패킹부와 상기 패킹부의 전면 가장자리에 후면 가장자리가 밀착되는 수직판재형의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 전측에 배치되어 접면부를 따라 체결 고정되면서 접면부의 제1결합공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테두리에 체결홈이 형성된 덮개프레임으로 구성된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함체의 상면 중앙에 수납공간 내측으로 요입된 세로길이의 공간형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체의 수납공간 상부 중앙에 하향 돌출된 공간형성부에서 개방구로 노출된 공간형성부의 노출면에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끼워져 밀폐되면서 불활성가스를 주입 또는 수납공간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부착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및 수평으로 프레임부재가 조립되어 격자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프레임조립체에 납골함을 수용공간에 수납하며, 상기 프레임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가 상호간의 대칭구조로 결합되어 제작비용이 감소되면서 조립이 용이하며, 유골함을 수납하는 납골함의 수납공간을 커버부재로 밀폐함으로서 외부와의 기밀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납골합의 수납공간 내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유골함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프레임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프레임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프레임부재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제1수직프레임부 간 대칭형태로 결합되는 분리도면(a)과 제2수직프레임부 간 대칭형태로 결합되는 분리도면(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제1수직프레임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제2수직프레임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제1수평프레임부의 사시도(a)와 제2수평프레임부의 사시도(b).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제1수평프레임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a)과 제2수평프레임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b).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제2수직프레임부-제2수평프레임부-수평바 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제1수직프레임부-제1수평프레임부-수평바 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프레임부재의 수용공간에 납골함이 수용되면서 도어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프레임부재의 수용공간으로 납골함이 수용 결합되는 분리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납골함이 커버부재의 수용공간으로 수납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납골함의 함체에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납골함의 함체를 나타낸 평면도면(a)과 배면도면(b).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납골함의 함체를 나타낸 정면도면(a)과 덮개프레임 정면도면(b).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납골함의 함체에 체크밸브가 장착되는 분리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서 함체에 체크밸브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면(a)과 A-A부위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b).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안치단(10)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부재(100a)가 조립되어 격자형의 수용공간(101)이 다층으로 형성된 프레임조립체(100)와, 상기 프레임조립체(100)의 수용공간(101)에 조립되면서 유골함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201)이 형성된 함체(200a)와 상기 함체(200a)의 전방을 밀폐하는 커버부재(200b)로 구성된 납골함(200) 및, 상기 납골함(200)이 조립된 프레임조립체(100)의 수용공간(101) 전방에 프레임부재(100a)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한 도어부재(300)로 구성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10, 이하, ‘납골안치단’이라 칭함.)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조립체(100)는 다수 개의 수용공간(101)이 격자형태로 배열된 구조로서, 각 사면체형의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골격을 이루도록 프레임부재(100a)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01)으로 납골함(200)이 수용되며, 이때 1개의 수용공간(101)에 1개의 납골함(200)이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납골함(200)은 전방 커버부재(200b)가 탈부착구조로서 내부에 수납공간(201)이 형성되어 유골함을 안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01)으로 납골함(200)이 수용된 후 수용공간(101)의 전방을 개폐가능하도록 도어부재(30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재(100a)는 수용공간(101)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각 면(面)의 전방에 수직길이의 제1수직프레임부(110)와 각 면(面)의 후방에 수직길이의 제2수직프레임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각 면(面)의 전방인 양측 제1수직프레임부(110) 간을 수평길이로 연결되는 제1수평프레임부(130)와 각 면(面)의 후방인 양측의 제2수직프레임부(120) 간을 수평길이로 연결되는 제2수평프레임부(14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와 제1수평프레임부(130) 그리고 제2수직프레임부(120)와 제2수평프레임부(140)가 교차되는 위치에서 제1수직프레임부(110)와 제2수직프레임부(120)를 수평 연결하는 수평바(150)로 구성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상기 수용공간(101)을 기준으로 좌/우측면의 양측면, 상면, 하면 그리고 전방의 도어부재(300)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재(100a)는 양측면 각각의 전방 및 후방에 제1수직프레임부(110) 및 제2수직프레임부(120)가 위치하면서 양측면이 서로 좌우대칭형태로 배치되며, 즉 좌측면의 제1, 2수직프레임부(110)(120) 형태가 우측면에는 좌우 대칭형의 제1, 2수직프레임부(110)(120)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0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전방 및 후방에 제2수평프레임부(130) 및 제2수평프레임부(140)가 위치하며, 전방의 수평길이로 형성된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양단은 대응되는 양측의 제1수직프레임부(110)에 연결되어 양측 제1수직프레임부(110) 간을 가로질러 연결되며, 후방의 수평길이로 형성된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양단은 대응되는 양측의 제2수직프레임부(120)에 연결되어 양측 제2수직프레임부(120) 간을 가로질러 연결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면체의 골격구조를 가진 하나의 수용공간(101, 이하, 제1수용공간이라 칭함.)에는 제1, 2수직프레임부(110)(120)로 구성된 좌측면 및 우측면 그리고 제1, 2수평프레임부(130)(140)로 구성된 상면 및 하면으로 구성 그리고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수평바(150)로 구성되며, 이에 제1수용공간(101) 양측에 각각 다른 수용공간(101, 이하, 제2수용공간이라 칭함.)이 배열될 때 좌측에 배열된 제2수용공간(101)의 경우 제1수용공간(101)을 구성하는 좌측면 및 우측면 골격구조가 좌우 대칭형태로 제2수용공간(101)의 좌측면 및 우측면 골격구조를 형성하면서 제1수용공간(101)의 우측면 골격을 구성하는 제1, 2수직프레임부(110)(120)가 대응되는 제2수용공간(101)의 좌측면 골격을 구성하는 제1, 2수직프레임부(110)(120)와 상호 대칭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101)의 상면 및 하면의 골격구조는 제2수용공간(101)의 상면 및 하면의 골격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수용공간(101)이 다층으로 배열될 경우 수용공간(101)의 좌측면 및 우측면 골격구조를 구성하는 제1, 2수직프레임부(110)(120)가 다층의 수직길이에 대응된 수직길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는 전측의 제1프레임(111)과 후측의 제2프레임(112)으로 구성되면서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1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11)은,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1면(111-1)과 상기 제1면(111-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2면(111-2)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113)의 전단이 연결된 제2면(111-2)의 후단에 대향된 전단에 수직 절곡된 제3면(111-3)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2면(111-2)과 후측 제2면(111-2) 사이로 제1공간(111-4)이 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112)은,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4면(112-1)과 상기 제4면(112-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5면(112-2)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5면(112-2)과 후측 제5면(112-2) 사이로 제2공간(11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120)는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6면(121)과 상기 제6면(12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7면(122)과 상기 제6면(121)의 후측에 위치한 제7면(1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절곡된 결합면(123) 그리고 상기 제6면(121)의 후측단에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차단면(124)이 형성되면서 전측 제7면(122)과 후측 제7면(122) 사이로 제3공간(125)이 형성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형성한 프레임부재(100a)의 사면체형 골격구조에서 전방의 양측 수직길이의 골격에 해당하여 소정길이의 수직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프레임(111), 제2프레임(112) 및 상기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113)으로 구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11)은 후술되는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3프레임(131) 끝단이 면접되어 결합 고정되며, 그리고 제1프레임(111)의 전측 제2면(111-2)과 후측 제2면(111-2) 사이로 사각형태의 제1공간(111-4)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111-4)이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부(110)를 구성하는 제1수용공간(101)의 측부에 다른 프레임부재(100a)인 상술한 제2수용공간(101)이 배치될 때 제1수용공간(101)의 제1수직프레임부(110)와 제2수용공간(101)의 제1수직프레임부(110)가 상호 대칭형태로 포개어져 결합되며, 이때 제1공간(111-4)이 상호 마주하면서 제3면(111-3)이 상호 면접하는 결합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프레임(113)은 제1프레임(111)의 제3면(111-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나란히 수평 배열된 제1, 2수용공간(101)(101)을 구성하는 중앙 위치에서 상호 면접한 제1수직프레임부(110) 간에 제1연결프레임(113)이 상호 면접되는 형태를 가지며, 후술되는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2연결프레임(133)의 끝단이 제1연결프레임(113)의 측부에 면접되어 제1연결프레임(113)의 수평폭 길이에 대응되도록 제2연결프레임(133)의 수평폭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112)은 후술되는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4프레임(132) 끝단이 면접되어 결합 고정되며, 그리고 제2프레임(111)의 전측 제5면(112-2)과 후측 제5면(112-2) 사이로 사각형태의 제2공간(11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112-3)이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부(110)를 구성하는 제1수용공간(101)의 측부에 다른 프레임부재(100a)인 상술한 제2수용공간(101)이 배치될 때 제1수용공간(101)의 제1수직프레임부(110)와 제2수용공간(101)의 제1수직프레임부(110)가 상호 대칭형태로 포개어져 결합되며, 이때 제2공간(112-3)이 상호 마주하면서 제5면(112-2) 단부가 상호 면접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측면에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끝단이 상호 면접 결합될 때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측면 수평형상에 대응되는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끝단 형상을 가지어 상호 면접시 공차없는 긴밀한 밀착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120)는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형성한 프레임부재(100a)의 사면체형 골격구조에서 후방의 양측 수직길이의 골격에 해당하여 소정길이의 수직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6면(121)과 상기 제6면(12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7면(122)과 상기 제6면(121)의 후측에 위치한 제7면(1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절곡된 결합면(123) 그리고 상기 제6면(121)의 후측단에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차단면(124)이 형성되면서 전측 제7면(122)과 후측 제7면(122) 사이로 제3공간(125)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제6면(121)을 기준으로 전측에 위치한 제7면(122)과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제2프레임(112)을 구성하는 후측의 제5면(112-2)은 서로 수평하게 이웃하도록 위치하며, 이때 제7면(122) 수평폭은 제5면(112-2)의 수평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전측 제7면(122)과 후측 제7면(122) 사이로 사각형태의 제3공간(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3공간(125)이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부(120)를 구성하는 제1수용공간(101)의 측부에 상술한 제2수용공간(101)이 배치될 때 제1수용공간(101)의 제2수직프레임부(120)와 제2수용공간(101)의 제2수직프레임부(120)가 상호 대칭형태로 포개어져 결합되며, 이때 대응되는 위치의 제7면(122) 끝단끼리 서로 밀착하게 되며, 이때 결합면(123)이 서로 밀착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제6면(121)에 제3수평공간(141)이 위치한 제2수평프레임부(140)가 밀착 고정되게 되며,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차단면(124)은 제2수평프레임부(140)가 제6면(121)에 밀착시 제2수평프레임부(140)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프레임(113)의 후단이 연결된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제2프레임(112) 전단에 대향하는 후단 및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제6면(121)의 전측에 위치한 제7면(12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면서 서로 마주하여 전후 대칭형태로 형성된 공간프레임(102)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공간프레임(102)은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8면(102-1)과 상기 제8면(102-1)의 양단에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9면(102-2) 그리고 각각의 제9면(102-2) 단부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수직 절곡된 제10면(102-3)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9면(102-2)과 후측 제9면(102-2) 사이로 제4공간(102-4)이 형성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상기 공간프레임(102)은 대칭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10)부와 대칭형태로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부(120)에서 결합될 때 접촉면적을 부가하여 견고한 결합 및 강도를 증가시키고자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에 형성된 공간프레임(102)과 제2수직프레임부(120)에 형성된 공간프레임(102)이 서로 수평되게 이웃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공간프레임(102)은 후술되는 수평바(150)의 전단 일측부가 제2프레임(112)의 후측 제5면(112-2)에 면접되며, 그리고 상기 수평바(150)의 전단 타측부는 수용공간(101)으로 돌출되면서 후술되는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1결합판(132-2)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공간프레임(102)은 수평바(150)의 후단 일측부가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전측 제7면(122)에 면접되며, 그리고 상기 수평바(150)의 후단 타측부는 수용공간(101)으로 돌출되면서 후술되는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제2결합판(142)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수평바(150)는 제1, 2수직프레임부(110)(120)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됨으로서 사면체의 프레임부재(100a)에서 좌/우측의 상부 및 하부의 수평길이의 골격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수직프레임부(110)(120)의 공간프레임(102)이 형성됨으로서 제1수용공간(101)의 수평바(150)와 제2수용공간(101)의 수평바(150)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공간프레임(102)의 전측 제9면(102-2)과 후측 제9면(102-2) 사이로 제4공간(102-4)이 형성됨으로서 제1수용공간(101) 측부에 배열된 제2수용공간(101)의 공간프레임(102)이 상호 대칭으로 면접 밀착되면서 제4공간(102-4)이 상호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 그리고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프레임부(130)는 전측의 제3프레임(131)과 후측의 제4프레임(132)으로 구성되면서 제3프레임(131) 후측면 중앙과 제4프레임(132)의 전측면 중앙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13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131)은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1프레임(111)의 제1면(111-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1수평공간(131-1)이 형성되어 제1수평공간(13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4프레임(132)은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2프레임(112)의 제4면(112-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2수평공간(132-1)이 형성되어 제2수평공간(132-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면서 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평길이로 연결된 제1결합판(132-2)이 형성되되, 상하측 제1결합판(132-2) 간의 수직폭이 제2수평공간(132-1)의 수직폭에 비해 더 큰 수직폭을 가지며,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140)는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제6면(12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3수평공간(141)이 형성되어 제3수평공간(14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면서 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평길이로 연결된 제2결합판(142)이 형성되되, 상하측 제2결합판(142) 간의 수직폭이 제3수평공간(141)의 수직폭에 비해 더 큰 수직폭을 가지며,
상기 제2수평공간(132-1)이 위치한 제4프레임(132)의 단면적과 제3수평공간(141)이 위치한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단면적이 동일하면서 상기 제4프레임(132)의 제1결합판(132-2)과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제2결합판(142)이 상호 대응되는 수평 위치에 형성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상기 제1수평프레임부(130)는 사면체형의 프레임부재(100a)에서 전방 상부 및 하부의 수평길이의 골격에 형성되며, 전측의 제3프레임(131)과 후측의 제4프레임(132)으로 구성되면서 제3프레임(131) 후측면 중앙과 제4프레임(132)의 전측면 중앙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133)으로 구성된 수평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프레임(131)은 양측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제1프레임(111)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연결 고정되며, 제3프레임(131)의 양단은 각각 대응되는 제1프레임(111)의 제1면(111-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1수평공간(131-1)이 형성되어 제1수평공간(13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20)의 위치에 대응된 제1프레임(111)의 일면에 리벳(미도시)을 체결시켜 결합홈부(20)로 리벳 단부가 체결 고정되면서 제1프레임(111)에 제3프레임(131)이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133)은 제3프레임(131)의 후측면 중앙에 전단이 연결되면서 후단이 제4프레임(132)의 전측면 중앙에 연결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제1연결프레임(113)의 측면에 면접되며, 이때 제1연결프레임(113)의 측면 폭길이에 대응되도록 제2연결프레임(133)의 폭길이를 가지며, 즉 제1연결프레임(113)과 제2연결프레임(133)이 직교되게 연결되어 제2연결프레임(133)의 단부 수평길이와 제1연결프레임(113) 측면폭 수평길이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프레임(132)은 양측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제2프레임(112)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연결 고정되며, 상기 제4프레임(132)의 양단은 각각 대응되는 제2프레임(112)의 제4면(112-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2수평공간(132-1)이 형성되어 제2수평공간(132-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면서 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평길이로 연결된 제1결합판(13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20)의 위치에 대응된 제2프레임(112)의 일면에 리벳(미도시)을 체결시켜 결합홈부(20)로 리벳 단부가 체결 고정되면서 제2프레임(112)에 제4프레임(132)이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판(132-2)은 제4프레임(132)의 후방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상하 대칭형태로 형성되면서 상하측 제1결합판(132-2) 간의 수직폭이 제2수평공간(132-1)의 수직폭에 비해 더 큰 수직폭을 가지며, 이때 상기 제4프레임(132)의 후방 상측 단부와 제1결합판(132-2) 단부 사이에 제1경사탭(132-3)을 연결시켜 제1결합판(132-2)이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판(132-2)과 제1결합판(132-2) 사이로 수평바(150)의 전단 일부가 끼움 결합되어 지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수평바(150)의 전단 타부는 제2프레임(112)의 후측 제5면(112-2)에 면접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140)는 사면체형의 프레임부재(100a)에서 후방 상부 및 하부의 수평길이의 골격에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제6면(12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3수평공간(141)이 형성되어 제3수평공간(14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20)의 위치에 대응된 제2수직프레임부(120) 제6면(121)의 일면에 리벳(미도시)을 체결시켜 결합홈부(20)로 리벳 단부가 체결 고정되면서 제2수직프레임부(120)에 제2수평프레임부(140)를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평길이로 연결된 제2결합판(142)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바(150)의 후단 일부를 끼움 결합시켜 지지하게 되며, 이때 수평바(150)의 후단 타부는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전측 제7면(122)에 면접되게 된다.
상기 제2결합판(142)은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전방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상하 대칭형태로 형성되면서 상하측 제2결합판(142) 간의 수직폭이 제3수평공간(141)의 수직폭에 비해 더 큰 수직폭을 가지도록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전방 상측 단부와 제2결합판(142) 단부 사이에 제2경사탭(142-1)을 연결시켜 제2결합판(142)이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제2수평공간(141)이 위치한 제4프레임(132)의 단면적과 제3수평공간(141)이 위치한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단면적이 동일하면서 상기 제4프레임(132)의 제1결합판(132-2)과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제2결합판(142)이 상호 대응되는 수평 위치에 형성되며, 즉 수용공간(101)의 내부 하면에 위치한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4프레임(132) 상면과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상면이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부 상면에 위치한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4프레임(132) 하면과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하면이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3,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공간(131-1)이 위치한 제3프레임(131)의 단면적은 제2수평공간(132-1)이 위치한 제4프레임(132)의 단면적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형성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00a)의 수용공간(101) 내로 납골함(200)을 수용함에 있어 납골함(200)의 전측 상하부가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4프레임(132)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납골함(200)이 수용된 수용공간(101)의 체적이 수용공간(101) 입구의 체적에 비해 작은 체적을 가지도록 하여 납골함(200)이 쉽게 수용공간(101) 입구를 통해 내부로 출입이 용이하게 되며, 이에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3프레임(131)이 제4프레임(132)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50)는 수평길이로 일측 제1형상부(150a)와 타측 제2형상부(150b)로 균등하게 분할 구분되며, 상기 제1형상부(150a)의 전면은 제2프레임(112)의 후측 제5면(112-2)에 면접 그리고 상기 제1형상부(150a)의 후면은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후측 제7면(122)에 면접되며,
상기 제2형상부(100b)의 전단은 제4프레임(132)의 제1결합판(132-2) 사이로 끼움 결합 그리고 상기 제2형상부(150b)의 후단은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제2결합판(142)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상기 수평바(150)가 프레임부재(100a)의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상부와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상부 그리고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하부와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하부를 수평길이로 가로질러 연결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1결합판(132-2) 사이 그리고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제2결합판(142)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때 수평바(150)의 전단 그리고 후단이 균등하게 제1수직프레임부(110) 및 제1수평프레임부(130) 그리고 제2수직프레임부(120) 및 제2수평프레임부(140)에 면접 결합되도록 상술한 수평바(150)의 수평길이에 대응되게 좌측의 제1형상부(150a) 및 우측의 제2형상부(150b)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0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다른 수용공간(101)을 형성할 때 상기 다른 수용공간(101)에서는 기준이 되는 수용공간(101)의 제1수직프레임부(110) 및 제2수직프레임부(120)에 각각 대응되는 제1수직프레임부(110) 및 2수직프레임부(120)와 대칭형태로 상호 결합되면서 기준이 되는 수용공간(101)의 제1수평프레임부(130)와 제2수평프레임부(140)가 동일한 방향성으로 배치되는 결합단위로 배열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기준이 되는 수용공간(101)의 프레임부재(100a)를 제1수용공간(101)이러고 칭할 때 상기 제1수용공간(101)의 측부에 배치된 수용공간(101)의 프레임부재(100a)를 제2수용공간(101)으로 칭할 때 상기 제1수용공간(101)과 제2수용공간(101) 사이에 위치한 제1수용공간(101)의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용공간(101)의 제1수직프레임(110)은 상호 좌우 대칭형태로 면접 결합 그리고 제1수용공간(101)의 제2수직프레임부(120)와 제2수용공간(101)의 제2수직프레임부(120)는 상호 좌우 대칭형태로 면접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수용공간(101) 또는 제2수용공간(101)을 구성하는 제1, 2수평프레임부(130)(140)의 배치형상은 일예로 제1수용공간(101) 전방 상하부에 비대칭으로 배치된 제1수평프레임부(130) 그리고 제1수용공간(101) 후방 상하부에 비대칭으로 배치된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배치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01) 전방을 개폐 가능하도록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3프레임(131)에 결합된 경첩부재(310)에 연결된 도어부재(300)가 포함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00a)의 수용공간(101) 전방을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부재(300)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재(300)는 프레임부재(100a)의 구성 중 수용공간(101) 전방 하부에 위치한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3프레임(131) 상면 양측에 각각 경첩부재(310)가 설치되어 도어부재(300)의 후면 하단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경첩부재(310)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는 장치, 유압식으로 회동되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회동방식을 가진 경첩부재(31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납골함(200)은 내부에 수납공간(201)을 형성한 함체(200a)와 상기 함체(200a)의 전방을 밀폐하는 커버부재(200b)로 구성되며,
상기 함체(200a)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성형되면서 사방면에 세로길이로 돌출된 제1돌출탭(203)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후면에 격자배열의 제2돌출탭(204)이 형성되며, 전방 개방구(201-1)의 테두리를 따라 접면부(202)가 형성되면서 접면부(202)를 따라 복수 개의 체결공(202-2)이 형성되면서 체결공(202-2)의 외주방향으로 동심원 일부가 접면부(202) 단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접면부(202) 중앙을 따라 다수 개의 제1결합공(20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202-1)이 형성된 접면부(202) 내측을 따라 단차진 형태의 차단탭(202-3)이 이음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200b)는 접면부(202)의 차단탭(202-3)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제1실링부(211)가 형성된 패킹부(210)와 상기 패킹부(210)의 전면 가장자리에 후면 가장자리가 밀착되는 수직판재형의 투명판(220)과 상기 투명판(220) 전측에 배치되어 접면부(202)을 따라 체결 고정되면서 접면부(202)의 제1결합공(202-1)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2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202-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테두리에 체결홈(232)이 형성된 덮개프레임(230)으로 구성된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함체(200a)의 사방면(四方面)에 세로길이의 제1돌출탭(203)이 형성됨으로서 함체(200a) 자체의 온도와 외부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 등이 외부로 즉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 역할을 하며, 격자형을 가진 제2돌출탭(204)도 외부 공기의 흐름에 따른 충돌을 증대시켜 결로 발생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200a)의 개방구(201-1)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접면부(202)는 수용공간(101)의 전측에 위치한 양측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제1연결프레임(113)과 단차진 제2프레임(112)의 전측 제5면(112-2)에 면접되어 단속되면서 수용공간(101)의 전측에 위치한 상측 및 하측의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2연결프레임(133)과 단차진 제4프레임(132)의 전면에 면접되어 단속됨에 따라 수용공간(101)의 내부로 더 이상 수납되지 않게 단속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202-2)의 위치 형상은 체결공(202-2)의 외주방향으로 동심원 일부가 접면부(202) 단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수용공간(101)으로 함체(200a)를 수용하여 고정시킬 때 수용공간(101)의 전측에 위치한 상측 및 하측의 제1수평프레임부(130)의 제2연결프레임(133)과 단차진 제4프레임(132)의 전면에 위치한 체결공(202-2)을 통해 리벳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함체(200a)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8과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함체(200a)의 상면 중앙에 수납공간(201) 내측으로 요입된 세로길이의 공간형성부(205)가 형성되며, 상기 함체(200a)의 수납공간(201) 상부 중앙에 하향 돌출된 공간형성부(205)에서 개방구(201-1)로 노출된 공간형성부의 노출면(205-1)에 하나 이상의 통공(205-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205-2)에 끼워져 밀폐되면서 불활성가스를 주입 또는 수납공간(201)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400)가 부착되는 납골안치단(10)을 제공한다.
상기 체크밸브(400)는 공간형성부(205)의 노출면(205-1)에 형성된 통공(205-2) 내측에 위치하여 가스를 주입 또는 수납공간(201) 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부(420)와 상기 노즐부(420)에 연결되어 통공 외측에 형성되어 가스를 주입 또는 공기 배출을 제어하는 주입제어부(410) 및 상기 노즐부(420)와 주입제어부(410) 사이에 장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실링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납골함(200)의 수납공간(201)에 수납된 유골함 등이 수분에 의해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수납공간(201)에 질소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주입시켜 수납공간(201) 내에 불활성 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이때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고자 함체(200a)의 상면 중앙에 수납공간(201) 내측으로 요입된 세로길이의 공간형성부(205)가 형성되며, 상기 함체(200a)의 수납공간(201) 상부 중앙에 하향 돌출된 공간형성부(205)에서 개방구(201-1)로 노출된 공간형성부(205)의 노출면(205-1)에 하나 이상의 통공(205-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205-2)에 체크밸브(400)를 설치하게 되며, 이때 하나의 통공(205-2)에 설치된 체크밸브(400)는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게 되며, 다른 하나의 통공(205-2)에 설치된 체크밸브(400)는 수납공간(201)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체크밸브(400)에 연계되어 수납공간(201)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수납공간(201) 내의 수분을 측정하는 센서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표시부가 도어부재(300)의 전면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표시부는 센서들의 센싱 정보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신호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이상신호를 생성 및 표시하며, 상기 센싱 정보의 전송 및 외부와의 상호 교신이 실시 가능하게 통신하도록 수행 및 제어하게 된다.
이에, 상기 납골함(200)의 수납공간(20) 내 불활성 가스가 충진된 상태를 확인하면서 수납공간(201) 내의 수분율을 측정하여 수납공간(201)의 분위기를 항상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납골안치단 10 프레임조립체 100 프레임부재 100a
수용공간 101 제1수직프레임부 110 제1프레임 111
제1면 111-1 제2면 111-2 제3면 111-3
제1공간 111-4 제2프레임 112 제4면 112-1
제5면 112-2 제2공간 112-3 제1연결프레임 113
제2수직프레임부 120 제6면 121 제7면 122
결합면 123 차단면 124 제3공간 125
공간프레임 102 제8면 102-1 제9면 102-2
제10면 102-3 제4공간 102-4 제1수평프레임부 130
제3프레임 131 제1수평공간 131-1 제4프레임 132
제2수평공간 132-1 제1결합판 132-2 제2수평프레임부 140
제3수평공간 141 제2결합판 142 수평바 150
납골함 200 함체 200a 커버부재 200b
수납공간 201 접면부 202 제1돌출탭 203
제2돌출탭 204 공간형성부 205 통공 205-2
패킹부 210 투명판 220 덮개프레임 230
도어부재 300 경첩부재 310 체크밸브 400

Claims (11)

  1.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프레임부재(100a)가 조립되어 격자형의 수용공간(101)이 다층으로 형성된 프레임조립체(100);와,
    상기 프레임조립체(100)의 수용공간(101)에 조립되면서 유골함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201)이 형성된 함체(200a)와 상기 함체(200a)의 전방을 밀폐하는 커버부재(200b)로 구성된 납골함(200); 및,
    상기 납골함(200)이 조립된 프레임조립체(100)의 수용공간(101) 전방에 프레임부재(100a)에 연결되어 개폐가능한 도어부재(300);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재(100a)는, 수용공간(101)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각 면(面)의 전방에 수직길이의 제1수직프레임부(110)와 각 면(面)의 후방에 수직길이의 제2수직프레임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각 면(面)의 전방인 양측 제1수직프레임부(110) 간을 수평길이로 연결되는 제1수평프레임부(130)와 각 면(面)의 후방인 양측의 제2수직프레임부(120) 간을 수평길이로 연결되는 제2수평프레임부(14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와 제1수평프레임부(130) 그리고 제2수직프레임부(120)와 제2수평프레임부(140)가 교차되는 위치에서 제1수직프레임부(110)와 제2수직프레임부(120)를 수평 연결하는 수평바(15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부(110)는, 전측의 제1프레임(111)과 후측의 제2프레임(112)으로 구성되면서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1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11)은,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1면(111-1)과 상기 제1면(111-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2면(111-2) 그리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113)의 전단이 연결된 제2면(111-2)의 후단에 대향된 전단에 수직 절곡된 제3면(111-3)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2면(111-2)과 후측 제2면(111-2) 사이로 제1공간(111-4)이 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112)은,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4면(112-1)과 상기 제4면(112-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5면(112-2)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5면(112-2)과 후측 제5면(112-2) 사이로 제2공간(11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프레임부(120)는,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6면(121)과 상기 제6면(12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7면(122)과 상기 제6면(121)의 후측에 위치한 제7면(1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절곡된 결합면(123) 그리고 상기 제6면(121)의 후측단에서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차단면(124)이 형성되면서 전측 제7면(122)과 후측 제7면(122) 사이로 제3공간(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113)의 후단이 연결된 제1수직프레임부(110)의 제2프레임(112) 전단에 대향하는 후단 및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제6면(121)의 전측에 위치한 제7면(122)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면서 서로 마주하여 전후 대칭형태로 형성된 공간프레임(102)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공간프레임(102)은 수용공간(101)의 내측으로 향한 제8면(102-1)과 상기 제8면(102-1)의 양단에 각각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제9면(102-2) 그리고 각각의 제9면(102-2) 단부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수직 절곡된 제10면(102-3)으로 형성되면서 전측 제9면(102-2)과 후측 제9면(102-2) 사이로 제4공간(10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부(130)는 전측의 제3프레임(131)과 후측의 제4프레임(132)으로 구성되면서 제3프레임(131) 후측면 중앙과 제4프레임(132)의 전측면 중앙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13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131)은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1프레임(111)의 제1면(111-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1수평공간(131-1)이 형성되어 제1수평공간(13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4프레임(132)은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2프레임(112)의 제4면(112-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2수평공간(132-1)이 형성되어 제2수평공간(132-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면서 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평길이로 연결된 제1결합판(132-2)이 형성되되, 상하측 제1결합판(132-2) 간의 수직폭이 제2수평공간(132-1)의 수직폭에 비해 더 큰 수직폭을 가지며,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140)는 양단이 각각 대응되는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제6면(121)에 면접 결합되어 내부에 사각형의 제3수평공간(141)이 형성되어 제3수평공간(14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홈부(20)가 수평길이로 형성되면서 전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수평길이로 연결된 제2결합판(142)이 형성되되, 상하측 제2결합판(142) 간의 수직폭이 제3수평공간(141)의 수직폭에 비해 더 큰 수직폭을 가지며,
    상기 제2수평공간(132-1)이 위치한 제4프레임(132)의 단면적과 제3수평공간(141)이 위치한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단면적이 동일하면서 상기 제4프레임(132)의 제1결합판(132-2)과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제2결합판(142)이 상호 대응되는 수평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공간(131-1)이 위치한 제3프레임(131)의 단면적은 제2수평공간(132-1)이 위치한 제4프레임(132)의 단면적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50)는 수평길이로 일측 제1형상부(150a)와 타측 제2형상부(150b)로 균등하게 분할 구분되며, 상기 제1형상부(150a)의 전면은 제2프레임(112)의 후측 제5면(112-2)에 면접 그리고 상기 제1형상부(150a)의 후면은 제2수직프레임부(120)의 후측 제7면(122)에 면접되며,
    상기 제2형상부(150b)의 전단은 제4프레임(132)의 제1결합판(132-2) 사이로 끼움 결합 그리고 상기 제2형상부(150b)의 후단은 제2수평프레임부(140)의 제2결합판(142)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0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다른 수용공간(101)을 형성할 때 상기 다른 수용공간(101)에서는 기준이 되는 수용공간(101)의 제1수직프레임부(110) 및 제2수직프레임부(120)에 각각 대응되는 제1수직프레임부(110) 및 2수직프레임부(120)와 대칭형태로 상호 결합되면서 기준이 되는 수용공간(101)의 제1수평프레임부(130)와 제2수평프레임부(140)가 동일한 방향성으로 배치되는 결합단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200)은 내부에 수납공간(201)을 형성한 함체(200a)와 상기 함체(200a)의 전방을 밀폐하는 커버부재(200b)로 구성되며,
    상기 함체(200a)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성형되면서 사방면에 세로길이로 돌출된 제1돌출탭(203)이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며, 후면에 격자배열의 제2돌출탭(204)이 형성되며, 전방 개방구(201-1)의 테두리를 따라 접면부(202)가 형성되면서 접면부(202)를 따라 복수 개의 체결공(202-2)이 형성되면서 체결공(202-2)의 외주방향으로 동심원 일부가 접면부(202) 단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접면부(202) 중앙을 따라 다수 개의 제1결합공(20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202-1)이 형성된 접면부(202) 내측을 따라 단차진 형태의 차단탭(202-3)이 이음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200b)는 접면부(202)의 차단탭(202-3)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제1실링부(211)가 형성된 패킹부(210)와 상기 패킹부(210)의 전면 가장자리에 후면 가장자리가 밀착되는 수직판재형의 투명판(220)과 상기 투명판(220) 전측에 배치되어 접면부(202)을 따라 체결 고정되면서 접면부(202)의 제1결합공(202-1)에 대응되는 제2결합공(23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202-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테두리에 체결홈(232)이 형성된 덮개프레임(2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200a)의 상면 중앙에 수납공간(201) 내측으로 요입된 세로길이의 공간형성부(205)가 형성되며, 상기 함체(200a)의 수납공간(201) 상부 중앙에 하향 돌출된 공간형성부(205)에서 개방구(201-1)로 노출된 공간형성부의 노출면(205-1)에 하나 이상의 통공(205-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205-2)에 끼워져 밀폐되면서 불활성가스를 주입 또는 수납공간(201)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4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400)에 연계되어 수납공간(201)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수납공간(201) 내의 수분을 측정하는 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표시부가 도어부재(300)의 전면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표시부는 센서들의 센싱 정보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센싱된 신호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이상신호를 생성 및 표시하며, 상기 센싱 정보의 전송 및 외부와의 상호 교신이 실시 가능하게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KR1020210114969A 2021-08-30 2021-08-30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KR10234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969A KR102342360B1 (ko) 2021-08-30 2021-08-30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969A KR102342360B1 (ko) 2021-08-30 2021-08-30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360B1 true KR102342360B1 (ko) 2021-12-22

Family

ID=7916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969A KR102342360B1 (ko) 2021-08-30 2021-08-30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3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9341A (zh) * 2022-07-30 2022-09-16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一种存储式骨灰盒存放架
KR102447560B1 (ko) * 2022-06-04 2022-09-26 (주)경안테크 납골안치단
CN115182641A (zh) * 2022-08-05 2022-10-14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一种翻转隐藏式骨灰盒存放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58B1 (ko) * 2012-08-27 2013-04-10 이순호 밀폐형 봉안함 보관장치
KR20140074502A (ko) * 2012-12-10 2014-06-18 김영진 유골함 안치단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골함 안치단
KR20170023644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태광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KR101915313B1 (ko) 2018-01-30 2019-01-14 (주)성지공간 내진구조를 갖는 납골안치단
KR20210006189A (ko) * 2019-07-08 2021-01-18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58B1 (ko) * 2012-08-27 2013-04-10 이순호 밀폐형 봉안함 보관장치
KR20140074502A (ko) * 2012-12-10 2014-06-18 김영진 유골함 안치단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골함 안치단
KR20170023644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태광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KR101915313B1 (ko) 2018-01-30 2019-01-14 (주)성지공간 내진구조를 갖는 납골안치단
KR20210006189A (ko) * 2019-07-08 2021-01-18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KR102218613B1 (ko) 2019-07-08 2021-02-22 (주)지산비엠피 봉안함을 밀폐 보관시키는 봉안함 밀폐 보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560B1 (ko) * 2022-06-04 2022-09-26 (주)경안테크 납골안치단
CN115059341A (zh) * 2022-07-30 2022-09-16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一种存储式骨灰盒存放架
CN115182641A (zh) * 2022-08-05 2022-10-14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一种翻转隐藏式骨灰盒存放架
CN115182641B (zh) * 2022-08-05 2023-11-03 江西广泉钢艺集团有限公司 一种翻转隐藏式骨灰盒存放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360B1 (ko)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US6202867B1 (en) Modular structure with modular component parts for making shelves and closets
KR101711620B1 (ko) 확장바를 이용한 다기능 가변형 조립식 봉안단
CA2525833A1 (en) Packaging system for a modular enclosure
KR100861341B1 (ko) 조립식 납골함단
CA2855988A1 (en) Door lite frame with nestable frame components
EP1893499A1 (en) Stackable storage crate
KR101677155B1 (ko) 체결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봉안단
KR101670234B1 (ko) 단열부재를 이용한 습기 및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봉안단
KR101923032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JP2000129831A (ja) パーティションにおける並設されたパネル単板の連結構造
KR100822320B1 (ko) 판유리 양면 적재용 조립식 박스
CN208994360U (zh) 一种可拆卸式集装箱
KR101923033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JPH1175951A (ja) 吊戸棚
KR102328747B1 (ko) 납골안치단
CN217876712U (zh) 一种门间防护件
CN216364281U (zh) 转角柜
US11592231B2 (en) Refrigeration device with reinforced housing
EP1029470A1 (en) Modular structure with modular component parts for making shelves and closets
KR200180051Y1 (ko) 조립식 저온 저장고
KR200278491Y1 (ko) 납골안치단
GB2300805A (en) A bedstead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JPH05179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